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473A -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473A
KR20230048473A KR1020210131279A KR20210131279A KR20230048473A KR 20230048473 A KR20230048473 A KR 20230048473A KR 1020210131279 A KR1020210131279 A KR 1020210131279A KR 20210131279 A KR20210131279 A KR 20210131279A KR 20230048473 A KR20230048473 A KR 20230048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pressure
impla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503B1 (ko
Inventor
김재홍
Original Assignee
김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홍 filed Critical 김재홍
Priority to KR1020210131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503B1/ko
Priority to JP2022124585A priority patent/JP7185367B1/ja
Priority to PCT/KR2022/014862 priority patent/WO2023055218A1/ko
Priority to CN202280067146.0A priority patent/CN118055729A/zh
Publication of KR2023004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473A/ko
Priority to US18/394,375 priority patent/US20240122480A1/en
Priority to KR1020240023188A priority patent/KR2024002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1Prosthesis assessment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31Implanted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6Permanently implanted devices, e.g. pacemakers, other stimulators, bioch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85Monitoring or controlling sensor contact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48Operating or control means, e.g. from outside the body, control of sphinc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61B2560/0219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of externally powered implanted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2Breast evaluation or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1Mean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to implants
    • A61F2250/0002Mean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to implants for data transf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58Additional features; Implant or prostheses propert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250/008Alarm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부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수신한 압력 신호와 저장된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토대로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제어부를 통해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Implant Abnormality}
본 발명은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아름답고 볼륨감 있는 가슴은 대부분의 여성들의 공통된 소망이다. 보형물을 이용한 가슴확대술은 이러한 여성들의 소망을 이루기 위한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보형물을 이용한 가슴성형은 가슴에 보형물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공간에 보형물을 넣어 가슴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보형물은 대부분 응집력이 강한 실리콘인 코헤시브젤로 제조되고 있다. 코헤시브젤은 기존 실리콘 젤의 단점을 보완해 외피(쉘)가 튼튼하고 수술 후 모양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1-3 참조).
보형물을 이용한 가슴확대 및 재건수술 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부작용은 보형물의 파열과 구형구축이다.
파열이 발생하여 실리콘 성분이 체내에 오랫동안 남아있게 되면 유선 조직으로 침투하여 수유가 불가능해지고, 유방암 검진에 장애를 받게 된다. 또한 파열로 인해 실리콘이 겨드랑이의 임파선으로 침투하는 경우도 있는데 침투한 실리콘의 불완전 제거 및 제거 후 림프부종, 전신으로 실리콘 퍼짐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구형구축은 보형물을 에워싸는 새로 형성된 피막이 두꺼워져서 발생하는 현상을 일컫는 것으로 수술 후 초기 2년 내에 주로 발생하며, 가장 흔한 부작용중의 하나이다. 구형구축이 발생하면 모양의 변형과 통증이 발생하여 심한 경우 보형물을 제거하고 피막을 제거하는 재수술을 받는다.
