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8216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8216A
KR20230048216A KR1020210131184A KR20210131184A KR20230048216A KR 20230048216 A KR20230048216 A KR 20230048216A KR 1020210131184 A KR1020210131184 A KR 1020210131184A KR 20210131184 A KR20210131184 A KR 20210131184A KR 20230048216 A KR20230048216 A KR 20230048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ensation amount
color coordinate
display device
target pixel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1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8216A/ko
Priority to US17/833,080 priority patent/US11887524B2/en
Priority to CN202211215401.XA priority patent/CN115938259A/zh
Publication of KR20230048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2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0Intensity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9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monitoring data relating to the user, e.g. head-tracking, eye-trac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6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colour parameters, e.g.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93Calibration of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보상량을 상기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상량은 상기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1 보상량은 상기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산출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매체인 표시 장치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표시 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화소들은 사용량이 클수록 열화량이 크고, 열화량이 클수록 동일한 입력 계조에 대해서 낮은 휘도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입력 계조를 적절히 보상하여 출력 계조로 산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동일한 화소가 동일한 출력 계조에 대해서 발광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휘도 및 색상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따라서 입력 계조에 대한 열화 보상 정도를 달리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을 수신하는 단계;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보상량을 상기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상량은 상기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1 보상량은 상기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산출된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하고, 상기 시선 각도는 상기 대상 화소의 표시면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 사이의 각도이고, 상기 제1 기준 범위 바깥은 상기 시선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출력 계조들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센싱하는 시선 각도 센서; 및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하고, 상기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상량을 상기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하는 열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상량을 산출하고, 상기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1 보상량을 산출한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하고, 상기 시선 각도는 상기 대상 화소의 표시면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 사이의 각도이고, 상기 제1 기준 범위 바깥은 상기 시선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하고,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따라서 입력 계조에 대한 열화 보상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소의 예시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가 달라지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열화 보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화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참조 부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설명에서 "동일하다"라고 표현한 것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의미일 수 있다.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동일하다고 납득할 수 있을 정도의 동일함일 수 있다. 그 외의 표현들도 "실질적으로"가 생략된 표현들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타이밍 제어부(11), 데이터 구동부(12), 주사 구동부(13), 발광 구동부(14), 화소부(15), 프로세서(16), 열화 보상부(17), 및 시선 각도 센서(1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6)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등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는 시선 각도 센서(18)의 제어를 위한 추가적인 회로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시선 각도 센서(18)는 화소부(15)의 복수의 화소들 중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하나의 대상 화소에 대한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대상 화소들에 대해서도 반복적으로 또는 일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시선 각도 센서(18)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화소부(15)의 기울기를 측정하거나, 폴딩축(FAX)에 대한 폴딩 각도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의 상대적인 기울기를 측정하거나, 홍채 인식 센서를 이용해서 사용자의 홍채 위치를 추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홍채 위치 및 화소부(15)의 기울기를 알 수 있다면,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시선 각도 센서(18)는 이러한 센서들 중 하나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센서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타이밍 제어부(11)는 프로세서(16)로부터 각각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입력 계조들 및 제어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는 프로세서(16)로부터 대상 화소에 대한 시선 각도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는 대상 화소에 대한 시선 각도 및 입력 계조를 열화 보상부(17)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11)는 대상 화소의 열화량 생성에 필요한 추가 데이터들(온도, 전류량 등)을 열화 보상부(17)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열화 보상부(17)는 대상 화소의 열화량에 기초하여 대상 화소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열화 보상부(17)는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수신하고,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보상량은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제1 보상량은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산출될 수 있다. 