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4771A - 후드캡 - Google Patents

후드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4771A
KR20230044771A KR1020210127308A KR20210127308A KR20230044771A KR 20230044771 A KR20230044771 A KR 20230044771A KR 1020210127308 A KR1020210127308 A KR 1020210127308A KR 20210127308 A KR20210127308 A KR 20210127308A KR 20230044771 A KR20230044771 A KR 20230044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cap
present
rainwater
hoo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596B1 (ko
Inventor
이정재
김종원
김광현
박헌준
김동석
Original Assignee
크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린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59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25Ventilation using vent ports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Abstract

본 발명은 후드캡에 대한 것으로서, 비가 내리는 실외 날씨 조건에서 외기 흡입구를 통해서 빗물이 공조기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후드캡에 대한 것으로, 관통된 형상이고 건물외벽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 및 일측이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건물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후드캡 {HOOD CAP}
본 발명은 후드캡에 대한 발명으로서, 비가 내리는 실외 날씨 조건에서 후드캡의 흡입구를 통해서 빗물이 덕트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역풍방지용 후드캡에 관한 것으로서, 역풍방지커튼이 형성된 역풍방지막이 후드캡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는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반면, 외부공기와 빗물의 유입은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며 구조가 단순하여 종전 대비 제조 원가 절감에 의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역풍방지용 후드캡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2는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의 외측 벽면에 설치되어 환기 유닛을 통해 실내 공기 및 바람을 배기용 후드캡을 통해 배기하면 배기된 바람이 흡입 후드캡을 통해 다시 건물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조업체에서 흡입 및 배기용 후드캡을 각각 제조하였던 것을 흡입 및 배기 겸용 후드캡으로 제조함으로써 생산성 및 작업성을 향상되는 것은 물론 건축물의 실내외 온도차로 발생하는 결로현상으로 인한 물방울이 벽면에 흐르지 않고 바닥에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발명 003은 실내 설치용 후드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벽체에 천공구멍을 형성한 후 후드 캡을 실내에서 상기 구멍을 집어넣은 후 실내에서 설치부재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실내에서 외벽에 노출되는 후드캡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 설치용 후드 캡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에 천공구멍을 형성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는 후드 캡에 있어서, 통풍구가 형성되며 고무링이 결합되는 돌출부를 형성한 후드 캡과; 상기 후드 캡이 결합하며 연결고리가 원주 방향에 돌출되며 연결고리가 결합하는 연결구멍을 형성하여 원주 방향에 설치하는 고정날개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후드 캡과 고정부재가 결합하며 외경에 수나사가 형성된 이음부재와; 상기 수나사와 결합하는 암나사를 형성하며 벽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 플랜지를 형성한 설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발명 004는 건물 벽체용 후드 캡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벽체 속에 매설된 흡기관이나 배기관 속으로 곤충이나 조류 또는 빗물 등이 침범할 우려가 없고, 공기의 흡입 또는 배기가 원활할 뿐 아니라,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후드 캡에 관한 것이다.
출원번호 10-2017-0013579 출원번호 10-2016-0045572 출원번호 10-2013-0066082 출원번호 20-2010-0003219
본 발명은 비가 오는 날씨 조건에서 외기를 실내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빗물이 실내 또는 공조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후드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후드캡(100)에 대한 것으로, 관통된 형상이며, 건물 외벽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145); 및 일측이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건물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145) 내부에 형성된 댐퍼(125), 및 레인센서(105)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댐퍼(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110) 표면에 형성되고, 홈 및/또는 돌기로 구성된 제1빗물유도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110) 표면과 결합되는 제2빗물유도부(3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이 상기 삽입부(145)와 연통되며, 타측이 실내와 연통되는 제1덕트(720), 및 상기 제1덕트(720) 내부에 위치하는 제1송풍팬(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가 내리는 날씨 조건에서 후드캡을 통해서 실내로 빗물이 포함된 실외기가 송풍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드캡의 표면에 흐르는 빗물을 유도하여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에 구비된 유도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이 구비된 공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드캡을 구비한 공조기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가 구비된 후드캡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후드캡(100)은 관통된 형상이고 건물 외벽의 관통공(140)에 삽입되는 삽입부(145); 일측이 상기 삽입부(145)와 연통되며 타측이 건물 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1)은 후드캡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거나, 외부공기를 실내로 투입하는 목적을 가진다.
