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869A - 음식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869A
KR20230046869A KR1020210130417A KR20210130417A KR20230046869A KR 20230046869 A KR20230046869 A KR 20230046869A KR 1020210130417 A KR1020210130417 A KR 1020210130417A KR 20210130417 A KR20210130417 A KR 20210130417A KR 20230046869 A KR20230046869 A KR 2023004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orage container
water
dishwash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준
구건표
김경목
서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869A/ko
Priority to PCT/KR2022/010209 priority patent/WO2023054867A1/ko
Priority to US17/876,865 priority patent/US20230096648A1/en
Publication of KR2023004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86In-sink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 A47L15/4227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with macerator arrangements for chopping entrained foo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04B3/02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means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moving to and fro, i.e. push-type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26Screw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식기세척기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포함된 세척수가 이송되도록 식기세척기와 연결되는 이송관, 이송관을 통해 세척수가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이송관과 연결되어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분리장치와 결합되고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처리되도록 마련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FOOD DISPOSER}
개시된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선된 구조의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섞인 상태에서 음식물을 분쇄하여 물과 함께 배수관으로 흘려 보내는 방식 또는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고 교반 및 분쇄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이 교반 및 분쇄되는 분쇄 장치와 분쇄 장치 내부의 음식물쓰레기가 건조되도록 분쇄 장치로 열을 가하는 발열 장치를 포함한다. 분쇄 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보관되는 용기로 사용되는 분쇄 케이스를 포함하고, 분쇄 케이스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한다.
이 중,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물과 함께 흘려 보내는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의 경우 음식물이 배수관을 막아 물이 역류하거나 배수관에 잔류하는 음식물로 인해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별도 공간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시키고 교반 및 분쇄하여 음식물을 처리하는 방식의 음식물 처리기의 경우 사용자가 물이 섞인 음식물쓰레기를 음식물 처리기까지 직접 운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물이 섞인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수동 운반 없이 처리할 수 있는 개선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식기세척기와 연결되어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하고 분리된 물은 식기세척기로 다시 순환시킬 수 있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은, 싱크대와 식기세척기에 함께 연결되어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식기세척기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포함된 세척수가 이송되도록 상기 식기세척기와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가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상기 분리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처리되도록 마련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분리된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분리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식기세척기의 섬프와 연결되는 순환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와 상기 분리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식기세척기가 순환 모드인 경우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기 섬프로 유입되고,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기 터브로 재유입되어 순환된다.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기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섬프로 유입된 상기 물이 상기 섬프와 연결된 배수부로 배수된다.
상기 분리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보관 컨테이너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송 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여과시키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 및 상기 보관 컨테이너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 컨테이너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출 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된 상기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액체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상기 배출 노즐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 축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액체 배출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 반경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 노즐은 상기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바디결합부 및 상기 바디 결합부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이송 스크류에 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분쇄 되도록 마련되는 분쇄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분쇄 장치가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관 컨테이너의 일 측에 편향되어 장착된다.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상기 분쇄 장치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탈취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은 싱크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싱크대로부터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이송하도록 마련된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음식물이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장치 및 상기 분리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처리되도록 마련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이송관과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보관 컨테이너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 노즐 및 상기 배출 노즐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액체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배출노즐의 상기 배출구를 향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 스크류의 원주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상기 물을 분리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싱크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고 식기세척기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배수관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와 각각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이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일 측에 상기 분리 장치가 결합되는 보관 컨테이너로서, 상기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 장치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 장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섞여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자동으로 이송, 분리 및 건조 분쇄 처리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식기세척기의 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가 필터에 쌓인 음식물쓰레기를 수동으로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싱크대의 배수관에 음식물이 쌓이지 않도록 배수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싱크대와 식기세척기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를 보관 컨테이너로 통합 수집할 수 있어 소비자의 가사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측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보관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관 컨테이너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시작할 때의 세척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식기세척기의 순환 모드에서 음식물쓰레기와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식기세척기의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음식물쓰레기와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측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는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F)는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되는 이송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D)는 내부에 식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고 수용된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는 오염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는 식기를 세척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는 음식물 처리기(F)의 이송관(2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F)는 이송관(22)에 장착되는 펌프(2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는 이송관(22)으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펌프(21)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22)의 중간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펌프(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관(22)의 상류 측 또는 이송관(22)의 하류 측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음식물 처리기(F)는 이송관(22)과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D)로부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F)는 분리 장치(2)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보관 컨테이너(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에 의해 이송관(22)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분리 장치(2)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2)의 배출 노즐(212)은 보관 컨테이너(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후술할 이송 스크류(2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장치(2)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리 장치(2)로부터 물과 분리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중력에 의해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장치(2)의 배출구(2121)와 배출관의 일 단부를 연결하고 배출관의 타 단부를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함에 따라 배출관을 통해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리 장치(2)의 일부와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부재(미도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미도시)는 보관 컨테이너(1)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보관 컨테이너(1)와 결합되지 않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음식물 처리기(F)는 분리 장치(2)와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D)로 물을 유입시키도록 마련되는 순환관(23)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 장치(2)로부터 물과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 컨테이너(1)로 유입되어 보관 컨테이너(1)에서 건조, 분쇄 및 보관될 수 있다.
