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642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642A
KR20230046642A KR1020210129852A KR20210129852A KR20230046642A KR 20230046642 A KR20230046642 A KR 20230046642A KR 1020210129852 A KR1020210129852 A KR 1020210129852A KR 20210129852 A KR20210129852 A KR 20210129852A KR 20230046642 A KR20230046642 A KR 20230046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er
main body
guide
air flow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4067B1 (ko
Inventor
김규목
윤종서
이원일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210129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406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증기를 생성하는 무화부 및 증기가 가습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무화될 액체를 보관하는 수조; 무화된 증기 및 건조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 및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을 감싸는 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 상기 수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이하 실시 예들은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게 무화 입자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실내의 건조한 공기가 인체의 호흡기로 들어옴에 따른 호흡기 질환 또는 건조한 공기에 의한 피부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습기 내부의 고온고습한 증기 및 공기가 유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가습기 본체와 접촉하면 응결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습기 사용 후 기기의 세척 또는 수리 등의 목적으로 부품을 분리할 때에 응결된 액체 방울들이 떨어지는 불상사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5491호는 가습기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가습기 내부의 고온고습한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유동을 발생시키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가습기 본체부에 배치되는 액체가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살균, 가열, 무화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가습기 하우징을 분리할 때 응결된 액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증기를 생성하는 무화부 및 증기가 가습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무화될 액체를 보관하는 수조; 무화된 증기 및 건조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 및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을 감싸는 하우징; 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 상기 수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형성된 무화를 분출하는 무화 개구; 및 상기 송풍부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일부인 건조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는 건조 개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형성된 무화를 상기 가습기의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실린더;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무화 개구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최상단에 위치되며, 상기 건조 개구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개구를 통해 흘러나온 건조 공기 흐름은 상기 공간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의 액체를 가열하여 무화의 생성을 촉진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건조 개구는 상기 히터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는 제1 구획 및 제2 구획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구획 및 상기 제2 구획을 구분하는 구분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구획은 상기 가이드 실린더와 유체소통하며, 상기 제2 구획에 상기 건조 개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의 하단에 상기 무화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구획의 하단에 상기 송풍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개구는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건조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부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5% 이상 15% 이하의 유량이 상기 건조 개구를 통과할 수 있으며, 나머지 공기 흐름은 무화된 증기와 함께 상기 무화 개구를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기 내부의 고온고습한 공기가 정체되지 않도록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기 본체부에 배치되는 액체가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과정에서 살균, 가열, 무화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는 가습기 하우징을 분리할 때 응결된 액체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가습기에서 하우징을 탈착한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a에 따른 가습기에서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보여주는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의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따른 가습기의 가이드부의 저면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따른 가습기의 가이드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따른 가습기에서 건조 개구를 통해 흐르는 건조 공기 흐름의 방향을 도시한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1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1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10)는 본체부(100), 수조(200), 가이드부(300) 및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증기를 생성하는 무화부(142) 및 증기가 가습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144)를 포함할 수 있고, 본체부(100) 내의 액체를 가열하여 무화의 생성을 촉진하는 히터(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조(200)는 본체부(100)에 배치되며, 가습기(10)에서 무화되는 액체를 보관할 수 있다.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또한, 액체 내에는 라벤더, 스피아민트, 만다린 내지 시트로렐라 등의 향미제 또는 아로마 오일이 포함될 수 있다. 수조(200)에서 액체가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의 상부에 리드(lid)(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300)는 본체부(100)의 무화부(142)에서 무화된 증기 및 송풍부(14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400)은 본체부(100)와 결합되어 가습기(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감싸서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상부에는, 수조(200)의 액체를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수조(200)의 둘레와 꼭 맞는 제1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300)를 따라 안내된 증기가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300)의 상단과 유체소통 가능한 제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가습기(10)의 본체부(100), 수조(200), 가이드부(300) 및 하우징(400)이 모두 결합되었을 때, 하우징(400)과 본체부(100), 수조(200) 및 가이드부(300)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공간(S)은 수조(200)의 측벽과 하우징(400)의 내벽 사이에서도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하우징(400) 내부에서 막힘없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10)의 본체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습기(10)의 본체부(100)는 제1 구획(120) 및 제2 구획(140)으로 구획화 될 수 있으며, 특히 제1 구획(120) 및 제2 구획(140)은 구분부(16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구분부(160)는 구분체(162) 및 격벽(164)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화부(142), 송풍부(144) 및 히터(146)는 제2 구획(140)에 배치될 수 있다. 