도 1을 참조하면, 후드캡 삽입부를 삽입하며 후드캡을 고정하기 위해 건물 외벽에는 구멍형상의 관통공(140)을 형성한다. 즉, 후드캡의 삽입부와 관통공은 끼워맞춤 결합된다. 상기 후드캡(100)은 건물 외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한다. 도면에는 제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 실시예로서, 관통공과 삽입부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관통공과 삽입부 사이에는 판재형상의 단열재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크기의 삽입부 사이즈를 적용하기 위해 아답터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아답터는 단열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은 돌기를 형성한다. 상기 돌기는 결합된 후드캡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일측은 외측으로 절곡형성된 절곡부를 형성하며, 이는 건물 외벽 내측면을 지지하여, 후드캡의 외부이탈을 방지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는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박스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1-2, 실시예 1-3)은 돌출부 형상을 특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캡(100)은 전방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돌출부(110)를 포함하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후드캡(100)은 박스형의 커버(900)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커버(900)는 걸림부(908), 상부부재(902), 전면부재(904), 및 측면부재(906)를 형성한다. 돌출부 형상이 반구형인 경우, 벽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접촉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로서, 타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제시한 반구형 또는 타원형이 아닌 돌출된 입체곡면을 취하는 모든 형상이 포함될 수 있다. 돌출부 형상이 박스형인 경우, 외부장식물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함이다. 박스형의 경우, 평판형상의 면을 외부로 돌출하므로 타물질(타일, 공고판)등 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돌출부 자체가 장식물로 활용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에 관통되는 흡입구(115);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115)에 위치하는 프리필터(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4, 실시예 1-5)은 돌출부에 형성되며, 공기가 흡입 또는 배출되는 흡입구를 부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캡(100)의 하부로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5) 또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후드캡(100)의 하부로는 이물질 진입을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프리필터(120)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흡입구는 돌출부 하부방향을 형성한다. 이는 빗물 진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입구는 원형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에는 프리필터를 결합한다. 상기 프리필터는 동물(쥐, 뱀, 새)등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나뭇잎과 같은 큰 크기의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리필터 및 흡입구는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며, 관리자가 체결수단을 조작하여 필요에 따라 프리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프리필터는 메시망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와 상기 삽입부(145)를 결합하는 결합수단(150);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 또는 상기 삽입부(145)는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로 형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1-6, 실시예 1-7)은 후드캡의 삽입부 및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결합수단을 구체화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다양한 형상의 돌출부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관통공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돌출부 및 삽입부를 별도로 구성한 후, 필요에 따라결합하여, 하나의 후드캡을 구현할 수 있다. 돌출부 및 삽입부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해 결합수단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판재변형, 볼트결합, 접착제 접착, 접착테이프 부착, 용접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이와 동일한 목적을 구현하며,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어떠한 대상도 포함될 수 있다.
후드캡은 내부에 결로수가 맺히거나, 외부에서 진입된 빗물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내식성이 있어야 되며, 이를 위해, 스테인레스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식성 페인트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1-8)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와 상기 삽입부(145) 사이에 위치하는 실링부재(1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130)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8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130)는 상기 외벽(135)과 접촉되는 접촉단(134); 상기 후드캡(100)에 고정되는 고정단(132);을 포함한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0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134)은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1-8, 내지 실시예 1-11)은 후드캡 및 건물외벽을 마감하는 실링부재에 대한 발명이다. 후드캡 및 건물외벽 사이에는 틈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틈으로 빗물삽입 및 곤충(개미, 벌 등)이 삽입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유입공기에 의해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드캡 및 건물 외벽사이에는 실링부재를 결합한다. 상기 실링부재는 후드캡에 고정되며, 건물외벽과 밀착되는 구조를 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링부재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후드캡과 고정되는 부분은 접촉단을 형성하고, 건물외벽과 밀착되는 부분은 고정단을 형성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링부재(130)는 접촉단(134)과 고정단(13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132)은 상기 후드캡(100)과 상기 외벽(135)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되는 부분이고, 상기 접촉단(134)은 외벽 측으로 탄성 밀착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접촉단(134)은 외측으로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구조를 가지며, 실링구조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45) 내부에 형성된 댐퍼(125);, 레인센서(105)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댐퍼(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인센서(105)는 상기 돌출부(110)의 외부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인센서(105)는 상기 돌출부(110)의 내부표면에 부착된다.
