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3077A -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3077A
KR20230043077A KR1020227046417A KR20227046417A KR20230043077A KR 20230043077 A KR20230043077 A KR 20230043077A KR 1020227046417 A KR1020227046417 A KR 1020227046417A KR 20227046417 A KR20227046417 A KR 20227046417A KR 20230043077 A KR20230043077 A KR 20230043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ypass
fluid
bypass valv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디. 와그너
Original Assignee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어터 피이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43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3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25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with throttling valves or valves varying the pump inlet opening or the outlet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22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by means of valves
    • F04B49/24Bypa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구강 세정기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핸들 및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 및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입구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의 제1 위치는 핸들의 제1 모드와 연관되고 바이패스 밸브의 제2 위치는 핸들의 제2 모드와 연관되어서, 핸들이 제2 모드에 위치될 때 바이패스 밸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핸들이 제1 모드에 위치될 때까지 제2 위치에 남이 있다.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입구 밸브는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
본 출원은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의 제목으로 2020년 7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특허출원번호 63/055,117호의 35 USC 119(e) 및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의 제목으로 2020년 12월 16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특허출원번호 63/126,000호의 우선권 이익을 청구하며, 양자 모두 여기에 전체적으로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구강 세정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예를 들어, 구상 세척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강 세정기는 구강 세척을 일시 중지하기 위해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일시 중지 모드를 포함한다. 일시 중지 모드가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거나 중지할 수 있지만 구강 세정기(예: 모터 또는 펌프)는 계속 작동할 수 있다. 손잡이를 통한 흐름이 일시 중지된 동안 구강 세정기의 지속적인 작동을 허용하기 위해 일부 구강 세정기에는 압력 하에서 유체를 빼내거나 바이패스할 수 있는 바이패스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 바이패스 어셈블리는 바이패스 어셈블리가 작동하려면 유체를 가압해야 하므로 작동 소음과 구강 세정기의 마모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결점, 산업계에 공지된 다른 결점을 해결하거나 적어도 현재 기술에 대한 대안을 제공하는 구강 세정기용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가 제공된다. 구강 세정기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핸들, 및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입구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의 제1 위치는 핸들의 제1 모드와 연관될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의 제2 위치는 핸들의 제2 모드와 연관될 수 있어, 핸들이 제2 모드에 위치되고 핸들이 제1 모드에 위치될 때까지 제2 위치에 남아 있을 때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한다. 입구 밸브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있을 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용 펌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펌프 어셈블리는 입구, 출구, 바이패스 흐름 회로 및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바이패스 밸브와 입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는 입구와 출구 사이의 유체를 안내하는 제1 위치와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해 유체를 안내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입구 밸브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핸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바이패스 밸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입구 밸브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핸들이 제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밸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하는 단계, 핸들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밸브를 제2 위치에 유지하는 단계, 및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있을 때 입구 밸브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며 명세서 및 도면을 검토할 때 당업자에게 명백해지거나 개시된 청구대상의 실시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 및 이점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명세서 및 도면의 나머지 부분을 참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 및 특징 각각이 어떤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 및 특징과 조합하여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별 태양은 개별적으로 또는 다른 태양 및 특징과 조합하여 청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은 본질적으로 단지 예시일 뿐이며 청구된 발명 또는 그의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결코 아니다. 구조적 및/또는 논리적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세부 수준으로 설명되며 청구된 대상의 범위에 대한 어떠한 제한도 본 과제 해결 수단 내의 요소, 구성요소 등의 포함 또는 비-포함에 의해 의도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본 개시내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지 않거나 다른 세부 사항을 인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세부 사항은 생략될 수 있습니다. 더욱이, 명료함을 위해, 본 발명의 설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당업자에게 명백할 때 특정 특징의 상세한 설명은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청구된 대상은 여기에 설명된 배열로 반드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본문 내에 포함되어 있음.
구성요소들이 축척으로 그려지지 않을 수 있는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이 더 잘 이해될 것이고, 이는 여기서 설명된 구강 세정기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구강 세정 디바이스의 범위를 완전히 묘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구강 세정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부분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의 펌프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펌프 어셈블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0의 펌프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성의 도 10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구성에서 도 10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구성의 도 10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구성의 도 10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도 10의 펌프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밸브 구성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강 세정기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프로세스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몸체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그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된다. 하나 이상의 도면에 예시된 유사한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구강 세정기는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한다. 제1 모드는 구강 세정을 위해 유체가 핸들을 통해 흐르도록 허용하는 작동 모드일 수 있다. 제2 모드는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일시 중지 모드일 수 있다.
구강 세정기는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밸브 어셈블리는 핸들 모드에 따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는 핸들이 유체가 핸들을 통해 흐르도록 허용하는 제1 모드에 있을 때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는 핸들이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제2 모드로 전환될 때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유체는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해 흘러 구강 세정기가 계속 작동하는 동안 압력 형성을 제한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는 핸들이 제1 모드에 놓일 때까지 제2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핸들이 다시 제1 모드로 전환될 때, 구강 세정기 내에서 압력 형성을 허용하기 위해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로 다시 이동하여 구강 세정을 위해 핸들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는 또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입구 밸브를 포함한다. 개방 위치에서 입구 밸브는 펌프 또는 피스톤의 진공 행정(stroke) 하에서 유체 저장소로부터 밸브 어셈블리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입구 밸브는 펌프 또는 피스톤의 압축 행정 하에서 유체 저장소로의 역방향 유체 흐름을 제한하거나 한정할 수 있다. 