무화부(142)는 가습기(10)의 본체부(100), 바람직하게는 제2 구획(140) 내의 액체를 미세하게 진동시켜 무화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44)는 모터에 의해 공기 흐름을 생성할 수 있으며, 무화부(142)의 진동에 의해 생성된 증기는 송풍부(14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을 따라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히터(146)는 가습기(10)의 본체부(100), 바람직하게는 제2 구획(140) 내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고, 가열된 액체는 그렇지 않은 액체에 비해 기화가 활발히 일어나 무화의 생성이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수위 감지 센서(122), 개폐 부재(124) 및 힌지(126)는 제1 구획(1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기(10)의 가이드부(300)의 사시도, 저면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부(300)는 본체부(100)에 결합되는 가이드 베이스(320) 및 가이드 베이스(3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실린더(3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320)는 본체부(100)의 제2 구획(140)에 꼭 맞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히터(146)에 의해 가열된 본체부(100)의 제2 구획(140)의 액체의 온도 유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 실린더(340)는 본체부(100)의 무화부(142)에서 형성된 증기가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부(300)는 무화 개구(VH) 및 건조 개구(DH)를 가질 수 있다. 무화 개구(VH)는 가습기(10)의 본체부(100)에서 형성된 증기가 배출되는 개구일 수 있다. 즉, 무화 개구(VH)는 가이드 실린더(340)의 최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건조 개구(DH)는 가습기(10)의 본체부(100)의 송풍부(14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일부인 건조 공기 흐름이 통과하는 개구일 수 있다. 건조 개구(DH)를 통해서 흘러나온 건조 공기 흐름은 하우징(400)과 본체부(100), 수조(200) 및 가이드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을 유동하며 응결된 액체 방울들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건조 개구(DH)는 가이드 베이스(32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건조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건조 개구(DH)를 통과한 건조 공기 흐름은 수조(200)의 측면을 따라 원을 그리며 유동할 수 있고, 이러한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되기 위해서는 건조 개구(DH)가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건조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건조 개구(DH)는 본체부(100)의 히터(146)를 향해 건조 공기 흐름이 유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히터(146)에 의해 본체부(100)의 액체가 가열되면 액체의 온도가 높아지며 주변 공기의 온도 또한 상승하여 액체 방울의 응결을 촉진할 수 있다. 이 때, 히터(146)를 향해 건조 공기 흐름이 유동하도록 건조 개구(DH)를 배치하면, 히터(146) 주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막아 액체 방울이 응결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a를 참조하면, 가이드 실린더(340)는 가이드 베이스(320)와 결합된 일 측에서부터 무화 개구(VH) 방향으로 갈수록 가이드 실린더(340)의 단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할 때, 무화된 증기 중 무화 개구(VH)까지 상승할 수 있을 정도로 가볍지 않은 액체 방울 입자들은 가이드 실린더(340)의 무화 개구(VH)로 이동하는 중에 가이드 실린더(340)의 내벽에 부딪혀 응결됨으로써 내벽을 타고 흘러내려올 수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가습기에서 배출되지 못한 무화 입자들이 액체 방울의 형태로 응결되어 자유낙하 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미세한 무화 입자들만이 무화 구멍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가이드 베이스(320)는 제1 구획(322) 및 제2 구획(32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구획(322)은 가이드 실린더(34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이드 실린더(340)와 유체소통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1 구획(322)의 하단에는 무화부(142)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무화부(142)에서 생성된 증기는 차례로 가이드 베이스(320)의 제1 구획(322) 및 가이드 실린더(340)를 거쳐 무화 개구(VH)를 통해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획(324)에는 건조 개구(DH)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가이드부(300)가 본체부(100)에 결합되었을 때, 제2 구획(324)의 하단에는 송풍부(144)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할 때, 본체부(100)의 송풍부(14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 베이스(320)의 제2 구획(324)을 거쳐 건조 개구(DH)를 통해 흘러 공간(S)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제1 구획(322) 및 제2 구획(324)은 구분벽(326)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가이드 베이스(320)는, 제1 구획(322)의 고온고습한 증기와 제2 구획(324)의 건조한 공기 흐름이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분벽(326)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구획(324)의 하단에 위치된 송풍부(14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은, 제2 구획(324)에 배치되는 건조 개구(DH)를 통해 건조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공간(S)을 따라 유동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무화부(142)에서 생성된 증기가 제1 구획(322) 및 가이드 실린더(340)를 거쳐 무화 개구(VH)를 통해 가습기(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부(144)가 가이드 베이스(320)의 제2 구획(324)의 하단에 배치되더라도 제1 구획(322)으로 공기 흐름의 일부를 원활하게 전달하기 위해, 구분벽(326)은 통풍구(FH)를 포함할 수 있다. 통풍구(FH)의 면적에 따라 건조 개구(DH) 및 무화 개구(VH)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송풍부(144)가 가이드부(300)의 가이드 베이스(320)의 제2 구획(324)의 하단에 위치된 경우, 통풍구(FH)의 면적이 넓을수록 무화 개구(VH)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비해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건조 공기 흐름의 비율이 작아지고, 통풍구(FH)의 면적이 좁을수록 무화 개구(VH)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비해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건조 공기 흐름의 비율이 커진다. 이 때,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건조 공기 흐름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무화 개구(DH)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작아져 무화부(142)에서 생성된 증기가 가습기(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고,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건조 공기 흐름이 작아지면 무화부(142)에서 생성된 증기가 가습기(1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대신에 가습기(10) 내부에서 응결된 액체 방울을 원활하게 건조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송풍부(144)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5% 이상 15% 이하의 유량이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상 12% 이하의 유량이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의 유량이 건조 개구(DH)를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건조 개구(DH)를 통과하지 않는 나머지 유량의 공기 흐름은 본체부(100)의 무화부(142)에서 무화된 증기와 함께 무화 개구(VH)를 통과할 수 있다.