본 발명(실시예 2-1, 실시예 2-2)는 후드캡에 장착되는 댐퍼에 대한 발명이다. 상기 댐퍼는 필요에 따라 후드캡의 기능을 상실시키고자 하며, 구멍을 폐쇄하는 목적을 가진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부(145)의 내부에 댐퍼(125)가 설치되고, 상기 후드캡(100)에는 레인센서(105)를 설치하며, 제어기(200)는 레인센서(105)에서 보내진 신호에 따라서 상기 댐퍼(125)를 제어하여 공기유입/유출을 차단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레인센서(105)는 후드캡(100)의 외면, 또는 내면에서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부착되거나 설치되어 비가 내리는 상태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빗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기(200)가 레인센서(105)를 신호를 이용하여 댐퍼를 작동시켜 공기와 함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하나의 레인센서에 의해 복수의 댐퍼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레인센서에 의해 각각의 댐퍼를 작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인센서(105)는 적외선센서로 형성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인센서(105)는 초음파센서로 형성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레인센서(105)는 습도센서로 형성된다.
본 발명(실시예 2-4 내지 2-6)의 실시예에 따른 레인센서(105)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비가 내리는 상태를 감지하거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비가 내리는 상태를 감지하거나,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비가 내리는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적외선센서, 초음파센서, 습도센서는 동시에 하나의 센서케이스에 포함되거나, 또는 하나의 센서만이 하나의 센서케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센서가 하나의 센서케이스에 형성될 경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만 형성될 경우, 이물질을 감지하여도 비가 내리는 상황으로 제어기가 인지한다 그러나, 습도센서가 동시에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작동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 표면에 형성되고, 홈 및/또는 돌기로 구성된 제1빗물유도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은 돌출부 표면에 형성된 빗물유도부를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드캡(100) 돌출부 표면에 흐르는 빗물을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빗물유도부(300)을 형성하며, 이는 빗물유도부를 따라 흐름을 유도하여 일방향으로 포집하여 유출하며, 이는 빗물이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함이다.
복수의 홈 및 돌기는 하나의 지정위치로 모아지며, 상기 지정위치에서 포집된 빗물은 일체의 모아진 상태로 자유 낙하된다. 빗물유도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돌출부 전방향에 빗물이 흐르게 되며, 빗물은 후드캡 표면과 표면장력을 형성하여 투입구 모서리에 위치하게 되며, 이는 흡입력에 의해 후드캡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일방향으로 모아진 빗물은 많은 유량을 형성하며, 중력에 의해 빠른 유속이 발생된다. 즉, 일정유속에 의해 후드캡 표면과의 표면장력이 파괴되고 온전히 하부로 자유낙하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후드캡 내부로 빗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제1빗물유도부(300)는 복수로 형성되며 엠보싱홈(400) 또는 엠보싱돌기(405)로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3-1에 있어서, 제1빗물유도부(300)는 복수로 형성되며 판재형상의 흐름유도판(410)일 수 있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판(410)은 상기 돌출부(110)와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실시예 3-2 내지 실시예 3-4)은 빗물유도부에 대한 형상적 특징을 한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드캡(100)의 돌출부(110)의 표면에는 빗물을 유도하는 제1빗물유도부(300)가 설정된 라인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1빗물유도부(300)는 엠보싱홈(400) 또는 엠보싱돌기(405) 구조를 가지고, 빗물이 이들을 타고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빗 방울이 흡입구(115)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후드캡(100)의 돌출부(110)의 표면에는 빗물을 유도하는 제1빗물유도부(300)가 설정된 라인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1빗물유도부(300)는 흐름유도판(410) 구조를 가지고, 빗물이 이를 타고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빗방울이 흡입구(115)를 통해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빗물유도부(300)는 흐름유도판(410) 구조를 가지고, 이러한 흐름유도판(410)은 용접 또는 볼팅되어 후드캡(100)의 돌출부(110) 표면에 고정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실시예 4-1)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 표면과 결합되는 제2빗물유도부(3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2빗물유도부(310)는 돌출부(110) 외주연과 결합되는 결합띠(3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은 돌출부 표면에 부착되는 제2빗물유도부를 부가한다. 상기 제2빗물유도부는 판재형태의 결합띠로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드캡(100)의 돌출부(110)의 표면에는 빗물을 유도하는 제2빗물유도부(310)가 후드캡(1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착되며, 빗물이 흡입구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5를 참조하면, 돌출부(110)의 표면에는 빗물을 유도하는 제2빗물유도부(310)는 판재형태로 덧붙여지는 결합띠(314)를 포함하는데, 상기 결합띠(314)는 후드캡(100)의 하단부를 따라서 결합된다. 즉, 결합띠에 의해 돌출부와 결합띠의 모서리 부분은 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는 빗물을 일방향으로 유도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결합띠(314)와 부착되는 유도대(312);를 포함한다.