입구 밸브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있을 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의 위치(및 핸들의 모드)에 관계없이 입구 밸브는 펌프 또는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0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구강 세정기(100)는 유체(예를 들어, 물)를 가압하고 가압된 유체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거나(irrigate) 분무하도록 작동 가능한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세정기(100)는 베이스(102),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소(104), 및 유체를 사용자의 입으로 이동시키거나 분무하도록 구성된 핸들(106)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06)은 핸들(106)로부터 베이스(102)까지 연장하는 적어도 호스(108)를 통해 저장소(104)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2)는 저장소(104) 및 핸들(106)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 세정기(100)의 많은 구동 및 동력 어셈블리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102)는 펌프,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 및/또는 모터를 수용할 수 있다. 베이스(102)는, 펌프, 모터, 또는 구강 세정기(100)의 다른 내부 구성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섀시 구조를 제공하는 것과 같이, 구강 세정기(100)의 내부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102)는 내부 구성 요소를 덮어 숨길 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 요소를 보호하는 하우징(114)을 포함하거나 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102)는 도크(118) 또는 핸들(106)을 해제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118)는 하우징(114)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boss)로서 구현될 수 있고, 보스는, 도크(118)의 수직 단부 벽 또는 표면(122) 상에 규정된 것과 같은, 만입부(120)를 포함한다. 만입부(120)는 핸들(106)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06)의 후방 일부는 만입부(120) 내에 수용되고 해제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핸들(106)은 도크(118)에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핸들(106)을 도크(118)에 해제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른 구성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도크(118)는, 다른 구성 중에서 핸들(106)이 도크(118) 내에 놓이거나 그 위에 놓일 때 핸들(106)이 지지되는 크래들을 규정하는 C-클램프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2)는 호스(108)의 초과 길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스의 길이는 핸들(106)이 도크(118)에 결합될 때 호스(108)가 도크(118) 주위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102)는 핸들(106)이 도크(118)에 결합될 때 호스(108)를 수용하고 지지하기 위한 호스 캐비티(126)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108)는 호스(108)가 저장을 위해 접힐 때 나선형으로 감긴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호스(108)를 편향시키는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적용에 따라서, 호스 캐비티(126)는 하우징(114) 내로 수용될 수 있거나, 하우징(114)과 같은 높일 수 있을 수 있거나, 하우징(114)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베이스(102)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02)는 전원 버튼(130)과 압력 제어 스위치(1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버튼(130)은 베이스(102)로부터 연장된 포스트(post)(134) 상에 위치하여 전원 버튼(130)(또는 포스트(134)의 상부면)은 전원 버튼(130)의 사용과 만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장소(104)의 상부와 동일한 높이이거나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전원 버튼(130)의 작동은 전원 모드(예를 들어, 온, 꺼짐, 수면 모드 등) 사이에서 변화하거나 순환시킬 수 있다. 압력 제어 스위치(132)의 사용자 작동은 핸들(106)을 통해 구강 세정기(100)에 의해 제공되는 유체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제어 스위치(132)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핸들(106) 및 저장소(104) 사이의 유체 경로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변경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슬라이드되거나, 회전되거나, 가압되거나, 또는 다르게 작동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강 세정기(100)는 모드 선택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기 스위치의 작동은 구강 세정기(100)의 작동 모드 사이에서 구강 세정기(100)를 변경하거나 순환시킬 수 있다. 작동 모드들은 정상 모드, 세정 모드, 마사지 모드, 부드러운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104)는 베이스(102)에 부착되거나 그 위에 안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저장소(104)의 바닥은 베이스(102)의 상단의 형상을 보완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습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소(104)의 바닥의 일부는 베이스(102) 내에 수용되어 저장소(104)를 베이스(102)에 위치시키거나 연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장소(104)는 베이스(102)를 보완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소(104)는 베이스(102)로부터 연장하는 포스트(134) 주위에 맞춰지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소(104)는 뚜껑(140)을 포함한다. 뚜껑(140)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소(104)를 채우거나 배수하기 위해 저장소(10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140)은 저장소(104)에 고정 가능한 제1 부분(142) 및 제1 부분(142)에 대해 그리고 저장소(10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유체가 저장조(104)로부터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개구를 규정하는 제2 부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용에 따라서, 저장소(104)는, 저장소(104)의 세척, 충전/배수 또는 기타 목적을 위해, 베이스(10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핸들(106)은 유체가 핸들(106)로부터 배출되는 노즐(152)로의 유체 경로를 규정하는 팁(150)을 포함할 수 있다. 팁(150)은 사용자의 치아, 잇몸, 혀 등에 대해 유체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자의 입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팁(150)은, 배출 버튼(154)(도 2 참조)을 통해, 핸들(106)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팁(150)의 제거 가능성은 많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50)이 유용한 수명에 도달하거나 손상되거나 오염되는 경우와 같이, 팁(150)은 원하는 대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팁(150)의 제거가능성은 여러 사용자가 동일한 핸들(106)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각 사용자는 별개의 사용을 위해 각각의 팁(150)을 핸들(106)에 부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106)은 구강 세정기(100)의 하나 이상의 특성 또는 파라미터를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핸들(106)은 구강 세정기(100)를 일시 정지 모드에 선택적으로 놓이게 하기 위한 일시 정지 버튼(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 정지 모드 동안, 유체 흐름은 핸들(106)을 통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며,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강 세정을 일시 정지하기를 원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일시 정지 모드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106)을 통한 유체 흐름을 차단하도록 일시정지 버튼(160)을 슬라이드하거나 누를 수 있다. 정상 작동을 재개하기 위해, 사용자는 일시정지 버튼(160)을 해제하거나 다시 작동(예를 들어, 슬라이드 또는 누름)할 수 있어서 핸들(106)을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106)은 "DENTAL WATER JET DEVICE"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10,010,389 B2호에 개시된 핸들과 유사할 수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핸들(106)은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 위치결정될 수 있다. 제1 모드에서, 유체는 핸들(106)을 통해 흐를 수 있다(예를 들어, 작동 모드). 제2 모드에서, 핸들(106)을 통한 유체 흐름은 제한되거나 한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일시정지 모드).
도 1에 도시된 구강 세정기(100)는, 카운터탑(countertop) 표면 상에 베이스(102)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발들(feet)(162)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카운터탑 사용을 위해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예시일 뿐이며 구강 세정기(100)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는 핸드헬드 세정기로 구현된 구강 세정기(100)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강 세정기(100)가 핸드헬드 유닛인 예에서, 저장소(104) 및 핸들(106)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저장소(104)는 사용자에 의해 재충전된 후 핸들(106)에 재부착될 수 있는 제거 가능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이들 예에서, 모터 및 펌프와 같은 구강 세정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는 베이스 유닛이 아닌 핸들(106)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구강 세정기의 설명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구강 세정기(100)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베이스(102)의 내부 구성요소가 핸들(106)에 포함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구강 세정기(10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100)의 하나 이상의 내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선택 요소는 명확성을 위해 숨겨져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강 세정기(100)는 펌프 어셈블리(170), 모터(172) 및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170)는 입구(178) 및 출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178)는, 포트(182)를 통해, 저장소(104)에 유동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포트(182)는, 베이스(102) 상에 저장소(104)의 위치됨과 같이, 저장소(104)가 베이스(102)에 연결될 때 열릴 수 있어서, 포트(182)의 개방은 포트(182)를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한다. 저장소(104)가 베이스(102)로부터 제거될 때, 포트(182)는, 스프링 압력 하에서와 같이,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다. 출구(180)는 펌프 어셈블리(170)로부터 핸들(106)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호스(108)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는 저장소(104)로부터 포트(182)를 통해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 안으로 흐를 수 있다. 작동 중에, 입구(178)로 들어가는 유체는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해 펌프 어셈블리(170)의 출구(180) 밖으로 그리고 호스(108)를 통해 핸들(106)로 펌핑될 수 있다.
