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579A -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579A
KR20230046579A KR1020210129715A KR20210129715A KR20230046579A KR 20230046579 A KR20230046579 A KR 20230046579A KR 1020210129715 A KR1020210129715 A KR 1020210129715A KR 20210129715 A KR20210129715 A KR 20210129715A KR 20230046579 A KR20230046579 A KR 20230046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inflow
pad
outflow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슬기
서국정
정희문
이인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6579A/ko
Priority to PCT/KR2022/008765 priority patent/WO2023054843A1/ko
Priority to CN202280034887.9A priority patent/CN117321357A/zh
Priority to EP22876618.4A priority patent/EP4317856A1/en
Priority to US17/876,154 priority patent/US20230097656A1/en
Publication of KR2023004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25B41/375Capillary tube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restriction, e.g. restrictors made of shape memory allo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for preventing fro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1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tub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밸브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사상에 따른 밸브 장치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배관,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유출입배관, 유출입배관과 연통되도록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 형성되는 냉매 유출입홀 및 냉매 유출입홀과 연결되어 제1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 홈을 포함하는 보스 및 보스의 일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냉매 유출입홀은 폐쇄하고 연장홈은 개방하는 오픈 캐비티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 장치{VALVE DEVICE}
본 개시는 구조가 개선된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이 적용되는 냉각 장치에서 냉매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를 순환하여 냉기를 생성한다.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매관을 통해 응축기로 전달되어 응축되고,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장치로 전달되어 팽창된다. 팽창장치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로 전달되고, 증발기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한다.
냉장고의 경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냉매관에 의해 팽창장치로 전달되는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직접 팽창장치로 전달되거나 냉매관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핫파이프를 거쳐 팽창장치로 전달된다.
핫파이프는 냉장고의 온도 취약부인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부분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파이프이다. 즉, 냉동 사이클의 고압부의 고온의 냉매가 핫파이프를 통과하여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부분에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한다. 핫파이프는 외기 습도에 따라 이슬점 이상의 온도만 유지하면 되지만, 냉장고에서 이슬점 이상으로 온도가 유지되면 냉장고 내부에 열부하로 작용하여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운전 상황에 따라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를 거쳐 팽창장치로 전달 되거나, 핫파이프를 거치지 않고 직접 팽창 장치로 전달된다. 핫파이프로 냉매를 보낼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핫파이프와 연결되는 분기관으로 냉매가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팽창 장치인 모세관은 외기 온도, 설정 온도, 투입 부하 등에 따라 달라지는 냉각 부하에 대응하기 위해 내경과 길이가 다른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냉매가 냉각 부하에 따라 복수 개의 모세관 중 적절한 모세관으로 흐르게 된다.
이 때, 외기 온도 혹은 냉동기 내부 온도가 높은 고부하 조건에서 내부 공간을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해 냉매 유량을 최대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냉매가 복수 개의 모세관을 모두 통과하는 모드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핫파이프를 패스하거나 바이패스 하는 경우를 선택적으로 구현 가능한 밸브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매가 핫파이프를 패스하거나 바이패스하는 모드를 수행하면서도 동시에 냉매가 제1모세관과 제2모세관을 모두 통과하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밸브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사상에 따른 밸브 장치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배관, 상기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유출입배관, 상기 유출입배관과 연통되도록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 형성되는 냉매 유출입홀 및 상기 냉매 유출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제1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 홈을 포함하는 보스 및 상기 보스의 일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매 유출입홀은 폐쇄하고 상기 연장홈은 개방하는 오픈 캐비티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1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제2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거리보다 크게 마련된다.
상기 연장홈은 상기 패드의 상기 오픈 캐비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와 연결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냉매유출입홀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드의 상기 오픈 캐비티는 상기 패드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오픈 캐비티는 제1오픈캐비티이고, 상기 패드는 상기 보스의 상기 냉매유출입홀과 상기 연장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보스의 상면과 접하는 실링바디 및 상기 실링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패드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되는 제2오픈캐비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패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연결캐비티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 유출입홀은 제1냉매유출입홀이고, 상기 보스는 상기 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냉매유출입홀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2냉매유출입홀과, 제3냉매유출입홀과, 제4냉매유출입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제1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1유출입배관,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2유출입배관, 상기 제3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3유출입배관 및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4유출입배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입배관은 응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1유출입배관과 상기 제3유출입배관은 핫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4유출입배관은 제1모세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출입배관은 제2모세관과 연결된다.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연장홈을 개방하고 상기 제2오픈캐비티가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패드가 회전하면, 상기 유입배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되어 상기 제1모세관으로 유동되고, 동시에 상기 연장홈을 통해 상기 제1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핫파이프를 거쳐 상기 제3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연결캐비티를 통해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되어 상기 제2모세관으로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된다.
상기 제1오픈캐비티와 상기 제2오픈캐비티는 서로 연결되게 마련된다.
상기 냉매 유출입홀은 제2냉매유출입홀이고, 상기 보스는 상기 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3냉매유출입홀과, 제4냉매유출입홀과, 제1냉매유출입홀을 더 포함한다.
