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861A -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 Google Patents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861A
KR20230044861A KR1020210127494A KR20210127494A KR20230044861A KR 20230044861 A KR20230044861 A KR 20230044861A KR 1020210127494 A KR1020210127494 A KR 1020210127494A KR 20210127494 A KR20210127494 A KR 20210127494A KR 20230044861 A KR20230044861 A KR 20230044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user
massage
headres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123B1 (ko
Inventor
김승준
김종우
김종찬
Original Assignee
김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준 filed Critical 김승준
Priority to KR102021012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2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64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line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베드 본체와; 머리를 받쳐주고 목을 지지해 주는 머리 받침부와; 사용자 머리의 상하 왕복 운동을 위해 상기 머리 받침부의 경사각도 및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사용자의 목이 좌우로 꺽이는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 또는 사용자의 목을 좌우로 직선으로 왕복 이동시켜 주는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 또는 사용자의 목이 좌우로 비틀어지는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 중 어느 한 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장소에 상관없이 바닥이나 각종 의자 및 쇼파 등의 등받이에 간단히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대거나 누워 목을 뒤로 젖히고 어께도 뒤로 젖히거나 펼친 자세에서 목과 어께, 등, 허리 및 둔부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자유롭고 부드럽게 안마 및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목부분에 대해서는 상하좌우 운동과 비틀기 운동 및 안마 등을 통해 거북목의 발생 방지 및 교정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Braces for neck exercise massage}
본 발명은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이나 의자 및 쇼파 등의 등받이에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자가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대거나 누운 상태에서 목이나 어께, 등, 허리 및 둔부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안마 및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게 하여 해당 부위의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킴과 동시에 혈액이 원활히 순환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관절 기능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목부분에 대하여 상하좌우 및 비틀기 운동 및 안마를 통해 거북목의 발생 방지 및 교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발명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사회 생활로 인하여 현대인들은 정신적 또는 육체적으로 피로가 누적되며, 이로 인하여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의자에 몸을 의지한 채로 업무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목, 어께, 허리 근육들이 뭉쳐져 피로 및 스트레스가 증가 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뭉쳐진 근육을 손으로 주무르거나 마사지하여 풀어주게 되었다
그러나 손을 이용하여 뭉쳐진 근육을 풀어 주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강한 힘으로 뭉쳐진 근육을 안마 및 마사지해야 하므로 그 행위 자체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근육 마사지로 인해 손 근육이 뭉쳐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내부에 솔레노이드 구동방식, 모터구동에 의한 기구적인 작동방식, 저주파 작동방식 등으로 이루어지는 안마소자가 내장 설치된 안마 또는 마사지 장치들이 개발되어 제시되고 있다.
이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마장치는 통상 다수의 안마돌기를 가진 진동기, 즉, 바이브레이터(vibrator)가 신체의 경혈, 경락 등을 감안한 상태로 배치되어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안마돌기가 미세하고도 신속하게 출몰작용을 하면서 신체표면에 자극을 가함으로서 뭉친 근육을 풀어주거나 이완시켜주고 이에 따라 육체적 또는 정신적 피로회복이 이루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안마장치들 중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안마장치는 의자 형태로 된 고가의 안마장치를 비롯하여 허리쿠션이나 방석형태로 된 안마장치, 그리고 침대형태로 된 안마베드 등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것들이 있으며, 이외에도 손에 쥐고 사용하는 타잎으로 핸드 맛사지기 또는 핸드 안마기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마의자를 비롯하여 안마베드나 안마쿠션 등의 종래의 안마기 또는 안마장치는 등이나 허리부분의 안마는 별 무리없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지만, 안마기 또는 안마장치의 구조상 뒷목부분(특히 뒷목 양측부분)이나 어께, 그리고 팔의 안마는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제 인체에 있어서 가장 안마가 필요한 부분인 목부분이나 어께, 팔 등의 안마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반쪽 안마기에 불과하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닌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안마장치나 안마기 중 안마 의자나 안마베드는 그 부피가 상당히 크고 중량 또한 과다하게 나가기 때문에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자주 운반 설치해가며 사용하기는 곤란하였던 것이며, 안마쿠션의 경우는 휴대나 운반은 상당히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측면이 있으나, 이 또한 부피가 크고 사용이 지극히 한정적인 폐단이 따랐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한 종래의 안마의자, 안마베드, 안마쿠션등을 비롯한 각종 안마기 또는 안마장치는 대부분 부피가 상당해 크고 가격대가 상당히 높으며, 이동설치나 휴대사용이 불편한 폐단이 따랐다는 것이며, 무엇보다도 인체에 있어서 가장 피로를 많이 느끼는 부분인 뒷목부분이나 어께, 팔 등의 인체 부위에 대한 안마가 전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지극히 한정적인 문제가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남녀노소 가릴것 없이 핸드폰을 포함한 휴대 단말기의 과다 사용으로 거북목을 호소하는 이가 많은데, 거북목을 호소하면 그에 따라 어께도 앞쪽으로 휘어질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등이 굽어지고 등을 따라 허리 라인도 틀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거나 쉽게 교정할 수 있는 안마장치 등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10-0687063호(2007년 02월 20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215528호(2012년 12월 1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641315호(2016년 07월 1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767390호(2017년 08월 0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체를 기대거나 누울 수 있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상한 베드 본체의 상방부에 경사각도 및 높이 조절형 머리 받침부와 쿠션부재가 구비된 한 쌍의 승하강형 어께 누름부를 구비시켜 주고, 하방부에는 허리 받침부를 입출입 가능하게 설치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바닥이나 각종 의자 및 쇼파 등의 등받이에 간단히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대거나 누워 목을 뒤로 젖히고 어께도 뒤로 젖히거나 펼친 자세에서 목과 어께, 등, 허리 및 둔부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자유롭고 부드럽게 안마 및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을 통해 해당 부위의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켜 줄 수 있음과 동시에 혈액이 원활히 순환되게 할 수 있고, 또한 관절 기능 역시 대폭 향상시켜 각 부위에 대한 효과적인 안마를 통해 자세 교정효과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으며, 특히 목부분에 대해서는 상하좌우 운동과 비틀기 운동 및 안마 등을 통해 거북목의 발생 방지 및 교정을 수행할 수 있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는, 사용자가 상체를 기대거나 누웠을 때, 목과 어께가 접촉되는 부분이 높고 허리가 접촉되는 부분이 낮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베드 본체와; 상기 베드 본체의 상방부 중앙에 경사각도 및 높이가 자동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머리 받침부와; 상기 머리 받침부와 베드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머리 받침부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로 자동 조절되게 하는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과; 상기 베드 본체의 상방부에서 머리 받침부 양측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어께 누름부와; 상기 어께 누름부들의 저면과 베드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어께 누름부를 승하강시켜 상기 어께 누름부가 사용자의 어께를 원하는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한 쌍의 누름압력 조절수단과; 상기 베드 본체의 하방부 