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6139A -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6139A
KR20230046139A KR1020210129256A KR20210129256A KR20230046139A KR 20230046139 A KR20230046139 A KR 20230046139A KR 1020210129256 A KR1020210129256 A KR 1020210129256A KR 20210129256 A KR20210129256 A KR 20210129256A KR 20230046139 A KR20230046139 A KR 20230046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rocessor
manufacturing
tag
pro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474B1 (ko
Inventor
김신남
Original Assignee
김신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남 filed Critical 김신남
Priority to KR102021012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4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62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0066Tyre quality control dur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0077Directly attaching monitoring devices to tyres before or after vulcanization, e.g. micro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D2030/0083Attaching monitoring devices to tyres before or after vulcanization by inserting them inside tyre ca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타이어의 제조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An RF-ID Chip for Minimizing Damage in the Tire Curing Process and a Tir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타이어는 도 3에 도시된 공정을 거치며 제조된다.
도 3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타이어의 원재료인 조성물들을 배합하는 정련공정이 수행된다(S310). 정련공정은 원재료인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에 흑색안료의 일종인 카본 블랙(Carbon Black)과 황(Sulfur) 등의 여러 가지 약품을 혼합하는 공정으로서, 즉, 고무조성물을 배합하는 공정이다.
배합된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공정이 수행된다(S320). 정련공정을 거치며 타이어의 각 부위별 특성에 맞는 고무 시트가 완성되면, 압출공정을 거치며 고무를 일정한 폭과 두께로 만들어낸다.
압출된 고무조성물을 코드나 와이어 등에 토핑(Topping)하는 압연공정이 수행된다(S330). 스틸 코드와 패브릭 코드 양면에 압출공정을 거친 일정한 두께의 고무시트를 균일하게 입히며 얇게 토핑한다. 지속적으로 돌아가는 롤러 사이에 스틸 코드와 패브릭 코드를 통과시켜 앞뒤로 고무를 입힌다.
재단된 여러 가지 반제품을 성형기에 주입하여 성형하는 성형공정이 수행된다(S340). 압연공정까지 거친 모든 구성재료들이 성형되며 그린 타이어로 제조된다. 트레드 시트, 카카스 시트, 벨트 시트, 비드 부재, 사이드월 시트 및 이너라이너 시트 등이 조합되며 그린타이어로 제조된다.
그린 타이어를 금형에 넣고 일정시간 동안 고압과 고열을 가하여 타이어의 고유 성질을 발생시키는 가류 공정(S350)이 수행된다. 가류공정은 그린 타이어를 금형에 넣고 일정 시간동안 고온과 고압이 가해지는 환경에 노출시킨다. 그린 타이어가 금형에 배치되어 전술한 환경에 노출됨에 따라, 유황과 고무분자가 화학적으로 결합되며 타이어 고유의 성질(탄성 등)과 고유의 디자인이 형성된다.
가류 공정을 거친 타이어를 검사하는 검사공정(S360)이 수행된다. 가류 공정까지 거치며 제조된 타이어의 품질에 이상이 없는지 검사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수십 또는 백 km/h 이상의 속도에서도 타이어가 이상이 없는지, 일정 거리 이상 주행한 후에도 이상이 없는지 등의 품질 검사가 수행된다.
이처럼 제조되는 타이어 내에는 관리자가 제조된 그린 타이어들이 어떠한 공정을 거치고 있는지, 얼마만큼의 제품이 제조되고 있는지, 특정 가류공정을 거쳐야만 하는 제품이 제대로 해당 공정으로 진입하고 있는지 등 재고 및 제조 과정을 명확히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 4 및 5와 같이 타이어 내에 RF-ID 태그가 배치된다.
도 4는 종래의 RF-ID 태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RF-ID 태그가 타이어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RF-ID 태그(400)는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며, 외부로 고유 식별자를 출력하도록 안테나(43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20) 및 프로세서(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유 식별자를 외부로 전송하는 안테나(430)가 구현된 인레이(Inlay, 41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RF-ID 태그(400)는 성형공정을 거치며 제조된 그린타이어(5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가류공정을 거치게 된다.
문제는, 종래의 RF-ID 태그(400)가 그린타이어(510) 내부에 배치된 후, 가류 공정을 거치며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가류 공정은 도 6과 같이 수행된다.