인공보형물 삽입 후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작용 두가지를 진단하기위해서 환자는 병원을 내원하여 의사의 진찰과 더불어 초음파나 MRI와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를 실시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다.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가슴수술 후에는 매년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를 하는 것이 환자에게 권고사항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보형물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해 특허문헌 4에는 임플란트 파열의 외부 센싱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히 보형물에 센서를 부착해서 센서로부터의 이상 신호를 수신하여 보형물의 이상을 판단하게 되면 위양성률(파열이 없는데 있다고 판단)과 위음성률(파열이 있는데 없다고 판단)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예를 들어 가슴 보형물의 경우 이상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도 문제이지만, 이상이 없는데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보형물 삽입 부위를 절개하여 정상적인 보형물을 제거하고 새로운 보형물을 삽입하는 더 큰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52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66979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2010-534551호 US Pat. Pub. No 2009/001237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2 허용치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압력치가 상기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제2 압력치의 차이의 절대값과 상기 제2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제2 압력치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허용치보다 작으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치가 상기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상기 주기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치가 상기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다른 센서 모듈과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이전 압력 신호와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와 상기 제2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전 설정된 제2 허용치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변화량과 상기 제2 변화량의 차이의 절대값과 상기 제2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변화량과 상기 제2 변화량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허용치보다 작으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주기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다른 센서 모듈과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는,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로부터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 신호를 더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원격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기준 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버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원격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버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이전 압력 신호와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와 상기 제2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 신호를 더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로부터 각각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각각 사전 설정된 기준압력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각각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각각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압력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기준압력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요약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설명적 양태, 실시예 및 특징에 덧붙여 추가의 양태, 실시예 및 특징이 도면 및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사용한 보형물 이상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보형물 이상 감지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일례로 센서 패치를 포함하는 가슴 보형물의 개념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내장 패치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는 가슴에 삽입된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B는 가슴에 삽입된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압력 센서 내장 패치의 부착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2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10)로부터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보형물(200)의 이상을 감지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와 원격으로 연결되어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원격 서버(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는 보형물(2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10)로부터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판단신호를 출력하며, 수신한 압력 신호 및 이상여부 판단신호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원격 서버(300)로 송신하여 원격 서버(300)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는,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2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10)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110), 센서 모듈(210)로부터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120), 사전 설정된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0), 센서신호 수신부(120)가 수신한 압력 신호와 저장부(130)에 저장된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토대로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140), 이상여부 판단부(140)가 압력 신호와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150), 이들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 및 제어부(160)를 통해 이들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센서신호 수신부(120)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210)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여부 판단부(140)를 통해,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센서신호 수신부(120)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210)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여부 판단부(140)를 통해,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판단신호 출력부(150)를 통해,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이러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의 보형물(200)의 이상여부 판단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각각의 동작은 프로세서 내에 프로그램 모듈로 구축된 제어부(160)가 각각의 해당하는 기능 모듈 및 하드웨어 구성품을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스텝 S310에서, 사전 설정된 설정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보형물의 센서(센서 모듈)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수신한 압력 신호로부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치(제1 압력치)를 산출한다(스텝 S315). 산출된 제1 압력치는 저장된 기준압력치와 비교된다(스텝 S320).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준압력치는, 시술 후 소정의 안정화 시간이 경과한 후의 실제 압력치를 측정하여 저장부에 저장된다. 기준압력치는,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재차 측정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즉, 기준압력치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의미하며, 수신한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압력치가 이 기준압력치보다 일정량 이상 크거나 작을 때 보형물에 구형구축이나 파열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산출된 제1 압력치와 저장된 기준압력치의 비교 결과,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저장된 제1 허용치보다 크면(스텝 S325 Yes),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330).
수신한 제2 압력 신호로부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치(제2 압력치)를 산출한다(스텝 S335). 산출된 제2 압력치는 저장된 기준압력치와 비교된다(스텝 S340).
산출된 제2 압력치와 저장된 기준압력치의 비교 결과,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저장된 제1 허용치보다 크면(스텝 S345 Yes), 보형물의 이상을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360).
보형물에는 크고 작은 압력이 수시로 가해질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측정을 통해 이상을 판단하면 위양성률 또는 위음성률의 가능성이 상시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 S325에서 산출된 제1 압력치와 저장된 기준압력치의 비교 결과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저장된 제1 허용치보다 큰 경우, 즉 보형물의 센서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비정상적인 압력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지속되는 현상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 산출된 제1 압력치와 저장된 기준압력치의 비교 결과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저장된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재차 수신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압력치가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설정된 주기를 무시하고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압력치가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고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시간은, 보형물의 센서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일시적으로 가해지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으로, 사전 설정된 주기보다 짧거나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의 가능성을 더욱 낮추기 위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된 제2 압력치와 저장된 기준압력치의 비교 결과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저장된 제1 허용치보다 크면(스텝 S345 Yes), 제1 압력치와 제2 압력치를 비교한다(스텝 S350).
제1 압력치와 제2 압력치의 비교 결과 제1 압력치와 제2 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2 허용치보다 작으면(스텝 S355 No), 보형물의 이상을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360).