동시에 분리 장치(2)로부터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된 물은 식기 세척기(D)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2)에 의해 분리된 물은 순환관(23)을 통해 식기 세척기(D)로 유입될 수 있다. 순환관(23)은 후술할 분리 장치(2)의 액체 배출부(2112a, 도 6 참조)와 일 단이 연결되고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 도 7 참조)와 타 단이 연결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D)로 유입된 물은 순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 도 7 참조)에서 배수될 수 있다. 음식물 처리기(F)와 식기 세척기(D)의 순환과 관련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보관 컨테이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보관 컨테이너의 외부 하우징을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의 보관 컨테이너(1)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관 컨테이너(1)는 발열 장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 장치(60)는 분쇄 장치(100)의 하부에서 분쇄 장치(100)를 가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 장치(60)는 내부에 열선(62)이 수용되는 열선 수용 프레임(61)을 포함할 수 있다. 열선 수용 프레임(61)은 분쇄 장치(100)의 분쇄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쇄 장치(100)는 외부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되는 수용 프레임(4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열 장치(60) 역시 수용 프레임(46)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 프레임(46)은 분쇄 장치(100)와 발열 장치(60)가 보관 컨테이너(1) 내부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수용되도록 분쇄 장치(100)와 발열 장치(6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구동 장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장치(70)는 분쇄 장치(100)와 발열 장치(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장치(70)는 분쇄 장치(10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장치(70)는 후술할 분쇄 장치(100)의 회전 그라인더(120)로 동력을 전달하고 분쇄 장치(100)의 밸브 어셈블리(140)로 동력을 각각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장치(70)는 후술할 사이드 프레임(44)에 의해 양 측이 지지되어 분쇄 장치(10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탈취 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장치(50)는 분쇄 장치(100)로부터 발생한 냄새 등의 악취를 흡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탈취 장치(50)로 흡입된 악취는 여과되어 보관 컨테이너(1)의 외부로 다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탈취 장치(50)는 분쇄 장치(100)의 상부에서 냄새를 흡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탈취 장치(50)는 분쇄 장치(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보관 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장치(80)는 분쇄 장치(100)에서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어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 장치(80)는 분쇄 장치(100)의 밸브 어셈블리(140)와 연결되는 이송 덕트(83)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 장치(100)의 밸브 어셈블리(140)는 분쇄 케이스(110)의 배출부(114)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40)가 분쇄 케이스(110)의 배출부(114)를 개방하면 분쇄 케이스(110) 내부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덕트(83)를 통해 보관 장치(80)의 보관 케이스(82)로 이송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컨테이너(1)는 분쇄 장치(100), 탈취 장치(50), 보관 장치(80) 및 구동 장치(70) 등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어퍼 프레임(41)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의 전방에는 분쇄 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은 베이스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411)는 어퍼 프레임(41)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은 베이스부(411)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 장치(100)는 개방부(412)를 통해 외부 하우징(10)의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개방부(412)는 분쇄 장치(100)의 개방된 상면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부(412)를 통해 사용자가 분쇄 장치(100)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다. 즉, 개방부(412)는 일종의 투입구로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는 이러한 어퍼 프레임(41)의 개방부(41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은 개방부(412)의 후방에 마련되는 흡입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413)는 어퍼 프레임(41)의 베이스부(41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흡입부(413)는 탈취 장치(50)의 일부분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부(413)에는 탈취 장치(50)의 연통 케이스(51)의 상부 일부가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의 흡입부(413)에는 분쇄 장치(100)와 연통되는 연통홀(4131)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4131)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탈취 장치(50)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분쇄 장치(100)의 공기가 어퍼 프레임(41)의 연통홀(4131)을 통해 흡입부(413)로 유동되고, 흡입부(413)로 유동된 공기는 탈취 장치(50)의 연통 케이스(51)의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은 양 측부에 마련되는 함몰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414)는 어퍼 프레임(41)의 베이스부(411)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414)는 내부에 파지공간(414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쇄 장치(100)의 핸들부(113)가 함몰부(414)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분쇄 장치(100)를 분리할 경우 핸들부(113)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수용 프레임(4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프레임(46)은 내부에 분쇄 장치(100)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용 프레임(46)은 어퍼 프레임(4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용 프레임(46)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바텀 프레임(43)을 포함할 수 있다.
