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533A -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6533A KR20230046533A KR1020210129632A KR20210129632A KR20230046533A KR 20230046533 A KR20230046533 A KR 20230046533A KR 1020210129632 A KR1020210129632 A KR 1020210129632A KR 20210129632 A KR20210129632 A KR 20210129632A KR 20230046533 A KR20230046533 A KR 20230046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tension
- tensegrity structure
- connecting member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0177 Indigofera tinctor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97275 indigo Drugs 0.000 description 2
- COHYTHOBJLSHDF-UHFFFAOYSA-N indigo powder Natural products N1C2=CC=CC=C2C(=O)C1=C1C(=O)C2=CC=CC=C2N1 COHYTHOBJLSH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3 clad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7 high-frequency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5/00—Measuring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은 피규어, 상기 피규어를 제1 및 제2 동작모드로 각각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모듈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피규어를 지지하는 텐세그리티 구조체 및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의 조정을 통해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를 변경하여 상기 피규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지지부; 및 인식되는 소리를 센싱하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식되는 소리에 기초하여, 피규어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피규어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규어는 영화나 만화 등에 나오는 캐릭터의 형태를 실제 크기 또는 축소한 크기로 본떠 만든 제품으로, 사용자들은 좋아하는 피규어를 수집하여 소장하거나 완구로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좀 더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피규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고정된 자세만을 유지하던 종래의 피규어와는 달리 피규어의 얼굴 표정이나 관절을 움직일 수 있어 원하는 포즈로 설정가능한 피규어들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피규어들은 수동적으로 포즈를 변경해야 하고, 이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하는 현대의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위의 소리에 스스로 반응하여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은 피규어, 상기 피규어를 제1 및 제2 동작모드로 각각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모듈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피규어를 지지하는 텐세그리티 구조체 및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의 조정을 통해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를 변경하여 상기 피규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지지부; 및 인식되는 소리를 센싱하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판에 연결된 제1 접촉부재 및 제2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제1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동모듈을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제2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구동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에 따라 광을 발산하는 LED 광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LED 광원모듈의 작동을 더 제어하며, 상기 발광패턴은 상기 LED 광원모듈이 ON 또는 OFF되는 점등모드, 상기 LED 광원모듈의 밝기가 조정되는 광량조정모드, 및 상기 LED 광원모듈의 색상이 조정되는 색상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규어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파츠들을 포함하며,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츠가 지지되고,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 변경을 통해 상기 파츠들이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는, 상기 피규어를 지지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판모듈; 상기 상판모듈에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판모듈;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의 대향되는 부위를 연결하며, 상기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장력이 조정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대향되는 부위를 연결하며, 상기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장력이 각각 조정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반구형의 요홈과,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요홈과 맞물려 결합하는 반구형의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력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요홈과 상기 돌기를 서로 맞물리게 결합시킨 후,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가해지는 장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각각의 말단에 구비된 발광부재에 의해 측면이 발광되는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들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 중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장력조정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에 따르면, 인식되는 소리에 반응하여 피규어가 동작되므로, 사용자는 피규어가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어 피규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피규어와 차별화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에 의해 피규어의 각 파츠가 유연성을 가지고 연결되므로, 연결부위의 흔들림에 의해 사용자는 피규어가 살아있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어 피규어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모션과 LE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적인 요소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몸체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장력이 가해지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상판과 하판이 완전히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장력을 감소시켜 텐세그리티 구조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누워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일어선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몸체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장력이 가해지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상판과 하판이 완전히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장력을 감소시켜 텐세그리티 구조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누워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일어선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10)은 몸체부(100), 지지부(200), 및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피규어(110)를 기 설정된 동작모드로 구동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00)는 모터(150)의 회전을 통해 피규어(110)와 연결된 구동모듈을 작동시켜, 피규어(110)가 기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피규어(110), 구동모듈 및 모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규어(110)란 영화나 만화 등에 나오는 캐릭터의 형태를 실제 크기 또는 축소한 크기로 본떠 만든 제품을 의미하며, 이 외에도 사물의 형태를 본떠 만든 모든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로봇 형태로 이루어진 피규어(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이 로봇 형태의 피규어(110)에만 적용 가능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형태의 피규어(11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피규어(110)는 하나로 구성되거나 두 개 이상의 파츠로 구성될 수 있다. 파츠는 기능, 위치, 또는 분리 가능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몸체를 이루는 하나의 파츠와 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는 주먹을 이루는 다른 하나의 파츠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듈은 피규어(110)가 여러가지 다양한 동작모드로 동작하도록 피규어(110)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몸체부(100)는 하나 이상의 구동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몸체부(100)가 제1 구동모듈(130) 및 제2 구동모듈(140)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구동모듈(130)은 피규어(110)가 제1 동작모드로 동작되도록 피규어(110)를 구동 시킬 수 있고, 제2 구동모듈(140)은 피규어(110)가 제2 동작모드로 동작되도록 피규어(110)를 구동 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에 따라 동작되는 피규어(110)의 동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제1 동작모드에서 머리를 갸우뚱하고, 제2 동작모드에서 머리를 일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일 수 있다.