상기 오픈 캐비티는 제1오픈캐비티이고, 상기 패드는 상기 보스의 상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과 상기 연장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보스의 상면과 접하는 실링바디, 상기 패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실링바디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되는 제2오픈캐비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오픈캐비티와 상기 제2오픈캐비티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밸브 장치.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연장홈을 개방하면 상기 제2오픈캐비티는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로 유동되어 제2모세관을 통과하고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을 통해 유동되어 제1모세관을 통과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된다.
본 개시의 다른 사상에 따른 밸브 장치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배관, 상기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출입배관, 상기 복수의 유출입배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을 포함하는 제1보스, 상기 제1보스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제1오픈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패드, 상기 복수의 유출입배관 중 하나와 연통되는 연결배관과 연결되는 냉매유동홀을 포함하는 제2보스 및 상기 제2보스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매유동홀을 개방하는 제2오픈캐비티를 포함하는 제2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장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패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패드와 결합되는 제1패드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패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패드와 결합되는 제2패드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패드의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제1보스의 제1모세관과 연결된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면 상기 제1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2패드의 상기 제2오픈캐비티가 상기 제2보스의 상기 냉매유동홀을 개방하여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제2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된다.
상기 제1패드의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제1보스의 제1모세관과 연결된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면 상기 제1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2패드의 상기 제2오픈캐비티가 상기 제2보스의 상기 냉매유동홀을 개방하여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핫파이프와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된다.
상기 제1패드는 냉매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연결 캐비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핫파이프와 연결된 유출입배관을 유동한 냉매는 상기 연결캐비티를 통해 제2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된다.
하나의 밸브 장치로 냉매가 핫파이프를 선택적으로 유동하면서도 제1모세관과 제2모세관을 동시에 유동하는 동시 개방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배관의 구성을 단순화 하면서도 다양한 냉매 유동 모드를 수행할 수 있어 비용 절감에 효과적이며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패드기어와 패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와 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보스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패드가 보스의 상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여러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패드 및 보스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와 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패드 및 보스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피니언기어, 제1패드기어 및 제2패드기어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밸브 장치의 제1패드, 제1보스, 제2패드 및 제2보스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면서 핫파이프를 바이패스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에 따른 밸브 장치의 제1패드, 제1보스, 제2패드 및 제2보스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면서 핫파이프를 패스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패드기어와 패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저면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와 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보스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장치(1)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베이스 플레이트(20)와,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100)과, 냉매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유출입 배관(200)과, 냉매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을 포함하는 보스(80)와, 보스(8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패드(9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11)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의 수용 공간(11)에는 로터(30)가 마련될 수 있다. 로터(30)는 로터 축(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에는 피니언 기어(40)가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40)는 로터(30)와 연결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40)는 로터 축(31)과 연결되어 로터(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에는 패드 기어(50)가 마련될 수 있다. 패드 기어(50)는 피니언 기어(40)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 기어(50)는 피니언 기어(40)와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40)와 연동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30)에 의해 피니언 기어(40)가 회전하면 패드 기어(50)는 피니언 기어(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패드 기어(50)는 회전축인 패드 밸브축(51)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 밸브축(51)은 패드(90)와 연결되어 패드(90)가 패드 기어(5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패드 기어(50)는 패드(90)에 결합되는 패드 결합 돌기(5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결합 돌기(5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패드 결합 돌기(53)는 패드 기어(5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패드 결합 돌기(53)는 패드(90)의 상면에 형성된 패드 기어 결합홀(9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에는 탄성 지지 스프링(60)이 마련될 수 있다. 탄성 지지 스프링(60)은 수용 공간(11)에서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 지지 스프링(60)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 지지 스프링(60)은 패드 기어(50)의 상단 중앙부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 지지 스프링(60)에는 패드 기어(5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에는 로터 지지 판스프링(70)이 마련될 수 있다. 로터 지지 판스프링(70)은 수용 공간(11)에서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로터 지지 판스프링(70)은 로터(3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로터(30)는 로터 지지 판스프링(7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로터 축(3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로터 축 지지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냉매가 유입되는 유입 배관(100)이 연결되는 냉매 유입홀(2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는 보스(80)가 설치되는 보스 홀(25)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스(80)는 베이스 플레이트(20)의 보스 홀(25)에 설치될 수 있다. 보스(80)의 상부는 수용 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보스(80)의 하부는 수용 공간(1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보스(80)는 패드 밸브축(51)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패드 밸브축 홀(81)을 포함할 수 있다.
보스(80)는 냉매가 유출입되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은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과 연결되는 복수의 유출입 배관(200)도 이에 따라 4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보스(80)는 복수의 유출입 배관(200)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홀(8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삽입홀(83)은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과 연결될 수 있다.
패드(90)는 보스(8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패드(90)는 패드 밸브축(51)이 결합되는 패드 밸브축 결합홀(91)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90)는 패드 기어(50)의 패드 결합 돌기(53)가 결합되는 패드 기어 결합홀(9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90)는 패드 기어(5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패드(90)는 보스(80)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제1오픈캐비티(9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드(90)는 제2 오픈 캐비티(9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패드(90)는 패드 기어(50)와 함께 회전되어 보스(80)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는 패드(9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는 패드(90)의 하면에 상부를 향해 홈이 파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는 패드(90)의 반경 방향으로 패드(90)의 테두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중, 제1 오픈 캐비티(951)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은 폐쇄하고 후술할 보스(80)의 연장 홈(825)은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연장 홈(825)은 물론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을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패드(90)는 보스(80)에 형성된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인접한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캐비티(9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7)는 패드(9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7)는 패드(90)의 하면에 상부를 향해 홈이 파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7)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연결할 수 있다.