열화 보상부(17)는 선택된 보상량을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 보상부(17)는 선택된 보상량을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더함으로써,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는 열화 보상부(17)로부터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수신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는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 또는 대상 화소들에 대한 출력 계조들을 데이터 구동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11)는 영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표시를 위하여 데이터 구동부(12), 주사 구동부(13), 발광 구동부(14) 등에 각각의 사양(specification)에 적합한 제어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2)는 출력 계조들 및 제어 신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 라인들(DL1, DL2, DL3, DLj, DLn)로 제공할 데이터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동부(12)는 클록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계조들을 샘플링하고, 출력 계조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들을 화소행(예를 들어, 동일한 주사 라인 및 발광 라인에 연결된 화소들) 단위로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인가할 수 있다. j 및 n은 0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주사 구동부(13)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클록 신호, 주사 시작 신호 등을 수신하여 주사 라인들(SL0, SL1, SL2, SL(i-1), SLi, SL(k-1), SLk, SLm)에 제공할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i, k, m은 0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k는 i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m은 k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주사 구동부(13)는 주사 라인들(SL0~SLm)에 턴-온 레벨의 펄스를 갖는 주사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3)는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형태로 구성된 주사 스테이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주사 구동부(13)는 클록 신호의 제어에 따라 턴-온 레벨의 펄스 형태인 주사 시작 신호(scan start signal)를 다음 주사 스테이지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주사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구동부(emission driver, 14)는 타이밍 제어부(11)로부터 클록 신호, 발광 중지 신호(emission stop signal) 등을 수신하여 발광 라인들(emission lines, EL1, EL2, EL3, ELi, ELk, ELo)에 제공할 발광 신호들(emission signals)을 생성할 수 있다. o는 0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o는 k보다 큰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부(14)는 발광 라인들(EL1~ELo)에 순차적으로 턴-오프 레벨의 펄스를 갖는 발광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구동부(14)의 각 발광 스테이지(emission stage)는 쉬프트 레지스터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클록 신호의 제어에 따라 턴-오프 레벨의 펄스 형태인 발광 중지 신호를 다음 발광 스테이지로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발광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들(PX1, PX2)의 회로 구성에 따라, 발광 구동부(14)는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부(15)는 제1 영역(AR1) 및 제2 영역(A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R1)은 데이터 라인(DLj) 및 제1 주사 라인들(SL0~SLi)에 연결된 제1 화소들(PX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역(AR2)은 제1 영역(AR1)과 폴딩 축(FAX)에서 접하며, 데이터 라인(Dj) 및 제2 주사 라인들(SL(k-1), SLk)에 연결된 제2 화소들(PX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폴딩 축(FAX)은 주사 라인들(SL0~SLm)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축(FAX)은 데이터 라인들(DL1~DLn)의 연장 방향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 폴딩 축(FAX)은 주사 라인들(SL0~SLm) 및 데이터 라인들(DL1~DLn) 모두와 평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예를 들어, 대각선 방향).
각각의 화소들(PX1, PX2)은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 주사 라인, 및 발광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구동부(14)가 생략된 경우, 화소들(PX1, PX2)은 발광 라인들(EL1~ELo)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폴딩 축(FAX)은 물리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힌지(hinge) 등의 기계적인 구성을 더 포함하여, 표시 장치(1)가 폴딩 축(FAX)을 기준으로만 폴딩 또는 언폴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폴딩 축(FAX)은 고정(fixed)될 수 있다. 이때, 영역들(AR1, AR2)은 고정된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을 커버하는 마운트(mount) 또한 플렉서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폴딩 축(FAX)은 가변할 수 있다. 이때, 영역들(AR1, AR2)은 가변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표시 장치(1)는 폴딩 축(FAX)을 검출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 휨 센서, 저항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위치 비교를 위해서,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는 동일한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하지만, 제1 화소(PX1) 및 제2 화소(PX2)는 서로 다른 데이터 라인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화소(PX1)는 트랜지스터들(T1, T2, T3, T4, T5, T6, T7),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발광 소자(LD)를 포함한다. 