여기서 제1 압력치와 제2 압력치를 비교하는 것은, 제1 시간 전후의 압력치에 현저하게 차이가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일 가능성이 높고, 제1 시간 전후의 압력치가 제2 허용치 이내로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은 제1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보형물에 이상이 발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는,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의 보형물(200)의 이상여부 판단 과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텝 S410에서, 사전 설정된 설정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보형물의 센서(센서 모듈)로부터 압력 신호(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수신한 제1 압력 신호의 이전 압력 신호와 제1 입력 신호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변화량을 산출한다(스텝 S415). 산출된 제1 변화량은 저장된 제1 허용치와 비교된다(스텝 S420).
산출된 제1 변화량과 저장된 제1 허용치의 비교 결과, 제1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스텝 S425 Yes),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스텝 S430).
수신한 제2 압력 신호와 제1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변화량을 산출한다(스텝 S435). 산출된 제2 변화량은 저장된 제1 허용치와 비교된다(스텝 S440).
산출된 제2 변화량과 저장된 제1 허용치의 비교 결과, 제2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스텝 S445 Yes), 보형물의 이상을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460).
보형물에는 크고 작은 압력이 수시로 가해질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측정을 통해 이상을 판단하면 위양성률 또는 위음성률의 가능성이 상시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텝 S425에서 산출된 제1 변화량과 저장된 제1 허용치의 비교 결과 제1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큰 경우, 즉 보형물의 센서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러한 비정상적인 압력이 일시적인 현상인지 지속되는 현상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일단 산출된 제1 변화량과 저장된 제1 허용치의 비교 결과 제1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재차 수신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설정된 주기를 무시하고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고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시간은, 보형물의 센서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일시적으로 가해지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가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으로, 사전 설정된 주기보다 짧거나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의 가능성을 더욱 낮추기 위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산출된 제2 변화량과 저장된 제1 허용치의 비교 결과 제2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스텝 S445 Yes),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을 비교한다(스텝 S450).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의 비교 결과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의 차의 절대값이 제2 허용치보다 작으면(스텝 S455 No), 보형물의 이상을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460).
여기서 제1 변화량과 제2 변화량을 비교하는 것은, 제1 시간 전후의 압력치에 현저하게 차이가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일 가능성이 높고, 제1 시간 전후의 압력치가 제2 허용치 이내로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은 제1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보형물에 이상이 발행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100)는,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신호 수신부(120)는, 센서 모듈(210)로부터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더 수신하고, 저장부(130)는, 센서신호 수신부(120)가 수신한 생체 신호를 더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60)는, 판단신호 출력부(150)를 통해 압력 신호 및 판단신호를 비롯하여 생체 신호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부(130)에 저장하기도 하고, 원격 서버(300)로 송신하여 원격 서버(300) 내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5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보형물 이상 감지 서버(600)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부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사용자 단말)(500) 및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압력 신호를 토대로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서버(원격 서버)(6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500)은, 센서 모듈(210)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510), 센서 모듈(210)로부터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520), 센서신호 수신부(520)가 수신한 압력 신호를 원격 서버(600)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530),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540), 및 단말 제어부(540)를 통해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5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610), 사전 설정된 기준 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620),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와 저장부(620)에 저장된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토대로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630), 이상여부 판단부(630)가 압력 신호와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640),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650), 및 서버 제어부(650)를 통해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버 전원부(6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650)는, 단말 제어부(540)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210)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여부 판단부(630)를 통해,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제1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단말 제어부(540)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210)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여부 판단부(630)를 통해,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제2 압력치와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판단신호 출력부(640)를 통해,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원격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610), 사전 설정된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620),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와 저장부(620)에 저장된 제1 허용치를 토대로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630), 이상여부 판단부(630)가 압력 신호와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640),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650), 및 서버 제어부(650)를 통해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버 전원부(6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버 제어부(650)는, 단말 제어부(540)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210)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여부 판단부(630)를 통해, 제1 압력 신호의 이전 압력 신호와 제1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변화량과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제1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단말 제어부(540)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센서 모듈(210)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상여부 판단부(630)를 통해, 제1 압력 신호와 제2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변화량과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제2 변화량이 제1 허용치보다 크면, 판단신호 출력부(640)를 통해, 보형물(200)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신호 수신부(520)는, 센서 모듈(210)로부터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더 수신하고, 신호 송신부(530)는, 센서신호 수신부(520)가 수신한 생체 신호를 단독으로 또는 압력 신호 및 판단신호와 함께 외부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500)은, 센서 모듈(210)로부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그대로 원격 서버(600)로 전송하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전송된 압력 신호는 원격 서버(600) 내에 저장되고, 원격 서버(600) 내에서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며,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생체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원격 서버(600) 내에 저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일례로 센서 패치를 포함하는 보형물(200)의 개념도이다.