모터(172)는 펌프 어셈블리(17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작업을 생성하거나 운동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유형의 모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172)는 직류 모터일 수 있으며, 여기서 모터(172)의 속도는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모터(172)는 "가변 출력 유체 특성을 갖는 구강 세정기(ORAL IRRIGATOR WITH VARIABLE OUTPUT FLUID CHARACTERISTICS)"라는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2017/0239132 A1에 개시된 모터 및 모터 제어와 유사할 수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84)는 모터(172)를 펌프 어셈블리(170)에 연결할 수 있다. 기어박스(184)는 모터의 출력 샤프트의 회전을 펌프 어셈블리(170)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어, 링크들 또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는 압력 제어 스위치(132)의 작동에 기초하여 입구(178)로부터 출구(180)까지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제어 스위치(132)의 위치에 기초하여,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는, 압력 하에서 유체 유출 또는 바이패스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는 것과 같이, 펌프 어셈블리(170)의 출구(180)에서의 유체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는 핸들(106)에서 출력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는 미국 특허 제10,010,389 B2호에 개시된 흐름 제어와 유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17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170)는 펌프 몸체(190), 피스톤(192), 및 펌프 몸체(190) 내에 위치된 밸브 어셈블리(19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모터(172)를 통한) 피스톤(192)의 작동 및 펌프 몸체(190) 내 밸브 어셈블리(194)의 구성은 펌프 몸체(190)를 통해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어셈블리(194)는 모터(172)에 의해 피스톤(192)의 작동 동안 펌프 몸체(190)의 출구(180)를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제1 구성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172)에 의해 피스톤(192)의 작동 동안 언제든지, 밸브 어셈블리(194)는, 일시 정지 모드에 구상 세정기(100)를 놓이게 하는 것에 의하는 것과 같이, 펌프 몸체(190)의 출구(180)를 통해 유체 흐름을 제한하는 제2 구성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몸체(190)는 제2 펌프 몸체(202)에 연결된 제1 펌프 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펌프 몸체(200)는 입구(178)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펌프 몸체(202)는 출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는 제1 펌프 몸체(200)에 연결될 수 있고, 피스톤(192)은 제2 펌프 몸체(20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펌프 몸체(202)는 피스톤(19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피스톤 하우징(204)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중에, 피스톤(192)의 적어도 일부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해 유체 흐름을 유발하도록 피스톤 하우징(204)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194)는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을 규정하거나 제한하기 위해 서로 협동하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어셈블리(194)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 입구 밸브(2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 및 입구 밸브(212) 각각은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바이패스 밸브(210)는 입구(178)와 출구(180) 사이에서 유체를 향하게 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바이패스 밸브(21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출구(180)를 통해 유체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밸브, 제1 밸브 어셈블리 또는 입구 밸브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는, 입구 밸브(21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입구 밸브(212)는 입구(178)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입구 밸브(212)는 입구(178)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아래에서 더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입구 밸브(212)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위치에 관계 없이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밸브(212)는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펌프 어셈블리(170)는 추가적인 특징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 어셈블리(17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펌프 몸체 내의 바이패스 밸브(210)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스프링(216) 및 스프링 캡(21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 어셈블리(170)는 출구(180)를 통한 일방향 유동을 설정하고 호스(108)로부터 펌프 어셈블리(170)로의 유체 역류를 제한하기 위해 출구(180) 근처에 위치된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17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170)는 입구(178)를 출구(180)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밸브 챔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챔버(230)는 제1 펌프 몸체(200) 및 제2 펌프 몸체(20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펌프 몸체(200)는 밸브 챔버(230)의 제1 부분을 규정할 수 있고, 제2 펌프 몸체(202)는 밸브 챔버(230)의 제2 부분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밀봉(232)이 제1 펌프 몸체(200) 및 제2 펌프 몸체(202) 사이 계면에 위치될 수 있어서 계면에서 밸브 챔버(230)를 유동적으로 밀봉한다.
제1 펌프 몸체(200)는 밸브 챔버(230) 내에서 하나 이상의 유체 흐름 특성을 규정하는 많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펌프 몸체(200)는 밸브 챔버(230)에 인접하거나 나란히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들(236)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들(236)은 입구 밸브(212)에 대한 하나 이상의 이동 제한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브들(236)은 (예를 들어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밸브 챔버(230) 내에서 입구 밸브(212)의 선형 움직임을 허용하지만 또한 횡축에 대한 입구 밸브(212)의 회전, 입구 밸브(212)의 측방향 이동 등과 같은 입구 밸브(212)의 다른 움직임은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리브들(236)은, 밸브 챔버(230)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거나, 입구 밸브(212)가 수용되는 밸브 챔버(230)의 위치에 적어도 일반적으로 평행한 축 주위에서 입구 밸브(21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리브들(236)은 리브들(236) 사이에 복수의 홈들(238)을 규정하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또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브(236)(및 홈(238))는 입구 밸브(212) 주위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부분적인 원통형 벽을 규정할 수 있다.
제1 펌프 몸체(200)는 밸브 챔버(230) 내에 숄더(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펌프 몸체(200) 내의 밸브 챔버(230)의 내경은 숄더(242)에서 단차형(stepped)일 수 있어서, 숄더(242)는 내부의 레지(ledge)를 규정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캡(218)이 제1 펌프 몸체(200)의 숄더(242)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2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목적을 위해, 제1 펌프 몸체(200)의 숄더(242)에 대해 스프링 캡(218)을 편향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펌프 어셈블리(170)는 제1 펌프 몸체(200) 내에 또는 제1 펌프 몸체(200)와 관련된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출구(180)를 통한 유체 흐름이 제한될 때(예를 들어, 핸들(106)이 일시 정지 모드에 놓일 때)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는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제2 흐름 회로를 규정할 수 있다.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는 밸브 챔버(230) 내의 바이패스 밸브(210)의 위치에 기초하여 밸브 챔버(230)와 입구(178) 사이의 유체를 향하게 하기 위해 밸브 챔버(230)를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에 유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위치는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는 제1 펌프 몸체(200) 내의 밸브 챔버(230)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흐름 채널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는 밸브 챔버(230)와 유체 소통하는 제1 흐름 채널(248) 및 입구(178)와 유체 소통하는 제2 흐름 채널(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흐름 채널(248)은, 숄더(242)와 제2 펌프 몸체(202) 사이와 같이, 숄더(242)에 인접하게 규정될 수 있다. 출구(180)를 통한 흐름이 제한될 때(예를 들어, 핸들(106)이 일시 정지 모드에 있을 때), 유체는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의 제1 흐름 채널(248) 및 제2 흐름 채널(250)을 통해 흘러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로 밸브 챔버(230) 내 유체 및 유체 압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와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의 제1 흐름 채널(248) 및 제2 흐름 채널(250)은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흐름 채널(248, 250)을 통해 흐르는 유체는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 주위로 또는 그에 인접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의 적어도 하나의 채널은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의 채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 및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는 둘 다 제2 흐름 채널(250)을 이용하여 유체를 밸브 챔버(230)로부터 멀어지게 전환할 수 있다.