밸브 장치(1)는 스테이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는 케이스(10)의 외부에서 로터(30)가 배치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장치(1)는 브라켓(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은 케이스(10)와 스테이터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브라켓은 밸브 장치(1)가 외부장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스(80)는 복수의 유출입 배관(200)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냉매유출입홀의 중심이 제1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스(80)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어 제1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 홈(8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는 보스(8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1거리(R1)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위치는 보스(8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제2거리(R2)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거리(R2)는 제1거리(R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연장 홈(825)은 패드(90)의 제1 오픈 캐비티(951)에 의해 수용 공간(11)과 연통되어 냉매를 공급받는 개방부(82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홈(825)은 개방부(8251)와 연결되어 냉매가 냉매유출입홀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82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홈(825)이 제2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개방부(8251)의 중심이 제2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냉매유출입홀은 제1위치에 형성되고 연장 홈(825)의 개방부(8251)는 제2위치에 형성되며 연장 홈(825)의 연결부(8252)는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홈(825)은 보스(8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홈(825)은 보스(8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어서, 연장 홈(825)으로 유입된 냉매는 연장 홈(825)을 따라 제1 냉매 유출입홀(821)로 유동될 수 있다.
패드(90)는 실링 바디(9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바디(92)는 보스(80)의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과 연장 홈(825)을 폐쇄하도록 보스(80)의 상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바디(92)는 패드(9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패드(9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드(90)는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는 패드(9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실링 바디(92)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는 패드(9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는 패드(90)의 외측으로부터 보스(80)의 개방부(8251)가 배치되는 제2위치까지 절개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2)는 패드(90)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2)는 패드(90)의 외측으로부터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이 배치되는 제1위치까지 절개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1)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은 폐쇄하고 연장 홈(825)의 개방부(8251)는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오픈 캐비티(952)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과, 연장 홈(825)의 연결부(8252)와 개방부(8251)를 모두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2)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2)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동시에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할 수 없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패드(90)의 제1 오픈 캐비티(951)와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케이스(10) 내부의 수용 공간(11)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배관(100)을 통해 냉매가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되면 제1 오픈 캐비티(951)가 연장 홈(825)의 개방부(8251)를 개방한 경우에 냉매가 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2 오픈 캐비티(952)가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하나를 개방한 경우에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될 수 있다.
패드(90)는 연결 캐비티(9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7)는 보스(80)의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캐비티(97)는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이 형성되는 제1위치에서 패드(9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캐비티(97)의 개방 각도는 대략 90도로 마련되어 복수의 냉매 유출입홀(82) 중 인접한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패드가 보스의 상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여러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패드 및 보스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패드(90)의 회전에 따른 냉매의 유동 모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압축기(미도시)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C)로 전달되어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 장치인 모세관(CA1, CA2)으로 전달되어 팽창될 수 있다. 모세관(CA1, CA2)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냉장고를 예로 들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모세관(CA1, CA2)으로 전달되는데,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직접 모세관(CA1, CA2)으로 전달되거나 핫파이프(H)를 거쳐 모세관(CA1, CA2)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핫파이프(H)는 냉장고의 온도 취약부인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부분에 발생되는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파이프일 수 있다. 즉, 냉동사이클 고압부의 고온의 냉매가 핫파이프(H)를 통과하여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부분에 이슬 맺힘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핫파이프(H)는 외기 습도에 따라 이슬점 이상의 온도만 유지하면 되지만, 냉장고에서 이슬점 이상으로 온도가 유지되면 냉장고 내부에 열 부하로 작용되어 냉장고의 소비 전력을 높이게 되기 때문에, 운전 상황에 따라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쳐 모세관(CA1, CA2)으로 전달되거나, 핫파이프(H)를 거치지 않고 직접 모세관(CA1, CA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 배관에는 밸브 장치(1)가 설치될 수 있다.
모세관(CA1, CA2)은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내경과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은 내경이 크고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즉, 냉각부하가 고부하일 때 냉매는 냉매유로저항이 작은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되어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모세관(CA2)은 상대적으로 제1 모세관(CA1)과 비교하여 내경이 작고 길이가 길 수 있다. 즉, 냉각부하가 저부하일 때 냉매는 냉매유로저항이 큰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온도 또는 냉동기 내부 온도가 높은 고부하 조건에서 내부 공간을 최대한 신속하게 냉각 시키기 위해 냉매 유량을 최대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최대의 냉매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냉매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 모두로 유동될 수 있다.