바텀 프레임(43)은 수용 프레임(46)이 장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43)의 상부에는 발열 장치(60)가 배치될 수 있다. 바텀 프레임(43)의 전방에는 절개부(4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쇄 장치(100)의 분쇄 케이스(110)는 발열 장치(6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도 분쇄 장치(100)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밸브 어셈블리(140)가 바텀 프레임(43)을 통과하여 바텀 프레임(4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서포트 프레임(42)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42)은 복수로 마련되어 어퍼 프레임(41)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총 4개의 서포트 프레임(42)을 도시하였으나 서포트 프레임(4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서포트 프레임(42)은 상부에 마련되어 어퍼 프레임(41)을 지지하는 어퍼 지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 프레임(42)은 하부에 마련되어 바텀 프레임(43)에 장착되는 바텀 장착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42)은 대략 바 형상으로 마련되어 공간을 최소한으로 차지하면서 어퍼 프레임(41)을 지지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사이드 프레임(44) 및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프레임(4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44)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44)은 바텀 프레임(43)의 양 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44)은 바텀 프레임(43)과 베이스 프레임(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44)은 보관 장치(80)의 양 측을 커버하는 사이드 바디부(44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44)은 사이드 바디부(441)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바텀 프레임(43)에 결합되는 구동 장치 지지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장치(80)는 이송 덕트(83)를 통해 분쇄 장치(100)로부터 건조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보관 장치(80)는 보관 케이스(82)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 케이스(82)는 이송 덕트(83)와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저장될 수 있다.
보관 장치(80)는 보관 케이스(82)의 상부에 마련되는 케이스 커버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커버부(84)의 전방에는 파지 가능하게 마련되는 그립부(81)가 장착될 수 있다.
탈취 장치(50)는 연통 케이스(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 케이스(51)는 분쇄 장치(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통 케이스(51)는 어퍼 프레임(41)의 흡입부(413)에 상부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연통 케이스(51)는 전면에서 절개되는 흡기홀(511)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프레임(41)의 흡입부(413)에 형성된 연통홀(4131)과 연통 케이스(51)의 흡기홀(511)로 분쇄 장치(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악취 등이 유입될 수 있다.
탈취 장치(50)는 팬 장착 케이스(52)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장착 케이스(52)는 연통 케이스(51)와 연결될 수 있다. 팬 장착 케이스(52)는 분쇄 장치(100)로부터 연통 케이스(51)를 향하는 흡입 기류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 장착 케이스(52)의 내부에는 송풍팬(521)이 배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탈취 장치(50)는 탈취 덕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덕트(53)는 팬 장착 케이스(52)와 연결될 수 있다. 탈취 덕트(53)는 팬 장착 케이스(52)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탈취 장치(50)는 덕트 장착 프레임(54) 및 필터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장착 프레임(54)은 탈취 덕트(53)와 연결될 수 있다. 덕트 장착 프레임(54)의 상부에는 필터부(55)가 장착될 수 있다.
필터부(55)의 내부에는 활성탄 등으로 이루어진 탈취필터(미도시)가 배치되어 분쇄 장치(100)에서 발생한 오염된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필터부(55)는 필터 케이스(551)를 포함할 수 있다.
탈취 장치(50)는 배기 케이스(56)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 케이스(56)는 필터부(55)로부터 여과된 공기가 유동되도록 필터부(55)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 케이스(56)는 필터부(55)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여과된 공기는 배기 케이스(56)를 통해 외부 하우징(10)의 리어 하우징(12)의 배기홀(121, 도 3 참조)과 연통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분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분리 장치(2)는 이송관(22)과 연결되어 이송관(22)으로부터 이송된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 하우징(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송 스크류(22)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이송 스크류(22)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하우징 바디(211) 및 하우징 바디(211)의 전방에 결합되는 배출 노즐(212)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바디(211)는 어퍼 바디(2111), 로어 바디(2112) 및 리어 바디(211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2111)는 하우징 바디(211)의 상부 일부를 형성하며 로어 바디(2112)는 하우징 바디(211)의 하부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바디(2113)는 어퍼 바디(2111)와 로어 바디(2112)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어퍼 바디(2111)는 이송관(22)과 연결되는 유입부(2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111a)는 하우징 바디(211)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유입부(2111a)는 유입구(2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2111a)의 유입구(2111b)와 이송관(22)의 내부가 연통되어 이송관(22)으로부터 이송된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가 물이 분리 장치(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로어 바디(2112)는 순환관(23)과 연결되는 액체 배출부(2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배출부(2112a)는 하우징 바디(211)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체 배출부(2112a)는 로어 바디(2112)의 하부로 연장되어 필터(23)에 의해 분리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23)는 세척수로부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 바디(2113)는 스크류 통과홀(2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의 후방 단부는 리어 바디(2113)의 스크류 통과홀(2113a)을 관통하여 스크류 구동부(24)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송 스크류(22)는 스크류 구동부(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어퍼 바디(2111)는 어퍼 플랜지(2111c)를 포함하고, 로어 바디(2112)는 로어 플랜지(2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플랜지(2111c)와 로어 플랜지(2112c)는 배출 노즐(212)과 결합될 수 있다. 어퍼 플랜지(2111c)와 로어 플랜지(2112c)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노즐(212)은 노즐부(2122) 및 바디 결합부(2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노즐(212)의 바디 결합부(2123)는 어퍼 바디(2111)의 어퍼 플랜지(2111c) 및 로어 바디(2112)의 로어 플랜지(2112c)와 결합될 수 있다. 배출 노즐(212)의 바디 결합부(2123)는 대략 사각형의 테두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부(2122)는 바디 결합부(2123)로부터 보관 컨테이너(1)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노즐부(2122)는 배출구(2121)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121)를 통해 분리 장치(2)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물과 분리되어 보관 컨테이너(1)로 배출될 수 있다.
