KR20230048751A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 - Google Patents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8751A KR20230048751A KR1020210131547A KR20210131547A KR20230048751A KR 20230048751 A KR20230048751 A KR 20230048751A KR 1020210131547 A KR1020210131547 A KR 1020210131547A KR 20210131547 A KR20210131547 A KR 20210131547A KR 20230048751 A KR20230048751 A KR 202300487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cup holder
- cup
- moving
- multifunc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8—Disposition of racks, clips, holders, containe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specific artic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 F16M13/02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repositionab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60R2011/0015—Back-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에 적용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는 홀더 플레이트(50)에 대해 음료 용기(100)가 고정되는 컵 홀더(30)를 접거나 펼쳐주는 폴드 기구(70), 상기 컵 홀더(30)에 거치되는 위치를 이동시켜 휴대기기(200,300)에 대한 시야 각도를 다르게 하여주는 틸트 기구(80), 및 높이 조절 거리(H)로 상기 무빙 홀더(40)를 이동시켜주는 슬라이딩 기구(9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다기능 멤버(60)가 포함됨으로써 90°전개되어 펼쳐진 컵 홀더를 휴대기기 거치대로 전환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작게 축소하는 컵 홀더의 접이식 장점을 유지하면서 컵과 스마트 폰과 같은 서로 다른 형상의 다양한 휴대 물품이 고정 및 거치될 수 있고, 특히 접이식 구조와 연계된 슬라이딩식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도 용이하게 거치하면서도 틸트식 구조로 승객의 화면 시청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 홀더의 용기 고정 기능을 모바일 기기로 확장시킨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를 적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실내에는 대시보드(Dash board)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 부근이나 시트(즉, 좌석의자)의 시트 백 뒤쪽부위로 컵 홀더를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컵 홀더 중 시트 백 컵 홀더는 시트 백 후면에서 힌지 결합된 환형 링 형상의 컵 가이드와 판 형상의 컵 지지대의 쌍으로 이루어지고, 시트 백 후면에 밀착 상태로 세워진 미사용 상태에서 컵 가이드 또는 컵 지지대를 잡고 밑으로 내려줌으로써 컵 가이드와 컵 지지대가 수평 하게 펼쳐진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 백 컵 홀더는 시트 백 후면에서 수평하게 펼쳐진 컵 가이드에 끼워진 컵을 컵 지지대로 받쳐주면서 컵을 고정시켜 준다.
특히 상기 시트 백 컵 홀더는 전체적인 부피가 작으면서 접힘 구조(즉, 접이식 구조)에 의한 구조적 단순함을 제공하고, 버스의 좁은 시트 사이 공간에서 승객이 승/하차를 위한 이동 시 공간상의 제약이나 불편함이 없는 장점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 백 컵 홀더는 차량 중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에서 승객 시트 마다 시트 백 후면에 설치됨으로써 승객이 갖고 있는 컵, 캔, 페트병 등과 같은 휴대 용기를 거치하거나 고정할 수 있는 편리함으로 인해 필수적인 편리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시트 백 컵 홀더는 구조적 단순함으로 컵 가이드의 컵 고정 기능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휴대품의 고정이나 거치에 적합하지 않고, 특히 모바일 기기가 승객의 필수품인 점에서 이를 컵 가이드에 거치할 수 없다는 구조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더구나 1인 1 휴대폰 시대로 어디에서나 휴대폰을 사용하는 특성상, 버스(예, 좌석 시내버스)로 여행하는 승객이 좌석에서 휴대폰으로 영화를 볼 때, 승객은 손이 아프더라도 시트 백 컵 홀더를 사용하지 못하여 손으로 휴대폰을 들고 시청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전개되어 펼쳐진 컵 홀더를 휴대기기 거치대로 전환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작게 축소하는 컵 홀더의 접이식 장점을 유지하면서 컵과 스마트 폰과 같은 서로 다른 형상의 다양한 휴대품이 고정 및 거치될 수 있고, 특히 접이식 구조와 연계된 슬라이딩식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도 용이하게 거치하면서도 틸트식 구조로 승객의 화면 시청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 할 수 있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는 휴대 용기를 고정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에 놓여 거치된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무빙 홀더, 상기 컵 홀더와 상기 무빙 홀더를 결합하는 홀더 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컵 홀더를 접거나 펼쳐주는 폴드 기구, 상기 휴대기기를 시야 각도가 다르게 상기 컵 홀더에 위치시켜 주는 틸트 기구, 및 높이 조절 거리로 상기 무빙 홀더를 이동시켜주는 슬라이드 기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다기능 멤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접이 구간에 구비되어 아래쪽으로 위치되며, 상기 무빙 홀더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구간에 구비되어 위쪽으로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휴대 용기의 몸통을 지지하는 컵 홀더 가이드, 상기 휴대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컵 받침대, 및 상기 컵 홀더 가이드와 상기 컵 받침대가 간격을 갖도록 고정하고, 상기 컵 홀더 가이드와 상기 컵 받침대의 접힘과 펼침 움직임을 일체화시켜 주는 링크 로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컵 홀더 가이드와 상기 컵 받침대의 각각은 0°수직상태를 상기 접힘으로 하여 90°수평상태를 상기 펼침으로 하여 전개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무빙 홀더는 “T" 형상 구조의 상단 거치부로 상기 휴대기기를 고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폴드 기구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컵 홀더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폴드 기구는 상기 컵 홀더가 위치되도록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컵 홀더 공간을 형성하는 힌지 격벽, 상기 컵 홀더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힌지 격벽에 지지되어 상기 컵 홀더의 힌지 회전부에 대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는 힌지 축, 및 상기 컵 홀더의 펼침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컵 홀더와 접촉되는 스토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컵 홀더 공간에서 돌출된 전방 스토퍼와 후방 스토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 스토퍼는 상기 컵 홀더의 펼침 상태에서 하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힌지 회전부를 지지하고, 상기 후방 스토퍼는 상기 컵 홀더의 펼침 상태에서 