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436A -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436A
KR20230043436A KR1020210126303A KR20210126303A KR20230043436A KR 20230043436 A KR20230043436 A KR 20230043436A KR 1020210126303 A KR1020210126303 A KR 1020210126303A KR 20210126303 A KR20210126303 A KR 20210126303A KR 20230043436 A KR20230043436 A KR 20230043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sewing machine
sensor
uni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3436A/ko
Publication of KR20230043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4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풀리 회전 감지 장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 상기 베이스 연결부로부터 직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 상기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의 직렬 결합의 끝단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부착되어 풀리 회전을 감지하는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를 구성한다. 상술한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에 의하면, 풀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봉틀의 모델이나 구조 등에 상관없이 풀리의 회전 감지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재봉틀의 모델과 그 구조에 상관없이 풀리와 센서 간의 거리를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풀리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PULLEY ROTATION OF SEWING MACHINE WITH ADJUSTABLE DETECTION POSITION}
본 발명은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sewing machine)의 작업 정보 즉, 바늘대의 위치, 땀수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재봉틀의 풀리(pulley)의 회전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에, 풀리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그런데, 풀리는 재봉틀의 모델에 따라 그 위치와 크기 그리고 그 설치 높이, 주변의 여유 공간 등이 모두 다르다. 풀리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센서를 최적의 위치에 설치해야 하는데, 재봉틀의 구조나 그 구조에 따른 최적의 여유 공간이 없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센서를 재봉틀의 면이나 테이블의 바닥면에만 고정하는 경우, 풀리와의 거리가 멀어서 풀리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에, 모델의 종류에 상관없이 풀리의 회전을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495273 등록특허공보 10-2289559
본 발명의 목적은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는, 상기 풀리 회전 감지 장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 상기 베이스 연결부로부터 직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 상기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의 직렬 결합의 끝단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부착되어 풀리 회전을 감지하는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석 센서 또는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재봉틀의 풀리의 외경면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반사판을 이용하여 자기력 또는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는, 센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유선부; 상기 유선부를 소정의 고정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유선 고정부; 일단이 상기 유선부와 연결되어 센서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유선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구부러뜨려 변형 가능한 철심이 내재된 철심 내재 유선부; 상기 철심 내재 유선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에 의해 풀리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말단 센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에 의하면, 풀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변경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봉틀의 모델이나 구조 등에 상관없이 풀리의 회전 감지를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재봉틀의 모델과 그 구조에 상관없이 풀리와 센서 간의 거리를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풀리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유닛 또는 광반사 유닛이 구비된 재봉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유닛 또는 광반사 유닛이 구비된 재봉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유닛 또는 광반사 유닛이 구비된 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유닛 또는 광반사 유닛이 구비된 재봉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유닛 또는 광반사 유닛이 구비된 재봉틀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석 유닛 또는 광반사 유닛이 구비된 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재봉틀(1)은 풀리(pulley)(10), 벨트(belt)(20) 및 밴드(band)(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풀리(10)의 회전 운동에 의한 바늘대의 움직임이나 그 위치, 땀수 등을 파악할 수 있는데, 풀리(1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밴드(30)가 풀리(10)에 구비될 수 있다.
밴드(30)는 도 3에서 보듯이 다수의 관통공(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공(31)에는 다수의 자석 유닛/광반사 유닛(32)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통공(31)은, 2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석 유닛/광반사 유닛(32)는 자석/반사판(32a)과 지지편(32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편(32b)은 자석/반사판(32a)을 지지하여 관통공(3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자석 유닛/광반사 유닛(32)은 풀리(10)의 회전에 따라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풀리(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 유닛/광반사 유닛(32)이 광반사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광센서가 광반사 유닛의 반사광을 감지하여 풀리(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석 유닛의 경우, 희토류계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고, 희토류계의 자석은 자석의 자기 세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1mm의 두께에 3mm의 지름을 갖는 작은 크기의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 유닛/광반사 유닛(32)이 자석 유닛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자석 센서가 자석 유닛을 감지하여 풀리(1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석 유닛은 N극 자석으로 구성되거나 S극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석 센서는 N극 자석을 감지하면 N극의 자기력에 의해 자석 센서가 턴온(turn-on)되고 S극 자석을 감지하면 S극의 자기력에 의해 자석 센서가 턴오프(turn-off)되도록 하여 풀리(10)의 회전각 및 회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N극 자석과 S극 자석의 배열과 그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N극 자석을 감지하였는지 S극 자석을 감지하였는지 알 수 있다.