중앙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 받침부와;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허리 받침부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허리 받침부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허리를 받쳐 주도록 하는 인출입수단과;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 누름압력 조절수단 및 인출입수단의 작동에 필요한 키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와;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 누름압력 조절수단 및 인출입수단을 구동시키는 출력신호를 포함하여 안마기의 작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 받침부와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 사이에는 상기 머리 받침부와 함께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목을 좌우로 회전시켜 거북목 방지 및 교정할 수 있는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머리 받침부와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 사이에는 상기 머리 받침부와 함께 사용자의 머리를 좌우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돌려 회전주며 목을 좌우로 비틀어 주어 거북목 방지 및 교정할 수 있는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 받침부 상면 양측에는 사용자의 머리 양측을 지지해 주는 머리 측면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 내측에는 에어 백 또는 스폰지를 포함하는 쿠션부재를 1개씩 또는 한 쌍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베드 본체는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폭을 갖되, 사용자의 목이 접촉되는 부위에는 목부위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방부에는 사용자가 목과 머리가 뒤로 젖혀질 때 목부위를 포함한 머리부분 일부를 받쳐주는 만곡부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인체의 목과 척추를 포함한 등 중앙부위를 지지 및 받쳐 주는 등 중앙 받침부와; 상기 등 중앙 받침부의 양측에서 양단부를 향해 하방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방부에서 경사방향으로는 각각 어께 상부 지지판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등 중앙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양측 옆 등부위를 지지 및 받쳐 주는 한 쌍의 옆 등 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드 본체의 상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머리 받침부의 저면을 지지해 주고, 상기 어께 누름부의 누름압력 조절수단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베드 본체에 대한 지지력을 증대시켜 주는 바닥 연장판을 일체로 연장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은, 일단부는 베드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머리 받침부의 저부에 결합된 상하방향 회전바와;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와 베드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를 통해 상기 머리 받침부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를 갖도록 회전시켜 실린더 또는 정역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바 구동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로 실린더를 채택한 경우, 상기 실린더의 몸체는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 축설하고, 상기 실린더의 로드 단부는 상하방향 회전바에 축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로 정역 모터를 채택한 경우는, 축상에 구동기어를 구비한 정역 모터는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하방향 회전바의 일단부 축상에는 상기 구동기어의 잇수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잇수를 갖는 상기 종동기어를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어께 누름부는 판체 형상을 갖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 또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의 후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모근 접촉판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로 성형하여, 상기 베드 본체의 상방부 양측에 구비시킨 누름압력 조절수단에 승하강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어께 앞부분 누름판 또는 승모근 접촉판의 내면에는 에어 백 또는 스폰지를 포함하는 쿠션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압력 조절수단은 상기 어께 누름부의 저면과 베드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어께 누름부를 승하강시켜 주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허리 받침부의 상면은 인체의 허리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진 형태를 갖는 허리 안착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입수단은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에 설치되어 허리 받침부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고정 레일과; 외측 단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레일과;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고정 레일에 결합된 가동 레일을 통해 상기 허리 받침부의 위치가 사용자의 허리 위치로 자동 이동되게 하는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는 몸체는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로드의 단부는 상기 가동 레일에 결합된 형태를 갖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는 축상에 구비된 피니언 기어가 래크와 맞물리도록 상기 베드 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고정 레일 및 상기 가동 레일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되는 정역 모터와; 상기 가동 레일의 상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레일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호 맞물린 피니언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정역 모터의 회전동력에 대응하여 가동 레일이 고정 레일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허리 받침부가 사용자의 허리 위치로 자동 이동되게 하는 래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드 본체와 상기 머리 받침부, 상기 어께 누름부 및 상기 허리 받침부의 내부에는 두드림 또는 진동 또는 주무름 또는 롤링 기능을 갖고 인체의 각 부위를 안마해 주는 안마부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조작부는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을 통해 머리 받침부의 경사각도 및 높이를 조절하는데 필요한 머리 받침부 업/다운 키는 물론 상기 누름압력 조절수단을 통해 어께 누름부의 승하강 위치 및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어께 누름부 업/다운 키 및, 상기 인출입수단을 통해 상기 허리 받침부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허리 받침부 인출입 조절 키를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에 의하면, 상체를 기대거나 누울 수 있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상한 베드 본체의 상방부에 경사각도와 높이 조절, 좌우 수평방향 이동 및 좌우 회전이 가능한 머리 받침부와 쿠션부재가 구비된 한 쌍의 승하강형 어께 누름부를 구비시켜 주고, 하방부에는 허리 받침부를 입출입 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장소에 상관없이 바닥이나 각종 의자 및 쇼파 등의 등받이에 간단히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대거나 누워 목을 뒤로 젖히고 어께도 뒤로 젖히거나 펼친 자세에서 목과 어께, 등, 허리 및 둔부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자유롭고 부드럽게 운동과 안마 및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목이나 등, 어께, 허리 및 둔부 등 인체의 상체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형태로 운동과 안마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각 부위의 긴장된 근육을 이완은 물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 관절 기능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 인체의 상체에 대한 안마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데, 특히 목부위를 상하좌우로 운동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좌우로 비틀어 주는 운동도 실시해 줄 수 있으므로 거북목의 발생 방지는 물론 교정시킬 수 있어 수험생, 모델(걷는 직업군), 책상에 오래 앉아 일하는 직업군 그리고 목, 어께 통증을 호소하는 남녀노소 모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허리 받침부에서 원만하게 또한 가파르게 허리 안마가 이루어지므로 유연하고 예쁜 허리 라인을 유지할 수 있어 자세교정을 원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품질에 대한 신뢰도 및 각 부위의 안마에 따른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측면도와 배면도 및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머리 받침부와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들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의 결합 상태 및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및 단면도.