노즐부(2122)는 바디 결합부(2123)로부터 배출구(2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는 하우징(2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 컨테이너(1)를 향해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는 분리 장치(2)의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는 이송부(222) 및 모터결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결합부(221)는 리어 바디(2113)의 스크류 통과홀(2113a)을 통과하고 스크류 구동부(24)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의 이송부(222)의 후방 일부는 하우징 바디(211)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송 스크류(22)의 전방 일부는 배출 노즐(2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의 전방은 배출 노즐(21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써, 단부로 갈수록 그 단면이 작아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배출 노즐(212)이 배출구(2121)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됨에 따라 이송 스크류(22)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 노즐(212)의 내부에서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배출 노즐(212)의 단면이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작아지게 마련됨으로써, 이송 스크류(22)에 의해 이송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구(2121)로 배출되도록 하는 외력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분리 장치(2) 내부에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최소화 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해 질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하우징(21)과 이송 스크류(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여 여과시키도록 마련되는 필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3)는 여과부(232)와 필터 홀(231)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홀(231)은 하우징 바디(211)에 형성된 유입부(2111a)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가 필터(23)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필터 홀(231)의 크기는 유입부(2111a)에 형성된 유입구(2111b)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필터 홀(231)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입구(2111b)의 크기보다 크게 마련되거나 작게 마련될 수도 있다.
필터(23)의 여과부(23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과부(232)는 메쉬 필터(23)로 마련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를 여과하고자 하는 정도에 따라 필터(23)의 재질은 여러 가지로 마련될 수 있다. 필터(23)는 분리 장치(2)의 어퍼 바디(2111)와 로어 바디(2112)를 분해하여 교체될 수 있다.
필터(23)는 이송 스크류(22)의 외측을 감싸도록 하우징(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부(2111a)로 유입된 세척수에서 입자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23)의 내부에 남아있게 되고 입자가 작은 물은 필터(23)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필터(23)의 내부에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에 따라 배출 노즐(212)을 향해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필터(23)의 외부로 여과된 물은 로어 바디(2112)에 형성된 액체 배출부(2112a)로 유동될 수 있다. 필터(23)에서 여과된 물은 액체 배출부(2112a)와 연결된 순환관(23)을 통해 식기 세척기(D)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에서 배출 노즐(212)의 배출구(2121)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축방향에 형성되고, 액체 배출부(2112a)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축의 반경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2)는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고체인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밀어내되 액체인 물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6에서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에 대해 수평하게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는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고,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된 물은 중력에 의해 분리 장치(2)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고 있다. 다만, 분리 장치(2)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고,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된 물이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분리 장치(2)의 이송 스크류(22)는 상하 방향으로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식기 세척기의 작동을 시작할 때의 세척수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식기 세척기의 순환 모드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에서, 식기 세척기의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와 물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의 이송관(22)과 순환관(23)은 식기 세척기(D)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관(22)은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에 연결되고 순환관(23)은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에 연결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는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실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관(22)은 터브(31)의 하부에 연결되어 터브(31)의 바닥면에 수집되는 세척수를 이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터브(31)와 이송관(22)의 결합을 위해 터브(31)의 하부에는 별도의 관형 유출부 등이 마련될 수 도 있다. 또한, 터브(31)의 바닥면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마련되어 세척수의 수집이 용이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는 세척수가 저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32)는 순환 펌프(33)와 연결될 수 있다. 순환 펌프(33)는 분사 유닛(34)과 연결될 수 있다.
순환 펌프(33)는 섬프(32)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유닛(34)으로 공급할 수 있다. 분사 유닛(34)은 터브(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세척실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순환 펌프(33)와 분사 유닛(34)은 세척수 공급관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는 외부의 급수부(35)와 연결되어 세척을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섬프(32)는 외부의 배수부(36)와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D)의 세척이 종료되거나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배수부(36)로 세척수를 배출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섬프(32)와 순환 펌프(33), 급수부(35) 및 배수부(36)는 각각 관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을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의 이송관(22)은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와 분리 장치(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순환관(23)은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와 분리 장치(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송관(22)으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가 분리 장치(2)로 유입되면, 분리 장치(2)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 노즐(212)을 통해 보관 컨테이너(1)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식기 세척기(D)의 작동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D)의 작동이 시작될 때 급수부(35)로부터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이 때 세척수는 식기를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써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세척수이다.