제2 화소(PX2)의 구성은 제1 화소(PX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P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회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당업자라면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을 달리하여, N형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회로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당업자라면 P형 트랜지스터 및 N형 트랜지스터의 조합으로 구성된 회로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P형 트랜지스터란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간의 전압 차가 음의 방향으로 증가할 때 전류량이 증가하는 트랜지스터를 통칭한다. N형 트랜지스터란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간의 전압 차가 양의 방향으로 증가할 때 전류량이 증가하는 트랜지스터를 통칭한다. 트랜지스터는 TFT(thin film transistor), FET(field effect transistor),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게이트 전극이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제2 노드(N2)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를 구동 트랜지스터로 명명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게이트 전극이 주사 라인(SLi1)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데이터 라인(DLj)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2)를 스캔 트랜지스터로 명명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는 게이트 전극이 주사 라인(SLi2)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제3 노드(N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트랜지스터(T3)를 다이오드 연결 트랜지스터로 명명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게이트 전극이 주사 라인(SLi3)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제1 노드(N1)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초기화 라인(INTL)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4)는 게이트 초기화 트랜지스터로 명명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게이트 전극이 i 번째 발광 라인(ELi)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제1 전원 라인(ELVDDL)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제2 노드(N2)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발광 트랜지스터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은 다른 발광 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게이트 전극이 i 번째 발광 라인(ELi)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제3 노드(N3)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발광 소자(LD)의 애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발광 트랜지스터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6 트랜지스터(T6)의 게이트 전극은 제5 트랜지스터(T5)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된 발광 라인과 다른 발광 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게이트 전극이 주사 라인(SLi4)에 연결되고, 제1 전극이 초기화 라인(INTL)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이 발광 소자(LD)의 애노드에 연결될 수 있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발광 소자 초기화 트랜지스터로 명명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1 전극은 제1 전원 라인(ELVDDL)에 연결되고, 제2 전극은 제1 노드(N1)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애노드가 제6 트랜지스터(T6)의 제2 전극에 연결되고, 캐소드가 제2 전원 라인(ELVSSL)에 연결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무기 발광 소자(in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퀀텀 닷/웰 발광 소자(quantum dot/well light emitting dio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LD)는 제1 색상, 제2 색상, 및 제3 색상 중 어느 하나의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화소에 발광 소자(LD)가 하나만 구비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각 화소에 복수의 발광 소자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 소자들은 직렬, 병렬, 직병렬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 라인(ELVDDL)에는 제1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제2 전원 라인(ELVSSL)에는 제2 전원 전압이 인가되고, 초기화 라인(INTL)에는 초기화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전압은 제2 전원 전압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화 전압은 제2 전원 전압과 동일하거나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화 전압은 제공 가능한 데이터 전압들 중 가장 작은 크기의 데이터 전압과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초기화 전압의 크기는 제공 가능한 데이터 전압들의 크기들보다 작을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화소의 예시적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주사 라인들(SLi1, SLi2, SLi4)이 i 번째 주사 라인(SLi)이고, 주사 라인(SLi3)이 i-1 번째 주사 라인(SL(i-1))인 경우를 가정한다. 다만, 주사 라인들(SLi1, SLi2, SLi3, SLi4)은 실시예들에 따라 연결 관계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 라인(SLi4)은 i-1 번째 주사 라인이거나, i+1 번째 주사 라인일 수도 있다.
먼저, 데이터 라인(DLj)에는 i-1 번째 화소에 대한 데이터 전압(DATA(i-1)j)이 인가되고, 주사 라인(SLi3)에는 턴-온 레벨(로직 로우 레벨, logic low level)의 주사 신호가 인가된다.
이때, 주사 라인들(SLi1, SLi2)에는 턴-오프 레벨(로직 하이 레벨, logic high level)의 주사 신호가 인가되므로, 제2 트랜지스터(T2)는 턴-오프 상태이고, i-1 번째 화소에 대한 데이터 전압(DATA(i-1)j)이 화소(PXij)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제4 트랜지스터(T4)는 턴-온 상태가 되므로, 제1 노드(N1)가 초기화 라인(INTL)과 연결되어, 제1 노드(N1)의 전압이 초기화된다. 발광 라인(ELi)에는 턴-오프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들(T5, T6)은 턴-오프 상태이고, 초기화 전압 인가 과정에 따른 불필요한 발광 소자(LD)의 발광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데이터 라인(DLj)에는 i 번째 화소(PXij)에 대한 데이터 전압(DATAij)이 인가되고, 주사 라인들(SLi1, SLi2)에는 턴-온 레벨의 주사 신호가 인가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들(T2, T1, T3)이 도통 상태가 되며, 데이터 라인(DLj)과 제1 노드(N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데이터 전압(DATAij)에서 제1 트랜지스터(T1)의 문턱 전압을 감한 보상 전압이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2 전극(즉, 제1 노드(N1))에 인가되고,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전원 전압과 보상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유지한다. 이러한 기간을 문턱 전압 보상 기간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또한, 주사 라인(SLi4)이 i 번째 주사 라인인 경우, 제7 트랜지스터(T7)는 턴-온 상태이므로, 발광 소자(LD)의 애노드와 초기화 라인(INTL)이 연결되고, 발광 소자(LD)는 초기화 전압과 제2 전원 전압의 전압 차이에 해당하는 전하량으로 초기화된다.