상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힌지 회전부를 눌러준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방 스토퍼는 막대 형상의 직선 돌출 구조이며, 상기 후방 스토퍼는 호 형상의 곡선 돌출 구조이고, 상기 곡선 돌출 구조는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틸트 기구는 상기 컵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를 올려놓는 휴대기기 거치부로 작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틸트 기구는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에 상기 휴대기기가 놓이는 앞쪽 구간을 형성하는 1단 돌기, 및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에 상기 휴대기기가 놓이는 뒤쪽 구간을 형성하는 2단 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1단 돌기와 상기 2단 홈은 연속된 구조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상기 무빙 홀더와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 거리를 상기 무빙 홀더의 상/하부 스트로크로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상기 무빙 홀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승 가이드, 및 상기 상부 스트로크 과정에서 축적된 압축력을 상기 하부 스트로크 과정에서 상기 무빙 홀더의 초기 위치 복귀를 위한 복원력으로 제공하는 하강 가이드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승 가이드는 상기 무빙 홀더에 돌출 구조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슬롯 구조로 파여진 슬라이딩 슬롯,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측부와 상기 하강 가이드의 케이스 내벽 간 요철(凹凸)의 끼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는 후크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후크의 상기 끼움 구조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에 파여진 요(凹) 형상의 위치 홈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측부에 돌출된 철(凸) 형상의 포지셔너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강 가이드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사각 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 홀더로 가려지는 케이스, 상기 무빙 홀더에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사각 틀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탄발 지지되어 상기 압축력과 상기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이중 배열로 구비되고, 상기 이중 배열은 상기 케이스의 분리 벽으로 구획된 상기 사각 틀 내부 공간의 좌측 챔버에 구비된 좌측 압축 스프링 및 우측 챔버에 구비된 우측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매개로 시트의 시트 백에 장착되고, 상기 시트 백의 후방에서 상기 컵 홀더와 상기 무빙 홀더가 조작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은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휴대 용기가 고정되는 컵 홀더를 접거나 펼쳐주는 폴드 기구, 상기 컵 홀더에 거치되는 위치를 이동시켜 휴대기기에 대한 시야 각도를 다르게 하여주는 틸트 기구, 및 높이 조절 거리로 상기 무빙 홀더를 이동시켜주는 슬라이드 기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다기능 멤버로 구성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가 장착된 시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이루는 시트 백에 위치되며, 상기 시트 백은 후면에 구비된 마운팅 플레이트를 매개로 상기 홀더 플레이트와 결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에 적용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는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폴드 기구와 슬라이드 기구의 구조적 조합으로 기존의 컵 홀더가 한 가지 목적에서 다목적으로 그 사용 용도가 확장될 수 있다. 둘째, 다목적으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컵 형상 외 다양한 형상의 스마트 폰과 모바일 기기도 고정 및 거치가 가능하다. 셋째, 상품성 향상의 측면에서 컵홀더 기능에다 스마트 폰과 모바일 기기의 거치대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스마트 폰을 손으로 들고 시청했던 불편함을 없앤 편리함 제공이 가능하다. 넷째, 슬라이드 기구의 높이 가변 구조를 이용한 고정으로 모바일 기기, 특히 스마트 폰의 이탈에 의한 파손 불안함 없이 승객이 사용할 수 있다. 다섯째, 컵 가이드를 이용한 틸트 기구로 거치된 스마트 폰을 최소한 2단계의 각도로 조절함으로써 기기 폭 크기에 따라 자유로운 폭 높이 조절과 함께 승객의 시청각도 조절도 가능하다. 여섯째, 간단한 연결구조로 폴딩/언폴딩의 접이 기능과 높이 가변의 슬리이드 기능 및 경사각 거치의 틸트 기능이 상호 연계된 시트 백 컵 홀더로 기능함으로써 사용 편의성 향상과 함께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좌석의자에 적용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의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기구와 틸트 기구 및 슬라이드 기구가 적용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드 기구와 틸트 기구를 이용한 컵 홀더의 작동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폴드 기구로 사용 상태 전환 후 휴대 용기인 페트병을 고정한 예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틸트 기구로 스마트 폰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예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 홀더와 홀더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라이드 기구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의 일부부위 단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의 높이 조절 상태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기구의 높이 조절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폭 크기의 스마트 폰과 모바일 기기가 거치되어 고정된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시트(3)에 적용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시트(3)는 쿠션(4)에 수직하게 세워져 틸팅 기능을 갖는 시트 백(5)로 구성됨으로써 버스의 좌석의자로 예시된다. 그러므로 상기 차량(1)은 승객용 좌석의지를 구비한 승용차, 레저용 차량, 상용차, 버스, 기차 및 비행기 등을 모두 포함하나 이하에선 대중교통 수단인 버스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는 마운팅 플레이트(20), 컵 홀더(30), 무빙 홀더(40), 홀더 플레이트(50) 및 다기능 멤버(60)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컵 홀더(30)는 사각고리구조로 휴대 용기(예, 컵, 캔, 페트병)를 고정해 주며, 상기 무빙 홀더(40)는 컵 홀더(30)에 놓인 휴대기기(200,300)를 거치해 주며, 상기 홀더 플레이트(50)는 컵 홀더(30)와 무빙 홀더(40)를 결합한다.
일례로 상기 다기능 멤버(60)는 컵 홀더(30)를 상기 홀더 플레이트(50)로 접어주는 폴드 기구(60), 휴대기기(200,300)의 거치 각도를 다르게 해 주는 틸트 기구(70), 및 휴대기기(200,300)의 거치 높이를 다르게 해 주는 슬라이드 기구(8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폴드 기구(60), 상기 틸트 기구(70), 상기 슬라이드 기구(80)의 각각은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통해 상세히 예시된다.