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의 작동 상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어께 누름부와 누름압력 조절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1의 (a)~(c)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어께 누름부와 누름압력 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허리 받침부와 인출입수단들의 결합 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14의 (a)~(c)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를 이용하여 머리 및 목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의 작동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자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측면도와 배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머리 받침부와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들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의 결합 상태 및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의 결합상태를 예시한 일부 절취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a)~(c)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의 작동 상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10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어께 누름부와 누름압력 조절수단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a)~(c)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어께 누름부와 누름압력 조절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허리 받침부와 인출입수단들의 결합 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의 (a)~(c)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를 이용하여 머리 및 목을 좌우로 왕복 운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중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의 작동 상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베드 본체(10)와 머리 받침부(20),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 한 쌍의 어께 누름부(40), 한 쌍의 누름압력 조절수단(50), 허리 받침부(60), 인출입수단(70), 조작부(80)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장소에 상관없이 바닥이나 각종 의자 및 쇼파 등의 등받이에 간단히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를 자연스럽게 기대거나 누워 목을 뒤로 젖히고 어께도 뒤로 젖히거나 펼친 자세에서 목과 어께, 등, 허리 및 둔부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종합적으로 자유롭고 부드럽게 안마 및 마사지를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목부위는 상하좌우로 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좌우로 비틀어 주는 운동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거북목의 발생 방지는 물론 교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베드 본체(1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체를 기대거나 누웠을 때, 목과 어깨가 접촉되는 부분이 높고 허리가 접촉되는 부분이 낮도록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베드 본체(10)는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몸체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외피에 쿠션부재를 구비시켜 주거나 또는 전체를 플렉시블한 소재로 성형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락하게 기대거나 누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드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선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정해진 폭을 갖는 등 중앙 받침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양측으로는 한 쌍의 옆 등 받침부(12)가 구비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는 기본적으로 인체의 목과 척추를 포함한 등 중앙부위(사람들의 체격이나 체형 등에 따라 다르나 예를들어 대략 인체의 등 전체 가로폭 대비 1/3 또는 1/2 정도)를 지지 및 받쳐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 중 사용자의 목부위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위에 오목한 형태를 갖는 목부위 안치홈(111)을 구비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누워 목을 젖혔을 때,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에 구비된 목부위 안치홈(111)이 사용자의 목부위를 보다 안정감 있게 받쳐 주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상방부에는 사용자가 목과 머리가 뒤로 젖혀질 때 목부위를 포함한 머리부분 일부를 안전하고 포근하게 받쳐주는 만곡부(112)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누워 목을 젖혔을 때, 목부분이 상기 만곡부(112)에 의해 자연스럽고 안전하게 젖혀지는 형태를 가지므로 안정된 자세에서 목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또,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베드 본체(10)의 등 중앙 받침부(11)를 성형할 때, 단순히 경사면으로 형성하지 않고, 인체의 상체 등곡선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S"자 형태로 만곡지게 성형하면, 등 중앙 받침부(11) 자체가 사용자의 등허리 전체를 보다 더 안락하고 편안하게 받쳐주게 되고,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목을 젖혔을 경우 사용자의 등과 허리는 물론 목부위에 아무런 무리가 가지 않게 되므로 보다 더 안전하게 등부위와 목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옆 등 받침부(12)는 기본적으로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양측에서 양단부를 향해 연장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양측 옆 등부위(이 역시 사람들의 체격이나 체형 등에 따라 다르나 예를들어 인체의 등 전체 가로폭 대비 각각 1/3 또는 1/4 정도)를 지지 및 받쳐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옆 등 받침부(12)는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양측에서 상기 양단부를 향해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하방부로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와 평행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옆 등 받침부(12)를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양측에서 양단부의 하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성형할 경우, 대략 5~25도의 경사각을 갖게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양측으로 경사진 한 쌍의 옆 등 받침부(12)를 형성시켜 주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베드 본체(10)의 등 중앙 받침부(11)를 중심으로 기대거나 누운 상태에서 후술하는 어께 누름부(40)를 통해 어께 부위에 정해진 범위 내의 압력으로 압박을 가하게 될 경우, 사용자의 양측 어께부분이 어께 누름부(40)의 누름 압력에 대응하여 뒤로 젖혀지며 양측 옆 등이 경사진 형태를 갖는 상기 옆 등 받침부(12)에 근접 또는 밀착되며 가슴부위는 앞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어께 누름부(40)의 가압량 변화를 통해 경사진 형태를 갖는 상기 옆 등 받침부(12)와 옆 등의 접촉 면적 및 접촉 압력을 변화시켜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어께 부위에 대한 안마강도 조절은 물론 심폐기능도 조절할 수 있어 어께 부위에 대한 안마 효과와 더불어 심폐기능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옆 등 받침부(12)의 상방부에서 경사방향으로는 각각 어께 상부 지지판(121)을 일체로 돌출 형성하여 주었다.
이와 같은 상기 어께 상부 지지판(121)은 사용자가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눕고 후술하는 어께 누름부(40)를 통해 어께를 앞에서 뒤로 원하는 압력으로 눌러줄 때, 상기 어께 상부 지지판(121)이 경사진 형태를 갖는 어께의 상부를 지지해 주게 되므로 안정적인 자세에서 어께 전체에 대해 정확히 안마를 닫을 수 있으므로 어께부위에 대한 안마효과를 더욱 증대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설명을 포함한 도면 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베드 본체(10)의 등 중앙 받침부(11) 및 한 쌍의 옆 등 받침부(12) 내에 수직승하강장치 및 경사각도조절장치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전체에 구비시켜 줄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베드 본체(10)의 등 중앙 받침부(11) 및 한 쌍의 옆 등 받침부(12) 내에 수직승하강장치 및 높이조절장치 등을 더 구비시켜 줄 경우,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의 전체 높이를 포함하여 한 쌍의 옆 등 받침부(12)의 전체 높이 및 경사각도를 임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옆 등 받침부(12)의 연장선과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가 이루는 각도는 +20도에서 -45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또 상기 등 중앙 받침부(11)는 상기 등 중앙 받침부(12)의 높이는 +10㎝에서 -20㎝ 범위내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신체조건을 갖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춰 베드 본체(10)의 각 부위에 대한 높이 및 경사각도를 임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 자체의 사용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이 적용된 상체 안마기를 사용하여 상체(특히, 어께와 등 부위 등)에 대한 안마를 받는 모든 사람들에게 만족감을 부여시켜 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방부의 바닥면에 정해진 면적을 갖는 바닥 연장판(13)을 일체로 더 연장 형성하여 주었다.