제1 펌프 몸체(200)와 마찬가지로, 제2 펌프 몸체(202)는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을 규정하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펌프 몸체(202)는 밸브 챔버(230)를 피스톤 하우징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256)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유체는 피스톤(192)이 피스톤 하우징(204) 내에서 왕복 운동할 때 밸브 챔버(230)와 피스톤 하우징(204) 사이의 하나 이상의 개구(256)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유체는 바이패스 밸브(210)를 통해 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는 밸브 챔버(230) 내 유체를 향하게 하기 위해 중공 로드 섹션을 통해 규정된 하나 이상의 보어를 갖는 중공 로드 섹션(2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밸브(210)는 중공 로드 섹션(260)의 길이를 연장하는 길이방향 보어(262) 및 중공 로드 섹션(260)을 통해 길이방향 보어(262)로 규정된 복수의 횡방향 보어(264)를 포함할 수 있다. 횡방향 보어들(264)은, 방사형 스포크(spoke) 패턴과 같이, 길이방향 보어(262)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펌프 어셈블리(170)의 작동 동안, 유체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 및 횡방향 보어(264)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밸브(210)는 입구(178) 부근의 제1 단부(268) 및 출구(180) 부근의 제2 단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방향 보어(262)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단부(268)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단부(270)는 개방될 수 있어서 길이방향 보어(262)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전체 길이를 통해 규정될 수 있다. 제2 단부(270)는 출구(180)에 인접한 단부 표면(27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용에 따라, 단부 표면(272)은 평평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밸브(210)는 중공 로드 섹션(260)으로부터 환형으로 연장되는 레지(ledge)(2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216)은 레지(276)에 안착될 수 있어서 스프링 캡(218)으로부터 (또는 제1 펌프 몸체(200)의 숄더(242)로부터 멀리 레지(276)를 편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지(276)는 펌프 어셈블리(170)의 출구(180)를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스프링(216)을 통하는 것과 같이, 제2 펌프 몸체(202)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216)은 제1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제1 정지부에 대해 레지(276)를 편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레지(276)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출구(18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제2 정지부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적용에 따라, 제2 정지부는 스프링 캡(218)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프링(216)은 레지(276) 및 스프링 캡(218)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키기 위해 레지(276) 및 스프링 캡(218)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와 같이, 유체는 펌프 어셈블리(170)의 작동 중에 입구 밸브(212)를 통해 향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밸브(212)는 중앙 보어(212) 및 입구 밸브(212)를 통해 중앙 보어(280)로 규정된 복수의 측면 보어들(28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보어(282)는, 방사상 스포크 패턴과 같이, 중앙 보어(280)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할 수 있다. 펌프 어셈블리(170)의 작동 중에, 유체는 입구 밸브(212)의 중앙 보어(280) 및 측면 보어(28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구 밸브(212)는 측면 보어들(282)에 인접한 입구 밸브(212) 주위에서 환형으로 연장하는 홈(284)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조). 홈(284)은 입구 밸브(212) 주위와 측면 보어(282) 내로의 유체 흐름을 도울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밸브(212)는 밸브 챔버(230)의 챔버 입구(288)와 밀봉되게 결합하기 위한 곡선 단부(286)(예를 들어 원추형(frustoconical)-형상의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 밸브(212)의 대향 단부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맞게 결합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밸브(212)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단부(268)와 결합하는 접시형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는 복수의 위치에서 밸브 챔버(230)에 대해 밀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어셈블리(194)는 제1 밀봉부(294), 제2 밀봉부(296) 및 제3 밀봉부(29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봉부(294)은 입구(178) 근처 밸브 챔버(230)의 제1 표면에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봉부(294)는 제1 펌프 몸체(200)의 숄더(242) 근처 제1 펌프 몸체(200)에 바이패스 밸브(210)를 밀봉할 수 있다. 제2 밀봉부(296)는 출구(180) 근처 밸브 챔버(230)의 제2 표면에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밀봉부(296)는 피스톤 하우징(204)으로 출구(180) 및 하나 이상의 구멍들(256) 사이 제2 펌프 몸체(202)로 바이패스 밸브(210)를 밀봉할 수 있다. 제3 밀봉부(298)는 제1 밀봉부(294) 및 제2 밀봉부(296) 사이 밸브 챔버(230)의 제3 표면으로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3 부분을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밀봉부(298)는 제1 펌프 몸체(200) 및 제2 펌프 몸체(202) 사이 계면 근처에서 제2 펌프 몸체(202)에 바이패스 밸브(210)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제1 밀봉부(294), 제2 밀봉부(296) 및 제3 밀봉부(298)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펌프 몸체(190) 사이의 계면에서 밀봉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규격품 O-링 또는 다른 개스킷일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밀봉부들은 밸브 챔버(230) 내에 별도의 유체 챔버를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유체 챔버(302)는 제1 밀봉부(294)와 챔버 입구(288) 사이에 규정될 수 있고, 제2 유체 챔버(304)는 제1 밀봉부(294) 및 제3 밀봉부(298) 사이에 규정될 수 있으며, 제3 유체 챔버(306)는 제2 밀봉부(296) 및 제3 밀봉부(298) 사이에 규정될 수 있고, 제4 유체 챔버(208)는 제3 밀봉부(298) 및 출구(180) 사이에 규정될 수 있다. 제1 유체 챔버(302)는 입구 또는 상부 챔버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유체 챔버(304)는 바이패스 또는 중간 챔버로 지칭될 수 있으며, 제3 유체 챔버(306)는 피스톤 챔버로 지칭될 수 있고, 제4 유체 챔버는 출구 또는 하부 챔버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밀봉부(294)는 바이패스 챔버로부터 입구 챔버를 밀봉할 수 있고, 제2 밀봉부(296)는 피스톤 챔버로부터 출구 챔버를 밀봉할 수 있으며, 제3 밀봉부(298)는 바이패스 챔버로부터 피스톤 챔버를 선택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제2 밸브, 제2 밸브 어셈블리, 또는 출구 밸브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는,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는 출구(180) 근처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단부(270)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적용에 따라서,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단부 표면(272)에 대해 스프링(314)에 의해 편향된 볼(312)과 같은, 체크 밸브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는 유체가 제4 유체 챔버(308)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지만 또한 제4 유체 챔버(308) 밖으로 역방향 유체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17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17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17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17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밸브 어셈블리(194)는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 챔버(23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 및 입구 밸브(212) 모두는 밸브 챔버(230) 내에서 이동할 수 있어서 펌프 어셈블리(170)의 출구(180) 및 입구(178) 사이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 개방 위치에 있는 입구 밸브(212)를 도시한다.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위치는 핸들(106)의 제1 모드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는 유체가 구강 세척을 위해 핸들(106)을 통해 흐를 때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는 핸들(106)이 개방될 때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스톤(192)은 밸브 챔버(230)로부터 멀리 인출되어 피스톤 하우징(204) 내 진공을 생성할 수 있다. 