특히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는 시트(3)의 2열 시트에서 시트 백(5)의 각각에 정착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는 마운팅 플레이트(20). 컵 홀더(30), 무빙 홀더(40), 홀더 플레이트(50) 및 다기능 멤버(60)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전면으로 홀더 플레이트(50)를 결합하면서 그 후면으로 시트(3)를 이루는 시트 백(5)의 후면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20)는 시트 백(5)에 스크류 또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컵 홀더(30)는 컵 홀더 가이드(31), 컵 받침대(33) 및 링크 로드(35)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컵 홀더 가이드(31)는 휴대 용기(예, 도 6의 페트병(100) 참조)의 몸통을 지지하며, 상기 컵 받침대(33)는 휴대 용기(예, 도 6의 페트병(100) 참조)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일례로 상기 컵 홀더 가이드(31)는 사각고리구조로 이루어지고, 한쪽끝부가 폴드 기구(60)의 상단 힌지 축(73a)으로 홀더 플레이트(50)와 결합되어 상단 힌지 회전부로 작용함으로써 컵 홀더 가이드(31)가 마운팅 플레이트(20)로 접혀는 폴딩 동작과 마운팅 플레이트(20)에서 90°각도로 펼쳐지는 언폴딩 조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컵 홀더 가이드(31)는 사각고리구조 대신 원형고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의 단면 A-A를 참조하면, 상기 컵 홀더 가이드(31)는 폴드 기구(60)의 후방 스토퍼(75b)가 접촉되는 오목한 밀착 면(31a)을 상단 힌지 회전부에 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언폴딩된(즉, 90°전개 상태) 컵 홀더 가이드(31)가 다시 폴딩 상태로 전환되지 않도록 상단 힌지 회전부를 구속하여 준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일례로 상기 컵 받침대(33)는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끝부가 폴드 기구(60)의 하단 힌지 축(73b)으로 홀더 플레이트(50)와 결합되어 하단 힌지 회전부로 작용함으로써 컵 받침대(33)가 홀더 플레이트(50)로 접혀는 폴딩 동작과 홀더 플레이트(50)에서 90°전개로 펼쳐지는 언폴딩 조작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컵 홀더 가이드(31)는 사각 판 형상 대신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링크 로드(35)는 상단 수평 로드와 하단 수평 로드를 이어준 수직 연결 로드로 “I"형상을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수평 로드가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에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하단 수평 로드가 컵 받침대(33)의 하단 힌지 회전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직 연결 로드는 컵 받침대(33)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폴드 기구(70)의 힌지 격벽(71)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링크 로드(35)는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를 일체로 묶어줌으로써 컵 홀더 가이드(31)의 폴딩 및 언폴딩 동작으로 컵 받침대(33)의 동작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작용한다.
이로부터 상기 컵 홀더(30)는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의 90°펼침 상태(즉, 언폴딩 상태)에서 링크 로드(35)로 강건성을 유지함으로써 컵 받침대(33)가 컵 홀더 가이드(31)에 끼워진 컵이나 휴대 용기(예, 도 6의 페트병(100) 참조)의 바닥을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빙 홀더(40)는 “T"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드 기구(90)로 홀더 플레이트(50)와 결합됨으로써 컵 홀더(30)(즉, 컵 홀더 가이드(31))의 위쪽부위에서 홀더 플레이트(50)를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무빙 홀더(40)는 휴대기기(200)(도 7 참조)가 틸트 기구(80)를 이용하여 컵 홀더(30)(즉, 컵 홀더 가이드(31))에 경사지게 놓인 상태에서 휴대기기의 한쪽부위를 “T" 형상(도 11 참조)의 상단 거치부로 잡아줌으로써 휴대기기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홀더 플레이트(50)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후면으로 마운팅 플레이트(20)와 결합되며, 그 전면으로 컵 홀더(30)와 무빙 홀더(40)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홀더 플레이트(50)는 마운팅 플레이트(20)와 요철(凹凸)의 끼움 구조로 결합되거나 스크류 또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더 플레이트(50)는 그 전체 길이를 아래쪽의 접이 구간(50A)과 위쪽의 슬라이딩 구간(50B)(도 8 참조)으로 구분하고, 상기 접이 구간(50A)에 컵 홀더(30)를 상기 슬라이딩 구간(50B)에 무빙 홀더(40)를 위치시켜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기능 멤버(60)는 컵 홀더(30)와 무빙 홀더(40) 및 홀더 플레이트(50)의 상호 연계 구조로 형성되고, 컵 홀더(30)(즉,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의 폴딩 및 언폴딩에 대한 90°회전 구조를 제공하는 폴드 기구(60), 컵 홀더(30)(즉, 컵 홀더 가이드(31))에 대한 휴대기기 거치 경사 구조를 제공하는 틸트 기구(70), 무빙 홀더(40)에 대한 휴대기기 거치 높이 가변 구조를 제공하는 슬라이드 기구(80)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폴드 기구(70)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접이 구간(50A)(도 8 참조)에 직접 형성되어 컵 홀더(30)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되고, 힌지 격벽(71), 힌지 축(73), 스토퍼(75)를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힌지 격벽(71)은 홀더 플레이트(50)의 좌/우끝부에서 돌출된 좌측 힌지 격벽(71a)과 우측 힌지 격벽(71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접이 구간(50A)에서 좌/우측 힌지 격벽(71a,71b) 사이 공간이 컵 홀더(30)의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가 위치되는 수용 공간인 컵 홀더 공간을 형성한다.