도 4는 도 1a에 따른 가습기(10)에서 건조 개구(DH)를 통해 흐르는 공기 흐름의 방향을 도시한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건조 개구(DH)를 통과한 건조 공기 흐름은 수조(200)를 휘감으며 유동할 수 있고, 수조(200)를 휘감은 건조 공기 흐름은 차례로 가이드부(300) 및 본체부(100)를 휘감을 수 있다. 건조 개구(DH)를 통과한 건조 공기 흐름이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습기(10)의 하우징(400) 내부의 가습기(10) 구성 요소들을 전반적으로 휘감으며 유동함으로써 고온고습한 증기에 의해 구성 요소들의 표면에 형성되는 액체 방울들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증기를 생성하는 무화부 및 증기가 가습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며 무화될 액체를 보관하는 수조;
    무화된 증기 및 건조 공기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조 및 상기 가이드부의 측벽을 감싸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 상기 수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 사이에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가습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형성된 증기를 분출하는 무화 개구; 및
    상기 송풍부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일부인 건조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는 건조 개구;
    를 포함하는,
    가습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가이드 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 베이스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에서 형성된 증기를 상기 가습기의 외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무화 개구는 상기 가이드 실린더의 최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 개구는 상기 가이드 베이스에 배치되는,
    가습기.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개구를 통해 흘러나온 건조 공기 흐름은 상기 공간을 따라 유동하는,
    가습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 내의 액체를 가열하여 무화의 생성을 촉진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 개구는 상기 히터를 향하도록 구성되는,
    가습기.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베이스는 제1 구획 및 제2 구획으로 구분되며, 상기 제1 구획 및 상기 제2 구획을 구분하는 구분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은 상기 가이드 실린더와 유체소통하며, 상기 제2 구획에 상기 건조 개구가 배치되는,
    가습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획의 하단에 상기 무화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2 구획의 하단에 상기 송풍부가 위치되는,
    가습기.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개구는 수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건조 공기 흐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습기.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에서 생성된 공기 흐름의 5% 이상 15% 이하의 유량이 상기 건조 개구를 통과하며, 나머지 공기 흐름은 무화된 증기와 함께 상기 무화 개구를 통과하는,
    가습기.
KR1020210129852A 2021-09-30 2021-09-30 가습기 KR10259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852A KR102594067B1 (ko) 2021-09-30 2021-09-3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852A KR102594067B1 (ko) 2021-09-30 2021-09-30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642A true KR20230046642A (ko) 2023-04-06
KR102594067B1 KR102594067B1 (ko) 2023-10-26

Family

ID=8591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852A KR102594067B1 (ko) 2021-09-30 2021-09-3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40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621A (ja) * 1998-06-12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
JP2005265383A (ja) * 2004-03-22 2005-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式加湿器
JP2009162387A (ja) * 2007-12-28 2009-07-23 Toyotomi Co Ltd 加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1621A (ja) * 1998-06-12 1999-12-24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器
JP2005265383A (ja) * 2004-03-22 2005-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式加湿器
JP2009162387A (ja) * 2007-12-28 2009-07-23 Toyotomi Co Ltd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4067B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826B2 (en) Ultrasonic humidifier
RU2019102959A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аэрозоля с конденсирующим и неконденсирующим испарением
US7350773B2 (en) Vortex humidifier
EA036262B1 (ru) Система для генерирования аэрозоля
KR102179545B1 (ko) 부유형 유도관을 갖는 가습기
KR20230046642A (ko) 가습기
EA03745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создания эффекта дыма
KR101421623B1 (ko)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한 유기 용제 가스 흡입 독성 시험 장치
JP2007032942A (ja) 加湿器
JP2006003066A (ja) 加湿器の噴霧装置
KR101698016B1 (ko) 무화기용 다중 히터의 기화 모듈
JP5728074B2 (ja) 加湿機構
KR100423261B1 (ko) 복합식 가습기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KR100205123B1 (ko) 일체형 초음파 히터식 가습기
KR20230046636A (ko) 구획화 된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230046632A (ko) 가습기
US20240200806A1 (en) Humidifier
KR200170374Y1 (ko) 가습기
KR102482882B1 (ko) 아로마 디퓨저 기능을 구비하는 가습기
JP2013242071A (ja) 加湿機構
KR0182751B1 (ko) 송풍유로가 구비된 가습기
JP5462707B2 (ja) 加湿器
KR200360050Y1 (ko) 가습기
KR20220103386A (ko)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