제1 구동모듈(130)과 제2 구동모듈(140) 각각은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동모듈은 모터(150)를 구비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모터(150)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구동모듈(130)과 제2 구동모듈(140) 각각은 별도의 전원 공급이 필요 없이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구동모듈은 지렛대를 구비하여 지렛대의 일단에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작동되어 지렛대의 타단이 구동될 수 있다.
모터(150)는 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모터(15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50)는 캐패시터나 인버터가 없이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3상 교류 전력으로 움직이는 모터(150)일 수 있다. 모터(15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구동모듈(130)과 제2 구동모듈(1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몸체부(100)에서 모터(150)의 회전에 의하여 피규어(110)가 동작하는 것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몸체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대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150)는 회전판(151) 및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구동모듈(130, 140)은 각각 스위치와 구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51)은 원판 형태이며, 모터(15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모터(15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접촉부재는 회전판(151)에 연결되며, 회전판(15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1 구동모듈(130) 및 제2 구동모듈(140)을 각각 작동시키는 제1 접촉부재(152) 및 제2 접촉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촉부재(152) 및 제2 접촉부재(153)는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인 힘을 제1 구동모듈(130) 및 제2 구동모듈(140)로 전달함으로써 제1 구동모듈(130) 및 제2 구동모듈(14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재(152)는 회전판(151)의 제1 방향 회전(예를 들어 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제1 구동모듈(130)을 작동시키며, 제2 접촉부재(153)는 회전판(151)의 제2 방향 회전(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구동모듈(140)을 작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는 누름 동작에 따라 전원공급이 ON 상태 또는 OFF 상태로 변화되는 방식의 푸시 스위치(push switch)일 수 있다. 스위치는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치(131)는 제1 접촉부재(152)의 접촉에 의해 ON 또는 OFF 상태로 변화될 수 있고, 제2 스위치(141)는 제2 접촉부재(153)의 접촉에 의해 ON 또는 OFF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구동체는 전원 공급에 따라 회전되어 피규어(110)를 움직이는 모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체는 제1 구동체(132) 및 제2 구동체(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체(132) 및 제2 구동체(142)는 각각 연결된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41)의 ON 상태 또는 OFF 상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구동체(132) 및 제2 구동체(142)는 피규어(110)를 움직일 수 있도록, 피규어(110)의 서로 다른 부위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체(132) 및 제2 구동체(142)는 각각 연결된 제1 스위치(131) 및 제2 스위치(141)가 ON 상태로 변화되면 전원을 공급받아 피규어(110)를 각각 제1 동작모드 및 제2 동작모드로 구동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몸체부(100)에서 모터(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피규어(110)를 구동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몸체부(100)에서 모터(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규어(110)를 제1 동작모드로 구동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에 의해 회전판(151)에 연결된 제1 접촉부재(152)가 제1 구동모듈(130)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 제1 접촉부재(152)는 회전판(151)의 회전에 의해 제1 구동모듈(130)의 제1 스위치(131)를 접촉하며 밀어 ON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제1 스위치(131)가 ON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제1 구동체(132)에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1 구동체(132)의 모터부재가 회전하고, 모터부재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가 제1 동작모드로 움직인다. 이 때, 모터부재는 회전축이 피규어(110)의 일단과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축과 피규어(110)의 일단에 연결된 별도의 전달부재를 통해 모터부재의 회전력을 피규어(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 또는 전달부재에 연결된 피규어(110)의 일단은 피규어(110)의 머리 부분일 수 있으며, 제1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고개를 갸우뚱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음으로, 몸체부(100)에서 모터(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피규어(110)를 제2 동작모드로 구동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터(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에 의해 회전판(151)에 연결된 제2 접촉부재(153)가 제2 구동모듈(140)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 때, 제2 접촉부재(153)는 회전판(151)의 회전에 의해 제2 구동모듈(140)의 제2 스위치(141)를 접촉하며 밀어 ON 상태로 변화시킨다.