이후, 발광 라인(ELi)에 턴-온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트랜지스터들(T5, T6)이 도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원 라인(ELVDDL), 제5 트랜지스터(T5), 제1 트랜지스터(T1), 제6 트랜지스터(T6), 발광 소자(LD), 및 제2 전원 라인(ELVSSL)을 연결하는 구동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유지된 전압에 따라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에 흐르는 구동 전류량이 조절된다. 발광 소자(LD)는 구동 전류량에 대응하는 휘도로 발광한다. 발광 소자(LD)는 발광 라인(ELi)에 턴-오프 레벨의 발광 신호가 인가되기 전까지 발광한다.
도 4 및 도 5는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가 달라지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화소부(15)가 폴딩되지 않고, 편평한 상태이다. 이때, 대상 화소(pt)에 대한 사용자(2)의 시선 각도는 제1 각도(ag1)를 가질 수 있다. 시선 각도는 대상 화소(pt)의 표시면과 사용자(2)의 시선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ag1)는 표시 장치(1)의 시야각(viewing angle, vag)을 만족시키는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의 동공과 대상 화소(pt)를 잇는 가상의 선은 시야각(vag)의 범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시야각(vag)은 화면 정면에서의 광학 특성에 비하여 휘도, 색도, 감마 등이 특정 기준을 만족하는 수평 방향(또는, 수직 방향)의 최대 각도를 의미한다. 시야각(vag)은 표시 장치(1)의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ag1)는 90도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은 정면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화소부(15)가 소정의 폴딩 각도로 폴딩된 상태이다. 이때, 대상 화소(pt)에 대한 사용자(2)의 시선 각도는 제2 각도(ag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ag2)는 표시 장치(1)의 시야각(vag)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각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2)의 동공과 대상 화소(pt)를 잇는 가상의 선은 시야각(vag)의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각도(ag2)는 90도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은 측면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및 도 5의 경우에서, 대상 화소(pt)가 동일한 출력 계조에 대해서 발광하더라도, 사용자(2)는 시선 각도(제1 각도(ag1) 또는 제2 각도(ag2))에 따라서 상이한 휘도 및 색상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선 각도에 따른 적절한 열화량 보상이 필요하다.
여기서, 시선 각도는 대상 화소(pt)의 표시면과 사용자(2)의 시선 사이의 각도 중 큰 것을 가리키도록 정의되었지만, 대상 화소(pt)의 표시면과 사용자(2)의 시선 사이의 각도 중 작은 것을 가리키도록 정의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시선 각도는 수평 방향(예를 들어, 제1 영역(AR1)으로부터 제2 영역(AR2)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예를 들고 있다. 하지만, 수직 방향(예를 들어, 폴딩 축(FAX)의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도 동일한 이슈(상이한 휘도 및 색상을 인지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열화 보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열화 보상부(17r)는 열화량 누적부(171) 및 제1 보상량 산출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량 누적부(171)는 화소부(15)의 화소들에 대한 열화량을 저장 및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량 누적부(171)는 높은 계조일수록, 높은 온도일수록, 긴 시간 동안 사용될수록 해당 화소에 대한 열화량이 크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보상량 산출부(172)는, 열화량 누적부(171)로부터 대상 화소의 열화량을 수신하고, 열화량에 대응하는 제1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상량 산출부(172)는 대상 화소의 열화량이 클수록 제1 보상량을 크게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될 제1 보상량은 표시 장치(1)의 제품 출하 전에 광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제1 보상량은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도 4의 경우)임을 전제한 보상량일 수 있다. 한편, 제1 보상량은 표시 장치(1)의 시야각(vag) 내에서 사용자(2)가 영상을 시청함을 전제한 보상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상량은 대상 화소(pt)에 대한 사용자(2)의 시선 각도가 제1 각도(ag1)임을 전제한 보상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상량은 양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량이 상대적으로 큰 화소의 입력 계조가 100이라면, 20인 제1 보상량을 더 해서, 출력 계조는 120이 될 수 있다. 열화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화소의 입력 계조가 100이라면, 18인 제1 보상량을 더 해서, 출력 계조는 118이 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2 보상량은 음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화량이 상대적으로 큰 화소의 입력 계조가 100이라면, 0인 제1 보상량을 더 해서, 출력 계조는 100이 될 수 있다. 열화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화소의 입력 계조가 100이라면, (-)2인 제1 보상량을 더 해서, 출력 계조는 98이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CIE 1931 색도도(chromaticity diagram) 중 일부가 x, y 좌표계를 기준으로 도시된다. 참조를 위해서, delta uv 값(-0.02, -0.01, 0, +0.01, +0.02)을 기준으로 한 복수의 흑체궤적들(blackbody locus) 및 복수의 흑체궤적들을 가로지르는 색도 온도들(color temperature: 8500K, 7500K, 6500K)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다만, CIE 1931은 예시적인 하나의 색공간이며, 본원 실시예들은 기존에 정의된 다른 색공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가 보상되지 않고(즉, 출력 계조와 입력 계조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도 4의 경우), 사용자(2)는 대상 화소(pt)로부터 색좌표(ptc)에 해당하는 색상을 시인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제1 보상량이 적용되고(즉, 출력 계조와 입력 계조가 다른 경우),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정면 방향인 경우(도 4의 경우), 사용자(2)는 대상 화소(pt)로부터 색좌표(ptc1)에 해당하는 색상을 시인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는 열화 보상된 색상인 색좌표(ptc1)가 열화 보상되지 않은 색좌표(ptc)보다 더 정상적이라고 느낄 수 있다.