이와 같이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상에 바닥 연장판(13)을 일체로 더 연장 형성시켜 주게 되면, 베드 본체(10)의 바닥 면적이 그 만큼 커진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베드 본체(10)의 전체 지지력이 크게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머리 받침부(20)을 최대로 하강시켰을 때, 본 발명이 적용된 상체 안마기가 설치되는 바닥면 또는 의자 등받이 등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바닥 연장판(13)이 머리 받침부(20)의 저면을 지지해 주게 되므로 머리 받침부(2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머리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시켜 줄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상기 어께 누름부(40)의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을 원활히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머리 받침부(20)는 도 1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방부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경사각도 및 높이가 자동 조절 가능함은 물론 좌우로의 수평방향 이동 및 좌우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의 머리 전체를 포함하여 목부위를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누워 상기 머리 받침부(20)를 통해 머리를 받쳐 준 상태에서 목을 젖히거나 또는 머리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목운동을 하거나 또는 머리를 좌우로 돌리며 목을 비틀어 주는 운동을 하며 목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게 되면, 목부위의 근육이 원활히 풀리고 이완되어 거북목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부위의 혈액이 원활히 흐르게 되어 신진대사도 촉진시켜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외피에 쿠션부재를 구비시켜 주거나 또는 전체를 플렉시블한 소재로 성형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상부에 머리를 올려 놓고 안마를 받거나 휴식 또는 TV 시청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은 상기 머리 받침부(20)와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로 자동 조절되게 함은 물론 상기 머리 받침부(20)를 상하방향으로 올렸다 내려줬다 하는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목을 상하방향으로 운동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의 일 실시 예로는, 도 5와 같이 상하방향 회전바(31)와 회전바 구동부재(3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31)는 일단부가 베드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저부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회전바 구동부재(32)의 동력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예를 들어 0~45도) 및 높이(예를 들어 0~20㎝)를 갖도록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32)는 기본적으로 실린더(321) 또는 정역 모터(322)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31)와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31)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를 갖도록 회전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32)로 제어부(90)에 의해 그 구동방향이 제어되는 실린더(321)를 채택할 경우에는, 상기 실린더(321)의 몸체는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축설하고, 상기 실린더(321)의 로드 단부는 상하방향 회전바(31)에 축설하여, 실린더(321) 로드의 출입 길이 조절을 통해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31)의 회전각도를 포함하여 이에 결합된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각도 및 높이를 도 5의 실선 및 가상선과 같이 조절하여 상기 머리 받침부(20) 자체가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를 갖게 조절하면 된다.
또한,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32)로 도 6과 같이 제어부(90)에 의해 회전방향 및 회전수가 제어되는 정역 모터(322)를 채택할 경우는, 정역 모터(322)는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되, 그의 축상에는 구동기어(322a)를 설치하고,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화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갖는 상하방향 회전바(31)의 일단부 축상에는 상기 구동기어(322a)의 잇수 대비 상대적으로 많은 잇수를 갖는 종동기어(322b)를 상기 구동기어(322a)와 맞물리게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32)로 채택된 정역 모터(322)의 축에 구동기어(322a)를 설치하고, 이에 맞물리는 종동기어(322b)를 상하방향 회전바(31)의 일단부 축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정역 모터(322)를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주면, 정역 모터(322)의 회전방향과 회전수에 대응하여 회전되며 동력을 전달해 주는 구동기어(322a)와 맞물린 종동기어(322b)가 그 잇수 차에 대응하는 만큼 회전수를 감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3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상기 상하방향 회전바(31)의 타단부에 결합된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각도 및 높이가 상하방향 회전바(31)의 회전방향과 그 각도에 대응하여 도 6의 실선 및 가상선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로 자동 조절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32)로 채택된 정역 모터(322)를 제어부(90)를 통해 정역방향으로 정해진 시간씩 반복해서 구동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정역 모터(322)를 정역방향으로 정해진 시간씩 반복해서 구동시키면,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상하방향으로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며, 사용자의 머리를 상하부로 반복해서 승하강시켜 목을 상하방향으로 꺽어 주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목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바 구동부재(32)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321) 또는 정역 모터(322)를 제시하였는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예를 들어 정역 모터와 피니언 기어 및 래크를 결합시켜 정역 모터의 회전운동을 피니언 기어를 통해 상하방향 회전바 등에 결합된 래크의 직선으로 변화시켜 머리 받침부(20)를 원하는 각도 및 높이로 변화시켜 줄 수도 있고, 또 등산 스틱의 높이 조절 구조나 에어의 주입을 통해 그 높이를 변화시켜 줄 수 있는 자바라 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은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적으로 받쳐 주는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좌우로 각각 정해진 각도(예들 들어 좌우로 각각 10~25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중심부와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으로는 도 7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의 상하방향 회전바(31) 단부에 좌우 수평방향 회전바(341)를 축지시켜,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의 상하방향 회전바(31) 단부에서 상기 좌우 수평방향 회전바(341)와 함께 좌우 수평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머리 받침부(20)와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사이에, 상기한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을 설치해 주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베드 본체(10)에 상체를 기대거나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상기 머리 받침부(20)에 올려놓고 상기한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을 통해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를 갖게 조절한 다음, 사용자가 도 7과 같이 상기 머리 받침부(20)와 함께 머리를 좌우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그에 대응하여 목이 좌우 수평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꺽이면서 목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거북목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거북목 형태를 갖는 사용자의 목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은 사용자의 머리를 직접적으로 받쳐 주는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좌우로 각각 정해진 각도(예들 들어 좌우로 각각 5~2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중심부와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으로는, 도 8의 (a)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의 상하방향 회전바(31) 단부에 좌우 비틀림방향 회전바(371)를 축지시켜 주거나, 또는 도 8의 (b)와 같이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의 좌우 수평방향 회전바(341) 단부에 좌우 비틀림방향 회전바(371)를 축지시켜,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의 상하방향 회전바(31) 또는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의 좌우 수평방향 회전바(341) 단부에서 상기 좌우 비틀림방향 회전바(371)와 함께 좌우 비틀림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머리 받침부(20)와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사이에, 상기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으로 좌우 비틀림방향 회전바(371) 등을 설치해 주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베드 본체(10)에 상체를 기대거나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상기 머리 받침부(20)에 올려놓고 상기한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을 