즉, 냉각 부하에 따라 냉매가 제1 모세관(CA1) 또는 제2 모세관(CA2)을 유동하거나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을 모두 유동하도록 밸브 장치(1)를 제어하여 보다 넓은 냉각부하 영역에서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유입 배관(100)은 응축기(C)의 출구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유입 배관(100)은 냉매 유입홀(23)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수용 공간(11)과 연결될 수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보스(80)는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 및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홈(825)은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과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은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냉매 유출입홀(821)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유출입 배관(200)은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결되는 제1 유출입 배관(210)과,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연결되는 제2 유출입 배관(220)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과 연결되는 제3 유출입 배관(230)과, 제4 냉매 유출입홀(824)과 연결되는 제4 유출입 배관(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출입 배관(210)과 제3 유출입 배관(230)은 핫파이프(H)와 연결될 수 있다. 냉매는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입되어 핫파이프(H)를 거쳐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출될 수 있다. 또는, 냉매는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입되어 핫파이프(H)를 거쳐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4 유출입 배관(240)은 제1 모세관(CA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유출입 배관(220)은 제2 모세관(CA2)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가 제1 냉매 유출입홀(821)을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하면, 제1 냉매 유출입홀(821)만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은 패드(9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은 패드(90)의 실링 바디(9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3 냉매 유출입홀(823) 및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은 패드(90)의 연결 캐비티(9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기(C)로부터 유입 배관(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입홀(23)을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냉매는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된 제1 냉매 유출입홀(821)을 통해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출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쳐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입된 냉매는 연결 캐비티(97)에 의해 제3 냉매 유출입홀(823)과 연결된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통해 제4 유출입 배관(24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4 유출입 배관(240)으로 유출된 냉매는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이 한 개의 증발기(E)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증발기(E)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E)가 두 개로 마련될 때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각각 다른 증발기(E)와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90)가 도 8의 상태에서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치지 않고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제2 모세관(CA2)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을 개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2)가 제2 냉매 유출입홀(822)에 위치하면,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은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패드(9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응축기(C)로부터 유입 배관(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입홀(23)을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냉매는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된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을 통해 제2 유출입 배관(22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2 유출입 배관(220)으로 유출된 냉매는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이 한 개의 증발기(E)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증발기(E)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E)가 두 개로 마련될 때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각각 다른 증발기(E)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폐쇄되므로 냉매가 제1 유출입 배관(210)과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90)가 도 9의 상태에서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치지 않고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냉매의 흐름과 동일하다.
다만, 패드(90)의 연결 캐비티(97)가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연결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결된 제1 유출입 배관(210)에 잔류하고 있는 냉매가 제4 유출입 배관(240)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회수된 냉매는 제1 모세관(CA1)을 통과하여 제2 모세관(CA2)을 통과한 냉매와 합류하여 증발기(E)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90)가 도 10의 상태에서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흐르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을 개방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패드(90)는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폐쇄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며 패드(90)의 연결 캐비티(97)는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통될 수 있다.
제3 냉매 유출입홀(823)과 연결되는 제3 유출입 배관(230)은 핫파이프(H)를 통해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결되는 제1 유출입 배관(210)과 연결된다. 그러나, 연결 캐비티(97)는 외부와 연통되는 구성이 아니어서 제1 냉매 유출입홀(821)은 폐쇄 상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냉매는 복수의 유출입 배관(200) 중 어떠한 유출입 배관(200)도 흐르지 않는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90)가 도 11의 상태에서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쳐 제2 모세관(CA2)으로 전달되어 팽창될 수 있다. 제2 모세관(CA2)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제3 냉매 유출입홀(823)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은 패드(9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은 연결 캐비티(9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C)로부터 유입 배관(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입홀(23)을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냉매는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된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을 통해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출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쳐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입된 냉매는 연결 캐비티(97)에 의해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결된 제2 냉매 유출입홀(822)을 통해 제2 유출입 배관(22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2 유출입 배관(220)으로 유출된 냉매는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2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이 한 개의 증발기(E)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증발기(E)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E)가 두 개로 마련될 때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각각 다른 증발기(E)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치지 않고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패드(90)가 도 12의 상태에서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제4 냉매 유출입홀(824)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은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패드(9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응축기(C)로부터 유입 배관(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입홀(23)을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냉매는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된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통해 제4 유출입 배관(24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4 유출입 배관(240)으로 유출된 