보형물(200)은,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어, 가슴, 엉덩이 등의 성형에 사용도는 보형물로 인체 내에 삽입되어 일정한 형태를 만들어서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가슴확대술에 사용되는 가슴 보형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센서를 갖춘 보형물용 패치, 이를 포함하는 보형물,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는, 쉘의 내부에 주입된 젤 상태의 충진물이 주입되어 특정 목적으로 체내에 삽입되는 대부분의 보형물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200)은, 물방울 또는 원형 타입의 외피를 형성하는 쉘(201), 쉘(201) 내부에 주입된 젤 상태의 충진재인 실리콘 젤, 및 실리콘 젤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밀봉하는 패치(20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202)는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 내장 패치의 개념도이다.
도 8A 에 도시된 패치는, 젤 상태의 충진재가 주입된 보형물(200)에 부착 또는 배치 시에 보형물(200)의 내측을 향하는 제1 면을 형성하는 제1(내측) 배리어(202-1), 제1 배리어(202-1)에 접하여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보형물(200)의 외측을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2(외측) 배리어(202-2), 및 제1 배리어(202-1)의 표면(제1 면)에 배치된 센서 모듈(210)을 구비한다.
도 8B에 도시된 패치에서는 제1 배리어(202-1)와 제2 배리어(202-2) 사이에 센서 모듈(210)이 배치된다.
도 8A 및 도 8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치(202)의 제1 배리어(202-1)와 제2 배리어(202-2)를 구분해서 도시하고 있으나, 패치(202)는 제1 배리어(202-1)와 제2 배리어(202-2)가 맞닿은 상태의 단일 부재로 제1 배리어(202-1)는 패치(202)의 내측면, 제2 배리어(202-2)는 패치(202)의 외측면이라고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2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모듈(210)은, 두 장의 보호필름(910, 930) 사이에 기판(920)이 삽입된 필름 형태로, 기판(920)에는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923), 압력 센서(923)가 감지한 압력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컨트롤러(922), 및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컨트롤러(922)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무선전력 수신부(921)로 구성된다.
압력 센서(923)는, 소정의 압력이나 힘이 가해지면 이에 비례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소자로, 가해지는 압력 또는 힘에 따라 굴절되는 다이아프램(Diaphragm) 센서, 두개의 도체판 사이에 도전성 몰리머를 삽입하여 도체판을 통해 도전성 폴리머에 힘이 가해지면 도전성 폴리머의 저항이 변화하는 Force Sensing Resistor (FSR),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Piezoelectric Elemen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압력 센서 대신에 보형물 쉘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텐션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장력 변화도 보형물의 파열 또는 구형구축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비례하는 물리량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텐션 센서도 압력 센서의 일종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센서 모듈(210)은 무선전력 수신부(921)가 무선으로 수신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9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210)은, 배터리 없이 외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때만 작동할 수도 있고, 배터리를 구비하여 무선으로 전력을 충전하여 배터리의 전력이 방전될 때까지 상시 작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모듈(210)은,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는 가슴에 삽입된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B는 가슴에 삽입된 보형물(200)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른 압력 센서 내장 패치의 부착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에 보형물(200)을 삽입하면 특정한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인체 외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A), 인체 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B), 및 중력에 의한 압력(C)가 보형물(200)에 가해진다.