한편,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가 보상되지 않고(즉, 출력 계조와 입력 계조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측면 방향인 경우(도 5의 경우), 사용자(2)는 대상 화소(pt)로부터 색좌표(ptac)에 해당하는 색상을 시인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제1 보상량이 적용되고(즉, 출력 계조와 입력 계조가 다른 경우),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측면 방향인 경우(도 5의 경우), 사용자(2)는 대상 화소(pt)로부터 제1 색좌표(ptac1)에 해당하는 색상을 시인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1 색좌표(ptac1) 및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1)은 색좌표(ptac) 및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2)과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색좌표들(ptac, ptac1)의 색상들을 모두 비정상적이라고 느낄 수 있으며, 색좌표들(ptac, ptac1)의 색상들 간의 우열을 가리기 힘들 수 있다. 즉, 도 5의 상황에서, 제1 보상량을 단순 적용하는 것은 영상의 화질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화 보상부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화 보상부(17)는 열화량 누적부(171), 제1 보상량 산출부(172), 및 제2 보상량 산출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량 누적부(171) 및 제1 보상량 산출부(172)에 대해서, 도 6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열화량 누적부(171), 제1 보상량 산출부(172), 및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열화 보상부(17)는 일부 또는 전체가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열화 보상부(17)는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타이밍 제어부(11)와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대상 화소(pt)의 열화량 및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대상 화소(pt)에 대한 제2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제1 보상량 산출부(172)로부터 대상 화소(pt)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수신하고, 제1 보상량을 시선 각도에 따라 보정하여 제2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열화량 누적부(171)로부터 대상 화소(pt)에 대한 열화량을 수신하고, 열화량 및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제2 보상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산출될 제2 보상량은 표시 장치(1)의 제품 출하 전에 광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제2 보상량은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측면 방향인 경우(도 5의 경우)임을 전제한 보상량일 수 있다. 한편, 제2 보상량은 표시 장치(1)의 시야각(vag) 바깥에서 사용자(2)가 영상을 시청함을 전제한 보상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상량은 대상 화소(pt)에 대한 사용자(2)의 시선 각도가 제2 각도(ag2)임을 전제한 보상량일 수 있다.
열화 보상부(17)는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17)는 선택된 보상량을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대상 화소(pt)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 보상부(17)는 선택된 보상량을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더함으로써, 대상 화소(pt)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의 단위는 계조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서, 계조는 표시 장치(1)의 감마 값 보정을 받은 상태(휘도 특성을 반영한 상태)일 수도 있고, 보정 받지 않은 상태(휘도 특성을 미반영한 상태)일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구동 방법이 설명된다.
열화 보상부(17)는 타이밍 제어부(11)(또는, 시선 각도 센서(18))로부터 대상 화소(pt)에 대한 시선 각도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보상량 산출부(172)는 열화량 누적부(171)로부터 대상 화소(pt)에 대한 열화량을 수신할 수 있다(101s).
제1 보상량 산출부(172)는 대상 화소(pt)에 대한 열화량에 기초하여, 대상 화소(pt)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다(102s).