N극과 S극에 의해 턴온/턴오프되도록 하지 않는 경우, 풀리가 빠르게 회전할 때 자석 센서가 계속 감지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서 정확한 회전 감지가 어렵게 된다. N극과 S극을 교번하여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풀리의 회전을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풀리(10)의 회전은 이러한 광 센서 또는 자석 센서의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회로부(미도시)가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재봉틀(1)은 동일한 재봉 공장에서도 다양한 종류와 모델로 구비될 수 있으며, 모델에 따라서 풀리(10)의 형상이나 높이, 크기 등이 모두 각각 다르고 다양하다. 모델에 따라서는 재봉틀(1) 자체에 광 센서나 자석 센서를 부착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그러한 공간이 협소한 경우도 있다.
이에, 광 센서나 자석 센서를 다양한 형상의 모델에 따른 재봉틀(1)에 적용할 수 있는 기구적인 장치가 요구된다. 도 4 내지 도 8에서는 광 센서나 자석 센서를 다양한 형상의 재봉틀(1)에 적용하기 위한 기구적인 장치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100)는 베이스부(110), 베이스 연결부(120), 쌍방향 연결부(130), 헤드부(1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부(110)는 풀리 회전 감지 장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베이스부(110)는 고정판(111), 관통공(1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판(111)은 바닥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통공(112)은 바닥면에 나사 결합을 하기 위해 고정판(111)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연결부(120)는 베이스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부(110)와 쌍방향 연결부(130)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베이스 연결부(120)는 제1 기어 결합부(121), 제1 클립 결합 몸체부(1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어 결합부(121)는 쌍방향 연결부(130)와 결합하기 위한 기어 형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기어 결합부(121)는 기어 회전에 의해 쌍방향 연결부(130)의 결합 방향을 조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클립 결합 몸체부(122)는 제1 기어 결합부(121)의 중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쌍방향 연결부(130)는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으로서, 베이스 연결부(120)로부터 직렬 연결이 시작될 수 있다.
쌍방향 연결부(130)는 제2 기어 결합부(131), 제2 클립 결합 몸체부(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어 결합부(131)는 베이스 연결부(110)의 제1 기어 결합부(111) 또는 다른 쌍방향 연결부(130)와 쌍방향으로 직렬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기어 결합부(131)는 쌍방향 연결부(130)와 결합하기 위한 기어 형상이 일단 및 타단에 각각 형성되며, 기어 회전에 의해 쌍방향 연결부(130)의 결합 방향을 조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클립 결합 몸체부(132)는 제2 기어 결합부(131)의 중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40)는 베이스 연결부(120)로부터 시작되는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130)의 직렬 연결에서 다른 끝단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헤드부(140)에는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헤드부(140)는 제3 기어 결합부(141), 제3 클립 결합 몸체부(1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기어 결합부(141)는 직렬 결합의 끝단에 구성되는 쌍방향 연결부(130)와 직렬로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기어 결합부(141)는 쌍방향 연결부(130)와 결합하기 위한 기어 형상이 일단에 형성되며, 기어 회전에 의해 헤드부(140)의 결합 방향을 조정하여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클립 결합 몸체부(142)는 제3 기어 결합부(141)의 중심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는 헤드부(140)에 부착되어 풀리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부(140)에 부착된 광 센서 또는 자석 센서가 풀리(10)의 밴드(30) 상의 자석 유닛/반사판 유닛(32)와 적정 거리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헤드부(140)의 위치를 조정하여야 한다. 이때, 광 센서 또는 자석 센서와 자석 유닛/반사판 유닛(32) 간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서로 대향하지 않고 서로 빗겨서 위치하는 경우에는 감지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회로부(미도시)에서는 테스트 모드에서 감지가 잘 되어 적정 기준치 이상의 센서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위치 조정 완료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로부(미도시)는 테스트 모드에서 풀리(10) 회전 중 센서 신호의 크기가 너무 작거나 센서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LED가 발광하지 않도록 하고, 적정 기준치 이상의 센서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위치 조정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LED가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신호의 크기에 비례하여 LED가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부(미도시)는 실제 작업 중에도 센서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LED가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센서 신호가 제대로 생성되는지 또는 위치 조정에 문제가 없는지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200)는 유선부(210), 유선 고정부(220), 철심 내재 유선부(230), 말단 센서부(24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선부(210)는 센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말단 센서부(240)에서 생성된 센서 신호를 회로부(미도시)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선 고정부(220)는 유선부(210)를 소정의 고정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면은 재봉틀(1)이 될 수도 있고, 테이블면이 될 수도 있다.