일례로 상기 힌지 축(73)은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를 관통하는 상단 힌지 축(73a) 및 컵 받침대(33)의 하단 힌지 회전부를 관통하는 하단 힌지 축(73b)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단 힌지 축(73a,73b)의 각각은 장축으로 이루어져 좌/우측 힌지 격벽(71a,71b)에 뚫린 축 홀(71c)(도 6 참조)로 지지된다.
일례로 상기 스토퍼(75)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접이 구간(50A)에 형성된 컵 홀더 공간으로 전방 스토퍼(75a)와 후방 스토퍼(75b)를 돌출시킨 전방 돌출 구조이며, 상기 전방 스토퍼(75a)는 컵 홀더(30)의 컵 홀더 가이드(31)를 안착시켜 주는 반면 상기 후방 스토퍼(75b)는 전방 스토퍼(75a)의 위쪽 위치에서 컵 홀더(30)의 컵 홀더 가이드(31)를 눌러주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전방 스토퍼(75a)는 막대 형상의 직선 돌출 구조로 호 형상의 곡선 돌출 구조인 후방 스토퍼(75b) 보다 아래쪽으로 위치된다.
도 3의 단면 A-A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 스토퍼(75a)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전면에서 막대 형상으로 돌출됨으로써 좌/우측 힌지 격벽(71a,71b) 사이를 이어줌으로써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를 얹은 상태로 지지하여 준다. 반면, 상기 후방 스토퍼(75b)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전면에서 돌출된 호 형상으로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에 형성된 오목한 밀착 면(31a)과 접촉된다. 이 경우 상기 후방 스토퍼(75b)는 도 8과 같이, 호 형상 돌출 구조를 복수개로 하여 호 형상 그룹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방 스토퍼(75a)는 언폴딩(즉, 90°전개 상태)의 컵 홀더 가이드(31)가 아래쪽으로 더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력을 형성하고, 상기 후방 스토퍼(75b)는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에 하방향의 가압력으로 상단 힌지 회전부를 구속해줌으로써 폴딩 전환을 위한 외부 힘(즉,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컵 홀더 가이드(31)가 언폴딩(즉, 90°전개 상태)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틸트 기구(80)는 컵 홀더(30)의 컵 홀더 가이드(31)에 구비되고, 1단 돌기(81)와 2단 홈(8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1단 돌기(81)와 상기 2단 홈(83)은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면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1단 돌기(81)는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에 대해 앞쪽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면에서 돌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2단 홈(83)은 1단 돌기(81)의 앞쪽으로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면에서 함몰 구조로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틸트 기구(80)는 1단 돌기(81)와 같은 돌기 구조를 2개 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3단계 이상으로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틸트 기구(80)는 1단 돌기(81)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1단 돌기(81)의 뒤쪽 위치를 휴대기기 1단 경사 거치 상태로 하면서 앞쪽 위치를 휴대기기 2단 경사 거치 상태로 함으로써 승객의 시청 각도가 2단계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상기 폴드 기구(60)와 상기 틸트 기구(80)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4의 폴드 기구(60)를 참조하면, 상기 컵 홀더(30)의 컵 홀더 가이드(31)가 홀더 플레이트(50)에 밀착된 폴딩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젖혀질 때, 상기 폴드 기구(60)는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가 90°전개 상태(즉, 언폴딩)로 펼쳐지도록 힌지 축(73)의 상/하단 힌지 축(73a,73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작동된다.
도 5의 단면 B-B 및 단면 C-C를 참조하면, 상기 상단 힌지 축(73a)은 힌지 격벽(71)(즉, 좌/우측 힌지 격벽(71a,71b)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컵 홀더 가이드(31)의 상단 힌지 회전부에 대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고, 동시에 상기 하단 힌지 축(73b)은 힌지 격벽(71)(즉, 좌/우측 힌지 격벽(71a,71b)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컵 받침대(33)의 상단 힌지 회전부에 대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상기 컵 홀더(30)가 폴딩에서 언폴딩되는 과정에서, 상기 컵 홀더(30)의 링크 로드(35)는 컵 홀더 가이드(31)의 하방향으로 젖힘을 컵 받침대(33)로 전달하는 매개체로 작용함으로써 컵 받침대(33)가 링크 로드(35)를 매개로 컵 홀더 가이드(31)와 함께 90°전개 상태(즉, 언폴딩)로 펼쳐진다.
도 6의 컵 홀더(30)의 사용 상태를 참조하면, 상기 컵 홀더(30)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전면에서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가 수평 하게 펼쳐진 상태이므로 휴대 용기의 한 종류인 페트병(100)이 컵 홀더 가이드(31)에 끼워진 상태에서 컵 받침대(33)에 놓여진다.
이러한 상기 페트병(100)의 거치 상태에서, 상기 컵 홀더(30)는 링크 로드(35)의 연결 구조로 컵 홀더 가이드(31)와 컵 받침대(33)의 펼침 상태를 강건하게 유지함으로써 페트병(100)의 거치 및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형성하여 준다.