열화 보상부(17)는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17)는 선택된 보상량을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대상 화소(pt)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보상량은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제1 보상량은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화 보상부(17)는 대상 화소(pt)에 대한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내인지 판단할 수 있다(103s). 제1 기준 범위는 표시 장치(1)의 시야각(vag)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사용자(2)의 시선 각도의 범위일 수 있다. 제1 기준 범위는 시선 각도가 제2 각도(ag2)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반대로, 제1 기준 범위 바깥은 표시 장치(1)의 시야각(vag)을 만족시키는 사용자(2)의 시선 각도의 범위로서, 시선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 범위 바깥은 시선 각도가 제1 각도(ag1)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만약, 대상 화소(pt)에 대한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열화 보상부(17)는 제1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열화 보상부(17)는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제1 보상량을 적용하여(예를 들어, 더하여)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106s). 이러한 경우,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제2 보상량을 산출할 필요가 없다.
만약, 대상 화소(pt)에 대한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열화 보상부(17)는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대상 화소(pt)에 대한 제2 보상량을 산출할 수 있다(104s). 열화 보상부(17)는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제2 보상량을 적용하여(예를 들어, 더하여) 출력 계조를 산출할 수 있다(105s).
도 10을 참조하면, 도 7과 비교했을 때,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ptac2)가 더 도시된다. 대상 화소(pt)의 입력 계조에 제2 보상량이 적용되고(즉, 출력 계조와 입력 계조가 다른 경우), 사용자(2)의 시선 방향이 측면 방향인 경우(도 5의 경우), 사용자(2)는 대상 화소(pt)로부터 제2 색좌표(ptac2)에 해당하는 색상을 시인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2 색좌표(ptac2) 및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3)은 간격들(dist1, dist2)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2)는 보다 정상적인 색상을 시인하게 되므로, 도 5의 상황에서 제2 보상량을 적용하는 것은 영상의 화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의 구동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9의 구동 방법과 중복되는 단계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대상 화소(pt)에 대한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열화 보상부(17)는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ptac1) 및 기준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4)이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ptac) 및 기준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5)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107s). 기준 색좌표(ptc1)는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색좌표(ptc1)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 색좌표는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색좌표(ptc)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만약,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ptac1) 및 기준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4)이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ptac) 및 기준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5)보다 작은 경우, 열화 보상부(17)는 제1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107s, 106s). 즉, 이러한 경우(도 12 참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ptac1)만으로도 열화 보상이 충분하므로, 제2 보상량을 산출 및 적용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제1 색좌표(ptac1) 및 기준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4)이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ptac) 및 기준 색좌표(ptc1) 간의 간격(dist5)보다 큰 경우, 열화 보상부(17)는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107s, 104s). 즉, 이러한 경우, 제1 보상량만으로는 열화 보상이 충분하지 않아, 제2 보상량을 산출 및 적용할 필요가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5의 구동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9 및 도 11의 구동 방법들과 중복되는 단계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의 구동 방법은 도 9의 구동 방법을 기준으로 단계(108s)를 더 포함한다. 도 14의 구동 방법은 도 11의 구동 방법을 기준으로 단계(108s)를 더 포함한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2 보상량을 산출하는 경우(104s), 열화 보상부(17)는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ptac1) 및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ptac2) 간의 간격(dist6)이 제2 기준 범위 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8s).