도 6은 가류 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그린 타이어(510)는 그린 타이어 내부에서 그린 타이어의 외부 방향으로 팽창을 하면서 압력을 가하며 형상을 만드는 내부 몰드(브레다, 610) 및 그린 타이어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압력을 유지하며 형상을 만드는 외부 몰드(620)에 의해 가압되며 가류된다. 이때, 내부 몰드(브레다, 610)가 그린 타이어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그린 타이어 내부에 배치되는 RF-ID 태그(400) 역시, 내부 몰드(브레다, 610)에 의해 가압된다.
이로 인해, RF-ID 태그(400) 내 프로세서(420) 자체가 파손되거나, 프로세서(420)와 안테나(4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RF-ID 태그(400) 내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30)의 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맞추고 대칭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태그(400)의 일 측면에 위치해왔다. 이로 인해, 프로세서(420)는 외부에서 압력을 받을 경우, 보다 파손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가류 공정에서 일부 파손된 프로세서(420) 등은 검사 공정을 거치며 빠르게 회전됨에 따라, 온전히 파손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따라, 제조과정을 거친 종래의 타이어 내에 RF-ID 태그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관리자가 재고 및 제조 과정의 관리에 어려움이 있고, 파손된 RF-ID 태그는 제거하고 정상 RF-ID 태그로 교체해서 데이터 프로세싱 과정을 수행해야 하기에, 추가적인 관리비용이 발생해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의 제조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타이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타이어의 원재료인 조성물들을 배합하는 배합공정과 배합된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공정과 상기 압출공정에서 압출된 고무 조성물을 코드 또는 와이어에 토핑하는 토핑공정과 상기 압연공정을 거친 조성물을 성형기에 주입하여 그린타이어로 성형하며, 상기 그린타이어 내부에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RF-ID 태그를 배치시키는 배치공정 및 상기 그린타이어를 기 설정된 환경에 노출하여 가류시키는 가류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RF-ID 태그는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며 외부로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유 식별자를 외부로 출력하는 안테나와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안테나를 안착시키는 인레이부 및 상기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하여 인레이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 설정된 환경에서 기 설정된 기준치의 점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 설정된 환경에서 젤 형태를 갖는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보호부는 상기 인레이부 표면 상에서 상기 인레이부와 접촉하는 밑면이 상기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하여 기 설정된 반경을 갖는 반구(半球)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보호부는 내부에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안테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RF-ID 태그가 타이어의 제조공정에서 파손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제조되는 타이어의 재고 및 제조 과정의 관리가 수월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종래의 RF-ID 태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RF-ID 태그가 타이어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가류 공정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100)는 인레이부(110), 프로세서(120), 안테나(130), 보호부(140), 접착부(210) 및 오버레이부(220)를 포함한다.
인레이부(110)는 기 설정된 면적을 구비하여, 프로세서(120), 안테나(130) 및 보호부(14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프로세서(120)는 태그 고유의 식별자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하여, 외부로 고유 식별자 및 기타정보를 제공한다. RF-ID 리더기가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수신하여 자신과 자신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120)는 자신의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며 이를 외부로 송출하도록 안테나(130)를 제공한다. 나아가, 프로세서(120)는 자신의 식별자 외에 더 제공할 기타 정보들을 저장하여 이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종래의 RF-ID 태그와 달리, RF-ID 태그의 중앙에 위치한다. 종래와 같이 프로세서(120)가 끝단부에 위치할 경우,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지면 특정 부위로 압력이 집중되기 때문에 파손에 보다 취약해진다. 이를 해소하고자, 프로세서(120)는 종래와 달리 태그의 중앙에 위치한다. 중앙에 위치할 경우,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프로세서의 전 부분으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 자체나 프로세서(120)와 안테나(130)간 연결부위의 파손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다.