도 7의 틸트 기구(80)의 사용 상태를 참조하면, 상기 틸트 기구(80)는 컵 홀더(30)(즉, 컵홀더 가이드(31))에 형성되어 휴대기기(200,300)를 올려놓는 휴대기기 거치부로 작용됨으로써 휴대기기 거치부에 놓인 스마트 폰(200)이 무빙 홀더(40)로 고정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200)에 대한 승객의 시청 각도를 적어도 2단계로 조절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틸트 기구(80)는 휴대기기 거치부에 스마트 폰(200)이 놓이는 앞쪽 구간을 형성하는 1단 돌기(81) 및 휴대기기 거치부에 스마트 폰(200)이 놓이는 뒤쪽 구간을 형성하는 2단 홈(83)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스마트 폰(200)은 1단 돌기(81)를 이용한 1단 경사 각도(a)의 시청 각도를 형성하거나 또는 2단 홈(83)을 이용한 2단 경사 각도(b)의 시청 각도를 형성함으로써 승객은 스마트 폰(200)에 대한 시청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트 기구(80)는 컵 홀더(30)의 컵 홀더 가이드(31)가 컵 받침대(33)와 함께 90°전개 상태(즉, 언폴딩)에서, 상기 1단 돌기(81)를 기준으로 하여 그 뒤쪽 위치에서 1단 돌기(81)와 무빙 홀더(40)로 고정된 스마트 폰(200)에 대한 휴대기기 1단 경사 거치 상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그 앞쪽 위치에서 2단 홈(83)과 무빙 홀더(40)로 고정된 스마트 폰(200)에 대한 휴대기기 2단 경사 거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틸트 기구(80)는 1단 돌기(81)와 2단 홈(83)을 이용한 구조로 스마트 폰(200)에 대한 승객의 시청 각도를 2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이 경우 상기 1단 경사 각도(a)와 상기 2단 경사 각도(b)는 홀더 플레이트(50)를 수직선으로 할 때, 상기 1단 경사 각도(a)는 상기 2단 경사 각도(b) 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상기 다기능 멤버(60) 중 슬라이드 기구(9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기구(90)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슬라이딩 구간(50B)으로 구비되고, 무빙 홀더(40)의 위치 이동 경로를 상/하 방향으로 구현하는 상승 가이드(91,92,93) 및 무빙 홀더(40)에 위치 복원력을 제공하는 하강 가이드(95,96,9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 기구(90)는 무빙 홀더(40)와 홀더 플레이트(50)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홀더 플레이트(50)에서 무빙 홀더(40)를 이동시켜줌으로써 무빙 홀더(40)의 상/하부 스트로크로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 스트로크로 높이 조절 거리(H)(도 10 참조)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승 가이드(91,92,93)는 홀더 플레이트(50)에서 무빙 홀더(40)의 상방향 이동 경로를 상부 스트로크로 형성하며, 슬라이딩 레일(91), 슬라이딩 슬롯(92) 및 후크(93)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슬라이딩 레일(91)은 무빙 홀더(40)의 전면과 후면 중 후면에서 돌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슬롯(92)은 홀더 플레이트(50)의 전면과 후면 중 전면에서 직선의 슬롯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93)는 무빙 홀더(40)의 돌출 구조와 홀더 플레이트(50)의 홈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무빙 홀더(40)의 전면은 외부 노출 방향을 후면은 홀더 플레이트(50)와 결합하는 방향이며, 상기 홀더 플레이트(50)의 전면은 컵 홀더(30)와 무빙 홀더(40)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면은 마운팅 플레이트(20)와 결합하는 방향이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 레일(91)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과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딩 슬롯(92)은 서로 간격을 두고 파여진 좌측 슬라이딩 슬롯(92a)과 우측 슬라이딩 슬롯(92b)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과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의 각각은 직선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 구간의 길이는 슬라이드 기구(90)의 상부 이동 스트로크 또는 하부 이동 스트로크(즉, 상/하부 스트로크)이면서 무빙 홀더(40)의 높이 가변 길이이다.
그러므로 상기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은 상기 좌측 슬라이딩 슬롯(92a)과 결합되고, 상기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은 상기 우측 슬라이딩 슬롯(92b)과 결합되며,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은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을 이동 경로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경우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은 하강 가이드(95,96,97)의 케이스(95)의 안쪽 공간에 위치되어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쪽으로 빠져 나가고, 상기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은 하강 가이드(95,96,97)의 케이스(95)의 바깥쪽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93)는 상승 가이드(91,92,93)의 슬라이딩 레일(91)(즉,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의 측부와 상기 하강 가이드(95,96,97)의 케이스(95) 내벽(즉, 좌/우측 내벽) 간 요철(凹凸)의 끼움 구조로 결합되고, 슬라이딩 슬롯(92a,92b)(즉,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에 끼워진 슬라이딩 레일(91)(즉,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의 상승 이동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크(93)는 포지셔너(93a)와 위치 홈(93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지셔너(93a)는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의 바깥쪽과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의 바깥쪽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위치 홈(93b)은 하강 가이드(95,96,97)를 형성하는 케이스(95)의 좌/우측 내벽에서 길이 방향으로 파여진다.
그러므로 상기 후크(93)는 포지셔너(93a)가 위치 홈(93b)에 삽입되고, 슬라이딩 레일(91)(즉,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이 슬라이딩 슬롯(92)(즉,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을 따라 상/하 이동 시 무빙 홀더(40)가 홀더 플레이트(50)에서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강 가이드(95,96,97)는 상승 가이드(91,92,93)의 상부 스트로크 과정에서 축적한 압축력을 하부 스트로크 과정에서 무빙 홀더(40)의 초기 위치 복귀를 위한 복원력으로 제공하며, 케이스(95), 좌대(96) 및 압축 스프링(97)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케이스(95)는 홀더 플레이트(50)의 전면에서 사각 틀 형상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딩 레일(91)의 하부 구간을 형성하고, 사각 틀 공간에 슬라이딩 레일(91), 슬라이딩 홈(92), 후크(93), 좌대(96) 및 압축 스프링(97)을 모두 수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95)는 사각 틀 공간을 좌/우로 구획하는 분리 벽(95c), 상기 분리 벽(95c)의 좌측 공간은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 좌측 슬라이딩 슬롯(92a), 좌측 좌대(96a) 및 좌측 압축 스프링(97a)이 수용되는 좌측 챔버(95a)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 벽(95c)의 우측 공간은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 우측 슬라이딩 슬롯(92b), 우측 좌대(96b) 및 우측 압축 스프링(97b)이 수용되는 우측 챔버(95b)로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좌대(96)는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과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의 각각에서 돌출되어 그 안쪽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좌/우측 좌대(96a,96b)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좌측 좌대(96a)는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의 한쪽 측면에서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의 공간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우측 좌대(96b)는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의 측면에서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의 공간쪽으로 돌출된다.
