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5465A -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5465A
KR20230045465A KR1020210128356A KR20210128356A KR20230045465A KR 20230045465 A KR20230045465 A KR 20230045465A KR 1020210128356 A KR1020210128356 A KR 1020210128356A KR 20210128356 A KR20210128356 A KR 20210128356A KR 20230045465 A KR20230045465 A KR 20230045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s
cosmetic composition
dimethicone
weight
silicone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정
김기백
우영화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8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5465A/ko
Publication of KR20230045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레탄계 필름형성제를 고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특정 실리콘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뻣뻣하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lips comprising a high content of film forming agent}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입술을 강조하는 메이크업이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고 산뜻한 느낌을 주는 다양한 립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마스크가 일상화된 생활 속에서 마스크로 인해 메이크업에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마스크에 묻어남과 번짐 없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는 메이크업이라는 뜻의"마스크 프루프(mask-proof)" 메이크업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났다.
한편, 필름형성제는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색상 지속력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필름형성제를 일정량 이상으로 포함할 경우 끈적이거나 뻣뻣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주로 사용하는 실리콘계 필름형성제의 경우, 두꺼운 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압력에 의한 묻어남이 적지만 마찰에 의한 지속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색상 지속력을 높이고, 사용감이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는 예를 들어,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에틸카바메이트 (Bis-hydroxyethoxypropylDimethicone/IPDI Copolymer Ethyl Carbamate),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BisHydroxylaurylDimethicone/IPDI Copolymer), 글리세레스-7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Glycereth-7 Hydroxystearate/IPDI Copolymer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5 내지 30 중량%, 15 내지 25 중량%, 15 내지 22 중량%, 15 내지 20 중량%, 18 내지 24 중량%, 18 내지 21 중량% 또는 19 내지 23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우리탄계 필름형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색상 지속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임과 뻣뻣함이 강해져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디메치콘(Dimethicone),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디페닐실옥시 페닐 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Dimethicone Crosspolymer-3)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3 중량%, 1 내지 10 중량%, 3 내지 14 중량%, 5 내지 12 중량%, 또는 8 내지 1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필름형성제에 의한 끈적이는 사용감을 상쇄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색상 지속력이 떨어지고, 묻어남 개선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의 병행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색소 분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와의 상용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로서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에틸카바메이트;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로서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무수제형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분산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중 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에 착색이 가능한 수용성 색소(염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적은 함량의 필름형성제를 사용하면서도 묻어남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유중 수형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입술의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무수제형으로서, 유화제를 포함하지 않아 입술의 자극이 없고, 유연한 막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를 포함하여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를 고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끈적임 및 뻣뻣한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하여 특정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예를 들어, 디스테아디모듐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등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점증제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점증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에서 입술 뜯김 현상이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점증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묻어나지 않으면서, 제형이 뜯어지는 현상이 개선되어 사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내지 15 중량%, 5 내지 10 중량%, 6 내지 12 중량% 또는 5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증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제형의 점도가 매우 낮아 색소, 오일 등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제형이 뻑뻑해 지며 색소 및 오일의 분산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립틴드, 립래커, 또는 립밤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향료, 충전제, 보존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및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 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른 활성제, 또는 착색제 등과 함께 사용되어, 색상(색조) 표현, 화사함, 입체감, 보습 효과, 미백 개선, 주름 방지, 자외선 차단, 노화 방지 및 펄감 등의 기능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탄계 필름형성제를 고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색상 지속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특정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뻣뻣하고 끈적이는 사용감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지속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입술 뜯김 개선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색소 분산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3.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성분을 함량에 따라 비이커에 계량한 후 55~60℃의 온도에서 아지믹서(Agi-mixer)를 이용하여 2,500 rpm으로 20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기포를 제거하여 유분산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함량은 중량%이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Isododecane To 100 To 100 To 100
Bis-Hydroxyethoxypropyl Dimethicone/IPDI Copolymer Ethylcarbamate 20 18 18
Diisostearyl Malate 1.5 1.5 1.5
Polyglyceryl-2 Triisostearate 2 2 2
Sorbitan Isostearate 2 2 2
Dimethicone 8 8 8
Dimethicone Crosspolymer 2 2 2
Disteardimonium Hectorite - 7 -
Colorant 10 10 10
[비교예]
비교예 1~6.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을 포함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Isododecane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rimethylsilioxysilicate 20 - - - - -
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 - 20 - - - -
Bis-Hydroxyethoxypropyl Dimethicone/IPDI Copolymer Ethylcarbamate - - 18 18 18 18
Diisostearyl Malate 1.5 1.5 1.5 1.5 1.5 1.5
Polyglyceryl-2 Triisostearate 2 2 2 2 2 2
Sorbitan Isostearate 2 2 2 2 2 2
Disteardimonium Hectorite - - 10 7 7 7
Dimethicone 8 8 - 7 8 2.5
Dimethicone Crosspolymer 2 2 - 2.5 - -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 - - 0.5 - -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 - - - 2 1.5
Isododecane - - - - - 6
Colorant 10 10 10 10 10 10
[실험예]
색상 지속력 확인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지속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위에 동일한 면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2를 도포한 후 물티슈로 마찰을 일으켜 내용물을 닦아내고,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잔여량을 비교하였다.