통해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원하는 각도 및 높이를 갖게 조절한 다음, 도 9의 (a)~(c)와 같이 머리를 좌우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켜 주게 되면 상기 머리 받침부(20)가 상기 좌우 비틀림방향 회전바(371) 등을 통해 사용자의 머리와 함께 목이 좌우방향으로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비틀어지며 목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거북목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거북목 형태를 갖는 사용자의 목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을 대신하여 상기 머리 받침부(20)와 베드 본체(10) 사이에 도 15와 같이 좌우 슬라이딩 이동부재(351)를 구비한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35)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머리 받침부(20)와 베드 본체(10) 사이에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35)을 설치해 주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베드 본체(10)에 상체를 기대거나 누운 상태에서 머리를 상기 머리 받침부(20)에 올려놓고 조적부(80)를 통해 상기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35)을 작동시켜 상기 머리 받침부(20)를 좌우로 정해진 거리내에서 이동시켜 주게 되면, 사용자의 머리가 그에 상응하여 좌우로 이동하며 목 부위가 좌우로 꺽이는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부위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머리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여 좌우로 꺽이는 동작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목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거북목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거북목 형태를 갖는 사용자의 목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머리 받침부(20) 상면 양측에 도 1, 도 4,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양측을 지지해 주는 머리 측면 지지판(21)을 설치하고,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 내측에는 에어 백 또는 스폰지를 포함하는 쿠션부재(22)를 1개씩 또는 상하부로 한 쌍식 설치하여 주었다.
이때,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는 상기 머리 받침부(20) 상면 양측 중 사용자의 귀부분이 닿지 않는 후방부에만 설치해 주어, 사용자가 머리 받침부(20)에 머리를 기대거나 올려 놓고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 또는 상기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 또는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35)을 이용하여 머리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좌우로 돌려 회전시켜 주거나 또는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 및 이에 더 구비된 상기 쿠션부재(22)가 귀 부분을 전혀 압박하지 않고, 귀의 상부에 위치된 머리의 양측부만 지지 및 압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머리 받침부(20) 상면 양측에 머리 측면 지지판(21)을 설치함은 물론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 내측에 1개씩 또는 한 쌍씩 쿠션부재(22)를 설치해 주게 되면, 사용자가 머리 받침부(20)에 머리를 기대거나 올려 놓고,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 또는 상기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 또는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을 이용하여 머리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거나 또는 좌우 수형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에 의해 머리 자체가 머리 받침부(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딱딱한 형태를 갖는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이 사용자의 머리 양측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상기 쿠션부재(22)들이 사용자 머리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여 변화되는 무게 중심 변화에 맞춰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며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머리를 좌우로 흔들거나 또는 비틀거나 또는 이동시키면서 목부분에 대한 거북목 방지운동 등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에 의해 머리의 양측 일부에 집중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22)로 에어 백을 채택한 경우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에어 발생기를 베드 본체(10) 내에 별도로 구비시켜 놓고 제어부(90)를 통해 상기 에어 발생기를 적절히 구동시켜 상기 에어 백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도록 제어하게 되면, 머리의 양측에 대한 부상 우려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 양측의 압박과 해제의 반복을 통한 안마효과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상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 내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쿠션부재(22)를 각각 수축 및 팽창 작동시킴에 있어서, 도 14의 (a)~(c)와 같이 각각 정해진 시간 동안씩 일측 쿠션부재(22)는 수축시키고 타측 쿠션부재(22)는 팽창시킨 다음 양측 모두의 쿠션부재(22)의 부피를 통일하게 한 후, 다시 상기와 반대로 일측 쿠션부재(22)는 팽창시키고 타측 쿠션부재(22)는 수축시키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천정을 향해 곧바로 누워 있는 사용자의 머리가 좌측(도 14의 (a)) - 중앙(도 14의 (b)) - 우측(도 14의 (c)) - 중앙(도 14의 (b)) 위치로 반복해서 이동되며, 좌우방향으로 목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거북목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거북목 형태를 갖는 사용자의 경우 목을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머리 받침부(20)의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21) 내측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된 쿠션부재(22) 중 아래쪽 쿠션부재(22)만 팽창시키면 머리 전체가 이동하게 되며, 위쪽의 쿠션부재(22)만 팽창시키면 머리의 뒷부분은 고정되고 얼굴 부분이 움직이게 되는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어께 누름부(40)는, 상기 베드 본체(10)의 상방부에서 머리 받침부(20) 양측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한 쌍의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의 작동에 대응하여 승하강 작동되며, 상기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누워 있는 사용자의 어께부위를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을 통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가압하여 사용자의 어께를 펴거나 젖혀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어께 누름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어께를 가압하여 펴거나 젖혀준 상태에서 어께부위에 대한 안마를 실시하게 되면, 어께부위의 긴장된 근육을 쉽게 풀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께부위를 눌러 젖힐 때 자동적으로 가슴이 튀어 나오게 되므로 심폐기능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누워 목을 젖히고, 어께 누름부(40)를 통해 어께 부위를 가압한 상태에서 해당 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게 되면, 어께부위의 근육이 원활히 풀리고 이완되어 어께 결림 현상 등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어께 부위의 혈액이 원활히 흐르게 되어 신진대사도 촉진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어께부위를 눌러 젖힐 때 자동적으로 가슴이 튀어 나오게 되므로 심폐기능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어께 누름부(4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판체 형상을 갖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41)으로만 형성할 수도 있고, 또 도 10 및 도 11과 같이 판체 형상을 갖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41)의 후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모근 접촉판(42)이 일체로 구비된 형태로 성형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어께 누름부(40)는 단순히 판체 형상을 갖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41)으로만 형성할 경우 어께의 앞부분만 가압하게 되어 승모근에 대한 안마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판체 형상을 갖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41)의 후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승모근 접촉판(42)을 일체로 구비시켜 어께의 앞부분은 물론 승모근 부위까지 가압하여 어께에 대한 안마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께 누름부(40)를 베드 본체(10)의 상방부 양측에 구비시킨 누름압력 조절수단(50)에 결합시킬 때, 도 11의 (a)(b)와 같이 승하강만 가능하게 고정 설치할 수도 있고, 또 도 11의 (c)와 같이 승하강과 동시에 회전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는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어께 누름부(40)를 통해 사용자의 어께를 눌러 펴거나 젖힐 때 어께의 형상 변화에 무관하게 도 11의 (b)와 같이 일부만 직접적을 가압하게 되므로 더 많이 접촉되는 부위가 아풀 우려가 있는 반면, 후자의 경우는 어께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어께 누름부(40) 자체가 도 11의 (c)와 같이 회전하게 되므로 어께 전체에 걸져 고르게 가압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어께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을 수 있으므로 후자의 형태로 설치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어께 누름부(40)의 어께 앞부분 누름판(41) 또는 승모근 접촉판(42)의 내면에 도 10과 같이 에어 백 또는 스폰지를 포함하는 쿠션부재(43)를 설치해 주었다.