그리고, 제2 스위치(141)가 ON 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제2 구동체(142)에 전원이 공급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제2 구동체(142)의 모터부재가 회전하고, 모터부재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가 제2 동작모드로 움직인다. 이 때, 모터부재는 회전축이 피규어(110)의 일단과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회전축과 피규어(110)의 일단에 연결된 별도의 전달부재를 통해 모터부재의 회전력을 피규어(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 또는 전달부재에 연결된 피규어(110)의 일단은 피규어(110)의 목 부분일 수 있으며, 제2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머리를 일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10)은 모터(15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피규어(110)가 서로 다른 동작을 각각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푸시 스위치와 모터부재를 채용하거나 별도의 전원이 필요없이 모터(150)의 물리적인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지렛대 등을 채용하여 간단한 구조로 피규어(110)를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는 LED 광원모듈(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LED 광원모듈(120)은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한 전류를 발생시켜 발광하는 LED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LED 램프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LED를 포함한 군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LED 광원모듈(120)에는 이러한 LED 램프가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LED 램프는 발광다이오드(LED)에 의해 구현되며, 하나 이상의 LED를 구비하여 점멸 순서, 발광 색상, 밝기를 조정하여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다. LED는 단일 색상의 빛을 발광하거나 외부의 신호에 따라 여러 가지 색상의 빛을 선택적으로 발광하는 LE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ED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발광할 수 있는 삼색 LED일 수 있다.
LED 램프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10)에 다양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 램프는 피규어(110)의 소정 파츠의 내부에 위치하거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들의 일단에도 위치할 수 있다.
LED 광원모듈(120)은 피규어(110)의 일단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광을 표시할 수 있다. LED 광원모듈(120)의 작동은 후술하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LED 광원모듈(120)은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에 따라 광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패턴은 점등모드, 광량조정모드 및 색상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패턴은 하나의 모드로 이루어지거나 두 가지 이상의 모드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점등모드는 LED 광원모듈(120)이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ON 또는 OFF 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점등모드는 LED 광원모듈(120)이 ON과 OFF를 반복 즉, 점멸하며 광을 발산하는 모드일 수 있다.
광량조정모드는 LED 광원모듈(120)의 밝기가 단계적으로 증감되는 발광패턴이다. 예를 들어, 광량조정모드에서 LED 광원모듈(120)은 밝기가 단계적으로 증감 또는 증감을 반복하면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광량조정모드에서 LED 광원모듈(120)은 제어부(300)의 제어의 의해 특정 밝기로 조정되어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색상모드는 LED 광원모듈(120)이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특정 색상으로 조정되어 광이 발산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색상모드는 LED 광원모듈(120)의 색상이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변동되며 광을 발산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모드에서 LED 광원모듈(120)은 색상이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의 순서로 변동되면서 광을 발산하거나 무작위적으로 색상이 변동되면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피규어(1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지지하고 있는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시킴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지지되는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 및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0)에는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피규어(110) 전체를 지지하거나 피규어(110)의 일부 파츠를 만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가 두 개의 파츠로 구성된 경우 한 개의 파츠는 하나의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 개의 파츠는 다른 하나의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지지부(200)는 별도의 지지체(250)를 포함하여, 피규어(110)가 두 개의 파츠로 구성된 경우 한 개의 파츠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지지되고, 다른 한 개의 파츠는 지지체(250)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텐세그리티 구조(Tensegrity Structure)를 가지는 구조물을 의미한다. 텐세그리티 구조는 건축학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장력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Tension'과 구조적 통합을 뜻하는 영어 단어인 'Structure Integrity'의 합성어이며, 텐세그리티 구조는 장력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안정된 구조이다. 예를 들어,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는 압축부재는 누르는 힘인 압축력을 받게 되고 연결선은 당기는 힘인 인장력을 받게 되는데, 이 때 두 힘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평형을 이루게 되면 압축부재와 연결선은 형태가 유지되면서 구조의 안정화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텐세그리티 구조로 인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강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지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도 안정되어 피규어(1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장력이 가해지기 시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상판과 하판이 완전히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가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장력을 감소시켜 텐세그리티 구조를 유지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상판모듈(211), 하판모듈(216),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판모듈(211)은 피규어(11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상판(213) 및 제1 지지대(2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213)에는 피규어(110)가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판(213)의 일면에 피규어(110)가 직접 고정되거나, 지지부(200)에 별도로 구비된 지지부재(230)가 상판(213)과 피규어(110)를 고정 연결함으로써 상판(213)에 피규어(110)가 간접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230)는 투명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판(213)에 고정된 피규어(110)가 떠 있는 듯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제1 지지대(214)는 상판(213)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상판(213)과 대향되는 하판 방향일 수 있다.
