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661A -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661A
KR20230046661A KR1020210129896A KR20210129896A KR20230046661A KR 20230046661 A KR20230046661 A KR 20230046661A KR 1020210129896 A KR1020210129896 A KR 1020210129896A KR 20210129896 A KR20210129896 A KR 20210129896A KR 20230046661 A KR20230046661 A KR 20230046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fire
fire extinguishing
valve memb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661A/ko
Publication of KR20230046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72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prayed or atomised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2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arrangements of electric heaters for heating an intermediat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33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 B60H1/32331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densed liquid drainage means comprising means for the use of condensed liquid, e.g. for humidification or for improving condense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차량의 에어컨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상기 엔진룸 내에 분사하는 분사배관;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배관으로 응축수를 전달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응축수를 상기 분사배관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룸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엔진룸 온도센서;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룸 내에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 상기 화재 감지센서, 상기 외기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Cooling and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engine room of vehicle}
본 발명은, 예컨대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의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의 발생 전 엔진룸의 분위기 온도를 낮추어 냉각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이 과열되거나,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진이 과열되거나, 전기 계통에 문제가 발생하면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며, 충돌사고 시에도 차량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엔진 또는 전동기가 배치된 엔진룸과 같이 긴급을 요하면서도 대처하기 힘든 위치의 화재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엔진룸의 과열이나 화재를 탐지하여 대처하는 방안이 제안되어 있지만,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의 경우에 정확하게 엔진룸의 과열 내지 화재를 탐지하기 어렵고, 소화 장치의 경우에는 비용이 과다하여 소비자가 선호하지 않으며, 통상 화재가 발생한 뒤 작동되도록 설계되어 차량 또는 그 부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2012-0009050 A
본 발명은, 예컨대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의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의 발생 전 엔진룸의 분위기 온도를 낮추어 냉각할 수 있는,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차량의 에어컨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상기 엔진룸 내에 분사하는 분사배관;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배관으로 응축수를 전달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응축수를 상기 분사배관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룸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엔진룸의 과열을 판단 가능하게 하는 엔진룸 온도센서;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룸 내에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 상기 화재 감지센서, 상기 외기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탱크에는 레벨센서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엔진룸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응축수 탱크와 상기 연결배관 사이에 위치한 제1 밸브부재; 및 상기 분사배관과 상기 연결배관 사이에 위치한 제2 밸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난방 회로의 난방수용 연결배관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는 삼방밸브로 될 수 있다.
상기 난방 회로는, 난방수원의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워터 펌프; 상기 워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수가열기; 상기 수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를 히터 코어에 순환시켜 온풍을 생성하는 상기 차량의 실내용 히터 유닛; 및 상기 워터 펌프, 상기 수가열기 및 상기 히터 유닛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부재의 제1 포트는 상기 응축수 탱크 측에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난방 회로의 워터 펌프 측에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히터 유닛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밸브부재의 제1 포트는 상기 분사배관에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난방 회로의 워터 펌프 측에 연결되고, 제3 포트는 상기 수가열기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로부터 시간 데이터를 얻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알람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아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냉각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냉각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응축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냉각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냉각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2 냉각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상기 제1 냉각 모드보다 높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응축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냉각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의 과열 경고부가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응축수의 어는점을 초과하고, 상기 응축수 탱크의 레벨센서로부터 상기 응축수 탱크 내 응축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소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소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상기 분사배관에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응축수의 어는점 이하인 것과, 상기 응축수 탱크의 레벨센서로부터 상기 응축수 탱크 내 응축수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소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소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상기 제1 소화 모드보다 높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상기 난방 회로의 일부 난방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소화모드 또는 상기 제2 소화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여전히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3 소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3 소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상기 제2 소화 모드와 동일한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상기 난방 회로의 난방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3 소화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여전히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의 화재 경고부가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미 차량에 적용되어 있는 에어컨의 응축수 또는 난방 회로의 난방수를 이용할 수 있어, 냉각 및 소화장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의 발생 전 엔진룸의 분위기 온도를 낮추어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화재를 방지하고 차량 및 부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하절기의 과열로 인해 차량의 엔진룸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초기에 진압 내지 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은 물론 인명의 피해를 없게 하거나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모드별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은 사람 또는 동물, 물건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차량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냉각 및 소화 장치가 예를 들면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에 설치된 예를 위주로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그 적용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구성요소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에 의해 순서나 크기, 위치, 중요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명명된다.