특히 상기 좌측 좌대(96a)는 “┛” 형상 및 상기 우측 좌대(96b)는 “┗” 형상으로 마주함으로써 한 쌍의 좌/우측 좌대(96a,96b)는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의 공간에서 “┗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좌측 좌대(96a)의 “┛” 형상은 좌측 슬라이딩 레일(91a)의 아래쪽 구간에 위치되며, 상기 우측 좌대(96b)의 “┗” 형상은 우측 슬라이딩 레일(91b)의 아래쪽 구간에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압축 스프링(97)은 케이스(95)의 사각 틀 내부 공간에 한 쌍의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으로 이중 스프링 배열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의 각각은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좌측 압축 스프링(97a)은 케이스(95)의 좌측 챔버(95a)에 수용되어 좌측 좌대(96a)의 “┛” 형상으로 탄발 지지되며, 상기 우측 압축 스프링(97b)은 케이스(95)의 우측 챔버(95b)에 수용되어 우측 좌대(96b)의 “┗” 형상으로 탄발 지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의 각각은 무빙 홀더(40)와 함께 상부 이동한 좌/우측 좌대(96a,96b)로 좌/우측 챔버(95a,95b)에서 압축 변형됨으로써 무빙 홀더(40)가 상부 이동된 상태에서 스마트 폰(200) 이나 모바일 기기(300)(도 5, 9 참조)를 고정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도 9의 단면 D-D를 참조하면, 상기 후크(93)의 포지셔너(93a)는 한쪽 측면(즉, 위치 홈(93b)과 마주한 방향)에서 돌출된 삼각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위치 홈(93b)의 안쪽 공간 내벽과 삼각 돌기부의 접촉으로 분리 또는 이탈을 방지한다. 이 경우 상기 포지셔너(93a)는 삼각 돌기부를 무빙 홀더(40)의 후면과 끼움 간격을 갖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끼움 간격은 케이스(95)의 사각 틀 단차(K)에서 사각 틀 끝단부가 끼워지는 장소로 제공된다.
그리고 도 9의 단면 D-D 및 단면 E-E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95)는 사각 틀 단차(K)를 형성하고, 상기 사각 틀 단차(K)는 무빙 홀더(40)의 “T"형상 중 상단 거치부의 뒤쪽부를 이루는 상단 후면 단차부에 걸쳐짐으로써 무빙 홀더(40)의 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면서 케이스(95)의 챔버 공간 깊이를 증가함으로써 압축 스프링(97)의 스프링 직경으로 탄성복원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는 상기 슬라이드 기구(90)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10의 슬라이드 기구(90)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 기구(90)는 무빙 홀더(40)의 상방향 이동에 대한 높이 조절 거리(H)를 형성하여 준다.
일례로 상기 무빙 홀더(40)가 상방향 올림을 받게 되면, 무빙 홀더(40)에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91)(즉,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이 홀더 플레이트(50)의 슬라이딩 홈(92)(즉,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을 따라 위쪽 방향으로 올라감으로써 무빙 홀더(40)는 높이 조절 거리(H)를 최대 상승 위치로 하여 위로 이동된다. 이 경우 슬라이딩 홈(92)(즉,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92a,92b))은 높이 조절 거리(H)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도 11의 단면 F-F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레일(91)(즉,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91a,91b))과 함께 위쪽 방향으로 올라가는 좌대(96)(즉, 좌/우측 좌대(96a,96b))는 압축 스프링(97)(즉,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을 압축 변형시킴으로써 압축 스프링(97)(즉,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은 높이 조절 거리(H) 만큼 압축 변형된다.
이로부터 상기 틸트 기구(80)(도 7 참도)의 1단 돌기(81) 또는 2단 홈(83)에 거치된 스마트 폰(200) 이나 모바일 기기(300)(도 7, 12 참조)는 압축 스프링(97)(즉,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이 압축 변형된 높이 조절 거리(H)에서 무빙 홀더(40)의 “T"형상 중 상단 거치부의 앞쪽부를 이루는 상단 전면 단차부에 거치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무빙 홀더(40)는 높이 조절 거리(H)에서 스마트 폰(200) 이나 모바일 기기(300)로 위치 고정됨으로써 압축 스프링(97)(즉,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은 압축 변형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스마트 폰(200) 이나 모바일 기기(300)(도 7, 12 참조)가 무빙 홀더(40)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무빙 홀더(40)는 압축 스프링(97)(즉, 좌/우측 압축 스프링(97a,97b))이 아래쪽으로 당기는 탄성 복원력을 받아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도 12의 슬라이드 기구(90)를 참조하면, 서로 사이즈(Size)가 다른 스마트 폰(200)과 모바일 기기(300)가 폴드 기구(70)에 의한 컵 홀더(30)의 90°전개 상태에서 틸트 기구(80)에 거치된 후 무빙 홀더(40)의 상승 위치가 슬라이드 기구(90)에 의한 높이 조절 거리(H)로 그 크기에 맞춰져 고정됨을 알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에 적용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10)는 홀더 플레이트(50)에 대해 휴대 용기(100)가 고정되는 컵 홀더(30)를 접거나 펼쳐주는 폴드 기구(60), 상기 컵 홀더(30)에 거치되는 위치를 이동시켜 휴대기기(200,300)에 대한 시야 각도를 다르게 하여주는 틸트 기구(70), 및 높이 조절 거리(H)로 상기 무빙 홀더(40)를 이동시켜주는 슬라이드 기구(80)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다기능 멤버(10-1)가 포함됨으로써 90°전개되어 펼쳐진 컵 홀더를 휴대기기 거치대로 전환함으로써 전체 부피를 작게 축소하는 컵 홀더의 접이식 장점을 유지하면서 컵과 스마트 폰과 같은 서로 다른 형상의 다양한 휴대품이 고정 및 거치될 수 있고, 특히 접이식 구조와 연계된 슬라이딩식 구조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모바일 기기도 용이하게 거치하면서도 틸트식 구조로 승객의 화면 시청 각도를 다단으로 조절 할 수 있다.