하판모듈(216)은 상판모듈(211)에 대향하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하판모듈(216)은 하판(217) 및 제2 지지대(21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판(217)은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피규어(110)가 복수 개의 파츠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판(217)은 상판(213)에 지지되는 파츠와 다른 파츠에 지지될 수 있다. 하판(217)은 바닥 또는 파츠에 직접 고정 또는 간접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대(218)는 하판(217)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하판(217)과 대향되는 상판 방향일 수 있다.
제1 지지대(214)와 제2 지지대(218)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213)과 하판(217)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할 때, 제1 지지대(214)는 상판(21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20)는 제1 지지대(214)와 제2 지지대(218)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220)는 제1 지지대(214)의 하단과 제2 지지대(218)의 상단의 대향되는 부위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221)는 상판(213)과 하판(217)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부재(221)는 상판(213)과 하판(217)의 대향되는 부위를 연결한다. 이 때, 제2 연결부재(221)가 한 개인 경우 응력을 제1 연결부재(220)에 집중시킬 수 없고, 두 개인 경우 응력을 제1 연결부재(220) 집중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제2 연결부재(221)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연결부재(220)와 제2 연결부재(221)는 후술하는 장력조정모듈(240)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이 각각 조정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 각각은 측면이 발광되는 광섬유 및 광섬유 각각의 말단에 구비되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섬유는 클래딩 층을 제거하여 광섬유로 들어오는 빛이 측면으로 새어 나가는 광섬유일 수 있다.
발광부재는 전원을 공급받아 광을 발산하는 LED 램프일 수 있다. 발광부재는 광섬유 말단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는 후술하는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발광이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는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에 따라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패턴은 점등모드, 광량조정모드 및 색상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발광패턴은 하나의 모드로 이루어지거나 두 가지 이상의 모드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점등모드는 발광부재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ON 또는 OFF 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점등모드는 발광부재가 ON과 OFF를 반복 즉, 점멸하며 광을 발산하는 모드일 수 있다.
광량조정모드는 발광부재의 밝기가 단계적으로 증감되는 발광패턴이다. 예를 들어, 광량조정모드에서 발광부재의 밝기가 단계적으로 증감 또는 증감을 반복하면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광량조정모드에서 발광부재는 제어부(300)의 제어의 의해 특정 밝기로 조정되어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색상모드는 발광부재가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특정 색상으로 조정되어 광이 발산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색상모드는 발광부재의 색상이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 변동되며 광을 발산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모드에서 발광부재는 색상이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의 순서로 변동되면서 광을 발산하거나 무작위적으로 색상이 변동되면서 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는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면 발광하고, 장력이 제거되면 발광이 중지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14)의 하단은 제2 지지대(218)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재(220)에 인가되는 장력과 제2 연결부재(221)에 인가되는 장력이 힘의 평형 상태를 이루어 텐세그리티 구조가 안정화된 경우, 제1 지지대(214)의 하단은 제2 지지대(218)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즉 제1 지지대(214)의 하단이 제2 지지대(218)의 상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연결부재(220)에는 척력을 유지하지 못하므로 텐세그리티 구조를 유지할 수 없으나, 본원 발명과 같이 제1 지지대(214)의 하단은 제2 지지대(218)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연결부재(220)와 제2 연결부재(221)의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를 안정화할 수 있다.