냉매는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3에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이 한 개의 증발기(E)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증발기(E)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E)가 두 개로 마련될 때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각각 다른 증발기(E)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폐쇄되기 때문에, 냉매가 제1 유출입 배관(210)과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C)에서 응축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쳐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에서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패드(90)가 도 13의 상태에서 보스(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제1 오픈 캐비티(951)는 연장 홈(825)의 개방부(8251)에 위치하고 제2 오픈 캐비티(952)는 제4 냉매 유출입홀(824)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연장 홈(825)의 개방부(8251)는 제1 오픈 캐비티(951)에 의해 개방될 수 있고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은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과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은 패드(90)의 연결 캐비티(9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C)로부터 유입 배관(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입홀(23)을 통해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냉매는 패드(90)의 제1 오픈 캐비티(951)에 의해 개방된 연장 홈(825)을 통해 제1 냉매 유출입홀(821)로 유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오픈 캐비티(951)에 의해 연장 홈(825)의 개방부(8251)가 개방되고, 개방부(8251)와 연결된 연결부(8252)를 통해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연결부(8252)로 유동된 냉매는 제1 냉매 유출입홀(821)로 유동되고, 이후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연결된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유출된 냉매는 핫파이프(H)를 거쳐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3 유출입 배관(230)을 통해 제3 냉매 유출입홀(823)로 유출된 냉매는 연결 캐비티(97)에 의해 연결된 제2 냉매 유출입홀(822)로 유동되어 제2 유출입 배관(2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유출입 배관(220)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된 냉매는 패드(90)의 제2 오픈 캐비티(952)에 의해 개방된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통해 제4 유출입 배관(240)으로 유출될 수 있다. 제4 유출입 배관(240)으로 유출된 냉매는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모세관(CA1)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이 한 개의 증발기(E)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증발기(E)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E)가 두 개로 마련될 때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각각 다른 증발기(E)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냉매 유출입홀(821)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폐쇄되기 때문에, 냉매가 제1 유출입 배관(210)과 제3 유출입 배관(230)으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4 내지 도 15에 따른 모드에서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 모두로 냉매가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면서 냉매가 핫파이프(H)를 패스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와 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패드 및 보스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80)는 복수의 유출입배관(200)과 각각 연통되도록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냉매유출입홀의 중심이 제1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보스(80)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어 제1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홈(825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치는 보스(8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1거리(R1)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위치는 보스(8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제2거리(R2)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거리(R2)는 제1거리(R1)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연장홈(825a)은 패드(90a)의 제1 오픈 캐비티(952a)에 의해 수용 공간(11)과 연통되어 냉매를 공급받는 개방부(8251a)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홈(825a)은 개방부(8251a)와 연결되어 냉매가 냉매유출입홀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825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장홈(825a)이 제2위치에 형성된다는 것은 개방부(8251a)의 중심이 제2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냉매유출입홀은 제1위치에 형성되고 연장홈(825a)의 개방부(8251a)는 제2위치에 형성되며 연장홈(825a)의 연결부(8252a)는 제1위치와 제2위치의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연장홈(825a)은 보스(8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홈(825a)은 보스(80)를 완전히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아니어서, 연장홈(825a)으로 유입된 냉매는 연장홈(825a)을 따라 제2 냉매 유출입홀(822)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스(8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보스(80)와 달리 연장홈(825a)이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패드(90a)의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가 별개로 형성됨에 따른 것이다.
패드(90a)는 실링 바디(92a)를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바디(92a)는 보스(80)의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과 연장홈(825a)을 폐쇄하도록 보스(80)의 상면과 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바디(92a)는 패드(90a)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패드(90a)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드(90a)는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패드(90a)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실링 바디(92a)의 일 측과 타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2a)는 패드(90a)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2a)는 패드(90a)의 외측으로부터 보스(80)의 개방부(8251a)가 배치되는 제2위치까지 절개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패드(90a)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패드(90a)의 외측으로부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이 배치되는 제1위치까지 절개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2a)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은 폐쇄하고 연장홈(825a)의 개방부(8251a)는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과, 연장홈(825a)의 연결부(8252a)와 개방부(8251a)를 모두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 중 동시에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할 수 없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패드(90a)의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케이스(10) 내부의 수용 공간(11)과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배관(100)을 통해 냉매가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되면 제1 오픈 캐비티(952a)가 연장홈(825a)의 개방부(8251a)를 개방한 경우에 냉매가 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수용 공간(1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2 오픈 캐비티(951a)가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 중 하나를 개방한 경우에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 중 하나의 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드(9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90a)와 달리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가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52a)와 제2 오픈 캐비티(951a)는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드(90a)는 연결 캐비티(97a)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7a)는 보스(80)의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연결 캐비티(97a)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이 형성되는 제1위치에서 패드(90a)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절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캐비티(97a)의 개방 각도는 대략 90도로 마련되어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2) 중 인접한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개방 모드에서 유입 배관(100)을 통해 유입된 냉매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을 유동하되 핫파이프(H)는 