통상적으로 보형물의 쉘은 내부에 실리콘 젤이 주입되고 보형물의 바닥(B 부근)에 위치하는 패치에 의해 밀봉되어 일정한 장력과 팽창력을 유지한다. 그러나, 보형물의 일부가 파열되거나 A 측의 피부에 고형구축이 발생하면 A, B, 및 C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변화하게 된다.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코헤시브젤 보형물의 경우 시술 후에 일부가 파열되더라도 특별한 증상이 없는 파열(Silent Rupture)이 대부분이다. 코헤시브젤은 보형물이 파열되더라도 젤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보형물 파열의 진단은 현재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영상을 통한 검사가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그러나, MRI 자체도 어느 정도 위양성률(파열이 없는데 있다고 판단)과 위음성률(파열이 있는데 없다고 판단)을 보이고 있으며 비용 면에서도 부담이 될 수 있다.
반면에 인체는 이물질이 체내에 들어오면 주변에 피막을 형성하는데, 이러한 피막이 과하게 형성되어 딱딱하게 굳는 것이 구형구축이다.
가슴에 보형물이 삽입되면 혈액 중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TGF-β)라는 물질을 분비한다. TGF-β는 염증 증상이 발생하는 보형물 주위에 단핵구(Monocyte)를 불러모으는 역할을 한다. 단핵구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염증 부위에서 대식세포(Macrophage)로 분화하여 다시 TGF-β를 분비한다. 이것은 결국 염증 부위의 섬유화(Fibroblast)를 일으키며 이로 인해 합성된 콜라겐이 구형구축을 발생시킨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에 보형물을 삽입하면 특정한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인체 외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A), 인체 내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B), 및 중력에 의한 압력(C)가 보형물(200)에 가해진다. 따라서, A, B, 및 C 부의의 적어도 한 군데 이상에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패치를 배치하면 보형물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에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보형물의 이상을 통지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위치에는 센서 모듈(210-1)이 배치된 패치를 부탁하고, B 위치에는 센서 모듈(210-2)이 배치된 패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C 위치에는 센서 모듈(210-3))이 배치된 패치를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보형물의 복수의 위치(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한 A, B, C)에 관련지어 각각의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복수의 위치에 배치된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압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해당하는 위치에 관련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압력치와의 차가 소정의 값을 초과하면 보형물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하나의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기 위한 제1 허용치를, 복수의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압력 신호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하기 위한 제1 허용치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이상의 정도가 큰 경우에는 한곳에 이상이 감지되기만 해도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출력하고, 이상의 정도가 작고 한곳의 이상이 있으면 허용되는 범위인 경우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출력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이상의 발생을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복수의 위치마다 다른 제1 허용치를 설정해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은, 예를 들어 보형물의 하부(도 10A의 위치 C)의 제1 허용치를 다른 위치의 제1 허용치보다 작거나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위치에 따른 압력 변화의 경향을 고려해서 해당 위치에 적합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형물의 파열이나 피부의 구형구축으로 인해 압력에 변화가 생겼을 때 압력의 변화량에 따라 보형물의 파열 또는 피부의 구형구축을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적기에 보형물의 제거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슴확대술을 받은 여성들은 시술 후에 얼마나 오랫동안 안전하고 아름답게 가슴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불안을 느끼지 않고, 정기적으로 초음파 검사나 MRI 검사를 해야 하는 불편함도 해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 후에 보형물의 이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위양성률과 위음성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을 통해 환자는 수술 직후부터 또는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보형물의 이상 상태를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며, 막연한 두려움을 갖고 병원에 내원하지 않아도 되기에,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병원에 내원할 필요성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인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110: 무선전력 송신부
120: 센서신호 수신부 130: 저장부
140: 이상여부 판단부 150: 판단신호 출력부
160: 제어부 170: 전원부
200: 보형물 201: 쉘
202: 패치 200: 보형물
210: 센서 모듈 202-1: 제1 배리어
202-2: 제2 배리어 300: 서버
510: 무선전력 송신부 520: 센서신호 수신부
530: 신호 송신부 540: 단말 제어부
550: 단말 전원부 610: 신호 수신부
620: 저장부 630: 이상여부 판단부
640: 판단신호 출력부 650: 서버 제어부
660: 서버 전원부 910, 930: 보호 필름
920: 기판 921: 무선전력 수신부
922: 컨트롤러 923: 센서
924: 배터리

Claims (15)