1 : 차량
3 : 시트 4 : 쿠션
5 : 시트 백
10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20 : 마운팅 플레이트 30 : 컵 홀더
31 : 컵 홀더 가이드 31a : 밀착 면
33 : 컵 받침대 35 : 링크 로드
40 : 무빙 홀더
50 : 홀더 플레이트 50A : 접이 구간
50B : 슬라이딩 구간
60 : 다기능 멤버
70 : 폴드 기구 71 : 힌지 격벽
71a,71b : 좌/우측 힌지 격벽
71c : 축 홀 73 : 힌지 축
73a,73b : 상/하단 힌지 축
75 : 스토퍼 75a,75b : 전/후방 스토퍼
80 : 틸트 기구 81 : 1단 돌기
83 : 2단 홈
90 : 슬라이드 기구 91 : 슬라이딩 레일
91a,91b :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
92 : 슬라이딩 슬롯 92a,92b :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
93 : 후크 93a : 포지셔너
93b : 위치 홈 95 : 케이스
95a,95b : 좌/우측 챔버 95c : 분리 벽
96 : 좌대 96a,96b : 좌/우측 좌대
97 : 압축 스프링 91a,91b : 좌/우측 압축 스프링
100 : 페트병 200 : 스마트 폰
300 : 모바일 기기
3 : 시트 4 : 쿠션
5 : 시트 백
10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20 : 마운팅 플레이트 30 : 컵 홀더
31 : 컵 홀더 가이드 31a : 밀착 면
33 : 컵 받침대 35 : 링크 로드
40 : 무빙 홀더
50 : 홀더 플레이트 50A : 접이 구간
50B : 슬라이딩 구간
60 : 다기능 멤버
70 : 폴드 기구 71 : 힌지 격벽
71a,71b : 좌/우측 힌지 격벽
71c : 축 홀 73 : 힌지 축
73a,73b : 상/하단 힌지 축
75 : 스토퍼 75a,75b : 전/후방 스토퍼
80 : 틸트 기구 81 : 1단 돌기
83 : 2단 홈
90 : 슬라이드 기구 91 : 슬라이딩 레일
91a,91b : 좌/우측 슬라이딩 레일
92 : 슬라이딩 슬롯 92a,92b : 좌/우측 슬라이딩 슬롯
93 : 후크 93a : 포지셔너
93b : 위치 홈 95 : 케이스
95a,95b : 좌/우측 챔버 95c : 분리 벽
96 : 좌대 96a,96b : 좌/우측 좌대
97 : 압축 스프링 91a,91b : 좌/우측 압축 스프링
100 : 페트병 200 : 스마트 폰
300 : 모바일 기기
Claims (22)
- 휴대 용기를 고정하는 컵 홀더,
상기 컵 홀더에 놓여 거치된 휴대기기를 고정하는 무빙 홀더,
상기 컵 홀더와 상기 무빙 홀더를 결합하는 홀더 플레이트 및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컵 홀더를 접거나 펼쳐주는 폴드 기구, 상기 휴대기기를 시야 각도가 다르게 상기 컵 홀더에 위치시켜 주는 틸트 기구, 및 높이 조절 거리로 상기 무빙 홀더를 이동시켜주는 슬라이드 기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다기능 멤버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접이 구간에 구비되어 아래쪽으로 위치되며,
상기 무빙 홀더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구간에 구비되어 위쪽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는
상기 휴대 용기의 몸통을 지지하는 컵 홀더 가이드,
상기 휴대 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컵 받침대, 및
상기 컵 홀더 가이드와 상기 컵 받침대가 간격을 갖도록 고정하고, 상기 컵 홀더 가이드와 상기 컵 받침대의 접힘과 펼침 움직임을 일체화시켜 주는 링크 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컵 홀더 가이드와 상기 컵 받침대의 각각은 0°수직상태를 상기 접힘으로 하여 90°수평상태를 상기 펼침으로 하여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빙 홀더는 "T" 형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T" 형상의 상단 거치부로 상기 휴대기기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드 기구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컵 홀더의 회전 중심으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폴드 기구는
상기 컵 홀더가 위치되도록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컵 홀더 공간을 형성하는 힌지 격벽,
상기 컵 홀더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힌지 격벽에 지지되어 상기 컵 홀더의 힌지 회전부에 대한 회전 중심으로 작용하는 힌지 축 및
상기 컵 홀더의 펼침 상태가 구속되도록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돌출되어 상기 컵 홀더와 접촉되는 스토퍼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컵 홀더 공간에서 돌출된 전방 스토퍼와 후방 스토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 스토퍼는 상기 컵 홀더의 펼침 상태에서 하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힌지 회전부를 지지하고,
상기 후방 스토퍼는 상기 컵 홀더의 펼침 상태에서 상방향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힌지 회전부를 눌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방 스토퍼는 막대 형상의 돌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후방 스토퍼는 호 형상의 곡선 돌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트 기구는 상기 컵 홀더에 형성되어 상기 휴대기기를 올려놓는 휴대기기 거치부로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틸트 기구는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에 상기 휴대기기가 놓이는 앞쪽 구간을 형성하는 1단 돌기, 및
상기 휴대기기 거치부에 상기 휴대기기가 놓이는 뒤쪽 구간을 형성하는 2단 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상기 무빙 홀더와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상기 높이 조절 거리를 상기 무빙 홀더의 상/하부 스트로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기구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서 상기 무빙 홀더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상승 가이드 및
상기 상부 스트로크 과정에서 축적된 압축력을 상기 하부 스트로크 과정에서 상기 무빙 홀더의 초기 위치 복귀를 위한 복원력으로 제공하는 하강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상승 가이드는
상기 무빙 홀더에 돌출 구조로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슬롯 구조로 파여진 슬라이딩 슬롯 및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측부와 상기 하강 가이드의 케이스 내벽 간 요철(凹凸)의 끼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는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후크의 상기 끼움 구조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내벽에 파여진 요(凹) 형상의 위치 홈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측부에 돌출된 철(凸) 형상의 포지셔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강 가이드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사각 틀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 홀더로 가려지는 케이스,