이와 같이 상기 어께 누름부(40)의 어께 앞부분 누름판(41) 또는 승모근 접촉판(42)의 내면에 쿠션부재(43)를 설치해 주게 되면, 상기 어께 누름부(40)가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의 작동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어께를 눌러 펴거나 젖힐 때, 사용자의 어께 앞부분 및 승모근 부위를 딱딱한 형태를 갖는 어께 앞부분 누름판(41) 또는 승모근 접촉판(42)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쿠션부재(43)가 탄력적으로 접촉되므로 어께의 앞부분을 포함한 승모근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이 고루게 분포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어께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집중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상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쿠션부재(43)로 에어 백을 채택한 경우에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에어 발생기를 베드 본체(10) 내에 별도로 구비시켜 놓고 제어부(90)를 통해 상기 에어 발생기를 적절히 구동시켜 상기 에어 백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도록 제어하게 되면, 어께 부위에 대한 부상 우려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마효과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은, 상기 어께 누름부(40)들의 저면과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어께 누름부(40)를 승하강시켜 상기 어께 누름부(40)가 사용자의 어께를 원하는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의 일 예로는 도 10과 같이, 상기 어께 누름부(40)의 저면과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실린더(51)를 설치한 형태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어께 누름부(40)의 저면과 베드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에 누름압력 조절수단(50)으로 실린더(51)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51)의 로드를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몸체로부터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입되게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51)의 로드 단부에 결합된 상기 어께 누름부(40)가 로드의 인출입 방향 및 그 길이에 대응하여 승하강 작동되며, 사용자의 어께를 정해진 압력으로 가압하거나 가압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은 상기한 실린더(51)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예를 들어 정역 모터와 피니언 기어 및 래크를 결합시켜 정역 모터의 회전운동을 피니언 기어를 통해 어께 누름부(40)에 결합시킨 래크의 직선으로 변화시켜 어께 누름부(40)를 원하는 높이만큼 승하강 작동시켜 줄 수도 있고, 또 등산 스틱의 높이 조절 구조 등을 채택할 수도 있다.
한편, 사람마다 어께의 두께는 서로 상이한데 단순히 상기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을 통해 어께 누름부(40)의 승하강 높이를 제어할 경우, 기준 승하강 높이 대비 어께 두께가 상대적으로 뚜꺼운 사람의 경우 많은 압박감을 느끼게 되고, 이와 반대로 어께 누께가 얇은 사람의 경우 어께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어 안마효과가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어께 누름부(40)의 저부에 압력센서를 설치하거나 또는 어께 두께 검출장치 등을 더 설치하고, 제어부(90)로 하여금 상기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을 통해 어께 누름부(40)를 하강시켜 사용자의 어께를 가압시킬 때, 사용자의 어께에 가해지는 압력을 상기 압력센서 또는 어께 두께 검출장치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기준압력 또는 두께 등과 상호 비교하고, 그 차에 대응하는 압력으로 어께를 가압시켜 줄 경우, 모든 사용자의 어께에 동일한 안마효과를 줄 수 있다.
또, 상기 허리 받침부(60)는 도 1과 도 2, 도 4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드 본체(10)의 하방부 중앙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어부(90)의 제어를 받는 인출입수단(70)의 작동방향에 대응하여 그 위치가 사용자의 신체조건 즉, 허리 위치에 맞게 자동 변환되어 어떠한 신체 조건을 갖는 사용자라도 허리를 정확히 받쳐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허리 받침부(60)의 상면에는 인체의 허리 형상에 대응하여 만곡진 허리 안착홈(61)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상기 허리 받침부(60)가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받쳐줄 때 보다 안전하고 포근하게 받쳐줄 수 있어 안정된 자세에서 허리부위에 대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베드 본체(10)에 기대거나 누워 목을 젖히고, 어께 누름부(40)를 통해 어께 부위를 가압함은 물론 허리 부분은 상기 허리 받침부(60)를 통해 받쳐 준 상태에서 허리 부분에 대한 안마도 받게 되면, 허리부위의 근육이 원활히 풀리고 이완되어 허리 통증 등에 대한 치료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허리 부위의 혈액이 원활히 흐르게 되어 신진대사도 촉진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수단(70)은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과 상기 허리 받침부(60)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허리 받침부(60)의 위치가 서로 다른 신체조건을 갖는 사용자들의 실제 허리 위치로 이동시켜 허리 받침부(60) 자체가 사용자의 허리를 정확히 받쳐 주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출입수단(70)으로는 다양한 형태를 제시할 수 있는데 그 일 예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고정 레일(71)과 가동 레일(72) 및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73)를 포함하여 구성한 예를 제시하는 바이다.