또한, 방향과 관련되어 사용된 용어 "앞", "뒤", "위", "상부", "아래", "하부" 등은 차량 또는 차체를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내부공간에 승객이 탑승하는 실내가 구획될 수 있으며, 승객은 실내의 데크에 장착된 좌석(미도시)에 앉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후방에는 엔진룸(2)이 구획될 수 있으며, 엔진룸 내에는 엔진 또는 전동기(3)가 탑재될 수 있다.
차량(1)에는 에어컨(10)이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여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냉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은 차체의 길이가 길고 내부공간이 넓기 때문에 대용량의 에어컨을 필요로 하고, 이러한 요구는 차량(1)의 내부나 엔진룸(2) 등에 에어컨의 장착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차량의 에어컨은 차량의 지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붕형 에어컨(10)은, 케이스(11), 응축기(12), 및 증발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지붕에 케이스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예를 들어 케이스 내 앞쪽에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가 장착되고, 응축기의 바로 뒤쪽에 냉매를 증발시켜 차량 내부의 열을 빼앗아 실제 냉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가 위치될 수 있다.
케이스(11) 내 공기 유로 상에 증발기(13)가 설치되고, 증발기의 내부를 흐르는 냉매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서로 열교환하여, 증발기는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의 냉매는 압축기(미도시)에 의해 응축기(12)로 보내어지고 다시 증발기로 순환될 수 있다.
케이스(11)의 하부에는 증발기(13)에서 열교환 중에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드레인 홀에는 튜브(14)가 연결되어, 응축수를 안내하고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튜브는 변형이 쉬운 플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에어컨(10)의 작동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엔진룸(2)의 과열 부위를 냉각시키고 심지어 화재의 발생시 화재를 진압 내지 소화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응축수 탱크(20), 분사배관(30), 연결배관(40), 밸브부재(41, 42), 엔진룸 온도센서(51), 화재 감지센서(52), 외기 온도센서(53), 제어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탱크(20)는 튜브(14)를 매개로 하여 에어컨(10)에 연결되어, 에어컨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집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응축수 탱크는 예컨대 차량(1)에서 지붕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응축수 탱크(20)의 상부 일측은 튜브(14)의 단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저장된 응축수를 방출하는 제1 밸브부재(4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는 응축수 탱크(20)와 연결배관(40) 사이에 위치하고, 응축수 탱크에 저장된 응축수는 제1 밸브부재의 개폐 작동에 따라 연결배관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응축수 탱크(20)의 상부 타측에는 오버플로우관(21)이 연결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관의 일단은 응축수 탱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차량(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에어컨(10)의 증발기(13)로부터 생성되고 에어컨의 케이스(11)에 있는 드레인 홀로부터 배출된 응축수는 튜브(14)를 통해 응축수 탱크(20)에 모인다. 정상 모드에서, 응축수 탱크에 누적되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진 응축수는 오버플로우관(21)으로 월류될 수 있다. 이어서 월류된 응축수는 차량(1)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탱크(20)에는 레벨센서(22)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벨센서로는 응축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부력을 가진 부유체(미도시)가 포함된 센서가 채용될 수 있지만, 레벨센서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분사배관(30)은 차량(1)의 엔진룸(2)에 설치되어, 연결배관(40)을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를 엔진룸 내에 분사할 수 있다. 분사배관은 엔진룸의 내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분사배관(30)은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3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노즐은 분사배관의 하측에 형성되어 분사배관의 내부와 연통됨으로써, 분사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응축수가 아래로 분사되게 한다.