바이패스하도록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캐비티는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연결된 연장홈(825a)의 개방부(8251a)를 개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캐비티는 제4 냉매 유출입홀(824)을 개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제3유출입홀은 연결 캐비티(97a)에 의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냉매 유출입홀(821)은 패드(90a)의 실링 바디(92a)에 의해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 배관(100)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수용 공간(11)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1오픈캐비티(951a)에 의해 개방된 연장홈(825a)의 개방부(8251a)를 통해 연결부(8252a)를 지나 제2 냉매 유출입홀(822)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냉매 유출입홀(822)로 유입된 냉매는 제2 유출입 배관(220)을 통해 제2 모세관(CA2)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냉매 유출입홀(822)과 제3 냉매 유출입홀(823)은 연결 캐비티(97a)에 의해 연결된 상태지만, 제3 냉매 유출입홀(823)과 제3 유출입 배관(230), 핫파이프(H), 제1 유출입 배관(210)으로 연결된 제1 냉매 유출입홀(821)이 폐쇄됨에 따라 냉매는 제3 냉매 유출입홀(823)로 유동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유입 배관(100)을 통해 케이스(10) 내부의 수용 공간(11)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2오픈캐비티(952a)에 의해 개방된 제4 냉매 유출입홀(824)로 유입되고, 제4 냉매 유출입홀(824)로 유입된 냉매는 제4 유출입 배관(240)을 통해 제1 모세관(CA1)으로 유동된다.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으로 유입되어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E)로 전달되고, 증발기(E)에서의 열교환을 통해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7은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이 한 개의 증발기(E)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증발기(E)는 두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E)가 두 개로 마련될 때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은 각각 다른 증발기(E)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모드에서는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 모두로 냉매가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면서 냉매가 핫파이프(H)를 바이패스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는 하나의 밸브장치로 핫파이프(H)를 패스하거나 바이패스하는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제1 모세관(CA1)과 제2 모세관(CA2)을 모두 사용하는 동시 개방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의 구조를 단순하게 마련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의 측면에서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일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피니언기어, 제1패드기어 및 제2패드기어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장치는 피니언 기어(40b), 제1 패드 기어(51b), 제2 패드 기어(52b) 및 제1 패드 기어(51b)에 의해 회전하는 제1패드(91b)와 제2 패드 기어(52b)에 의해 회전하는 제2패드(92b)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장치는 제1패드(91b)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보스(81b) 및 제2패드(92b)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보스(82b)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 기어(40b)는 톱니부(401b)를 포함할 수 있다. 톱니부(401b)는 피니언 기어(40b)의 양 측에 위치하는 제1 패드 기어(51b)와 제2 패드 기어(52b)와 치합되어 제1 패드 기어(51b)와 제2 패드 기어(52b)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 기어(51b)는 피니언 기어(40b)의 톱니부(401b)와 맞물리는 제1 치합부(5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 기어(52b)는 피니언 기어(40b)의 톱니부(401b)와 맞물리는 제2 치합부(5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기어(51b)와 제2 패드 기어(52b)는 피니언 기어(40b)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패드 기어(51b)는 제1 패드 밸브 축(51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밸브 축(512b)은 제1패드(91b)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패드 기어(52b)는 제2 패드 밸브 축(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 밸브 축(522b)은 제2패드(92b)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패드(91b)는 제1 패드 밸브축 결합홀(91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 기어(51b)의 제1 패드 밸브 축(512b)이 제1패드(91b)의 제1 패드 밸브축 결합홀(911b)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패드(92b)는 제2 패드 밸브축 결합홀(92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 기어(52b)의 제2 패드 밸브 축(522b)이 제2패드(92b)의 제2 패드 밸브축 결합홀(921b)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패드(91b)는 제1 오픈 캐비티(913b)와 연결 캐비티(9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13b)는 후술할 제1보스(81b)의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 중 하나를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오픈 캐비티(913b)는 제1패드(91b)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1 오픈 캐비티(913b)로 유동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14b)는 패드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14b)는 후술할 제1보스(81b)의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 중 인접한 두 개의 냉매유출입홀을 연결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캐비티(914b)는 패드의 외측으로 개방된 구성이 아니므로, 수용공간(11)으로 유입된 냉매가 연결 캐비티(914b)로 바로 유동될 수 없다.
제1보스(81b)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은 제1 냉매 유출입홀(811b), 제2 냉매 유출입홀(812b), 제3 냉매 유출입홀(813b) 및 제4 냉매 유출입홀(814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은 각각 90도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은 제1보스(81b)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냉매유출입홀(811b, 812b, 813b, 814b) 각각은 복수의 유출입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냉매 유출입홀(811b)은 제1유출입배관(210b)과 연결되고 제2 냉매 유출입홀(812b)은 제2유출입배관(220b)과 연결되고 제3 냉매 유출입홀(813b)은 제3유출입배관(230b)과 연결되고 제4 냉매 유출입홀(814b)은 제4유출입배관(24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유출입배관(210b)과 제3유출입배관(230b)은 핫파이프(H)를 사이에 두고 연결될 수 있다. 제4유출입배관(240b)은 제1모세관(CA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유출입배관(220b)은 제2모세관(CA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패드(92b)는 제2 오픈 캐비티(9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23b)는 후술할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개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오픈 캐비티(923b)는 제2패드(92b)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2 오픈 캐비티(923b)로 유동될 수 있다.
제2보스(82b)는 냉매 유동홀(821b)을 포함할 수 있다. 냉매 유동홀(821b)은 연결배관(220b)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배관(220b)은 복수의 유출입배관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20은 도 18에 따른 밸브 장치의 제1패드(91b), 제1보스(81b), 제2패드(92b) 및 제2보스(82b)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면서 핫파이프(H)를 바이패스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여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될 때의 제1패드(91b)와 제1보스(81b)의 위치 및 제2패드(92b)와 제2보스(82b)의 위치에 따른 냉매의 유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시 개방 모드에서, 제1패드(91b)의 제1 오픈 캐비티(913b)는 제1보스(81b)의 제4 냉매 유출입홀(814b)을 개방하도록 위치한다. 동시에, 제1패드(91b)의 연결 캐비티(914b)는 제1보스(81b)의 제2 냉매 유출입홀(812b)과 제3 냉매 유출입홀(813b)을 연결하도록 위치한다. 제1 냉매 유출입홀(811b)은 제1패드(91b)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또한, 제2패드(92b)의 제2 오픈 캐비티(923b)는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개방하도록 위치한다.
압축기를 통해 유입배관으로 유입된 냉매는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으로 유동한다. 유동된 냉매는 개방된 제1보스(81b)의 제4 냉매 유출입홀(814b)을 통해 제4유출입배관(240b)으로 유동한다. 제4유출입배관(240b)은 제1모세관(CA1)과 연결되어 유동된 냉매는 제1모세관(CA1)을 통과하며 팽창한다.
동시에, 유입배관을 통해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으로 유동된 냉매는 개방된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통해 연결배관(220b)으로 유동한다.
연결배관(220b)은 제2모세관(CA2)과 연결되는 제2유출입배관(220b)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유출입배관(220b)으로부터 연결배관(220b)이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통해 연결배관(220b)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2유출입배관(220b)으로 유동되어 제2모세관(CA2)을 통과하며 팽창한다.