제1 지지대(214)의 하단과 제2 지지대(218)의 상단에는 서로 맞물려 결합하는 반구형의 요홈(215)과 돌기(219)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부재(220)는 요홈(215)과 돌기(219)의 중앙으로부터 인출되며 제1 지지대(214)와 제2 지지대(218)를 연결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구비되는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장력조정모듈(240)은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력조정모듈(240)은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의 길이 및 장력을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장력조정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정모듈(240)은 장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장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텐세그리티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장력조정모듈(240)에 의해 가해지는 장력의 평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판모듈(211)은 아래로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텐세그리티 구조는 유지되지 않는다.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장력조정모듈(240)이 구동되기 시작하면, 장력조정모듈(240)에 포함된 장력조정모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며, 장력조정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을 가하여 감는다. 이 때 장력조정모듈(240)은 지속적으로 장력을 가하여 제1 지지대(214)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215)과 제2 지지대(218)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219)가 서로 완전히 맞물려 결합될 때까지 각각의 장력조정모터를 구동하여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를 감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제1 지지대(214)의 하단에 형성된 요홈(215)과 제2 지지대(218)의 상단에 형성된 돌기(219)가 서로 완전히 맞물려 결합되면, 제1 연결부재(220)와 제2 연결부재(221)는 더 이상 감길 수 없어 장력조정모터(150)의 회전이 중지된다. 이 때 장력조정모듈(240)은 제1 연결부재(220)와 제2 연결부재(221)에 가해지는 장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장력의 크기를 조정하여 유지한다.
다음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장력조정모듈(240)은 제1 연결부재(220)에 연결된 장력조정모터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지지대(214)와 제2 지지대(218) 사이에 제1 연결부재(220)가 기 설정된 길이로 늘어나도록, 감겨 있던 제1 연결부재(220)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풀어준다. 그리고 장력조정모듈(240)은 각각의 제2 연결부재(221)에 연결된 장력조정모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판(213)과 하판(217) 사이에 제2 연결부재(221)가 기 설정된 길이로 줄어들도록, 제2 연결부재(221)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감아준다. 이에 따라 제1 연결부재(220)와 제2 연결부재(221)에 가해지는 장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안정적이면서도 유연성을 가지는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피규어(110)의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 변경에 의한 피규어(110)의 형상 변화의 실시예들이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누워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일어선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하여 누워있던 피규어(110)를 일으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6에서와 같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는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누운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며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가 변경됨에 따라 일어선 상태로 형상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피규어(110)가 분리 결합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파츠들을 포함하며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츠가 지지되는 경우,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 변경을 통해 파츠들이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각각 분리되어 있던 피규어(110)의 파츠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8에서와 같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제2 파츠(112)는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바닥에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며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가 변경됨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여 지지체(250)에 고정된 제1 파츠(111)에 결합됨으로써, 피규어(110)는 형상의 변화가 일으키게 된다.
한편, 지지부(200)가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각각 분리되어 있던 피규어(110)의 파츠들을 결합시킬 수 있는 또다른 일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파츠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의해 일단이 지지된 제1 파츠(111) 및 제2 파츠(112)는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장력이 가해지며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가 변경됨에 따라 위치가 이동하여 서로 결합됨으로써, 피규어(110)는 형상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 각각의 지지부재들에 가해지는 장력을 연속하여 변경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되고 있는 피규어(110)의 형상이 반복적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일 실시예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도 1의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의 형상이 변화하는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로,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피규어가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를 두 가지 이상의 구동모드로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피규어(110)의 형상이 반복적으로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증가시키는 제1 구동모드와, 제1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감소시키는 제2 구동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00)는,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를 제1 구동모드와 제2 구동모드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규어(110)의 형상이 반복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는 장력조정모듈(240)로부터 가해지는 장력에 의해 제1 구동모드와 제2 구동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제1 구동모드는 도 1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1,221-2)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제1 방향(X)에 반대되는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3,221-4)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증가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제2 구동모드는 도 12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X)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1,221-2)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3,221-4)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로 