세척수는 섬프(32)에 모여 순환 펌프(33)에 의해 펌핑되고, 펌핑된 세척수는 분사 유닛(34)에 의해 터브(31)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를 통해 터브(31)의 내부에 거치된 식기가 세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터브(31)의 내부에서 식기가 세척되는 동안 터브(31)의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세척수가 수집될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세척수는 터브(31)와 연결된 이송관(22)을 통해 분리 장치(2)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세척수는 이송관(22)에 장착된 펌프(21)에 의해 펌핑되어 분리 장치(2)로 이송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세척수는, 이송관(22)에 의해 분리 장치(2)의 유입부(2111a)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의 유입부(2111a)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리 장치(2)의 필터(2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3)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 중 고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23)를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23)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필터(23)에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2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에 의해 분리 장치(2)의 하우징 바디(211)로부터 배출 노즐(212)을 향해 이송된다.
배출 노즐(212)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 노즐(212)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2121)를 통해 분리 장치(2)의 외부로 배출된다.
분리 장치(2)의 배출구(2121)는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100)와 일정 거리 이격 되게 형성되므로, 배출구(2121)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로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어퍼 프레임(41)의 개방부(412)를 통해 분쇄 장치(100)의 분쇄 케이스(110)로 수집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100)에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 장치(100) 하부의 발열 장치(60)에 의해 가열되고, 분쇄 장치(100) 내부의 그라인더를 통해 교반 및 분쇄 과정을 거쳐 분쇄 장치(100) 하부에 배치된 보관 장치(80)로 이송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보관 컨테이너(1)로부터 보관 장치(80)만을 분리하여 건조 및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다.
동시에, 분리 장치(2)의 필터(23)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 중 액체 형태의 물은 필터(23)를 통과하여 분리 장치(2)의 액체 배출부(2112a)로 배출되고, 액체 배출부(2112a)와 연결된 순환관(23)을 통해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유입된다.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다시 유입된 물은 순환 펌프(33)에 의해 펌핑되어 분사 유닛(34)을 통해 터브(31)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러한 순환 과정은 수 차례 반복될 수 있으며 이를 식기 세척기(D)의 순환 모드라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D)의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된 물은 더 이상 식기 세척기(D)의 내부를 순환하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브(31)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포함된 세척수가 이송관(22)을 통해 분리 장치(2)로 이송될 수 있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한 세척수는 이송관(22)에 장착된 펌프(21)에 의해 펌핑 되어 분리 장치(2)로 이송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세척수는, 이송관(22)에 의해 분리 장치(2)의 유입부(2111a)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의 유입부(2111a)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리 장치(2)의 필터(2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필터(23)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 중 고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23)를 통과하지 못하고 필터(23)의 내부에 잔류하게 된다. 잔류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2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송 스크류(22)의 회전에 의해 분리 장치(2)의 하우징 바디(211)로부터 배출 노즐(212)을 향해 이송된다.
배출 노즐(212)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 노즐(212)의 단부에 형성된 배출구(2121)를 통해 분리 장치(2)의 외부로 배출된다.
분리 장치(2)의 배출구(2121)는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므로, 배출구(2121)를 통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로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어퍼프레임(41)의 개방부(412)를 통해 분쇄 장치(100)의 분쇄 케이스(110)로 수집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100)에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 장치(100) 하부의 발열 장치(60)에 의해 가열되고, 분쇄 장치(100) 내부의 그라인더를 통해 교반 및 분쇄 과정을 거쳐 분쇄 장치(100) 하부에 배치된 보관 장치(80)로 이송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보관 컨테이너(1)로부터 보관 장치(80)만을 분리하여 건조 및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다.
동시에, 분리 장치(2)의 필터(23)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 중 액체 형태의 물은 필터(23)를 통과하여 분리 장치(2)의 액체 배출부(2112a)로 배출되고, 액체 배출부(2112a)와 연결된 순환관(23)을 통해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유입된다. 여기까지는 식기 세척기(D)의 순환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식기 세척기(D)의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유입된 물은 순환 펌프(33)에 의해 펌핑 되지 않고 배수부(36)를 향해 유동된다. 따라서, 물은 더 이상 순환되어 세척에 이용되지 않고 배수부(36)를 통해 식기 세척기(D)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는 터브(31)와 연결되는 이송관(22)의 단부에 센서 등을 장착하여 센서에 의해 세척수가 감지되면 펌프(21)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분리 장치(2)의 스크류 구동부(24)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21)가 작동됨에 따라 세척수가 분리 장치(2)로 유입되므로 제어부(미도시)는 펌프(21)의 작동에 연동하여 스크류 구동부(24)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보관 컨테이너(1)의 작동 역시 제어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가 작동되는 경우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에 설정된 무게 이상의 음식물 쓰레기가 수집되면 보관 컨테이너(1)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미도시)는 식기 세척기(D)의 구동과 연동하여 식기 세척기(D)가 세척을 수행하는 경우 마다 보관 컨테이너(1)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보관 컨테이너(1)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보관 컨테이너(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 장치(2)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직접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미도시)를 들고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 컨테이너(1) 내부의 분쇄 장치(100)로 투입할 수 있다.
