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7237A - 컵 화분 - Google Patents

컵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7237A
KR20230047237A KR1020210129555A KR20210129555A KR20230047237A KR 20230047237 A KR20230047237 A KR 20230047237A KR 1020210129555 A KR1020210129555 A KR 1020210129555A KR 20210129555 A KR20210129555 A KR 20210129555A KR 20230047237 A KR20230047237 A KR 20230047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ot body
wing plate
water
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선철
김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마
김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마, 김미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마
Priority to KR1020210129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7237A/ko
Publication of KR20230047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혹은 용기와 분리가 용이한 컵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컵 혹은 용기에 삽입 가능한 컵 화분으로서, 상기 컵 화분은 상기 수용홈 내로 삽입되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원형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 내로 삽입되는 화분 본체의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컵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되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에는 하나 이상의 급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급수구 각각은 급수되는 물이 상기 화분 본체가 삽입되는 컵 혹은 용기의 측벽부와 화분 본체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컵 화분{CUP FLOWERPOT}
본 발명은 컵 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컵 혹은 용기와 분리가 용이한 컵 화분에 관한 것이다.
컵 화분이란 일회용 컵 또는 컵 모양의 용기로 만든 화분, 또는 그런 용기에 식물을 심어 가꾼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 상점 등에서 주변 환경을 미화하거나 공기정화 등의 목적으로 일반 화분에 화초 등의 식물을 식재하여 키우는 경우가 고전적인 방식이었다면, 근래에는 자신의 식탁, 책상, 침대, 창틀, 사무 공간 주변에 작은 컵 화분들을 비치해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공기 정화 및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는 플랜테리어(planterior)가 각광을 받고 있다.
플랜테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분으로서 미니화분과 컵 화분이 있다. 미니화분은 주로 도기나 합성수지로 제조된 것으로서 특히 도기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작과정이 비교적 복잡하고 가격도 비싸며, 무거울 뿐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쉽게 깨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미니화분의 문제점에서 벗어나고자 소형 컵 화분의 사용이 급증하게 되었는데, 미니화분은 물론 컵 화분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가 바로 급수에 대한 문제이다.
예를 들면 급수 후 건조를 위해 컵 화분을 화장실 또는 세면실에 장시간 방치해야 하거나, 별도의 물 받침대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컵 화분 상부에 급수할 경우 화분 상부에 있는 흙이 주변으로 튀어 화분 및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3264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발명으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컵 혹은 용기에 수용되어 사용 가능하되, 컵 혹은 용기로부터 이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컵 화분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분의 상부에서 급수되는 물이 화분으로 직접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화분을 수용하는 컵 혹은 용기에 담수되어 화분의 하부로부터 상부측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 컵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급수시 흙과 물의 튐 현상을 최소화함은 물론, 급수되는 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컵 화분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은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컵 혹은 용기에 삽입 가능한 컵 화분으로서,
상기 컵 화분은 상기 수용홈 내로 삽입되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원형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 내로 삽입되는 화분 본체의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컵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되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에는 하나 이상의 급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급수구 각각은 급수되는 물이 상기 화분 본체가 삽입되는 컵 혹은 용기의 측벽부와 화분 본체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테두리 끝단에는 물 넘침 방지턱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음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은 경사지며 그 날개판의 테두리 끝단에는 물 넘침 방지턱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는 컵 화분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측벽부 일부 각각이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굴곡져 상기 급수구의 화분 본체측 반구홈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 본체측 반구홈과 마주하는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일부가 상기 급수구의 날개판측 반구홈을 형성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화분 본체측 반구홈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의 측벽부 상단은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높이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급수를 가이드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은 컵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을 구비하기 때문에, 컵 화분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컵 혹은 용기로부터 컵 화분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은 급수구가 화분 본체가 아닌 화분 본체의 외부를 향하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에 의해 흙이 외부로 튕겨 생길 수 있는 오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은 화분 본체측 반구홈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의 측벽부 상단이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을 안정적으로 컵 내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테두리 끝단에는 물 넘침 방지턱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컵 화분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컵 화분을 컵에 삽입한 경우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컵 화분을 컵에 삽입한 경우의 급수 상태 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컵 화분(100)을 서로 다른 방향, 예를 들면 도 2의 (a)는 일 측면도를, 도 2의 (b)는 평면도를, 도 2의 (c)는 저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10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00)이 형성되어 있는 컵(200) 혹은 용기에 삽입 가능한 컵 화분으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화분(100)은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원형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수구(112)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 본체(110)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본체(110)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300) 내로 삽입되는 화분 본체(110)의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화분 본체(110)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컵(200)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되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에는 하나 이상의 급수구(130)가 형성되되, 상기 급수구(130) 각각은 급수되는 물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분 본체(110)가 삽입되는 컵(200) 혹은 용기의 측벽부(210)와 화분 본체(110)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 즉 300으로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의 테두리 끝단에는 컵 화분(100)에 급수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 넘침 방지턱(122)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날개판(120)에 물이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급수시 물 튐 현상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화분 본체(110)의 측벽부 일부 각각이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굴곡져 상기 급수구(130)의 화분 본체측 반구홈(132)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화분 본체측 반구홈(132)과 마주하는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의 일부가 상기 급수구(130)의 날개판측 반구홈(134)을 형성하도록 하여 하나의 급수구(1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화분 본체측 반구홈(132)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110)의 측벽부 상단(136)은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급수를 가이드한다.
참고적으로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을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되 컵(200)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하여 길게 형성하는 이유는 컵(200) 혹은 용기에 삽입된 컵 화분(1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날개판(120)을 하나의 손잡이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술한 구조 및 형상을 가지는 컵 화분(100)이 사용 예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컵 화분(100)을 컵(200)에 삽입한 경우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컵 화분(100)을 컵(200)에 삽입한 경우의 급수 상태를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00)이 형성되어 있는 컵(200)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100)이 삽입되어 있다. 컵 화분(100)의 삽입에 의해 상기 참조번호 300은 수용홈이기도 하며, 컵 화분(100)의 화분 본체(110)와 컵(200)의 내측 측벽부가 이루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간에는 도 4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어 컵 화분(100)에 공급된다.
즉, 컵 화분(100) 사용자가 수용홈(300)이 형성되어 있는 컵(200)에 화분 본체(110)를 삽입하면,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에 의해 컵(200) 내로 삽입되는 화분 본체(110)의 길이는 제한되고,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은 컵(200)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 수평방향으로 위치하게 됨으로써, 추후 컵 화분(100)을 컵(20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날개판(120)이 하나의 손잡이를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컵 화분(100) 사용자는 상기 날개판(120)을 잡고 편리하게 컵 화분(100)을 컵(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컵(200)에 컵 화분(100)을 삽입한 컵 화분(100) 사용자는 급수구(130)를 통해 급수한다. 즉, 컵 화분(100) 사용자는 화분 본체측 반구홈(132)과 날개판측 반구홈(134)이 상호 형성하는 급수구(130)를 통해 급수하면, 그 급수되는 물은 화분 본체(110)의 내측으로 굴곡져 있는 화분 본체(110)의 일부 측벽부를 따라 하강되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홈(300)의 저면부에서 차오르기 시작한다.
계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 식물이 식재된 화분 분체(110)의 수위는 흙으로 인하여 수위 상승속도가 느려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컵 화분(100) 사용자는 도 1에 나타난 급수제한선(137)까지 물 수위가 상승하면 급수대기 상태를 반복하면서 재급수(도 4의 (c))한다. 도 4의 (d)는 급수 완료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급수 완료 후 컵 화분(100) 사용자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을 손잡이로 사용해 컵(200)에서 컵 화분(100)을 분리시킨 후 컵(200)에 담겨진 물을 제거한 후, 컵 화분(100)을 다시 컵(200)의 수용홈(300)내로 삽입한다. 이로써, 컵 화분(100)에 남아 있는 잔존 수분은 컵(200)에 모이게 됨으로써, 컵 화분(100)에서 유출되는 수분에 의해 주변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100)은 컵(200)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되어 있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을 구비하기 때문에, 컵 화분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컵(200) 혹은 용기로부터 컵 화분(200)을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발명이며,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100)은 급수구(130)가 화분 본체(110)가 아닌 화분 본체(110)의 외부를 향하도록 유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에 의해 흙이 외부로 튕겨 생길 수 있는 오염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화분(100)은 화분 본체측 반구홈(132)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110)의 측벽부 상단(136)이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을 안정적으로 컵(200) 내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120)의 테두리 끝단에는 물 넘침 방지턱(122)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되는 물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컵 혹은 용기에 삽입 가능한 컵 화분에 있어서,
    상기 컵 화분은 상기 수용홈 내로 삽입되되,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는 원형 공간을 제공하며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화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수용홈 내로 삽입되는 화분 본체의 길이를 제한하도록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컵 혹은 용기의 상부 테두리를 벗어나는 길이까지 연장되는 원형 거치용 날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에는 하나 이상의 급수구가 형성되되, 상기 급수구 각각은 급수되는 물이 상기 화분 본체가 삽입되는 컵 혹은 용기의 측벽부와 화분 본체의 측벽부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테두리 끝단에는 물 넘침 방지턱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화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은 경사지며 그 날개판의 테두리 끝단에는 물 넘침 방지턱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화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측벽부 일부 각각이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내측으로 굴곡져 상기 급수구의 화분 본체측 반구홈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 본체측 반구홈과 마주하는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일부가 상기 급수구의 날개판측 반구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화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측 반구홈을 형성하는 화분 본체의 측벽부 상단은 상기 원형 거치용 날개판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어 급수를 가이드함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화분.
KR1020210129555A 2021-09-30 2021-09-30 컵 화분 KR20230047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555A KR20230047237A (ko) 2021-09-30 2021-09-30 컵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555A KR20230047237A (ko) 2021-09-30 2021-09-30 컵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37A true KR20230047237A (ko) 2023-04-07