도 3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유도대(312)는 상기 결합띠(314)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띠(314)를 흐르는 빗물을 유도대로 유도하여, 빗물이 흡입구(115)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유도대는 돌출된 판재형태를 취하며, 흡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대의 단부에 위치한 빗물은 흡입구의 송풍압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유도대(312)에는 복수의 홈(50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결합띠(314)는 상기 유도대(31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대(312)에는 홈(500)이 형성되고, 상기 홈(500)은 빗물이 흐르는 하부 방향으로 형성되어 빗물을 하부로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대(312)는 상기 결합띠(314)와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방법은 볼트, 용접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결합띠(314)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사면(415);을 포함한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결합띠(314)의 모서리는 빗물이 타고 흐르는 경사면(415)을 형성하며, 상기 경사면(415)은 상기 유도대(312) 측으로 경사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빗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유도한다.
(실시예 4-7)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유도대(312)에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16);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도대(312)는 상기 후드캡(100)과 멀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하부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316)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316)를 통해서 빗물의 낙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1-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삽입부(145)와 연통되며, 타측이 실내와 연통되는 제1덕트(720); 상기 제1덕트(720) 내부에 위치하는 제1송풍팬(7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은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제1덕트(720)의 일측은 후드캡(100)과 연결되고, 상기 제1덕트(720)의 설정된 위치에 제1송풍팬(700)이 배치되며, 상기 제1송풍팬(700)은 외기를 실내로 송풍하거나 내기를 실외로 송풍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덕트는 박스형태로 형성되거나,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와 제1덕트가 결합되는 부위에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덕트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결로수 및 빗물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덕트는 삽입부 방향으로 경사 형성된다. 이는 제1덕트 내부에 형성될 수 있는 결로수 및 빗물이 중력에 의해 건물 외부로 배출되게 함이다. 상기 제1송풍팬은 필요에 따라 회전수를 조절하며, 이송 송풍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는 후술되는 메인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720) 타측에 위치하며,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디퓨져(7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710)에 배치되는 풍량조절댐퍼(8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2, 실시예 5-3)은 디퓨져에 대한 발명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덕트(720)의 일단에는 상기 후드캡(100)을 배치하고, 타단(실내 측)에는 상기 디퓨져(710)를 배치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디퓨져(710)에는 풍량조절댐퍼(825)가 배치되고, 상기 풍량조절댐퍼(825)는 실내로 분사되는 공기유량을 직접 제어한다. 상기 풍량조절댐퍼는 후술되는 메인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5-2에 있어서, 실내와 연통되는 제2덕트(800); 상기 제2덕트(800) 내부에 위치하는 제2송풍팬(81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4)은 복수의 덕트(제1덕트, 제2덕트)가 형성된 공기순환기에 대한 발명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덕트(720)와 별도로 제2덕트(8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2덕트(800)에 제2송풍팬(810)이 더 배치되며, 상기 제2송풍팬(810)은 실내기를 실외로 배출한다. 