따라서 도 20에 도시된 밸브 장치는 냉매가 제1모세관(CA1)과 제2모세관(CA2)을 모두 통과하는 동시 개방 모드에서 핫파이프(H)를 바이패스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8에 따른 밸브 장치의 제1패드(91b), 제1보스(81b), 제2패드(92b) 및 제2보스(82b)에 의해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면서 핫파이프(H)를 패스하는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 장치의 동시 개방 모드에서, 도 20과 달리 도 21의 연결배관(220b)은 제1유출입배관(210b)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패드(91b)의 제1 오픈 캐비티(913b)는 제1보스(81b)의 제4 냉매 유출입홀(814b)을 개방하도록 위치한다. 동시에, 제1패드(91b)의 연결 캐비티(914b)는 제1보스(81b)의 제2 냉매 유출입홀(812b)과 제3 냉매 유출입홀(813b)을 연결하도록 위치한다. 제1 냉매 유출입홀(811b)은 제1패드(91b)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또한, 제2패드(92b)의 제2 오픈 캐비티(923b)는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개방하도록 위치한다.
압축기를 통해 유입배관으로 유입된 냉매는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으로 유동한다. 유동된 냉매는 개방된 제1보스(81b)의 제4 냉매 유출입홀(814b)을 통해 제4유출입배관(240b)으로 유동한다. 제4유출입배관(240b)은 제1모세고나과 연결되어 유동된 냉매는 제1모세관(CA1)을 통과하며 팽창한다.
동시에, 유입배관을 통해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으로 유동된 냉매는 개방된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통해 연결배관(220b)으로 유동한다.
연결배관(220b)은 핫파이프(H)와 연결되는 제1유출입배관(210b)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유출입배관(210b)으로부터 연결배관(220b)이 분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보스(82b)의 냉매 유동홀(821b)을 통해 연결배관(220b)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1유출입배관(210b)으로 유동되고, 핫파이프(H)를 거쳐 제3유출입배관(230b)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3유출입배관(230b)으로 유동된 냉매는 제3 냉매 유출입홀(813b)을 통해 연결 캐비티(914b)로 연결된 제2 냉매 유출입홀(812b)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냉매 유출입홀(812b)로 유입된 냉매는 제2유출입배관(220b)을 통해 제2모세관(CA2)을 통과할 수 있다. 제2모세관(CA2)을 통과하며 냉매는 팽창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된 밸브 장치는 냉매가 제1모세관(CA1)과 제2모세관(CA2)을 모두 통과하는 동시 개방 모드에서 핫파이프(H)를 패스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하나의 밸브 장치가 동시 개방 모드를 수행함에 있어 핫파이프(H)를 바이패스하거나 패스 하는 것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스
11; 수용공간
20; 베이스플레이트
21; 로터축지지홀
23; 냉매유입홀
25; 보스폴
30; 로터
31; 로터축
40, 40b; 피니언기어
50; 패드기어
51b, 52b; 제1, 제2패드기어
80; 보스
81b, 82b; 제1, 제2보스
82; 냉매유출입홀
83; 삽입홀
85; 연장홈
8251; 개방부
8252; 연결부
90, 90a; 패드
91b, 92b; 제1패드, 제2패드
951, 952; 제1, 제2오픈캐비티
913b, 923b; 제1, 제2오픈캐비티
97, 914b; 연결캐비티
92, 92a; 실링바디
100; 유입배관
200; 유출입배관
C; 응축기
H; 핫파이프
CA1; 제1모세관
CA2; 제2모세관
E; 증발기
R1; 제1거리
R2; 제2거리

Claims (20)

  1.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배관;
    상기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유출입배관;
    상기 유출입배관과 연통되도록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제1위치에 형성되는 냉매 유출입홀 및 상기 냉매 유출입홀과 연결되어 상기 제1위치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제2위치까지 연장되는 연장 홈을 포함하는 보스; 및
    상기 보스의 일 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매 유출입홀은 폐쇄하고 상기 연장홈은 개방하는 오픈 캐비티를 포함하는 패드;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제1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제2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제2거리는 상기 제1거리보다 크게 마련되는 밸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홈은
    상기 패드의 상기 오픈 캐비티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냉매를 공급받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와 연결되어 상기 냉매가 상기 냉매유출입홀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상기 오픈 캐비티는 상기 패드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밸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캐비티는 제1오픈캐비티이고,
    상기 패드는
    상기 보스의 상기 냉매유출입홀과 상기 연장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보스의 상면과 접하는 실링바디; 및
    상기 실링바디의 일 측에서 상기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패드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되는 제2오픈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바디는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패드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절개되는 연결캐비티;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출입홀은 제1냉매유출입홀이고,
    상기 보스는
    상기 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냉매유출입홀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2냉매유출입홀과, 제3냉매유출입홀과, 제4냉매유출입홀을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1유출입배관;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2유출입배관;
    상기 제3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3유출입배관; 및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과 연결되는 제4유출입배관;을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배관은 응축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1유출입배관과 상기 제3유출입배관은 핫파이프와 연결되고, 상기 제4유출입배관은 제1모세관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출입배관은 제2모세관과 연결되는 밸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연장홈을 개방하고 상기 제2오픈캐비티가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도록 상기 패드가 회전하면, 상기 유입배관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되어 상기 제1모세관으로 유동되고, 동시에 상기 연장홈을 통해 상기 제1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핫파이프를 거쳐 상기 제3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되고 이후 상기 연결캐비티를 통해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로 유입되어 상기 제2모세관으로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밸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캐비티와 상기 제2오픈캐비티는 서로 연결되게 마련되는 밸브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유출입홀은 제2냉매유출입홀이고,
    상기 보스는
    상기 보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만큼 회전된 위치에 마련되는 제3냉매유출입홀과, 제4냉매유출입홀과, 제1냉매유출입홀;을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 캐비티는 제1오픈캐비티이고,
    상기 패드는
    상기 보스의 상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과 상기 연장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보스의 상면과 접하는 실링바디;
    상기 패드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도록 상기 실링바디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절개되는 제2오픈캐비티;를 더 포함하는 밸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캐비티와 상기 제2오픈캐비티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밸브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연장홈을 개방하면 상기 제2오픈캐비티는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고, 상기 냉매는 상기 제2냉매유출입홀로 유동되어 제2모세관을 통과하고 상기 제4냉매유출입홀을 통해 유동되어 제1모세관을 통과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밸브 장치.