이때, 상기 인출입수단(70)의 구성요소 중 상기 고정 레일(71)은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에 설치되어 허리 받침부(60)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가동 레일(72)은 외측 단부는 상기 허리 받침부(60)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일(72)에 예를 들어 LM가이드 형태 등으로 결합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73)의 작동상태에 부응하여 상기 고정 레일(7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허리 받침부(60)가 사용자의 허리 위치에 정확히 위치 이동될 수 있도록 허리 받침부(60)의 이동기능과 지지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73)는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고정 레일(71)에 결합된 가동 레일(72)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방식을 통해 상기 허리 받침부(60)의 위치가 사용자의 허리 위치로 정확히 자동 이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73) 역시 다양한 형태를 제시할 수 있는데, 일 예는 도 12와 같이 실린더(731)를 제시하는 바이며, 이와 같은 실린더(731)는 그 몸체를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로드의 단부는 상기 가동 레일(72)에 결합시켜 주면 된다.
이와 같은 실린더(731)는 제어부의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출입량이 결정되는 로드의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고정 레일(7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동 레일(72)의 이동거리를 포함하여 상기 가동 레일(72)의 단부에 결합된 허리 받침부(60)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 상기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73)의 다른 예로는 도 13과 같이, 정역 모터(732)와 피니언 기어(733) 및 래크(734)를 제시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정역 모터(732)는 상기 베드 본체(10)의 바닥면에서 고정 레일 및 가동 레일과 직각 방향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허리 받침부(60)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피니언 기어(733)는 상기 정역 모터(732)의 축상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래크(734)와 맞물린 형태를 갖고, 상기 정역 모터(732)의 회전방향과 회전수에 대응하여 회전하여 정역 모터(732)의 회전동력을 래크(734)가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게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래크(734)는 상기 가동 레일(72)의 상면에 직접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 레일(72)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상호 맞물린 상기 피니언 기어(733)를 통해 전달되는 정역 모터(732)의 회전동력에 대응하여 가동 레일(72)이 고정 레일(71) 상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허리 받침부(60)가 사용자의 허리 위치로 자동 이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73)는 상기한 두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허리 받침부(6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정역 모터의 축에 볼 스크류를 결합시키고, 상기 볼 스크류를 가동 레일 상에 나사 결합시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등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허리 받침부(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출입시키는 방식 이외에도, 허리 받침부(60)에 좌우 또는 상하방향 이동장치를 더 구비시켜 허리 받침부 자체를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자신이 원하는 자세 등에 맞춰 인출입과 더불어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드 본체(10)와 머리 받침부(20), 어께 누름부(40) 및 허리 받침부(60)의 내부에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두드림 또는 진동 또는 주무름 또는 롤링 기능을 갖고 인체의 각 부위를 안마해 주는 안마부재를 구비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마부재는 5~9단계로 구분하여 안마 강도를 강하게부터 약하게 까지 다단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고, 또 간헐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안마부재를 설치할 때, 머리 받침부(20)에는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베드 본체(10)의 등 중앙 받침부(11)에는 등 전체를 고르게 안마할 수 있도록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옆 등 받침부(12)는 사용자의 어께부위를 집중적으로 안마할 수 있도록 어께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부에만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허리 받침부(60)에는 허리 전체를 고르게 안마할 수 있도록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각 부위 즉, 상기 베드 본체(10)와 머리 받침부(20), 어께 누름부(40) 및 허리 받침부(60)에 각각 열을 가해주는 온열발생부재 등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더 구비시켜 줄 수 있으며, 이 경우 안마효과와 더불어 온열치료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80)는 상기 베드 본체(10)의 측면 등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고, 또 유선 또는 무선 조작부로 형성하여 상기 베드 본체(10)로부터 분리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조작부(80)는,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 누름압력 조절수단(50) 및 인출입수단(70)를 포함하여 도시 생략한 안마부재 등의 작동에 필요한 키신호를 입력시켜 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80)는 도면 부호 기입을 생략한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을 통해 머리 받침부(20)의 경사각도 및 높이를 서시히 미세하게 조절하는데 필요한 머리 받침부 업/다운 키는 물론 상기 누름압력 조절수단(50)을 통해 어께 누름부(40)의 승하강 위치 및 압력을 서서히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어께 누름부 업/다운 키 및, 상기 인출입수단(70)을 통해 상기 허리 받침부(60)의 위치를 서서히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허리 받침부 인출입 조절 키 등의 구동에 필요한 키들을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35) 및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하였을 경우, 이들의 구동에 필요한 키를 더 구비시켜 주고, 더 나아가서는 도시 생략한 안마부재 등의 구동에 필요한 키들을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작부(80)를 무선 조작부로 성형할 경우 IR키신호 발생부를 더 구비시켜 주고, 후술하는 제어부(90)에는 IR수신부를 더 구비시켜 주면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각부위를 무선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90)는 도시 생략한 마이컴과 타이머 및 저장장치 등을 구비함과 동시에 소정의 제어 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베드 본체(10) 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80)를 통해 입력되는 키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30), 누름압력 조절수단(50) 및 인출입수단(70)는 물론,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34),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35) 및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37)이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이들의 제어 뿐만 아니라 도시 생략한 안마부재 등을 구동시키는 출력신호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의 전기적인 구동에 필요한 전반적인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90)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베드 본체 11 : 등 중앙 받침부
111 : 목부위 안치홈 112 : 만곡부
12 : 옆 등 받침부 121 : 어께 상부 지지판