피스톤 하우징(204) 내의 진공은 유체를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로 끌어들일 수 있고 유체를 입구(178)로부터 그리고 밸브 어셈블리(194)를 통해 흐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진공 행정 동안, 저장소(104)로부터의 유체는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입구(178) 내 유체는 밸브 챔버(230)의 챔버 입구(288)를 통해 제1 유체 챔버(302)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유체가 챔버 입구(288)를 통해 제1 유체 챔버(302)로 끌어당겨짐에 따라, 유체는 밸브 챔버(230)의 리브들(236) 사이에 규정된 홈(238)을 통해 입구 밸브(212) 주위로 흐를 수 있다. 입구 밸브(212) 주위를 흐르는 유체는 입구 밸브(212)의 측면 보어(282)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측면 보어(282) 내의 유체는 입구 밸브(212)의 중앙 보어(280)로 입구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은 입구 밸브(212)가 바이패스 밸브(210)에 대해 안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밸브(212)의 접시형 단부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단부(268)에 대해 안착될 수 있어서, 입구 밸브(212)의 중앙 보어(280)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와 유체 소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212)의 접시형 단부는 제1 밀봉부(294)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입구 밸브(212)의 중앙 보어(280) 내 유체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를 통해 횡방향 보어(264)로 흐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횡방향 보어(264) 내의 유체는 제3 유체 챔버(306)로 끌어당겨진다. 그런 다음 제3 유체 챔버(306) 내 유체는 밸브 챔버(230)와 피스톤 하우징(204) 사이의 하나 이상의 구멍(256)을 통해 피스톤 하우징(204)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도 6은 제1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 폐쇄 위치에 있는 입구 밸브(212)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핸들(106)이 개방될 때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을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스톤(192)은 밸브 챔버(230) 쪽으로 이동하여 피스톤 하우징(204) 내의 유체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피스톤 하우징(204) 내의 유체 압력은 유체가 밸브 어셈블리(194)를 통해 펌프 어셈블리(170)의 출구(180)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압축 행정 동안, 증가된 유체 압력은 입구 밸브(212)가 밸브 챔버(230)의 챔버 입구(288)에 안착되도록 하여,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로부터 밸브 챔버(230)를 밀봉할 수 있다. 챔버 입구(288)가 입구 밸브(212)를 통해 밀봉되면, 유체는 피스톤 하우징(204)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구멍(256)을 통해 그리고 제3 유체 챔버(306) 내로 흐를 수 있다. 제3 유체 챔버(306) 내의 유체는 횡방향 보어(264)를 통해 그리고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 내로 흐를 수 있다.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에 의해 생성된 유체 압력은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를 극복할 수 있어서,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 내의 유체는 제4 유체 챔버(308)로 강제된다. 예를 들어, 볼(312)에 대해 가해지는 길이방향 보어(262) 내의 유체 압력은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단부(270)에 대해 볼(312)을 안착시키는 스프링(314)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극복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볼(312)은 바이패스 밸브(210)와 맞물리 해제될 수 있어서 유체는 볼(312) 주위에서 그리고 제4 유체 챔버(308) 내로 흐를 수 있다. 유체가 제4 유체 챔버(308) 내로 흐를 때, 유체는 펌프 어셈블리(170)의 출구(180)를 빠져나와 핸들(106)의 호스(108)로 들어갈 수 있으며, 이때 유체는 구강 세정을 위해 핸들(106)의 팁(150)에서 배출된다.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압력이 가라앉거나 해제되면, 스프링(314)은 바이패스 밸브(210)에 대해 볼(312)을 편향시켜 제4 유체 챔버(308)를 밀봉하고 제4 유체 챔버(308)로부터 유체의 역류를 제한할 수 있다.
피스톤(192)은 지속적인 구강 세정 작업 동안 피스톤 하우징(204)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피스톤(192)은 종종 높은 빈도(frequency)로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에서 교번할 수 있다. 피스톤(192)이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를 번갈아 갈 때, 입구 밸브(212)는 제1 유체 챔버(302)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동일한 빈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 밸브(210)는 핸들(106)이 구강 세정을 위해 개방될 때 제1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216)의 스프링율은 작동 중에 밸브 챔버(230) 내의 유체 압력에 맞추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율은 구강 세정 동안 스프링(216)이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1 위치에 유지하기에(예를 들어, 제1 정지부에 대해 안착됨) 충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프링율은 제1 펌프 몸체(200)의 숄더(242)와 스프링 캡(218)의 맞물림 및 제2 펌프 몸체(202)와 레지(276)의 맞물림을 유지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밀봉부(294)는 제1 펌프 몸체(200)와 바이패스 밸브(210) 사이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고, 제3 밀봉부(298)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제2 펌프 몸체(202) 사이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어 구강 세정 동안 제2 유체 챔버(304) 내로의 유체 흐름을 제한한다.
도 7은 제2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 폐쇄 위치에 있는 입구 밸브(212)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핸들(106)이 폐쇄될 때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을 도시한다.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위치는 핸들(106)의 제2 모드와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106)을 통한 유체 흐름이 정지되거나 제한될 때(예를 들어, 핸들(106)의 일시정지 모드) 바이패스 밸브(210)는 제2 위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핸들(106)이 폐쇄될 때,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유체 압력은 바이패스 밸브(210)의 단부 표면(272)에 대한 출구(180) 내의 유체 압력이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216)의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까지 축적될 수 있다. 유체 압력이 스프링 힘을 극복할 때, 유체 압력은 바이패스 밸브(210)를 그것의 제2 위치로 강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유체 압력은 스프링(216)을 극복하고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2 정지부(예를 들어, 스프링 캡(218)에 대한 레지(276))에 대한 제2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위치에서, 제3 밀봉부(298)는 제2 펌프 몸체(202)와 맞물림 해제될 수 있어서, 아래에 설명된 목적을 위해, 제2 유체 챔버(304)가 제3 유체 챔버(306)와 유체 소통한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이동은 밸브 챔버(230)로부터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로 유체를 향하게 하기 위해 제2 펌프 몸체(202)로부터 제3 밀봉부(298)를 맞물림 해제할 수 있다. 적용에 따라서, 제3 밀봉부(298)는 제2 펌프 몸체(202)로부터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3 밀봉부(298)의 유연성은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유체가 제3 밀봉부(298)를 지나 흐르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펌프 몸체(202)의 밸브 보어(316)의 상부 가장자리(315)는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유체가 제3 밀봉부(298)를 지나 흐르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진 표면 또는 챔퍼(317)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제3 밀봉부(298)를 지나 충분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부채꼴 절단부 또는 오목부(318)가 챔퍼(317)에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오목부(318)가 챔버(317)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펌프 몸체(202)의 밸브 보어(316)의 주변 주위에 등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오목부(318)의 수 및 크기는 적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오목부(318)는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제3 밀봉부(298)가 밸브 보어(316) 밖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3 밀봉부(298) 상의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오목부(318)는 제3 밀봉부(298)의 마모를 감소시켜 제3 밀봉부(298)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오목부(318)는 제3 밀봉부(298) 