상기 무빙 홀더에 돌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사각 틀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좌대 및
상기 좌대로 탄발 지지되어 상기 압축력과 상기 복원력을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압축 스프링은 이중 배열로 구비되고,
상기 이중 배열은 상기 케이스의 분리 벽으로 구획된 상기 사각 틀 내부 공간의 좌측 챔버에 구비된 좌측 압축 스프링 및 우측 챔버에 구비된 우측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 플레이트는 마운팅 플레이트를 매개로 시트의 시트 백에 장착되고,
상기 시트 백의 후방에서 상기 컵 홀더와 상기 무빙 홀더가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휴대 용기가 고정되는 컵 홀더를 접거나 펼쳐주는 폴드 기구, 상기 컵 홀더에 거치되는 위치를 이동시켜 휴대기기에 대한 시야 각도를 다르게 하여주는 틸트 기구, 및 높이 조절 거리로 상기 무빙 홀더를 이동시켜주는 슬라이딩 기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가 장착된 시트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는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이루는 시트 백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은 후면에 마운팅 플레이트를 결합하고,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1547A KR20230048751A (ko) | 2021-10-05 | 2021-10-05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 |
US17/840,119 US20230107332A1 (en) | 2021-10-05 | 2022-06-14 | Multifunctional portable article holder and vehicles having same |
CN202210763741.XA CN115923631A (zh) | 2021-10-05 | 2022-06-30 | 多功能便携式物品保持架和交通工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1547A KR20230048751A (ko) | 2021-10-05 | 2021-10-05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8751A true KR20230048751A (ko) | 2023-04-12 |
Family
ID=8577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1547A KR20230048751A (ko) | 2021-10-05 | 2021-10-05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07332A1 (ko) |
KR (1) | KR20230048751A (ko) |
CN (1) | CN115923631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1040731S1 (en) * | 2024-02-04 | 2024-09-03 | Weijian Zhang | Car cup hol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63931A1 (en) | 2013-03-13 | 2014-09-18 | E-Lead Electronic Co., Ltd. |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036784B2 (en) * | 2001-07-26 | 2006-05-02 | Daimlerchrysler Ag | Apparatus for holding drink containers |
EP2746158B1 (de) * | 2012-12-21 | 2019-04-24 |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 Flugzeugsitzhaltevorrichtung |
EP3274258B1 (en) * | 2015-03-24 | 2020-05-27 | B/E Aerospace, Inc. | Seat back personal electronic device holder |
CA2987996C (en) * | 2015-06-04 | 2019-02-19 | B/E Aerospace, Inc. | Deployable seatback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KR102113123B1 (ko) * | 2019-09-11 | 2020-05-20 | 백웅용 | 핸드폰 거치대 기능을 갖는 컵 홀더 장치 |
-
2021
- 2021-10-05 KR KR1020210131547A patent/KR20230048751A/ko unknown
-
2022
- 2022-06-14 US US17/840,119 patent/US20230107332A1/en active Pending
- 2022-06-30 CN CN202210763741.XA patent/CN115923631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263931A1 (en) | 2013-03-13 | 2014-09-18 | E-Lead Electronic Co., Ltd. |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923631A (zh) | 2023-04-07 |
US20230107332A1 (en) | 2023-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52318B2 (ja) | 自動車用座席 | |
US5141194A (en) | Retractable container holder | |
CN106274592B (zh) | 用于车辆的能折叠桌组件 | |
CN107128226B (zh) | 可折叠隐藏的盘桌 | |
KR102151953B1 (ko) | 공용좌석팔걸이 | |
JP2008074396A (ja) | 折畳テーブル構造 | |
KR20230048751A (ko) | 다기능 휴대품 거치대 및 차량 | |
CN109624805A (zh) | 隔板和包括它的交通工具座位组件 | |
CN203211127U (zh) | 一种汽车座椅结构 | |
JP6910304B2 (ja) | 最適化された構成のテーブル付き座席モジュール | |
JPH04212648A (ja) | 車両におけ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支持装置 | |
KR20070101929A (ko) | 차량의 리프트블 시트 | |
JP5823816B2 (ja) | 腰掛の起立補助装置 | |
KR102123043B1 (ko) | 캠핑 박스 | |
EP1434507B1 (en) | Improvements in furniture combination bed and desk | |
KR20070031002A (ko) | 전자기기 안치대 겸용 차량 시트 백의 컵 홀더 | |
EP1222877A2 (en) | Serving wagon | |
CN212307169U (zh) | 一种客车用可折叠办公桌 | |
US12065249B2 (en) | Seat extension apparatus, cabin dividing element and aircraft cabin | |
JP2000052875A (ja) | 自動車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 |
JP2013043500A (ja) | 車両用シート | |
CN110040050A (zh) | 一种应用于汽车座椅上的可调节式小桌板 | |
CN118215604A (zh) | 一体式杯架 | |
CN208615819U (zh) | 新型汽车座椅后背 | |
JP2008074122A (ja) | 車両シート用小物収納構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