감소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은 X축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X축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1,221-2)가 감소되는 길이와 제2 방향에 대응하는 제2 연결부재(221-3,221-4)가 증가되는 길이는 서로 같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200)가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를 제1 구동모드와 제2 구동모드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피규어(110)는 흔들리는 것과 같이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즉,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제1 구동모드로 구동되어 도 12의 (c) 상태에서 도 12의 (a) 상태로 형태가 변경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도 12의 (a) 상태에서 도 12의 (b) 상태로 형태가 변경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각각 1초이고, 제2 구동모드로 구동되어 도 12의 (b) 상태에서 도 12의 (a) 상태로 형태가 변경되는데 걸리는 시간 및 도 12의 (a) 상태에서 도 12의 (c) 상태로 형태가 변경되는데 걸리는 시간이 각각 1초이고, 기 설정된 시간이 10초인 경우, 지지부(200)는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를 제1 구동모드와 제2 구동모드로 기 설정된 시간동안 교번하여 연속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는 제1 방향(X)과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각각 3회씩 흔들리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200)는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피규어(110)가 누워있다가 일어선다던가, 분리되어 있던 파츠들이 결합된다던가, 배 형태의 피규어(110)가 파도에 흔들리는 것처럼 흔들리게 할 수 있어, 피규어(110)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 또는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50), LED 광원모듈(120), 장력조절모드 및 연결부재에 구비된 발광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이를 위해 별도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해당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모터(150), 장력조정모듈(240), LED 광원모듈(120) 및 연결부재에 구비된 발광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가 포함되어 다양한 센서 및 통신모듈과 연결할 수 있으며, 제어신호의 생성 및 입출력이 가능한 아두이노(Arduino) 기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음향 센서(310), 모션 센서(320), 습도 센서(330), 광 센서(340), 온도 센서(350), 미세먼지 센서(360), 비콘 통신모듈(370), NFC 통신모듈(380), RFID 통신모듈(390) 및 블루투스 통신모듈(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각종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 또는 각종 통신모듈을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값에 따라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하여 모터(150), 장력조정모듈(240), 광원모듈 및 연결부재에 구비된 발광부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센싱값에 대응하는 기준값 또는 각종 신호에 대응하는 기준값은 사용자로부터 임의로 입력받은 값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준값을 제어부(300)에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인식되는 소리를 센싱하는 음향 센서(310)를 포함하고, 음향 센서(310)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모터(150) 및 장력조정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음향 센서(310)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센싱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모터(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속삭이는 정도의 소리 크기인 10~30db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머리를 갸우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일반적인 대화 정도의 소리 크기인 30~60db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몸을 기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소리가 나는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 즉, 모터의 회전을 통해 피규어를 다양한 동작모드로 구동시키는 과정에 관하여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음향 센서(310)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센싱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장력조정모듈(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대화하는 정도의 소리 크기인 30db 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장력을 가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피규어(110)의 형상은 누워있는 모습에서 일어선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된다던가, 분리되어 있던 파츠들이 결합되는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된다던가, 배 형태의 피규어(110)가 파도에 흔드리는 것처럼 흔들리는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동안(예를 들어 10분)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피규어(110)의 형상은 일어선 모습에서 누워있는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된다던가, 결합된 파츠들이 다시 분리되는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된다던가, 흔들리던 배 형태의 피규어(110)의 흔들림이 멈춘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 즉,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과정과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 변경을 통해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제어부(300)는 음향 센서(310)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센싱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LED 광원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센싱값에 기초하여 LED 광원모듈(120)을 제어하여 LED 램프를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 따라 광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대화하는 정도의 소리 크기인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LED 광원모듈(120)을 제어하여 점등모드의 발광패턴에서 LED 램프가 ON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예를 들어 10분)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LED 광원모듈(120)을 제어하여 점등모드의 발광패턴에서 LED 램프가 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 즉, LED 광원모듈(120)의 다양한 발광패턴 및 그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제어부(300)는 음향 센서(310)를 통해 외부의 소리를 센싱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들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를 제어하여 발광부재가 광을 발산하도록 함으로써 광섬유의 측면이 발광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람이 대화하는 정도의 소리 크기인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를 제어하여 발광부재가 광을 발산하고, 발산된 광에 의해 광섬유의 측면을 발광시킬 수 있다. 