13 : 바닥 연장판
20 : 머리 받침부
21 : 머리 측면 지지판 22 : 쿠션부재
30 :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
31 : 상하방향 회전바 32 : 회전바 구동부재
321 : 실린더 322 : 정역 모터
322a : 구동기어 322b : 종동기어
34 :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
341 : 좌우 수평방향 회전바
35 :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 351 : 좌우 슬라이딩 이동부재
37 :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 371 : 좌우 비틀림방향 회전바
40 : 어께 누름부
41 : 어께 앞부분 누름판 42 : 승모근 접촉판
43 : 쿠션부재
50 : 누름압력 조절수단 51 : 실린더
60 : 허리 받침부 61 : 허리 안착홈
70 : 인출입수단
71 : 고정 레일 72 : 가동 레일
73 : 인출입 동력발생 및 전달부재
731 : 실린더 732 : 정역 모터
733 : 피니언 기어 734 : 래크
80 : 조작부 90 : 제어부

Claims (7)

  1.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베드 본체와;
    머리를 받쳐주고 목을 지지해 주는 머리 받침부와;
    사용자 머리의 상하 왕복 운동을 위하여 상기 머리 받침부의 경사각도 및 높이를 조절해 주는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사용자의 목이 좌우로 꺽이는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머리를 수평방향으로 좌우 왕복 회전 운동시켜 주는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
    또는 사용자의 목을 좌우로 직선으로 왕복 이동시켜 주는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
    또는 사용자의 목이 좌우로 비틀어지는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머리를 좌우로 왕복해서 비틀어 주는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 중 어느 한 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는,
    사용자의 머리부분 일부를 받쳐주는 만곡부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인체의 등 중앙부위를 지지 및 받쳐 주는 등 중앙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 상면 양측에는 사용자의 머리 양측을 지지해 주는 머리 측면 지지판을 설치하되, 상기 머리 측면 지지판 내측에는 쿠션부재를 1개씩 또는 한 쌍씩 설치하되,
    상기 쿠션부재는 에어 백의 팽창과 수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좌우로 움직여 머리의 좌우 왕복 운동 또는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및 상하 왕복 운동수단은,
    에어 백의 팽창과 수축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머리 받침부를 사용자의 사용 조건에 따라 들었다 놓았다하여 목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 좌우왕복 운동수단은,
    상기 베드 본체에 위치한 고정 축을 중심으로 상기 머리 받침부를 좌우로 정해진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머리 받침부 내부에 위치한 고정 축을 중심으로 상기 머리 받침부를 좌우로 정해진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수평방향 좌우직선 운동수단은,
    상기 베드 본체를 기준으로 상기 머리 받침부가 좌우로 정해진 거리 범위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우 비틀림 왕복 운동수단은,
    상기 머리 받침부 내부에 있는 축을 중심으로 상기 머리 받침부를 위아래로 정해진 각도 혹은 거리 범위내에서 왕복 회전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드 본체와 상기 머리 받침부의 내부에는 두드림 또는 진동 또는 주무름 또는 롤링 기능을 갖고, 인체의 각 부위를 안마해 주는 안마부재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KR1020210127494A 2021-09-27 2021-09-27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KR10263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494A KR102639123B1 (ko) 2021-09-27 2021-09-27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494A KR102639123B1 (ko) 2021-09-27 2021-09-27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61A true KR20230044861A (ko) 2023-04-04
KR102639123B1 KR102639123B1 (ko) 2024-02-20

Family

ID=8592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494A KR102639123B1 (ko) 2021-09-27 2021-09-27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1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063B1 (ko) 2006-01-06 2007-02-26 여상태 안마장치
JP4436133B2 (ja) * 2002-01-11 2010-03-24 サンセプツ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制御された運動範囲を提供する受動運動装置
KR101215528B1 (ko) 2010-10-12 2012-12-26 구경순 숄더형 에어 마사지 장치
KR101641315B1 (ko) 2015-07-01 2016-07-20 김재호 어깨와 복부 마사지가 가능한 휴대용 안마기
KR101767390B1 (ko) 2017-04-05 2017-08-14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멀티 마사지 장치
KR20180002550U (ko) * 2017-02-16 2018-08-24 아주포커스 주식회사 경추 및 척추교정기
KR102058092B1 (ko) * 2019-09-17 2019-12-20 이윤형 교정 운동기구
KR102166009B1 (ko) * 2019-05-07 2020-10-15 윤준서 목 스트레칭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6133B2 (ja) * 2002-01-11 2010-03-24 サンセプツ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ッド 制御された運動範囲を提供する受動運動装置
KR100687063B1 (ko) 2006-01-06 2007-02-26 여상태 안마장치
KR101215528B1 (ko) 2010-10-12 2012-12-26 구경순 숄더형 에어 마사지 장치
KR101641315B1 (ko) 2015-07-01 2016-07-20 김재호 어깨와 복부 마사지가 가능한 휴대용 안마기
KR20180002550U (ko) * 2017-02-16 2018-08-24 아주포커스 주식회사 경추 및 척추교정기
KR101767390B1 (ko) 2017-04-05 2017-08-14 주식회사 휴테크산업 멀티 마사지 장치
KR102166009B1 (ko) * 2019-05-07 2020-10-15 윤준서 목 스트레칭 장치
KR102058092B1 (ko) * 2019-09-17 2019-12-20 이윤형 교정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123B1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67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leep mode in a massage chair using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and the massage chair capable of using the same
US20100198120A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CN109771239B (zh) 一种骨科护理按摩康复器
KR101885432B1 (ko) 기능성 침대
KR101415105B1 (ko) 전신 좌우 굴절 운동 치료기
CN201906170U (zh) 一种多功能电动按摩垫
CN112618318A (zh) 一种医疗康复用多方位按摩椅
US20070093367A1 (en) Back treatment with slant table and user adjustments
CN110868984A (zh) 提高了拉伸功能的按摩椅
KR102639123B1 (ko)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KR102653861B1 (ko) 상체 안마용 교정기
KR102623608B1 (ko) 허리 안마장치
KR102263425B1 (ko) 침대형 안마 장비
KR102630784B1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의 릴랙스 스트레칭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CN210044385U (zh) 一种腰部治疗康复椅
KR20120080706A (ko) 스트레칭 기구
KR200377430Y1 (ko) 건강 증진용 의자
KR20200060645A (ko) 안마의자의 사용자 맞춤형 안마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안마의자
CN213994156U (zh) 一种用于长时间坐立的按摩椅
KR102485939B1 (ko) 듀얼 마사지 모듈이 구비된 사무용 안마의자
CN218853062U (zh) 一种新型智能按摩助眠床
CN210698643U (zh) 一种可调曲度的腰椎康复锻炼治疗器
KR102660086B1 (ko) 허리를 견인하기 위한 마사지 장치
JP2013144096A (ja) 揺動装置
CN221061166U (zh) 一种脊柱损伤康复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