이와 같이 분사배관(30)이 엔진룸(2)의 내부 상측에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엔진룸의 내부에 탑재되어 작동하는 엔진 또는 전동기(3)의 어느 부위에서 과열 또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냉각 또는 화재의 진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분사배관(30)과 연결배관(40)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연결배관 내 응축수 또는 후술하는 난방수를 분사배관으로 방출할 수 있는 제2 밸브부재(4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연결배관(40)으로서 차량에 이미 설치된 난방 회로(4)의 난방수용 연결배관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방 회로(4)는, 난방수를 수용하는 난방수원, 난방수원의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워터 펌프(43), 워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수가열기(44), 수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를 히터 코어에 순환시켜 온풍을 생성하는 차량의 실내용 히터 유닛(45); 및 이들 구성요소를 연결하는 연결배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및 소화 장치가 난방 회로(4)의 연결배관(40)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술한 제1 밸브부재(41)와 제2 밸브부재(42)는 연결배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제1 밸브부재와 제2 밸브부재로는 각각 삼방밸브가 채용될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의 제1 포트(411)는 응축수 탱크(20) 측에 연결되고, 제2 포트(412)는 난방 회로(4)의 워터 펌프(43)의 유입 측에 연결되며, 제3 포트(413)는 차량(1)의 실내용 히터 유닛(45)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부재(42)의 제1 포트(421)는 분사배관(30)에 연결되고, 제2 포트(422)는 난방 회로(4)의 워터 펌프(43)의 유출 측에 연결되며, 제3 포트(423)는 수가열기(44)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워터 펌프(43)는 차량(1)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난방 회로(4) 내 난방수를 순환시키거나, 제1 밸브부재(41)에 의해 유입된 응축수를 유동시키는 전동 워터 펌프(electric water pump)일 수 있다.
수가열기(44)는 예를 들어 차량(1)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내부로 난방수가 순환하도록 하면서 순환하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가열기(44)는, 난방수를 저장하면서 난방수가 순환하도록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난방수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가열기의 하우징이 난방수원으로 되며, 다시 말해 수가열기와 난방수원이 일체로 될 수 있다.
혹은, 수가열기(44)는 예를 들어 연료를 연소시킨 연소열로 엔진으로부터 유입된 냉각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연료는 별도의 보조 연료 탱크를 통해 공급하거나 차량 자체의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할 수 있으며, 가열된 냉각수가 난방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가열기(44)가 엔진에 연결되어 엔진으로부터 난방수를 공급받는 경우에는 엔진이 난방수원으로 되며, 수가열기는 소위 프리히터(preheater)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 펌프(43)와 수가열기(44)는 엔진룸(2) 내에 배치될 수 있으나, 그 배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엔진룸 온도센서(51)는 엔진룸(2)에 설치되어, 엔진룸 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엔진룸 내의 과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화재 감지센서(52)는 엔진룸(2)에 설치되어, 엔진룸 내에서 엔진 또는 전동기(3)의 과열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재 감지센서로는 화재시 발생하는 예컨대 일산화탄소와 같은 가스 등의 생성물을 감지할 수 있는 가스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혹은,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의 존재를 검출하고 화염을 살펴볼 수 있는 광센서나 영상센서가 화재 감지센서로 채용될 수도 있다.
엔진룸 온도센서(51)와 화재 감지센서(52)는 엔진룸(2)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나 연기는 대류와 복사에 의해 상승하기 때문이다.
외기 온도센서(53)는 차량(1)에 설치되어,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기 온도센서는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에 인접한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기 온도센서(53)에 의해 감지된 외기의 온도에 따라, 제어부(50)는 에어컨으로부터의 응축수가 사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컨(10)의 응축수와 난방 회로(4)의 난방수 중 하나가 선택되어 분사배관(3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밸브부재(41, 42)와 워터 펌프(43)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레벨센서(22), 엔진룸 온도센서(51), 화재 감지센서(52), 외기 온도센서(5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제1 밸브부재(41),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구성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는 각각 관련된 부품에 전원 및 동작 제어를 제공하는 복수의 전기 및 전자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그램 가능 처리유닛,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50)는, 차량의 전자 제어부(ECU, Electronic Control Unit)에 병합되거나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제어부(50)는 타이머(54)를 포함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로부터 시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된 알람부(55)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부는 과열 경고부와 화재 경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알람을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에 있는 운전자 또는 승객에게 과열 내지 화재의 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는 엔진룸 온도센서(51), 화재 