  1.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기준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제2 허용치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압력치가 상기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제2 압력치의 차이의 절대값과 상기 제2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제2 압력치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허용치보다 작으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치가 상기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상기 주기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압력치가 상기 기준압력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다른 센서 모듈과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6.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이전 압력 신호와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와 상기 제2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전 설정된 제2 허용치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변화량과 상기 제2 변화량의 차이의 절대값과 상기 제2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변화량과 상기 제2 변화량의 차이의 절대값이 상기 제2 허용치보다 작으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주기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무시하고 상기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은 복수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 중 어느 하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제1 허용치를 다른 센서 모듈과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11. 제1항에서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는, 상기 센서 모듈 또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로부터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 신호를 더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12.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원격 서버
    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기준 압력치 및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기준압력치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버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2 압력 신호가 나타내는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압력치와 상기 기준압력치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13.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원격 서버
    를 구비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를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 및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및 상기 신호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 수신부,
    사전 설정된 제1 허용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 및 상기 제1 허용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 제어부, 및
    상기 서버 제어부를 통해 상기 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서버 전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임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1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이전 압력 신호와 상기 제1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1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단말 제어부를 통해, 사전 설정된 제1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제2 압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를 통해, 상기 제1 압력 신호와 상기 제2 압력 신호의 차이를 나타내는 제2 변화량과 상기 제1 허용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2 변화량이 상기 제1 허용치보다 크면,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통해,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상기 판단신호를 출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는, 상기 센서 모듈로부터 심박, 맥박, 체온, 혈압, 호흡수, 혈당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생체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원격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생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생체 신호를 더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15. 인체에 삽입되는 보형물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 모듈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로부터 각각 상기 보형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각각 사전 설정된 기준압력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각각 수신한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각각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기준압력치를 토대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이상여부 판단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가 상기 압력 신호와 상기 기준압력치를 토대로 판단한 상기 보형물의 이상여부를 나타내는 판단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판단신호 출력부;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센서신호 수신부, 상기 저장부, 상기 이상여부 판단부, 및 상기 판단신호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에 대해 상기 기준압력치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여 저장하는,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KR1020210131279A 2021-10-03 2021-10-03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KR10263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79A KR102639503B1 (ko) 2021-10-03 2021-10-03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JP2022124585A JP7185367B1 (ja) 2021-10-03 2022-08-04 インプラントバッグの異常感知装置及びインプラントバッグの異常感知システム
PCT/KR2022/014862 WO2023055218A1 (ko) 2021-10-03 2022-09-30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CN202280067146.0A CN118055729A (zh) 2021-10-03 2022-09-30 植入物异常检测装置及植入物异常检测系统
US18/394,375 US20240122480A1 (en) 2021-10-03 2023-12-22 System and apparatus for sensing abnormality of breast implant
KR1020240023188A KR20240025581A (ko) 2021-10-03 2024-02-19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79A KR102639503B1 (ko) 2021-10-03 2021-10-03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3188A Division KR20240025581A (ko) 2021-10-03 2024-02-19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473A true KR20230048473A (ko) 2023-04-11