Family

ID=85979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555A KR20230047237A (ko) 2021-09-30 2021-09-30 컵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723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64Y1 (ko) 2020-01-23 2021-03-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웰그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264Y1 (ko) 2020-01-23 2021-03-0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웰그로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5834B2 (en) Two piece plant container with water reservoir
US9010021B1 (en) Adjustable water retention device for a plant pot
KR201301069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120122484A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130058457A (ko) 화분
KR20160146152A (ko) 식물 재배 장치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JP5788366B2 (ja) 給水式プランター装置
KR20230047237A (ko) 컵 화분
US20050198898A1 (en) Plant basket divider
JP2007061104A (ja) 植木鉢
JP4224281B2 (ja) ボトルキャップ
JP2001078595A (ja) 植木鉢の自動給水装置及びその部品
KR101291235B1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170003848U (ko) 물받이 화분
CN210610599U (zh) 一种方形杯
KR20200013181A (ko) 화분 포트
KR102440416B1 (ko) 양치질 전용 위생컵
KR200470431Y1 (ko) 용기뚜껑 및 이를 이용한 생화꽂이용 용기
JP3195296U (ja) 水位調整キャップ及び自動給水可能な栽培装置
KR200439585Y1 (ko) 화분 받침대
KR101226840B1 (ko) 수분공급부를 구비한 화분
JP3092792U (ja) 植木鉢セット
KR200421127Y1 (ko) 물받이가 내장된 화분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