감지센서(52), 외기 온도센서(5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제1 밸브부재(41),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 알람부(55) 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예를 들어 화재의 발생 전 엔진룸(2)의 냉각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1 밸브부재(41)를 작동시켜 연결배관(40)으로 에어컨(10)의 응축수가 유입되게 하고, 워터 펌프(43)와 함께 제2 밸브부재(42)를 작동시켜 연결배관으로 유입된 응축수를 분사배관(30)으로 공급하여 엔진룸에 분사함으로써 엔진룸의 분위기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이미 차량에 적용되어 있는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할 수 있어, 냉각 및 소화장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의 발생 전 엔진룸의 분위기 온도를 낮추어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화재를 방지하고 차량 및 부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예를 들어 화재의 발생 시 엔진룸(2)의 화재를 진압 내지 소화시킬 경우에, 에어컨(10)의 응축수만으로는 진화 능력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의 응축수보다 용량이 훨씬 더 풍부한 난방 회로(4)의 난방수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밸브부재(41)에 의해 에어컨(10)의 응축수가 연결배관(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워터 펌프(43)와 함께 제2 밸브부재(42)를 작동시켜 난방 회로(4)의 난방수를 분사배관(30)으로 공급하여 엔진룸에 분사함으로써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고 소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는, 이미 차량에 적용되어 있는 난방 회로의 난방수를 이용할 수 있어, 냉각 및 소화장치를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엔진룸에서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및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 및 소화 장치의 작동모드에 대해 상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작동모드 및 해당 모드의 각 단계는, 차량에서 소요되는 에너지, 냉각 또는 소화 이후의 차량 상태 및 손상 정도, 정상 상태로의 복구 가능 여부 등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경 또는 분할되거나 복수의 모드가 통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의 작동을 나타내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에서 모드별 작동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정상 모드를 나타낸다. 정상 모드에서는, 차량(1)은 정상 주행 상태이고, 엔진룸 온도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엔진룸(2) 내 온도가 제1 온도, 예컨대 150℃ 이하이다. 하절기인 경우에 에어컨(10)은 냉방을 수행하는 한편, 동절기인 경우에 난방 회로(3)는 난방을 위해 가동될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의 제1 포트(411)는 폐쇄되고, 제2 포트(412)와 제3 포트(413)를 연통시킨다. 이로써, 에어컨(10)이 작동될 때, 에어컨으로부터의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20)에 저장되고, 일정 수위 이상으로 채워진 응축수는 오버플로우관(21)으로 월류되어 차량(1)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제2 밸브부재(42)의 제1 포트(421)는 폐쇄되고, 제2 포트(422)와 제3 포트(423)를 연통시킨다. 이로써, 난방 회로(3)가 선택적으로 가동되고, 난방 회로의 난방수는 수가열기(44)에서 가열되어 연결배관을 통해 차량(1)의 실내용 히터 유닛(45)에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난방수를 순환시키기 위해 워터 펌프(43)가 작동될 수 있다.
도 4는 제1 냉각 모드, 제2 냉각 모드, 또는 제1 소화 모드를 나타낸다.
엔진룸 온도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엔진룸(2) 내 온도가 제1 온도, 예컨대 150℃를 초과하면, 제어부(50)는 화재 감지센서(52)로부터 화재 발생 여부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화재 감지센서(52)에 의해 화재가 아닌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알람부(55)의 과열 경고부에 신호를 보내어 "과열 레벨 1"의 알람을 발생시키고, 제1 냉각 모드를 실행한다.
제1 냉각 모드는 차량(1)의 엔진룸(2)을 최소한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50)는 워터 펌프(43)를 예컨대 3,000RPM 정도의 낮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의 개폐되는 포트를 변경하여, 최소한의 응축수로 엔진룸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는 제어부(50)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체가 회전되게 제어되어, 제3 포트(413)는 폐쇄되고, 제1 포트(411)와 제2 포트(412)를 연통시킨다.
제2 밸브부재(42)는 제어부(50)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체가 회전되게 제어되어, 제3 포트(423)는 폐쇄되고, 제1 포트(421)와 제2 포트(422)를 연통시킨다.
이로써, 에어컨(10)으로부터 배출되어 응축수 탱크(20)에 저장된 응축수는 워터 펌프(43)의 작동에 의해 난방 회로(4)의 연결배관(40)을 거쳐 분사배관(30)으로 공급되고, 분사배관의 노즐(31)을 통해 엔진룸(2) 내로, 그리고 주요 발열 부위인 엔진 또는 전동기(3) 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0)으로부터의 응축수가 엔진룸(2)의 분위기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가 제1 냉각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 이내에, 엔진룸 온도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엔진룸(2) 내 온도가 부품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정도의 제2 온도로, 예컨대 100℃ 미만으로 떨어지면, 제어부는 과열 경고부에서 "과열 레벨 1"의 알람을 오프(off)시키도록 제어한다.
차량(1)은 정상 주행이 가능하고,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는 정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50)가 제1 냉각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이 소요되었음에도 엔진룸 온도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엔진룸(2) 내 온도가 제2 온도, 예컨대 100℃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2 냉각 모드를 실행한다.