KR102639503B1 KR102639503B1 (ko) 2024-02-22

Family

ID=843577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279A KR102639503B1 (ko) 2021-10-03 2021-10-03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KR1020240023188A KR20240025581A (ko) 2021-10-03 2024-02-19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3188A KR20240025581A (ko) 2021-10-03 2024-02-19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22480A1 (ko)
JP (1) JP7185367B1 (ko)
KR (2) KR102639503B1 (ko)
CN (1) CN118055729A (ko)
WO (1) WO2023055218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122A (ja) * 2004-04-01 2005-10-20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
US20090012372A1 (en) * 2006-06-12 2009-01-08 Novalert, Inc. External sensing for implant rupture
JP2010534551A (ja) 2007-07-27 2010-11-11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全バリアエラストマーゲル充填型乳房プロテーゼ
CN102145689A (zh) * 2011-02-14 2011-08-10 中国铁道科学研究院机车车辆研究所 一种用于检测列车自动空气制动系统故障的方法及装置
KR101235284B1 (ko) 2011-06-23 2013-02-21 유원석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81825A1 (en) * 2014-06-25 2017-06-29 Canary 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d monitoring implants
KR101966979B1 (ko) 2018-04-25 2019-08-27 김한조 인체 주입 필러를 이용한 가슴보형물의 제조방법
KR20200144559A (ko) * 2018-04-04 2020-12-29 지씨 에스테틱스 (매뉴팩처링) 리미티드 임플란트
KR102260203B1 (ko) * 2019-09-06 2021-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보형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93732A4 (en) * 2016-08-03 2020-04-29 Geissler Companies, LLC PASSIVE SENSORS AND ASSOCIATED STRUCTURES FOR IMPLANTABLE BIOMEDICAL DEVICES
US10631975B2 (en) * 2016-09-23 2020-04-2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Detection of leakage in implants
JP6952209B1 (ja) * 2021-02-21 2021-10-20 キム ジェホンKim, Jae Hong 豊胸用インプラントバッグ及び豊胸用インプラントバッグの異常感知装置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1122A (ja) * 2004-04-01 2005-10-20 Toyota Motor Corp 自動車用蒸発燃料処理装置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故障診断装置
US20090012372A1 (en) * 2006-06-12 2009-01-08 Novalert, Inc. External sensing for implant rupture
JP2010534551A (ja) 2007-07-27 2010-11-11 アラーガ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全バリアエラストマーゲル充填型乳房プロテーゼ
CN102145689A (zh) * 2011-02-14 2011-08-10 中国铁道科学研究院机车车辆研究所 一种用于检测列车自动空气制动系统故障的方法及装置
KR101235284B1 (ko) 2011-06-23 2013-02-21 유원석 응력집중을 최소화한 실리콘 인공유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81825A1 (en) * 2014-06-25 2017-06-29 Canary Medical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nd monitoring implants
KR20200144559A (ko) * 2018-04-04 2020-12-29 지씨 에스테틱스 (매뉴팩처링) 리미티드 임플란트
KR101966979B1 (ko) 2018-04-25 2019-08-27 김한조 인체 주입 필러를 이용한 가슴보형물의 제조방법
KR102260203B1 (ko) * 2019-09-06 2021-06-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보형 디바이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S Pat. Pub. No 2009/001237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22480A1 (en) 2024-04-18
KR20240025581A (ko) 2024-02-27
KR102639503B1 (ko) 2024-02-22
JP2023053896A (ja) 2023-04-13
CN118055729A (zh) 2024-05-17
JP7185367B1 (ja) 2022-12-07
WO2023055218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101B1 (ko) 압력 센서를 갖춘 보형물용 패치, 이를 포함하는 보형물,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EP1949875B1 (en) External mechanical pressure sensor for gastric band pressure measurements
EP2590554B1 (en) Compartment syndrome monitoring system
CN101536942B (zh) 用于测量胃限制系统中的阻抗的方法和装置
US20090012372A1 (en) External sensing for implant rupture
WO2008103625A2 (en) Acs therapy system
BRPI0901463A2 (pt) métodos e dispositivos de manuseio de dados de dispositivo de restrição gástrica
MX2014003505A (es) Deteccion dinamica de fluido quirurgico.
CA2927869C (en) In-vivo pressure monitoring system
KR102639503B1 (ko) 보형물 이상 감지 장치 및 보형물 이상 감지 시스템
US9993168B2 (en) Implantable pressure monitor
US20160324459A1 (en) Remote microelectromechanical labor detection system
US20100114144A1 (en) Intra-gastric satiety creation device with data handling devices and methods
US20100114146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edicting intra-gastric satiety and satiation creation device system performance
KR20170013314A (ko) 혈류의 비침습적 측정을 위한 디바이스
KR2020010470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방광용적 모니터링 시스템과 방법
US20220265215A1 (en) Breast implant and apparatus for sensing abnormality of the same
CN117255643A (zh) 乳房植入体和用于感测乳房植入体的异常的装置
TR201920906A2 (tr) Vücut ( karin ) i̇ç basincinin ölçümü , taki̇bi̇ ve kayidi ci̇hazi
CN114082013A (zh) 一种可视引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