주위의 균일한 흐름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펌프 내에서 기울어지고 제3 밀봉부(298)를 죄는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오목부(318)는 밸브 스프링(216)에 대한 압축을 감소시키고 바이패스 밸브(210)의 이동이 짧아지도록 허용하여, 펌프 어셈블리(170) 내부의 최대 압력을 낮출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는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바이패스 밸브(210)와의 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는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바이패스 밸브(2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밸브(210)가 밸브 챔버(230)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출구(180)를 통한 일방향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 제2 밀봉부(296)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제2 펌프 몸체(202) 사이의 밀봉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유체 압력은 핸들(106)을 통한 흐름이 재개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밸브(210)는 핸들(106)이 제2 모드에서 벗어나 제1 모드에 위치될 때까지 제2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챔버(230) 내 증가된 유체 압력은 입구 밸브(212)를 챔버 입구(288)에 대해 안착시킬 수 있다.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압력이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2 위치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유체는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중에 제3 유체 챔버(306)로부터 제2 유체 챔버(304)로 흐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유체 챔버(304) 내의 유체는, 먼저 제2 유체 챔버(304)와 유체 소통하는 제1 흐름 채널(248)을 통해 흐르는 것과 같이,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흐르는 유체는 이어서 저장소(104)로 다시 순환하기 위해 제2 흐름 채널(250)을 통해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8은 제2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개방 위치에 있는 입구 밸브(212)를 도시하여서, 도 8은 핸들(106)이 폐쇄될 때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을 도시한다. 아래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펌프 어셈블리(170)를 통한 유체 흐름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저장소(104)로부터의 유체는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입구(178) 내 유체는 도 5에서 위에서 언급된 것과 유사하게 입구 밸브(212) 주위에서 그리고 제1 유체 챔버(302)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가 챔버 입구(288)를 통해 제1 유체 챔버(302) 내로 끌어당겨질 때, 유체는 밸브 챔버(230)의 리브들(236) 사이에 규정된 홈들(238)을 통해 입구 밸브(212) 주위에서 그리고 입구 밸브(212)의 중앙 보어(280)와 측면 보어(282)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진공 행정과 마찬가지로, 입구 밸브(212)의 중앙 보어(280) 내 유체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를 통해 횡방향 보어들(264)로 흐를 수 있으며, 이때 횡방향 보어(264) 내의 유체는 제3 유체 채널(306) 내로 끌어당겨진다.
위에서 언급된 유체 흐름에 더하여, 유체는 도 8에 도시된 진공 행정 동안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저장소(104)로부터의 유체는 펌프 어셈블리(170)의 입구(178)로부터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의 제2 흐름 채널(250)을 통해 끌어당겨질 수 있다.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 내 유체는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의 제1 유체 채널(248)을 통해 밸브 챔버(230)의 제2 유체 챔버(304)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도 8에서 제3 밀봉부(298)가 맞물림 해제되므로, 제2 유체 챔버(304) 내 유체는 제3 유체 챔버(306)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제3 유체 챔버(306) 내 유체는 밸브 챔버(230) 및 피스톤 하우징(204) 사이의 하나 이상의 구멍들(256)을 통해 피스톤 하우징(204)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피스톤(192)은 핸들(106)이 폐쇄되어 있으면서(예를 들어, 일시정지 모드에서) 지속적인 작동 동안 피스톤 하우징(204) 내에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스톤(192)이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에서 번갈아 갈 때, 입구 밸브(212)는, 지속적인 구강 세정 작업과 유사하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 밸브(210)는 핸들(106)이 폐쇄될 때 제2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에서, 유체는 피스톤(192)이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에서 왕복할 때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적용에 따라서,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는 일반적으로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어서 유체가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자유롭게 또는 일반적으로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핸들(106)이 폐쇄될 때 모터(172) 상의 부담이 감소될 수 있어서, 하나 구강 세정기(1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모터(172), 기어박스(184) 등) 상의 소음 및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적인 펌프 어셈블리(32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아래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 9의 펌프 어셈블리(320)는 도 3-8의 펌프 어셈블리(170)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특징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바이패스 밸브(210)의 제2 단부(270)는 길이방향 보어(262)가 바이패스 밸브(210) 전체를 통해 연장되지 않도록 단단하거나 일반적으로 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제2 밀봉부(296)는 U-컵 밀봉부로 구현될 수 있다. U-컵 밀봉부는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컵 밀봉부는 유체가 제3 유체 챔버(306)에서 제4 유체 챔버(308)로 흐르도록 허용하지만 제4 흐름 챔버(308)로부터 제3 흐름 챔버(305)로의 유체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증가된 유체 압력은 U-컵 밀봉부와 제2 펌프 몸체(202) 사이의 밀봉 결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가 펌프 어셈블리(33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펌프 어셈블리(33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이하 달리 언급되는 것을 제외하고, 펌프 어셈블리(330)는 도 3-8의 펌프 어셈블리(170) 및/또는 도 9의 펌프 어셈블리(320)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유사한 특징에 대한 설명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펌프 어셈블리(330)는 입구(178)를 갖는 제1 펌프 몸체(200) 및 출구(180) 및 피스톤 하우징(204)을 갖는 제2 펌프 몸체(20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330)는 또한 제1 펌프 몸체(200) 및 제2 펌프 몸체(202) 사이에 연결된 제3 펌프 몸체(33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펌프 몸체(200)는 하나 이상의 제1 체결구(334)를 통해 제3 펌프 몸체(332)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펌프 몸체(202)는 하나 이상의 제2 체결구(336)를 통해 제3 펌프 몸체(3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펌프 몸체(332)는 압력 조절 어셈블리(174)를 수용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펌프 어셈블리(330)의 밸브 어셈블리(194)는, 전술한, 바이패스 밸브(210), 스프링(216) 및 스프링(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 어셈블리(330)는 입구(178) 근처 바이패스 밸브(210) 위에 위치된 제1 밸브 어셈블리(340) 및 출구(180) 근처 바이패스 밸브(210) 아래에 위치된 제2 밸브 어셈블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 어셈블리(340)는 펌프 어셈블리(330) 내의 위치에 고정되거나 유지될 수 있다.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펌프 어셈블리(330) 내에서 이동할 때 바이패스 밸브(210)와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314)은, 볼(312)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밸브(210)에 대해 제2 밸브 어셈블리(342)를 편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바이패스 밸브(210)의 단부 표면(272)에 부착되거나, 접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바이패스 밸브(210)에 형성되거나 규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어셈블리(330)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제2 밸브 어셈블리(342) 사이에 위치된 와셔(344)를 포함할 수 있다. 고무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와셔(344)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제2 밸브 어셈블리(342) 사이의 더욱 양호한 밀봉의 형성을 도울 수 있다.