또는, 보관 컨테이너(1)의 분쇄 장치(100)가 보관 컨테이너(1)의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사용자가 분쇄 장치(100)를 보관 컨테이너(1)로부터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담은 후 보관 컨테이너(1)에 다시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관 컨테이너(1)가 주방의 하부장 등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보관 컨테이너(1)의 상부로 분쇄 장치가 분리되기 위해 하부장의 상면과 일정 거리 이격될 필요가 존재한다.
또한, 분리 장치(2)는 분쇄 장치(100)가 보관 컨테이너(1)의 외부 하우징(21)으로부터 분리될 때 분쇄 장치(100)와 간섭되지 않게끔 보관 컨테이너(1)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의 일 측에 장착되어 분쇄 장치(100)의 이동 경로에 최대한 겹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분리 장치(2)의 장착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보관 컨테이너(1)로부터 분쇄 장치(100)를 분리할 때 분리 장치(2)를 보관 컨테이너(1)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분쇄 장치(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도 있다.
또는,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분쇄 장치(100)가 보관 컨테이너(1)로부터 분리될 때 보관 컨테이너(1)의 외측을 향해 회전시켜 분쇄 장치(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는 이송관(22)에 펌프(21)를 장착함에 따라, 식기 세척기(D)가 배치되는 장소에 제약이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의 상부에 장착되어 분리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보관 컨테이너(1)에 수집되게 된다. 따라서,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에서 보관 컨테이너(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식기 세척기(D)가 보관 컨테이너(1)와 동일한 높이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경우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 하부와 분리 장치(2) 간에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 하부와 분리 장치(2)의 유입부(2111a)를 연결하는 이송관(22)에 펌프(21)를 설치함으로써, 식기 세척기(D)가 분리 장치(2)와 다소 멀리 배치되거나 분리 장치(2)보다 낮은 높이 또는 동일 높이에 배치되어도 식기 세척기(D)로부터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송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F)는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로 분리하고, 세척수에 포함된 물은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다시 유입시킴으로써 식기 세척기(D)의 필터(23)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터(23)에 포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까지 보관 컨테이너(1)에서 자동으로 수행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게 된다.
또한, 보관 컨테이너(1)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분리 장치(2)에 의해 수분이 최대한 제거된 상태이므로 보관 컨테이너(1)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소모되는 에너지가 최소화 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싱크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이송관은 싱크대의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싱크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싱크대에서 식기를 세척함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에서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은 싱크대의 배수관에서 음식물처리기의 이송관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는 이송관으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펌프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의 중간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펌프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관의 상류 측 또는 이송관의 하류 측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과 연결되어 싱크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분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분리장치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보관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에 의해 이송관으로 이송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은 분리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장치는 보관컨테이너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장치의 배출노즐은 보관컨테이너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리장치로부터 물과 분리되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보관컨테이너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음식물쓰레기는 중력에 의해 보관컨테이너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장치의 배출구와 배출관의 일 단부를 연결하고 배출관의 타 단부를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함에 따라 배출관을 통해 보관컨테이너의 내부로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리장치의 일부와 보관컨테이너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재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재는 보관컨테이너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보관컨테이너와 결합되지 않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분리장치 및 보관컨테이너 등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분리장치 및 보관컨테이너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분리장치의 액체배출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싱크대의 배수관에 연결되거나 다른 배수관에 연결되어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물이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순환관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싱크대는 다른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의 하부에는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고속 분쇄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싱크대의 배수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 내에 잘게 분쇄하여 물과 함께 배관으로 흘려 보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을 통해 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어 분리장치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입자가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관컨테이너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작업이 보다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경우, 싱크대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 또는 싱크대 배수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분리장치로 이송되고 분리장치를 통해 보관컨테이너로 수집되고, 이와 분리된 물이 싱크대의 배수관으로 흐르게 되므로 배수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배수관에 음식물쓰레기가 정체되어 악취가 발생하거나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관을 막아 물이 역류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싱크대(S)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이송관(22)은 싱크대(S)의 배수관에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싱크대(S)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이송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싱크대(S)에서 식기를 세척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싱크대(S)에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싱크대(S)의 배수관에서 음식물처리기의 이송관(22)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22)에 장착되는 펌프(2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는 이송관(22)으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펌프(2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22)의 중간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펌프(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관(22)의 상류 측 또는 이송관(22)의 하류 측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22)과 연결되어 싱크대(S)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분리 장치(2)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보관 컨테이너(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에 의해 이송관(22)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분리 장치(2)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2)의 배출 노즐(212)은 보관 컨테이너(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리 장치(2)로부터 물과 분리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중력에 의해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장치(2)의 