만약,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ptac1) 및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ptac2) 간의 간격(dist6)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dist6)은 x, y 좌표계의 delta xy일 수도 있고, u, v 좌표계의 delta uv일 수도 있다. 간격(dist6)이 제2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열화 보상된 색상이 오히려 부자연스럽게 사용자(2)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기준 범위는 표시 장치(1)의 사양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2 보상량 산출부(173)는 간격(dist6)이 좁아지도록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즉, 제1 색좌표(ptac1) 및 재산출된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ptac2) 간의 간격(dist6)은 이전 간격(dist6)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제1 색좌표(ptac1) 및 제2 색좌표(ptac2)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열화 보상부(17)는 최종적으로 산출된 제2 보상량을 선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7: 열화 보상부
18: 시선 각도 센서
171: 열화량 누적부
172: 제1 보상량 산출부
173: 제2 보상량 산출부

Claims (20)

  1.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을 수신하는 단계;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보상량을 상기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상량은 상기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1 보상량은 상기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산출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하고,
    상기 시선 각도는 상기 대상 화소의 표시면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 사이의 각도이고,
    상기 제1 기준 범위 바깥은 상기 시선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은,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2. 출력 계조들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중 대상 화소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 각도를 센싱하는 시선 각도 센서; 및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열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제1 보상량을 산출하고, 상기 시선 각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보상량 및 제2 보상량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보상량을 상기 대상 화소의 입력 계조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대상 화소에 대한 출력 계조를 산출하는 열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보상량을 산출하고, 상기 시선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제1 보상량을 산출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제1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하고,
    상기 시선 각도는 상기 대상 화소의 표시면과 상기 사용자의 시선 사이의 각도이고,
    상기 제1 기준 범위 바깥은 상기 시선 각도가 90도인 경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은,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2 기준 범위 내인 경우, 최종적으로 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된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1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시선 각도가 상기 제1 기준 범위 내이고, 상기 제1 색좌표 및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이 상기 제1 보상량이 적용되지 않은 색좌표 및 상기 기준 색좌표 간의 간격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선택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 보상부는, 상기 제1 색좌표 및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이 제2 기준 범위 바깥인 경우, 상기 제2 보상량을 재산출하고,
    상기 제1 색좌표 및 재산출된 상기 제2 보상량이 적용된 상기 제2 색좌표 간의 간격은 이전 간격보다 작은,
    표시 장치.
KR1020210131184A 2021-10-01 2021-10-01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300482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84A KR20230048216A (ko) 2021-10-01 2021-10-01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7/833,080 US11887524B2 (en) 2021-10-01 2022-06-06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202211215401.XA CN115938259A (zh) 2021-10-01 2022-09-30 显示装置的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184A KR20230048216A (ko) 2021-10-01 2021-10-01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216A true KR20230048216A (ko) 2023-04-11

Family

ID=8577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184A KR20230048216A (ko) 2021-10-01 2021-10-01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87524B2 (ko)
KR (1) KR20230048216A (ko)
CN (1) CN1159382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216A (ko) * 2021-10-01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45193B (en) * 2006-06-15 2011-07-11 Chimei Innolux Corp Eye tracking compensated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hold-type display
JP4887203B2 (ja) 2006-11-14 2012-02-29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画素、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および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350973B1 (ko) 2006-12-27 2014-0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능동형 유기전계 발광소자 디스플레이의 구동방법 및 이의구동장치
KR102307501B1 (ko) * 2015-04-30 2021-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보상 시스템 및 광학 보상 방법
TWI576639B (zh) * 2016-05-19 2017-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有光線調整模組的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US10534185B1 (en) * 2017-02-14 2020-01-14 Facebook Technologies, Llc Multi-planar display with waveguide and lens stacks
US10424232B2 (en) * 2017-12-21 2019-09-24 X Development Llc Directional light emitters and electronic displays featuring the same
US10502963B1 (en) * 2018-07-16 2019-12-10 Facebook Technologies, Llc Immersed fresnel structure with curable liquid polymer
US11011095B2 (en) * 2018-08-31 2021-05-18 Chongqing Hkc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panel, and image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US11817065B2 (en) * 2021-05-19 2023-11-14 Apple Inc. Methods for color or luminance compensation based on view location in foldable displays
KR20230048216A (ko) * 2021-10-01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38259A (zh) 2023-04-07
US20230105229A1 (en) 2023-04-06
US11887524B2 (en)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0268B2 (en) Driving controlle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device
US10453396B2 (en) Bendable display panel and benda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64653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517035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11148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00243003A1 (en) Pixel circu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KR10235228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07786A (ko) 표시장치
KR20160007876A (ko) 표시장치
KR2021001348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1094263B2 (en)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US11710449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13507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US11887524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210052716A (ko) 표시장치 구동방법 및 이에 의해 작동하는 표시장치
KR10192903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200128269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139337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11270662B2 (en) Device and method for brightness control of display device based on display brightness value encoding parameters beyond brightness
US20230154408A1 (en) Display device and gamma unit for display panel
KR20130051149A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6137128A (zh) 显示装置、驱动电路及显示驱动方法
US20210256892A1 (en) Display device
US1150831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n offset data voltage based on the sensed current flow in a target wire
US10937366B2 (en) Pixel circuit of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