도 1은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색상 지속력을 확인한 사진이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물티슈로 피부를 닦아낸 후에도 처음 도포한 면적이 유지되었을 뿐만 아니라, 색상의 변화도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MQ 레진 및 실리콘 아크릴계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의 경우, 물티슈에 대부분이 묻어났으며 피부에 거의 남아있지 않고, 도포 직후의 색상과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레탄계 필름형성제를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마찰 저항성을 갖는 바, 묻어남이 적을 뿐만 아니라 색상이 오랫동안 지속될 수 있다.
입술 뜯김 개선 효과 확인
필름형성제가 과량으로 포함된 제형에서는 끈적임과 함께 입술 뜯김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입술 뜯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2 및 비교예 3을 일정량으로 입술에 도포하고 일정시간 동안 조성물을 건조시킨 뒤, 입술을 붙였다 떼었다를 수회 반복하여 입술의 표면 상태를 확인하였다.
도 2는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입술 뜯김 개선 효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포 직후의 상태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3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입술을 붙였다 떼었을 때 비교예 3은 내용물이 붙었다 떨어지면서 제형이 뜯겨져 나가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실시예 2는 도포 직후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아 입술에서 제형 뜯김 현상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점증제는 점도 조절뿐만 아니라 사용감 증진을 위해 포함되는데, 실리콘 엘라스토머와 병용 사용함으로써 뜯김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함으로써 끈적임이 감소하여 가벼우면서 편안한 사용감을 줄 수 있다.
색소 분산성 확인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색소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및 비교예 4~6을 동일한 함량으로 슬라이드글라스에 올린 뒤, 별도의 슬라이드글라스로 눌러 색소의 분산 상태를 확인하였다.
도 3은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색소 분산성을 확인한 사진이다.
그 결과, 비교예 4 및 6의 경우, 색소 알갱이가 점박이처럼 확인되어 색소 분산이 깨진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3은 색소 알갱이 없이 색소가 안정적으로 분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엘라스토머로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끈적임이 감소하여 사용감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색소 분산성을 향상시켜 선명한 발색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의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 및 실리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필름형성제는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에틸카바메이트 (Bis-hydroxyethoxypropylDimethicone/IPDI Copolymer Ethyl Carbamate), 비스-하이드록시라우릴다이메티콘/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BisHydroxylaurylDimethicone/IPDI Copolymer), 및 글리세레스-7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아이피디아이코폴리머(Glycereth-7 Hydroxystearate/IPDI Copolymer)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Dimethicone),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 Crosspolymer), 디메치콘/비닐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디페닐실옥시 페닐 트리메치콘(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및 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3(Dimethicone crosspolymer-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디메치콘 및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인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엘라스토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무수제형인 것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28356A 2021-09-28 2021-09-28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5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356A KR20230045465A (ko) 2021-09-28 2021-09-28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356A KR20230045465A (ko) 2021-09-28 2021-09-28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465A true KR20230045465A (ko) 2023-04-04

Family

ID=8592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356A KR20230045465A (ko) 2021-09-28 2021-09-28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54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8919B2 (en)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
CN107898668B (zh) 一种不沾杯长效哑光唇釉配方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381378B (zh) 一种滋润口红及其生产方法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5801B1 (ko) 우수한 색상 지속력과 유연성을 가지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
WO2015108383A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7350269B2 (ja) 光沢感と色移りの程度が改善された唇用化粧料組成物
KR102178965B1 (ko) 지속력 및 건조감을 개선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516806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および界面活性剤からなるコンパウンド、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粉末ならびにポリアルキル(メタ)アクリレートを油性相に含むエマルジ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
KR20230045465A (ko) 고함량의 필름형성제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JP6441528B1 (ja) 化粧下地用組成物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7655A (ko)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319499B1 (ko) 묻어남이 개선된 왁스-프리의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3154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3474B1 (ko) 탁도가 감소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40032063A (ko) 헥토라이트, 미세 분쇄 안료를 함유하는 크림형태의 아이라이너 화장료 조성물
KR102672726B1 (ko) 모이스쳐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15947A (ko) 리퀴드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4825A (ko) 점토 광물 파우더 및 저점도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6921A (ko)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zuma et al. Transforming Favorite Lipsticks into Long-Lasting Products Using an Over-Coating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