배출구와 배출관의 일 단부를 연결하고 배출관의 타 단부를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함에 따라 배출관을 통해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리 장치(2)의 일부와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부재(미도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미도시)는 보관 컨테이너(1)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보관 컨테이너(1)와 결합되지 않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분리 장치 및 보관 컨테이너 등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F)의 분리 장치(2) 및 보관 컨테이너(1)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분리 장치(2)의 액체배출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싱크대(S)의 배수관에 연결되거나 다른 배수관에 연결되어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된 물이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순환관(23)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싱크대(S)는 다른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S)의 하부에는 싱크대(S)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고속 분쇄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싱크대(S)의 배수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 내에 잘게 분쇄하여 물과 함께 배관으로 흘려 보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22)을 통해 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어 분리 장치(2)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입자가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관 컨테이너(1)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작업이 보다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경우, 싱크대(S)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싱크대(S) 배수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리 장치(2)로 이송되고 분리 장치(2)를 통해 보관 컨테이너(1)로 수집되고, 이와 분리된 물이 싱크대(S)의 배수관으로 흐르게 되므로 배수관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배수관에 음식물 쓰레기가 정체되어 악취가 발생하거나 음식물 쓰레기가 배수관을 막아 물이 역류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싱크대(S)와 식기 세척기(D)에 연결되는 이송관(2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관(22)은 싱크대(S)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고 식기 세척기(D)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싱크대(S)의 배수관 및 상기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싱크대(S)의 배수관과 식기 세척기(D)의 터브(31)는 연결관(24)을 통해 이송관(22)에 연결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22)에 장착되는 펌프(2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는 이송관(22)으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펌프(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관(22)의 중간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펌프(2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송관(22)의 상류 측 또는 이송관(22)의 하류 측 단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22)과 연결되어 싱크대(S)와 식기 세척기(D)로부터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처리기는 분리 장치(2)로부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어 보관되는 보관 컨테이너(1)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21)에 의해 이송관(22)으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은 분리 장치(2)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는 보관 컨테이너(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장치(2)의 배출 노즐(212)은 보관 컨테이너(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분리 장치(2)로부터 물과 분리되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중력에 의해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장치(2)의 배출구와 배출관의 일 단부를 연결하고 배출관의 타 단부를 보관 컨테이너의 내부에 배치함에 따라 배출관을 통해 보관 컨테이너(1)의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될 수도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리 장치(2)의 일부와 보관 컨테이너(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 부재(미도시)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부재(미도시)는 보관 컨테이너(1)에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보관 컨테이너(1)와 결합되지 않고 분리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별도로 설명하지 않은 분리 장치(2) 및 보관 컨테이너(1) 등의 구성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의 분리 장치(2) 및 보관 컨테이너(1)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분리 장치(2)의 액체배출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와 달리 싱크대(S)의 배수관에 연결되거나 다른 별도의 배수관에 연결되어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된 물이 하수도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싱크대(S)는 이와 다른 타입의 음식물 처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크대(S)의 하부에는 싱크대(S)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음식물 처리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기는 고속 분쇄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싱크대(S)의 배수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빠른 시간 내에 잘게 분쇄하여 물과 함께 배관으로 흘려 보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이송관(22)을 통해 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이 이송되어 분리 장치(2)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분리 장치(2)로부터 분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입자가 보다 작게 형성되어 보관 컨테이너(1)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작업이 보다 빠르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식물처리기가 식기 세척기(D)와 단독으로 연결되는 경우 급수부(35)로부터 깨끗한 물이 공급되어 식기의 세척 과정에서만 물이 오염되므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다만,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에서 싱크대(S)와도 연결되는 경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된 물이 유입되어 싱크대(S)의 배수관으로 배출되는 바 이러한 물을 식기 세척기(D)의 세척수로 재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도 1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처리기는 싱크대(S)와 연결되는 이송관(22)과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되는 이송관(22)을 별도로 마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장치(2)의 유입부(2111a)는 각각의 이송관(22)이 장착되는 복수의 유입부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장치(2)의 내부는 구획되어 싱크대(S)와 연결되는 이송관(22)과 결합되는 부분 및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되는 이송관(22)과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이송 스크류(22) 역시 각 부분에 배치될 수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장치(2)의 일 측은 싱크대(S)와 연결되어 싱크대(S)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도록 마련되고, 분리된 물을 배수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리 장치(2)의 타 측은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D)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분리하도록 마련되고, 분리된 물을 식기 세척기(D)의 섬프(32)로 연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싱크대(S)로부터 유입된 물은 재사용하지 않고 식기 세척기(D)로부터 유입된 물은 재사용하는 음식물처리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분리 장치(2)는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의 분리 장치(2) 중 하나의 분리 장치(2)는 싱크대(S)의 배수관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분리 장치(2) 중 다른 분리 장치(2)는 식기 세척기(D)와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분리 장치(2)는 상술한 하우징(21), 이송 스크류(22), 필터(23), 스크류 구동부(24)를 포함하여 싱크대(S)와 식기 세척기(D)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와 물을 별도로 이송 및 분리시키되 하나의 보관 컨테이너(1)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통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보관 컨테이너
2; 분리 장치
21; 펌프
22; 이송관
23; 순환관
24; 연결관
F; 음식물 처리기
D; 식기 세척기
S; 싱크대
21; 하우징