기 설정된 시간동안(예를 들어 10분)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를 제어하여 발광부재가 광을 발산하는 것을 중지시키고, 이에 따라 광섬유의 발광 또한 중지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300)는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를 제어하여 발광부재가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에 따라 광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대화하는 정도의 소리 크기인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발광부재를 제어하여 점등모드의 발광패턴에서 발광부재가 ON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예를 들어 10분) 30dB이상의 센싱값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발광부재를 제어하여 점등모드의 발광패턴에서 발광부재가 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 즉,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의 다양한 발광패턴 및 그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제어부(300)는 습도 센서(330)를 통해 대기 중의 습도를 센싱하고, 습도 센서(330)에 의해 검출된 습도량에 기초하여 장력조정모듈(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습도량에 따라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제1 연결부재(220) 및 재2 연결부재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오는 날의 습도 상태와 같이 80~100%의 습도량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장력을 가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우산 형태의 파츠와 별도의 지지체(250)에 지지된 로봇 형태의 파츠로 이루어져, 로봇이 우산을 쓴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맑은 날의 습도 상태와 같이 80%미만의 습도량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우산 형태의 파츠와 별도의 지지체(250)에 지지된 로봇 형태의 파츠로 이루어져, 로봇이 우산을 쓰지 않고 내려놓은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모션 센서(320)를 통해 주위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모션 센서(320)에 의해 검출된 움직임에 기초하여 모터(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션 센서(320)에 의해 주위의 연속적인 움직임이 0.5초~1초 사이로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머리를 갸우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주위의 연속적인 움직임이 1초 이상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는 제2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고개를 기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움직임이 감지되는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광 센서(340)를 통해 주위의 빛의 양을 센싱하고, 광 센서(340)에 의해 검출된 빛의 양에 기초하여 LED 광원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빛의 양에 기초하여 LED 광원모듈(120)을 제어하여 LED 램프를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 따라 광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위로부터 측정되는 빛의 양이 극장 객석 정도의 빛의 양인 10Lux 미만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LED 광원모듈(120)을 제어하여 점등모드의 발광패턴에서 LED 램프가 ON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위로부터 측정되는 빛의 양이 10Lux 이상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LED 광원모듈(120)을 제어하여 점등모드의 발광패턴에서 LED 램프가 OFF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들 즉, LED 광원모듈(120)의 다양한 발광패턴 및 그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제어부(300)는 온도 센서(350)를 통해 주위의 온도를 센싱하고, 온도 센서(350)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장력조정모듈(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온도에 따라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측정된 온도가 10℃미만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가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외투 형태의 파츠와 별도의 지지체(250)에 지지된 로봇 형태의 파츠로 이루어져, 로봇이 외투를 걸친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측정된 온도가 10℃이상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외투 형태의 파츠와 별도의 지지체(250)에 지지된 로봇 형태의 파츠로 이루어져, 로봇이 외투를 벗어 내려놓은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미세먼지 센서(360)를 통해 주위의 미세먼지를 센싱하고, 미세먼지 센서(360)에 의해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에 기초하여 장력조정모듈(2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제1 연결부재(220) 및 제2 연결부재(221)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측정된 미세먼지농도가 81ug/m3미만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가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마스크 형태의 파츠와 별도의 지지체(250)에 지지된 로봇 형태의 파츠로 이루어져, 로봇이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측정된 미세먼지농도가 81ug/m3이상인 경우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장력을 제거하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규어(110)는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마스크 형태의 파츠와 별도의 지지체(250)에 지지된 로봇 형태의 파츠로 이루어져, 로봇이 마스크를 착용한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비콘 통신모듈(370)을 통해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150)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반경 내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피규어(110)는 제1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동작모드는 피규어(110)가 인사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제어신호를 통해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장력을 가하여 텐세그리티 구조체(210)가 텐세그리티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에 지지된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피규어(110)의 형상은 누워있는 모습에서 일어선 모습으로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내용들 즉, 모터(150)의 작동에 의해 피규어(110)를 동작시키는 과정, 그리고 장력조정모듈(240)을 통해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를 변경시키는 과정과 텐세그리티 구조체(210)의 형태 변경을 통해 피규어(1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하여는 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비콘 신호는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 내 스피커를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예컨대 블루투스 LE, RF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신호 등을 들 수 있으며, 사용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신호가 고주파 사운드 신호일 경우, 비콘 신호는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를 갖고 기 설정된 변동 패턴으로 이루어진 고주파 대역의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는 사용자를 특징할 수 있는 사용자 모바일 전화번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400)을 더 포함하고,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150) 및 장력조정모듈(240)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모듈(400)은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모듈(400)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방식의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규격의 블루투스 통신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블루투스 통신모듈(400)을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신호는 모터(150)의 동작에 관한 신호 및 장력조정모듈(240)의 동작에 관한 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어부(300)는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제어신호를 통해 모터(150) 및 장력조정모듈(24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NFC 통신모듈(380) 또는 RFID 통신모듈(390)을 통해 모터(150) 또는 장력조정모듈(240)을 제어하여 피규어(110)의 동작을 구동시키거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100: 몸체부