제2 냉각 모드는 차량(1)의 엔진룸(2)을 최대로 냉각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로서, 제어부(50)는 워터 펌프(43)를 예컨대 5,000RPM 정도의 높은 회전수로 작동시킴으로써, 응축수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엔진룸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2 냉각 모드에서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의 개폐되는 포트는 제1 냉각 모드와 동일하다.
이로써, 에어컨(10)으로부터 배출되어 응축수 탱크(20)에 저장된 응축수는 워터 펌프(43)의 회전수가 증대됨에 따라 난방 회로(3)의 연결배관(40)을 거쳐 분사배관(30)으로 공급되는 유량이 증가된다. 분사배관의 노즐(31)을 통해, 제1 냉각 모드보다 더 많은 응축수가 엔진룸(2) 내로, 그리고 주요 발열 부위인 엔진 또는 전동기(3) 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0)으로부터의 응축수가 엔진룸(2)의 분위기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가 제2 냉각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 이내에, 엔진룸 온도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엔진룸 내 온도가 정상적으로 난방할 때와 유사하고 안정적인 제3 온도로, 예컨대 80℃ 미만으로 떨어지면, 제어부는 과열 경고부에서 "과열 레벨 1"의 알람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차량(1)은 정상 주행이 가능하고,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는 정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50)가 제2 냉각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이 소요되었음에도 엔진룸 온도센서(51)에 의해 측정된 엔진룸(2) 내 온도가 안정적인 제3 온도, 예컨대 80℃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심각한 과열 상태로 판단하여, 알람부(55)의 과열 경고부에서 "과열 레벨 2"의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과열 레벨 2"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냉각 및 소화 장치에 의해 과열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한 장소로 승객을 대피시키고 차량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한편, 화재 감지센서(52)에 의해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알람부(55)의 화재 경고부에 신호를 보내어 "화재 레벨 1"의 알람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제어부(50)는 외기 온도센서(53)로부터 외기의 온도가 0℃를 초과하는지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는 응축수의 어는점을 고려하여 응축수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외기 온도센서(53)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응축수의 어는점, 예컨대 0℃를 초과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응축수 탱크(20)의 레벨센서(22)로부터 응축수 탱크 내 응축수의 존재 여부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레벨센서(22)에 의해 응축수 탱크(20) 내 응축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50)는 제1 소화 모드를 실행한다.
제1 소화 모드는 차량(1)의 엔진룸(2)을 최소로 소화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상태로서, 제어부(50)는 워터 펌프(43)를 예컨대 5,000RPM 정도의 높은 회전수로 작동시킴으로써, 응축수만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엔진룸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는 제어부(50)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체가 회전되게 제어되어, 제3 포트(413)는 폐쇄되고, 제1 포트(411)와 제2 포트(412)를 연통시킨다.
제2 밸브부재(42)는 제어부(50)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체가 회전되게 제어되어, 제3 포트(423)는 폐쇄되고, 제1 포트(421)와 제2 포트(422)를 연통시킨다.
이로써, 에어컨(10)으로부터 배출되어 응축수 탱크(20)에 저장된 응축수는 워터 펌프(43)의 작동에 의해 난방 회로(3)의 연결배관(40)을 거쳐 분사배관(30)으로 공급되고, 분사배관의 노즐(31)을 통해 엔진룸(2) 내로, 그리고 주요 화재 발생 부위인 엔진 또는 전동기(3) 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컨(10으로부터의 응축수가 엔진룸(2)의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가 제1 소화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 이내에, 화재 감지센서(52)에 의해 화재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화재 경고부에서 "화재 레벨 1"의 알람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차량(1)은 정상 주행이 가능하고,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는 정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하지만, 외기 온도센서(53)에 의해 외기의 온도가 0℃ 이하인 것과, 레벨센서(22)로부터 응축수 탱크(20) 내 응축수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제어부(50)는 제2 소화 모드를 실행한다.
도 5는 제2 소화 모드를 나타낸다. 제2 소화 모드는 동절기에 응축수를 활용할 수 없는 조건이거나 응축수만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실행되는 모드로서, 제어부(50)는 워터 펌프(43)를 예컨대 5,500RPM 정도로 거의 최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제1 밸브부재(41)의 개폐되는 포트를 변경하여, 난방 회로(4) 중 연결배관(40)의 일부에 있는 난방수로 엔진룸(2)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는 제어부(50)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체가 회전되게 제어되어, 제2 포트(412)는 폐쇄되고, 제1 포트(411)와 제3 포트(413)를 연통시킨다.