즉, 이전 실시예는 하나의 덕트에 의해 공기를 배출하거나 흡입하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하였으나, 본 실시예(5-4)는 2개의 덕트에 의해 각각의 공기유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즉, 제1덕트는 공기를 실외에서 흡입하나, 제2덕트는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 제1덕트 및 제2덕트는 별도의 관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각각의 덕트는 접촉부위를 형성하며, 이는 상호 접촉부위에 의해 열전달을 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원형 또는 사각형태의 관 중심부에 경계판을 형성하여, 2개의 덕트를 하나의 관에 동시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이중관을 형성하여, 내부관 및 외부관을 각각 제1덕트 및 제2덕트로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제1,2덕트(720, 800)가 교차하는 교차 위치에 장착되는 열교환기(8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5-5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820)는 판형열교환기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기(820)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실내공기의 열 에너지(난방에너지 또는 냉방에너지)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열교환기(820)는 판형열교환기일 수 있으나, 그 타입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후드캡은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댐퍼(825)의 개도율, 상기 제1송풍팬(700), 제2송풍기(810), 및/또는 상기 댐퍼(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기(200);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제어기(200)는 상기 후드캡(100)에 설치되는 레인센서(105)에서 신호에 따라서 상기 풍량조절댐퍼(825)의 개도율, 상기 제1송풍팬(700), 제2송풍기(810), 및/또는 상기 댐퍼(125)의 작동을 제어하여,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메인제어기(200)는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비가 내리는 제1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1송풍팬(700)와 제2송풍기(810)의 회전속도, 및/또는 상기 댐퍼(125), 및 상기 풍량조절댐퍼(825)의 개도율 제어하여 흡입유량을 설정치 이하로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후드캡(100)의 흡입구(115)를 통해서 빗물이 열교환기나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공기 조절 시스템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서버(830)를 장착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제어기(200)로 입력된 신호 및 제어기(200)의 작동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으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고 분석한다. 상시 데이터 전송은 송수신장치에 의해 유무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버에 저장된 분석정보는 관리자 및 사용자에 의해 모니터 한다. 관리자 및 사용자는 암호를 통해 서버접근을 허용한다. 관리자 및 사용자는 모니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하거나, 인터넷 환경의 휴대용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접근한다. 서버는 실시간으로 공기 조절 시스템의 운전상태를 정상운전상태, 비정상운전상태, 비상사태로 판단한다. 비정상 운전상태 및 비상사태가 발생될 경우, 스스로 제어기(200)에 원격정지신호를 전송해 공기 조절 시스템의 작동을 정지시키며, 관련정보를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긴급으로 알람을 전송한다. 관리자 및 사용자는 문제의 장치를 직접 수리하거나, 원격으로 수리하는 조치를 취한다. 이러한 정보는 실시간으로 서버에 저장된다. 상기 서버에는 제2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상기 제2프로그램은 산소발생량과 운전상태를 감지하여 운전효율을 판단한다. 운전효율판단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얻어지는 데이터를 통해 판단한다. 제2프로그램은 각각의 엑츄에이터 조건을 다양한 변수로 변환한 후, 공기 조절 시스템을 다양한 조건으로 작동시키며, 변수조건에 따른 효율을 판단하고 학습한다.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수행결과로 얻어지는 정보를 연속적으로 학습한다. 학습된 데이터에 의해 최적의 운전조건을 찾아낸다. 최적의 운전조건 달성을 위한 엑츄에이터의 작동프로그램은 제1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상기 제어기(200)로 전송시켜 저장하며, 새로운 프로그램에 의해 공기 조절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즉, 제2프로그램은 인공지능기능을 통해 제1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송하며, 작동시킨다.