철심 내재 유선부(230)는 일단이 유선부(210)와 연결되어 센서 신호를 회로부(미도시)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철심 내재 유선부(230)는 유선 고정부(220) 영역에서 유선부(210)와 연결되어 유선 고정부(220)의 영역에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철심 내재 유선부(230)는 그 내부에 센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뿐만 아니라 구부러뜨려 변형 가능한 철심이 내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철심 내재 유선부(230)를 손으로 구부러뜨려 철심 내재 유선부(23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으며, 철심 내재 유선부(230)의 타단에 연결되는 센서부(240)의 감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센서부(240)는 철심 내재 유선부(230)의 타단에 구비되며,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센서부(240)는 풀리(10)의 회전을 감지하여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재봉틀
10: 풀리
20: 벨트
30: 밴드
31: 관통공
32: 자석 유닛/광반사 유닛
32a: 자석/반사판
32b: 지지편
100: 풀리 회전 감지 장치
110: 베이스부
111: 고정판
112: 관통공
120: 베이스 연결부
121: 제1 기어 결합부
122: 제1 클립 결합 몸체부
130: 쌍방향 연결부
131: 제2 기어 결합부
132: 제2 클립 결합 몸체부
140: 헤드부
141: 제3 기어 결합부
142: 제3 클립 결합 몸체부
200: 풀리 회전 감지 장치
210: 유선부
220: 유선 고정부
230: 철심 내재 유선부
240: 말단 센서부

Claims (3)

  1.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풀리 회전 감지 장치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 구비되는 베이스 연결부;
    상기 베이스 연결부로부터 직렬로 결합되는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
    상기 다수의 쌍방향 연결부의 직렬 결합의 끝단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에 부착되어 풀리 회전을 감지하는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를 포함하는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센서 또는 상기 광 센서는,
    상기 재봉틀의 풀리의 외경면에 구비되는 자석 또는 반사판을 이용하여 자기력 또는 반사광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3. 센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유선부;
    상기 유선부를 소정의 고정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유선 고정부;
    일단이 상기 유선부와 연결되어 센서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유선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구부러뜨려 변형 가능한 철심이 내재된 철심 내재 유선부;
    상기 철심 내재 유선부의 타단에 구비되는 자석 센서 또는 광 센서에 의해 풀리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말단 센서부를 포함하는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KR1020210126303A 2021-09-24 2021-09-24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KR202300434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03A KR20230043436A (ko) 2021-09-24 2021-09-24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303A KR20230043436A (ko) 2021-09-24 2021-09-24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436A true KR20230043436A (ko) 2023-03-31

Family

ID=8600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303A KR20230043436A (ko) 2021-09-24 2021-09-24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343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73B1 (ko)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하축 지지장치
KR102289559B1 (ko) 2019-11-14 2021-08-17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273B1 (ko) 2014-07-29 2015-02-24 김광연 재봉틀의 하축 지지장치
KR102289559B1 (ko) 2019-11-14 2021-08-17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3824B2 (en) Voice coil module
DK1382308T3 (da) Distal målretning af låseskruer i intramedullære söm
CN106457552B (zh) 手持工具系统和驱动方法
CN106460261B (zh) 输纬器装置
KR20150051097A (ko) Ois 카메라 모듈
CN108235690B (zh) 用于弯曲机的、测量板材的臂之间弯曲角度的电子角度测量装置
BR102013013787A2 (pt) sistema de detecção de fio de máquina de fiação
JP2007304079A (ja) 速度および方向歯車歯センサ組立体
CN106461381B (zh) 用于测定两个平坦的工件表面之间的夹角的设备
KR20230043436A (ko) 감지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JP2006030197A (ja) 探針ヘッドを有する装置及び測定器
EP3312620A1 (en) Conductor tracing instruments
CN105575845B (zh) 伸缩型晶圆扫描装置及晶圆扫描系统
CN208833189U (zh) 一种三维扫描模块位置角度调节装置
EP2837520A2 (en) Vehicle instrument panel with magnet equipped pointer
KR102289559B1 (ko) 재봉틀의 풀리 회전 감지 장치
CN210375055U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CN209602763U (zh) 缝纫机及缝纫机压脚
JP2012034835A (ja) 磁気検出装置
US8020500B2 (en) Embroiderable sewing machine
CN110595412A (zh) 曳引机自动检测装置
JP2003254703A (ja) 移動体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の位置検出方法
CN103984284A (zh) 一种全自动智能辅助装置
KR102510248B1 (ko) 크레인 휠 중심 측량을 위한 센터 표기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크레인 휠 중심 측량 방법
CN208833190U (zh) 一种三维扫描模块角度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