제2 밸브부재(42)는 제1 소화 모드에서 밸브체의 위치를 유지한다. 즉, 제3 포트(423)는 폐쇄되고, 제1 포트(421)와 제2 포트(422)를 연통시킨다.
이로써, 연결배관(40) 중 제1 밸브부재(41)와 제2 밸브부재(42)의 사이에 있는 난방수는 워터 펌프(43)의 작동에 의해 분사배관(30)으로 공급되고, 분사배관의 노즐(31)을 통해 엔진룸(2) 내로, 그리고 주요 화재 발생 부위인 엔진 또는 전동기(3) 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 회로(4)의 일부 난방수가 엔진룸(2)의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가 제2 소화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 이내에, 화재 감지센서(52)에 의해 화재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화재 경고부에서 "화재 레벨 1"의 알람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차량(1)은 정상 주행이 가능하고,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는 정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또, 화재의 진압 후에 차량의 실내에서 난방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어부(50)가 제1 소화 모드 또는 제2 소화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이 소요되었음에도 화재 감지센서(52)에 의해 여전히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3 소화 모드를 실행한다.
도 6은 제3 소화 모드를 나타낸다. 제3 소화 모드는 제2 소화 모드에 의해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에 실행되는 모드로서, 제어부(50)는 워터 펌프(43)를 예컨대 5,500RPM 정도로 거의 최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제1 밸브부재(41)의 개폐되는 포트를 변경하여, 난방 회로(4)의 모든 난방수로 엔진룸(2)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제1 밸브부재(41)는 제어부(50)에 의해 예를 들면 밸브체가 회전되게 제어되어, 제1 포트(411)는 폐쇄되고, 제2 포트(412)와 제3 포트(413)를 연통시킨다.
제2 밸브부재(42)는 제2 소화 모드에서 밸브체의 위치를 유지한다. 즉, 제3 포트(423)는 폐쇄되고, 제1 포트(421)와 제2 포트(422)를 연통시킨다.
이로써, 난방 회로(4) 내에 있는 모든 난방수가 워터 펌프(43)의 작동에 의해 분사배관(30)으로 공급되고, 분사배관의 노즐(31)을 통해 엔진룸(2) 내로, 그리고 주요 화재 발생 부위인 엔진 또는 전동기(3) 쪽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방 회로(4)의 난방수가 엔진룸(2)의 화재를 소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가 제3 소화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 이내에, 화재 감지센서(52)에 의해 화재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화재 경고부에서 "화재 레벨 1"의 알람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제1 밸브부재(41) 및 제2 밸브부재(42), 워터 펌프(43)는 정상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차량(1)은 정상 주행이 가능할 수도 있지만, 화재의 진압 후에 차량의 실내에서 난방이 불가능하므로, 적어도 난방 회로에 대한 정비가 요구된다.