22; 이송스크류
23; 필터
24; 스크류구동부
31; 터브
32; 섬프
33; 순환펌프
34; 분사유닛
212; 배출노즐
2112a; 액체배출부

Claims (20)

  1. 식기세척기로부터 음식물쓰레기가 포함된 세척수가 이송되도록 상기 식기세척기와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세척수가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세척수로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상기 분리장치와 결합되고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처리되도록 마련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분리된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분리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식기세척기의 섬프와 연결되는 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와 상기 분리장치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음식물 처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가 순환 모드인 경우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순환관을 통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기 섬프로 유입되고, 상기 섬프와 연결되는 순환펌프에 의해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기 터브로 재유입되어 순환되는 음식물 처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의 상기 순환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섬프로 유입된 상기 물이 상기 섬프와 연결된 배수부로 배수되는 음식물 처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상기 보관 컨테이너를 향해 이송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이송 스크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물을 분리하여 여과시키도록 마련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바디; 및
    상기 보관 컨테이너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 컨테이너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출 노즐;을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상부로 연장되고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부; 및
    상기 하우징 바디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필터에 의해 분리된 상기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액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노즐의 상기 배출구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 축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액체 배출부는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 반경 방향에 형성되는 음식물 처리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노즐은
    상기 하우징 바디에 결합되는 바디결합부; 및
    상기 바디 결합부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단면이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이송 스크류에 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류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외부 하우징; 및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분쇄 되도록 마련되는 분쇄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분쇄 장치가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보관 컨테이너의 일 측에 편향되어 장착되는 음식물 처리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상기 분쇄 장치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탈취 장치;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싱크대의 배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와 물을 이송하도록 마련되는 음식물 처리기.
  16. 싱크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배수관과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음식물이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을 각각 분리하는 분리장치; 및
    상기 분리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분리장치로부터 분리된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유입되어 처리되도록 마련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이송관과 결합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보관 컨테이너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배출 노즐; 및
    상기 배출 노즐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물이 배출되는 액체 배출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배출노즐의 상기 배출구를 향해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이송스크류의 원주 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쓰레기로부터 상기 물을 분리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19. 싱크대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고 식기세척기로부터 배출된 음식물쓰레기와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싱크대의 배수관 및 상기 식기세척기의 터브와 각각 연결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을 통해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이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이송관에 장착되는 펌프;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으로부터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상기 물을 분리하는 분리 장치; 및
    일 측에 상기 분리 장치가 결합되는 보관 컨테이너로서, 상기 분리 장치로부터 배출된 상기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 장치를 포함하는 보관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 컨테이너는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 장치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음식물 처리기.
KR1020210130417A 2021-09-30 2021-09-30 음식물 처리기 KR20230046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17A KR20230046869A (ko) 2021-09-30 2021-09-30 음식물 처리기
PCT/KR2022/010209 WO2023054867A1 (ko) 2021-09-30 2022-07-13 음식물 처리기
US17/876,865 US20230096648A1 (en) 2021-09-30 2022-07-29 Food waste dispo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17A KR20230046869A (ko) 2021-09-30 2021-09-30 음식물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869A true KR20230046869A (ko) 2023-04-06

Family

ID=8578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417A KR20230046869A (ko) 2021-09-30 2021-09-30 음식물 처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6869A (ko)
WO (1) WO202305486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73B1 (ko) * 2004-10-1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07981A (ko) * 2006-07-19 2008-01-23 최진석 폐음식물 처리기능을 겸한 식기세척기
KR101424187B1 (ko) * 2014-06-10 2014-07-28 왕가연 세척수를 재활용하는 세척장치
KR101571034B1 (ko) * 2014-08-08 2015-11-23 인효열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CA3011856C (en) * 2018-07-16 2019-07-16 Anvy Technologies Inc. Organic waste separator for under a si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867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83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US8673090B2 (en) Dishwasher
KR100204249B1 (ko)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US11576551B2 (en) Water-conducting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KR101431899B1 (ko) 곡물세척장치
KR20100048467A (ko) 식기세척기
JP5736416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83891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1720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11831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US20090266381A1 (en) Portable wash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KR10188100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230046869A (ko) 음식물 처리기
KR10157103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US20230096648A1 (en) Food waste disposer
KR101746184B1 (ko) 음식물분쇄건조처리기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US2764169A (en) Dishwashing machine
KR20070026895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1096266A (ja) 生ゴミ処理機
JP7241267B2 (ja) 洗濯機及び制御方法
KR20180009133A (ko) 씽크볼 및 조리작업받침판 기능이 있는 식기거치대를 가진 음식물2차분쇄발효소멸기 일체형 다용도 식기세척기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