제1 밸브 어셈블리(340) 및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펌프 어셈블리(33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 어셈블리(340)는 전술한 입구 밸브(212)와 유사하게 입구(178)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전술한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와 유사하게 출구(18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 어셈블리(340) 및 제2 밸브 어셈블리(342) 각각은 펌프 어셈블리(33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일-방향 밸브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밸브, 입구 밸브 또는 입구 밸브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는, 제1 밸브 어셈블리(340)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 어셈블리(340)는 제1 리드(reed) 밸브(350) 및 제1 리테이너(retainer)(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드 밸브(350)는 챔버 입구(288)를 선택적으로 밀봉하고 챔버 입구(288)로 일방향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제1 펌프 몸체(200)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 밸브(350)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제1 리드 밸브(350)는 유체가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유체 입구(178)로부터 챔버 입구(288)를 통해 유체 챔버(230) 내로 흐르게 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제1 리드 밸브(350)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중에 챔버 입구(288)를 통해 유체 챔버(230)로부터 유체 입구(178)로의 역류를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제1 리테이너(352)는 제1 리드 밸브(350)를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테이너(352)는 제1 펌프 몸체(200)에 대해 제1 리드 밸브(350)를 고정하거나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리테이너(352)는 제1 리드 밸브(350)가 과도하게 연장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테이너(352)는 임계값을 너머로 제1 리드 밸브(350)의 연장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예를 들어, 바, 표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테이너(352)는 유체가 제1 리테이너(352)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홀들(3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 출구 밸브 또는 출구 밸브 어셈블리로 지칭될 수 있는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많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제1 밸브 어셈블리(340)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제2 리드 밸브(360) 및 제2 리테이너(3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드 밸브(360)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또는 와셔(344)에 대해 위치될 수 있어서 바이패스 밸브(210)의 길이방향 보어(262)를 선택적으로 밀봉하고 유체 챔버(230) 내로 일-방향 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드 밸브(360)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제2 리드 밸브(360)는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동안 유체가 제4 유체 챔버(308)로 흐르도록 허용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제2 리드 밸브(36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제4 유체 챔버(308)로부터의 역류를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리드 밸브(360)는 와셔(344)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와셔(344)는 제2 리드 밸브(360)와 바이패스 밸브(210) 사이에 더 나은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셔(344)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드 밸브(360)는 와셔(344)의 필요성을 제거하는 고무 또는 다른 밀봉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리드 밸브(360)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또는 와셔(344)에 본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될 수 있다.
제2 리테이너(362)는 제2 리드 밸브(360) 및/또는 와셔(344)를 제자리에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테이너(362)는 바이패스 밸브(210) 및/또는 와셔(344)에 대해 제2 리드 밸브(360)를 고정하거나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리테이너(362)가 임계값 너머로 제2 리드 밸브(360)의 연장을 제한하는 하나 이상의 구조물들(예를 들어 바들, 표면들 등)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제2 리테이너(362)는 제2 리드 밸브(360)가 과도하게 연장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테이너(362)는 유체가 제2 리테이너(362)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홀들(36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리테이너(362)는 스프링(314)이 연결되는 보스(3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 어셈블리(3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챔버(230)는 제1 펌프 몸체(200), 제2 펌프 몸체(202) 및 제3 펌프 몸체(33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밀봉부(232)는 제2 펌프 몸체(202)와 제3 펌프 몸체(332)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되어 계면에서 밸브 챔버(230)를 유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밀봉부(370)(예를 들어, 2개의 밀봉부(370))가 제1 펌프 몸체(200)와 제3 펌프 몸체(332) 사이의 계면에 위치되어 계면에서 밸브 챔버(230)를 유체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제3 펌프 몸체(332)는 숄더(242)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216)은 숄더(242)와 바이패스 밸브(210)의 레지(276)에 대해 안착되어 바이패스 밸브(210)를 숄더(242)로부터 멀리 그리고 제2 몸체 부분(202)을 향해 편향시킨다. 제1 밀봉부(294)는 바이패스 밸브(210)를 숄더(242) 근처 제3 펌프 몸체(332)로 밀봉시킬 수 있고, 제2 밀봉부(296) 및 제3 밀봉부(298)는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2 펌프 몸체(202)에 밀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이 고려될 수 있지만, 제1 밀봉부(294)는 U-컵 밀봉부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3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3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3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 구성의 펌프 어셈블리(33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바이패스 밸브(210), 제1 밸브 어셈블리(340) 및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펌프 어셈블리(330)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을 이동시키거나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핸들(106)이 개방될 때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폐쇄 위치에 있는 제2 밸브 어셈블리(342), 개방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개방 위치에 있는 제1 밸브 어셈블리(34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은 유체를 펌프 어셈블리(330)의 입구(178)로 그리고 제1 밸브 어셈블리(340)를 통해 밸브 챔버(230)로 끌어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드 밸브(350)는 챔버 입구(288)로부터 멀리 구부러지거나 신축될 수 있어서 유체가 제1 리드 밸브(350)를 지나서 제1 리테이너(352)를 통해 그리고 밸브 챔버(230) 내로 흐르게 할 수 있다. 제1 리드 밸브(350)가 과도하게 연장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제1 리드 밸브(350)가 제1 리테이너(352)와 접촉할 때까지 제1 리드 밸브(350)는 구부러지거나 신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유체는 바이패스 밸브(210)를 통해 피스톤 하우징(204) 내로 흐를 수 있다.
도 13은 핸들(106)이 개방될 때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동안 개방 위치에 있는 제2 밸브 어셈블리(342), 제1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폐쇄 위치에 있는 제1 밸브 어셈블리(340)를 도시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증가된 유체 압력은 제1 리드 밸브(350)가 챔버 입구(288)에 대해 안착되게 하고 제2 리드 밸브(360)를 개방하여 유체를 제2 리드 밸브(360)를 지나 제2 리테이너(362)를 통해 제4 유체 챔버(308) 내로 그리고 핸들(106)을 향해 펌프 어셈블리(330)의 출구(180) 밖으로 향하게 한다. 제2 리드 밸브(360)는, 제2 리드 밸브(360)의 과도한 연장을 제한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제2 리드 밸브(360)가 제2 리테이너(362)와 접촉할 때까지 구부러지거나 신축될 수 있다.