제어부(50)가, 제3 소화 모드로 진입한 후 일정 시간(예를 들어 약 100초)이 소요되었음에도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여전히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는 심각한 화재로 판단하여, 알람부(55)의 화재 경고부에서 "화재 레벨 2"의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화재 레벨 2"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냉각 및 소화 장치에 의해 화재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안전한 장소로 승객을 대피시키고 차량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엔진룸 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 초기에 진압 내지 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은 물론 인명의 피해를 없게 하거나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2: 엔진룸
3: 전동기 4: 난방 회로
10: 에어컨 11: 케이스
12: 응축기 13: 증발기
14: 튜브 20: 응축수 탱크
21: 오버플로우관 22: 레벨센서
30: 분사배관 31: 노즐
40: 연결배관 41: 제1 밸브부재
42: 제2 밸브부재 43: 워터 펌프
44: 수가열기 45: 히터 유닛
50: 제어부 51: 엔진룸 온도센서
52: 화재 감지센서 53: 외기 온도센서
54: 타이머 55: 알람부

Claims (15)

  1. 차량의 에어컨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컨으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응축수 탱크;
    상기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되어 응축수를 상기 엔진룸 내에 분사하는 분사배관;
    상기 응축수 탱크로부터 상기 분사배관으로 응축수를 전달하는 연결배관;
    상기 연결배관에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응축수를 상기 분사배관에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부재;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고, 상기 엔진룸 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엔진룸의 과열을 판단 가능하게 하는 엔진룸 온도센서;
    상기 엔진룸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룸 내에서 화재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외기 온도센서; 및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 상기 화재 감지센서, 상기 외기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탱크에는 레벨센서가 설치되어, 응축수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배관은 상기 엔진룸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응축수 탱크와 상기 연결배관 사이에 위치한 제1 밸브부재; 및
    상기 분사배관과 상기 연결배관 사이에 위치한 제2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난방 회로의 난방수용 연결배관을 이용하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는 삼방밸브인 냉각 및 소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 회로는,
    난방수원의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워터 펌프;
    상기 워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난방수를 가열하는 수가열기;
    상기 수가열기에 의해 가열된 난방수를 히터 코어에 순환시켜 온풍을 생성하는 상기 차량의 실내용 히터 유닛; 및
    상기 워터 펌프, 상기 수가열기 및 상기 히터 유닛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부재의 제1 포트는 상기 응축수 탱크 측에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난방 회로의 워터 펌프 측에 연결되며, 제3 포트는 상기 히터 유닛 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밸브부재의 제1 포트는 상기 분사배관에 연결되고, 제2 포트는 상기 난방 회로의 워터 펌프 측에 연결되고, 제3 포트는 상기 수가열기 측에 연결된 냉각 및 소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포함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타이머로부터 시간 데이터를 얻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알람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냉각 및 소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아닌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냉각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냉각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응축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냉각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2 온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냉각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2 냉각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상기 제1 냉각 모드보다 높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응축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2 냉각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3 온도 이상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의 과열 경고부가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응축수의 어는점을 초과하고, 상기 응축수 탱크의 레벨센서로부터 상기 응축수 탱크 내 응축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소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1 소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탱크 내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상기 분사배관에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룸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엔진룸 내 온도가 소정의 제1 온도를 초과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며,
    상기 외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된 외기의 온도가 응축수의 어는점 이하인 것과, 상기 응축수 탱크의 레벨센서로부터 상기 응축수 탱크 내 응축수가 없는 것으로 감지되는 것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상기 제어부는 제2 소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2 소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상기 제1 소화 모드보다 높은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상기 난방 회로의 일부 난방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1 소화모드 또는 상기 제2 소화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여전히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3 소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제3 소화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터 펌프를 상기 제2 소화 모드와 동일한 회전수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부재와 상기 제2 밸브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분사배관에 상기 난방 회로의 난방수를 공급하여 상기 엔진룸 내로 분사되게 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제3 소화 모드의 실행에도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여전히 화재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의 화재 경고부가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냉각 및 소화 장치.

KR1020210129896A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KR20230046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896A KR20230046661A (ko)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896A KR20230046661A (ko)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661A true KR20230046661A (ko) 2023-04-06

Family

ID=8591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896A KR20230046661A (ko) 2021-09-30 2021-09-30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66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9982B2 (en) Vehicle device temperature adjustment system
US9493054B2 (en) Vehicle HVAC control system
JP2937406B2 (ja) 冷却装置
US8285443B2 (en) Controller for vehicle
US20150362268A1 (en) Cooling medium circulat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 medium circulating apparatus
KR20130099048A (ko) 차량 내 배터리를 원하는 작동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장치
JP200527169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1265444A (ja) 暖房装置
US9683774B2 (en) Cooling storage evaporator system for vehicle climate control
WO2020235263A1 (ja) 車両搭載機器の温度調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6928237B2 (en) Fluid heating apparatus
JP2013203254A (ja) 電気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KR20230046661A (ko) 차량의 엔진룸을 위한 냉각 및 소화 장치
JPH1142934A (ja) 空気調和装置
US201602658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bsorption Cooling Units
JP2769670B2 (ja) 便 器
JP6388549B2 (ja) 温水加熱システム
JP2006274897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6523146B2 (ja) 浴室暖房機
JP6487235B2 (ja) 温水加熱システム
EP1051305B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vehicle
KR101494257B1 (ko) 열병합 발전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222851B1 (ko) 차량 냉방 장치의 냉매 자동 배출 및 충전 장치 및 그 방법
JP6801991B2 (ja) 暖房装置
JPH0370625A (ja) 自動車用加湿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