  16.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를 커버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공간으로 냉매가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배관;
    상기 냉매가 유출입되도록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연결되는 복수의 유출입배관;
    상기 복수의 유출입배관과 연결되는 복수의 냉매유출입홀을 포함하는 제1보스;
    상기 제1보스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냉매유출입홀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제1오픈캐비티를 포함하는 제1패드;
    상기 복수의 유출입배관 중 하나와 연통되는 연결배관과 연결되는 냉매유동홀을 포함하는 제2보스; 및
    상기 제2보스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냉매유동홀을 개방하는 제2오픈캐비티를 포함하는 제2패드;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1패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패드와 결합되는 제1패드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제2패드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패드와 결합되는 제2패드기어;를 포함하는 밸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의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제1보스의 제1모세관과 연결된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면 상기 제1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2패드의 상기 제2오픈캐비티가 상기 제2보스의 상기 냉매유동홀을 개방하여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제2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밸브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의 상기 제1오픈캐비티가 상기 제1보스의 제1모세관과 연결된 냉매유출입홀을 개방하면 상기 제1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고, 동시에 상기 제2패드의 상기 제2오픈캐비티가 상기 제2보스의 상기 냉매유동홀을 개방하여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핫파이프와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밸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드는
    냉매가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연결 캐비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핫파이프와 연결된 유출입배관을 유동한 냉매는 상기 연결캐비티를 통해 제2모세관과 연결된 유출입배관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동시 개방 모드가 수행되는 밸브 장치.
KR1020210129715A 2021-09-30 2021-09-30 밸브 장치 KR20230046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15A KR20230046579A (ko) 2021-09-30 2021-09-30 밸브 장치
PCT/KR2022/008765 WO2023054843A1 (ko) 2021-09-30 2022-06-21 밸브 장치
CN202280034887.9A CN117321357A (zh) 2021-09-30 2022-06-21 阀装置
EP22876618.4A EP4317856A1 (en) 2021-09-30 2022-06-21 Valve apparatus
US17/876,154 US20230097656A1 (en) 2021-09-30 2022-07-28 Valv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715A KR20230046579A (ko) 2021-09-30 2021-09-30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79A true KR20230046579A (ko) 2023-04-06

Family

ID=8578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715A KR20230046579A (ko) 2021-09-30 2021-09-30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6579A (ko)
WO (1) WO202305484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8699B2 (ja) * 1992-04-27 2002-02-18 日本ランコ株式会社 切換弁
JP2001153494A (ja) * 1999-11-30 2001-06-08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式切換弁および冷凍・冷蔵庫用の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3065449A (ja) * 2001-08-29 2003-03-05 Denso Corp 四方切換弁および四方切換弁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622727B1 (ko) * 2014-11-18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밸브 및 이를 구비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
JP6533111B2 (ja) * 2015-07-15 2019-06-19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冷媒切換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843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5646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101339250B1 (ko) 차량용 열교환기
KR102276255B1 (ko) 차량 통합 열관리 멀티포트 밸브
KR101278337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20140305154A1 (en) Channel switching valve and vehicle air conditioning device provided with channel switching valve
JP2007113903A (ja) 冷蔵庫
WO2012008148A1 (ja) 冷媒流路切換ユニット
JP2006170608A (ja)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KR101382007B1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220073490A (ko) 밸브장치
EP4317856A1 (en) Valve apparatus
JP6186973B2 (ja) 冷媒圧縮機
ES2705082T3 (es) Acondicionador de aire
KR20230046579A (ko) 밸브 장치
KR20150040509A (ko) 스크롤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US11852257B2 (en) Valve device
US12007142B2 (en) Air conditioner
US11946675B2 (en) Valve device
KR20220073460A (ko) 밸브장치
US11976840B2 (en) Devices and systems for air conditioning units having a subcooling line
KR20230170164A (ko) 냉매용 밸브
KR20100078886A (ko) 전자팽창밸브용 커버
KR20240000664A (ko) 냉매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히트펌프시스템
CN117647034A (zh) 换热器组件和空调器及其控制方法
JP2013253541A (ja) 二段圧縮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