110: 피규어 120: LED 광원모듈
130: 제1 구동모듈 140: 제2 구동모듈
150: 모터 200: 지지부
210: 텐세그리티 구조체 240: 장력조정모듈
300: 제어부 310: 음향 센서
110: 피규어 120: LED 광원모듈
130: 제1 구동모듈 140: 제2 구동모듈
150: 모터 200: 지지부
210: 텐세그리티 구조체 240: 장력조정모듈
300: 제어부 310: 음향 센서
Claims (10)
- 피규어, 상기 피규어를 제1 및 제2 동작모드로 각각 구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모듈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피규어를 지지하는 텐세그리티 구조체 및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장력의 조정을 통해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를 변경하여 상기 피규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지지부; 및
인식되는 소리를 센싱하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센서에 의해 검출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회전판에 연결된 제1 접촉부재 및 제2 접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제1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구동모듈을 작동시키며,
상기 제2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판의 제2 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구동모듈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미리 정해진 발광패턴에 따라 광을 발산하는 LED 광원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LED 광원모듈의 작동을 더 제어하며,
상기 발광패턴은 상기 LED 광원모듈이 ON 또는 OFF되는 점등모드, 상기 LED 광원모듈의 밝기가 조정되는 광량조정모드, 및 상기 LED 광원모듈의 색상이 조정되는 색상모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규어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파츠들을 포함하며,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파츠가 지지되고,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의 형태 변경을 통해 상기 파츠들이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상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는,
상기 피규어를 지지하는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판모듈;
상기 상판모듈에 대향하여 이격 배치되는 하판과 상기 하판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지지대를 포함하는 하판모듈;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과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의 대향되는 부위를 연결하며, 상기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장력이 조정되는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상판과 상기 하판의 대향되는 부위를 연결하며, 상기 장력조정모듈에 의해 장력이 각각 조정되는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은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텐세그리티 구조체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단에 형성된 반구형의 요홈과, 상기 제2 지지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요홈과 맞물려 결합하는 반구형의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장력조정모듈을 통해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가하는 장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요홈과 상기 돌기를 서로 맞물리게 결합시킨 후, 상기 제1 연결부재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증가시키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길이를 기 설정된 길이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에 가해지는 장력이 평형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는 각각의 말단에 구비된 발광부재에 의해 측면이 발광되는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연결부재 및 상기 제2 연결부재들의 발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 중의 습도를 센싱하는 습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습도량에 기초하여 상기 장력조정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블루투스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 및 상기 장력조정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632A KR20230046533A (ko) | 2021-09-30 | 2021-09-30 |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632A KR20230046533A (ko) | 2021-09-30 | 2021-09-30 |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6533A true KR20230046533A (ko) | 2023-04-06 |
Family
ID=8591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9632A KR20230046533A (ko) | 2021-09-30 | 2021-09-30 |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653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8893B1 (ko) | 2018-02-09 | 2018-11-14 | 주식회사 블리츠웨이 |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피규어 |
-
2021
- 2021-09-30 KR KR1020210129632A patent/KR2023004653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18893B1 (ko) | 2018-02-09 | 2018-11-14 | 주식회사 블리츠웨이 |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피규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22014B1 (ja) |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 |
JP6543678B2 (ja) | 発光装置 | |
CN105759422A (zh) | 显示系统和显示装置的控制方法 | |
WO2018120085A1 (zh) | 一种鞋及其控制方法 | |
KR20200112869A (ko) | 대화식 휴대용 조명 시스템 | |
US20180342212A1 (en) | Display apparatus for eye strain reduction | |
EP3406964B1 (en) | Swinging led lamp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 |
US20240345666A1 (en) | Cake decoration system wiht finger controller | |
KR20230046533A (ko) | 소리에 반응하는 피규어 시스템 | |
JP2013139031A (ja) | 噴水システム | |
KR102081746B1 (ko) | 비주얼 디지털 장식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WO2021147614A1 (zh) | 一种音响发光结构及其控制方法与控制系统 | |
CN211073602U (zh) | 一种具有多种功能的可更换外壳机器人及其装饰外壳 | |
KR20170069593A (ko) | 조명 시스템 | |
JP2008205742A (ja) | 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 |
WO2022092911A1 (ko) | 몰입형 카우치 | |
KR101988835B1 (ko) | 움직임 가능한 큐브형 마우스 | |
CN208090393U (zh) | 多功能艺术台灯 | |
CN215910872U (zh) | 可穿戴控件 | |
CN214249394U (zh) | 智能助眠灯 | |
CN110010088A (zh) | 透明显示模组和透明显示装置 | |
US12018803B2 (en) | Projection device and projection system | |
CN216280765U (zh) | 一种手持可定制发光设备 | |
CN210781279U (zh) | 一种头戴式蓝牙耳机 | |
US12070699B1 (en) | Accessory and inflatable do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