안테나(130)는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서(12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안테나(130)는 납땜 등의 방식으로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130)는 이처럼 프로세서(12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고유 식별자 및 기타 정보를 외부로 전송한다. 안테나(130)의 전송에 따라,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RF-ID 리더를 이용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보호부(140)는 프로세서(120)를 중심으로 인레이부(110) 표면 상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프로세서(120)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한다. 보호부(140)는 인레이부(110) 표면 상에서 인레이부(110)와 접촉하는 밑면이 프로세서(120)를 중심으로 하여 기 설정된 반경을 갖는 반구(半球) 형태로 구현된다. 보호부(140)는 적어도, 프로세서(120) 및 프로세서(120)와 안테나(1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는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보호부(140)는 가류 환경(120 내지 180℃)에서 응고되지 않고 젤 형태를 갖는 물질로서, 가류 환경에서 기 설정된 기준치의 점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된다. 예를 들어, 보호부(140)는 실리카로 구현될 수도 있고, 고무로 구현될 수도 있다. RF-ID 태그(100)가 그린 타이어어 내부에 배치된 후 가류공정이 진행될 경우, 보호부(140)는 점탄성을 갖는다. 프로세서(120) 및 프로세서(120)와 안테나(130)의 연결부의 외부에 점탄성을 갖는 물질이 배치되어 외력을 흡수하기 때문에, 가류공정이 진행되더라도 프로세서(120) 및 프로세서(120)와 안테나(130)의 연결부의 파손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접착부(210)는 인레이부(110)의 전면 및 후면에 배치되어, 인레이부(110) 상으로 오버레이부(220)가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오버레이부(220)는 RF-ID 태그(100)의 최외곽에 배치되어, 프로세서(120)가 외부 환경에 직접 드러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400: RF-ID 태그
110, 410: 인레이부
120, 420: 프로세서
130, 430: 안테나
140: 보호부
210: 접착부
220: 오버레이부
510: 그린 타이어
610: 내부 몰드
620: 외부 몰드

Claims (5)

  1. 타이어 제조방법에 있어서,
    타이어의 원재료인 조성물들을 배합하는 배합공정;
    배합된 조성물을 압출하는 압출공정;
    상기 압출공정에서 압출된 고무 조성물을 코드 또는 와이어에 토핑하는 토핑공정;
    상기 토핑공정을 거친 조성물을 성형기에 주입하여 그린타이어로 성형하며, 상기 그린타이어 내부에 고유 식별자를 포함한 정보를 출력하는 RF-ID 태그를 배치시키는 배치공정; 및
    상기 그린타이어를 기 설정된 환경에 노출하여 가류시키는 가류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RF-ID 태그는,
    고유 식별자를 저장하며 외부로 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유 식별자를 외부로 출력하는 안테나;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안테나를 안착시키는 인레이부; 및
    상기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하여 인레이부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 설정된 환경에서 기 설정된 기준치의 점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기 설정된 환경에서 젤 형태를 갖는 물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인레이부 표면 상에서 상기 인레이부와 접촉하는 밑면이 상기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하여 기 설정된 반경을 갖는 반구(半球)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내부에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안테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KR1020210129256A 2021-09-29 2021-09-29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KR102621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56A KR102621474B1 (ko) 2021-09-29 2021-09-29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256A KR102621474B1 (ko) 2021-09-29 2021-09-29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39A true KR20230046139A (ko) 2023-04-05
KR102621474B1 KR102621474B1 (ko) 2024-01-09

Family

ID=8588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256A KR102621474B1 (ko) 2021-09-29 2021-09-29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385B1 (ko) * 2013-05-15 2015-08-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생산 관리 시스템
KR20170017030A (ko) * 2015-08-04 2017-02-1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제조 방법
JP2020083044A (ja) * 2018-11-26 2020-06-04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JP2020185975A (ja) * 2019-05-17 2020-11-19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JP2021000854A (ja) * 2019-06-19 2021-01-07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385B1 (ko) * 2013-05-15 2015-08-18 아시아나아이디티 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타이어 생산 관리 시스템
KR20170017030A (ko) * 2015-08-04 2017-02-15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제조 방법
JP2020083044A (ja) * 2018-11-26 2020-06-04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JP2020185975A (ja) * 2019-05-17 2020-11-19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JP2021000854A (ja) * 2019-06-19 2021-01-07 Toyo Tire株式会社 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474B1 (ko)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6895B1 (en) Tire having embedded electronic device affixed with adhesive
US11331962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KR101081374B1 (ko) 무선인식태그를 타이어에 부착하는 방법
US11498297B2 (en) Tire integrated with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200108676A1 (en) Tire
CN111186264B (zh) 轮胎
US11338624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20200398616A1 (en) Tire
CN100532142C (zh) 轮胎以及标记轮胎的表面的至少一部分的方法
JP2007331295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KR20230046139A (ko) 타이어 가류 공정에서 파손을 최소화한 rf-id 태그 및 그를 포함하는 타이어 제조방법
CN207976914U (zh) 一种自动记录轮胎模具硫化轮胎数量的装置
US11628694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EP3090885A1 (en) Pneumatic tire
JPS5989204A (ja) ラジアルタイヤ
JP2009126111A5 (ko)
US11084333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KR102518927B1 (ko) 타이어의 가류 방법
KR102233843B1 (ko) 비드부가 보강된 공기입타이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타이어
KR102606329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CN217880344U (zh) 一种轮胎硫化标签
KR20190080552A (ko) 안정적 안착이 가능한 블래더 몰드
CN212651311U (zh) 一种tpu中胎
US11440356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EP4043238A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