100: 후드캡 105: 레인센서
110: 돌출부 115: 흡입구
120: 프리필터 125: 댐퍼
130: 실링부재 132: 고정단
134: 접촉단 135: 외벽
140: 관통공 145: 삽입부
150: 결합수단 200: 제어기
300: 제1빗물유도부 310: 제2빗물유도부
312: 유도대 314: 결합띠
316: 절곡부 405: 엠보싱돌기
400: 엠보싱홈 410: 유도판
415: 경사면 500: 홈
700: 제1송풍팬 710: 디퓨져
720: 제1덕트 800: 제2덕트
810: 제2송풍팬 820: 열교환기
825: 풍량조절댐퍼 900: 커버
902: 상부부재 904: 전면부재
906: 측면부재 908: 걸림부

Claims (5)

  1. 후드캡(100)에 있어서,
    관통된 형상이며, 건물 외벽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부(145);
    일측이 상기 삽입부와 연통되며, 타측이 건물외벽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0); 를 포함하는 후드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45) 내부에 형성된 댐퍼(125);
    레인센서(105) 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댐퍼(12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00); 를 포함하는 후드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 표면에 형성되고, 홈 및/또는 돌기로 구성된 제1빗물유도부(300); 를 포함하는 후드캡.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0) 표면과 결합되는 제2빗물유도부(310); 를 포함하는 후드캡.
  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삽입부(145)와 연통되며, 타측이 실내와 연통되는 제1덕트(720); 및
    상기 제1덕트(720) 내부에 위치하는 제1송풍팬(700); 을 포함하는 후드캡.
KR1020210127308A 2021-09-27 2021-09-27 후드캡 KR102621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08A KR102621596B1 (ko) 2021-09-27 2021-09-27 후드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308A KR102621596B1 (ko) 2021-09-27 2021-09-27 후드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771A true KR20230044771A (ko) 2023-04-04
KR102621596B1 KR102621596B1 (ko) 2024-01-05

Family

ID=8592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308A KR102621596B1 (ko) 2021-09-27 2021-09-27 후드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59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2038A (ja) * 1997-02-20 1998-09-02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H11125442A (ja) * 1997-10-23 1999-05-11 Arutec:Kk 通気口用ガラリ
KR20100003219U (ko) 2008-09-12 2010-03-22 김원종 업소용 가스렌지
KR20130006931U (ko) * 2012-05-23 2013-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통풍구용 댐퍼
KR20140110211A (ko) * 2013-03-05 2014-09-17 주식회사 에어패스 결로방지형 환기 시스템
KR20160045572A (ko) 2014-10-17 2016-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연 형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및 표시장치
KR20170013579A (ko) 2015-07-28 2017-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2038A (ja) * 1997-02-20 1998-09-02 Akiyama Seisakusho:Kk ベントキャップ
JPH11125442A (ja) * 1997-10-23 1999-05-11 Arutec:Kk 通気口用ガラリ
KR20100003219U (ko) 2008-09-12 2010-03-22 김원종 업소용 가스렌지
KR20130006931U (ko) * 2012-05-23 2013-12-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통풍구용 댐퍼
KR20140110211A (ko) * 2013-03-05 2014-09-17 주식회사 에어패스 결로방지형 환기 시스템
KR20160045572A (ko) 2014-10-17 2016-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연 형광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및 표시장치
KR20170013579A (ko) 2015-07-28 2017-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596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59819A1 (en) Duct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duct assembly in an attic
US6220956B1 (en) Soffit fan
US4829882A (en) Crawl space ventilation system
US7544124B2 (en) Attic Vent
US6974379B2 (en) Vent apparatus with replaceable vent cover
US20060035581A1 (en) Whole house fan system and methods of installation
US5167578A (en) Soffit mount air ventilator
US20170191683A1 (en) Bath Vent Roof Cap
JPH04208338A (ja) パイプ用ファン
US20140170962A1 (en) Bird-proof exhaust vent cover appartus and methods
US4667581A (en) Wind responsive soffit ventilator
CA2168493C (en) Eave vent
KR20230044771A (ko) 후드캡
US20180320924A1 (en) Flow-through Insect Screen
KR102173650B1 (ko) 직배기용 환기캡
EP0939878B1 (en) Static venting system
JP3141914U (ja) エアーカーテン装置
US6926602B1 (en) Crawl space ventilation system
JP2520132B2 (ja) 屋内換気装置
KR20220005213A (ko) 역풍을 활용하는 구조를 가지는 직배기 캡
CN206113223U (zh) 抗振防松动通风系统
JP4659101B2 (ja)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
CN215523625U (zh) 一种外墙进出风装置
CN218033289U (zh) 建筑物外墙排气罩
CN211977174U (zh) 一种智慧通用型中央空调节能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