피스톤(192)은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를 번갈아 가며 지속적인 구강 세정 작업 동안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스톤(192)이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에서 번갈아 갈 때, 각각의 제1 밸브 어셈블리(340)와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입구(178)로부터 밸브 챔버(230) 내로 유체를 끌어당기고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동안 출구(180)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펌프 어셈블리(170)와 유사하게, 바이패스 밸브(210)는 핸들(106)이 구강 세정을 위해 개방될 때 제1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4는 핸들(106)이 폐쇄되거나 정지될 때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동안 폐쇄 위치에 있는 제2 밸브 어셈블리(342), 제2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폐쇄 위치에 있는 제1 밸브 어셈블리(340)를 도시한다. 핸들(106)이 폐쇄될 때, 제3 밀봉부(298)에 대한 유체 압력이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216)의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할 때까지 밸브 챔버(230) 내의 유체 압력이 형성되어,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제2 펌프 몸체(202)로부터 제3 밀봉부(298)를 맞물림 해제하게 한다. 핸들(106)이 폐쇄될 때, 유체는 호스(108)를 통해 흐르는 것을 정지시킬 수 있다. 피스톤(192)의 다음 압축 행정에서, 밸브 챔버(230)에 형성된 압력은 제3 밀봉부(298) 상에 작용할 수 있고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유체는 또한 제2 밸브 어셈블리(342)를 통해 흐를 수 있어서 핸들(106)이 개방될 때까지 제4 유체 챔버(308) 내 증가된 부피를 만든다. 제4 유체 챔버(308)에 포획된 유체는 바이패스 밸브(210)를 제2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핸들(106)이 폐쇄되어 있는 동안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및 진공 행정 모두 동안 폐쇄된 제2 밸브 어셈블리(342)를 유지하기 위해 바이패스 밸브(210)를 통해 작용하는 스프링(216)에 의해 제4 유체 챔버(308)에서 일정하거나 거의 일정한 유체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바이패스 밸브(210)는 제1 리테이너(352) 내에 또는 이에 대해 안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정지부는 제1 리테이너(35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정지부는 스프링(216)의 완전 압축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밸브 챔버(230) 내의 증가된 유체 압력은 또한 제1 리드 밸브(350)를 챔버 입구(288)에 대해 안착시킬 수 있고, 전술한 방식과 같이, 저장소로 다시 순환하기 위해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유체가 흐르게 한다.
전술한 일-방향 흐름 어셈블리(220)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스프링(314)으로부터의 스프링 압력을 통해서, 바이패스 밸브(21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바이패스 밸브(210)와 맞물림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4 유체 챔버(308) 내 유체 압력은 핸들(106)을 통한 흐름이 재개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도 15는 핸들(106)이 폐쇄되거나 정지될 때 피스톤(192)의 진공 행정 동안 폐쇄 위치에 있는 제2 밸브 어셈블리(342), 제2 위치에 있는 바이패스 밸브(210), 개방 위치에 있는 제1 밸브 어셈블리(340)를 도시한다. 그러한 구성에서, 입구(178)로부터의 유체는, 챔버 입구(288)를 통해 그리고 제1 밸브 어셈블리(340)를 통해서와 같이,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하게 밸브 챔버(230) 내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유체는 도 15에 도시된 구성에서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흐를 수 있다.
피스톤(192)은 핸들(106)이 폐쇄되거나 정지되면서 지속되는 작동 동안 왕복 운동할 수 있다. 피스톤(192)이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를 번갈아 갈 때, 제1 밸브 어셈블리(340)는, 지속적인 구강 세정 작동과 유사하게,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바이패스 밸브(210)는 핸들(106)이 폐쇄될 때 제2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펌프 어셈블리(170)와 유사하게, 핸들(106)이 폐쇄될 때 피스톤(192)이 진공 행정과 압축 행정 사이에서 왕복 운동할 때 유체는 바이패스 흐름 회로(246)를 통해 (예를 들어, 자유롭게 또는 일반적으로 자유롭게) 흐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며, 펌프 어셈블리(330)는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포핏(poppet) 밸브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밸브 어셈블리(342)는, 전술한 볼(312)과 유사한 방식으로, 바이패스 밸브(210)의 단부 표면(272)에 대해 스프링(314)에 의해 편향된 포핏(3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포핏(380)은 전술한 볼(312)과 유사하게 기능하여, 유체가 제4 유체 챔버(308) 내로 흐르게 할 수 있지만 또한 제4 유체 챔버(308) 밖으로 역방향 유체 흐름을 제한할 수 있다. 피스톤(192)의 압축 행정 동안 핸들(106)이 개방될 때, 포핏(380)에 대한 유체 압력은 스프링(314)에 의해 제공되는 힘을 극복할 수 있고, 포핏(380)이 바이패스 밸브(210)와 맞물리 해제하여 유체가 포핏(380) 주위로 그리고 제4 유체 챔버(308) 내로 흐르도록 한다. 제4 유체 챔버(308) 내의 압력이 가라앉거나 해제되면, 스프링(314)은 바이패스 밸브(210)에 대해 포핏(380)을 편향시킬 수 있어 제4 유체 챔버(308)를 밀봉하고 제4 유체 챔버(308)로부터 역방향 유체의 흐름을 제한한다. 유체 압력과 접촉하는 포핏(380)의 표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포핏(380)은 바이패스 밸브(210)의 외부 가장자리를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210)로부터 포핏(380)을 맞물리 해제하는 데 필요한 크래킹 압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유량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 세정기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프로세스(400)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프로세스(400)의 단계, 하위 단계, 하위 프로세스 또는 블록은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와 다른 순서 또는 배열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블록이 프로세스(400)로부터 생략되거나 프로세스(400)에 추가될 수 있다. 프로세스(400)가 도 1-16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프로세스(400)는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스(400)와 관련된 구강 세정기는 전술한 구강 세정기(100)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세척기는 유체 저장소, 핸들, 펌프 어셈블리, 피스톤 및 모터, 밸브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어셈블리를 통해 유체 흐름을 제어하도록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입구 밸브 및/또는 출구 밸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밸브들 또는 밸브 어셈블리들 및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밸브 어셈블리는 전술한 밸브 어셈블리(194)와 유사할 수 있다.
블록(402)에서, 프로세스(400)는 핸들이 제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밸브를 제1 위치에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블록(402)은 스프링을 사용하여 제1 정지부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 모드는 사용자 입의 구강 세정을 위해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핸들의 세정 모드일 수 있다. 제1 정지부는, 펌프 몸체의 일부에 의해 규정되는 것과 같이, 펌프 어셈블리의 일부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밸브의 일부는 스프링을 통해 펌프 몸체에 대해 유지될 수 있다. 스프링율은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작동 모드 동안 제1 위치(예를 들어, 펌프 몸체에 대해 유지됨)에 남아있기에 충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율은 구강 세정 동안 펌프 어셈블리 내의 유체 압력이 제1 위치로부터 바이패스 밸브를 이동시키지 않는데 충분할 수 있다.
블록(404)에서, 프로세스(400)는 핸들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밸브를 제2 위치에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블록(404)은 유체 압력을 사용하여 제2 정지부에 대해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지부는 펌프 몸체의 다른 부분 또는 입구 밸브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정지부는 스프링 캡에 의해 규정될 수 있거나 제2 정지부는 스프링의 완전 압축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제2 작동 모드는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는 핸들의 일시 중지 모드일 수 있다.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이 중지될 때, 유체 압력은 펌프 어셈블리의 출구 내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유체 압력이 바이패스 밸브의 단부 표면에 대해 작용할 때 출구 내에 이러한 축적된 유체 압력은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유체 압력이 출구 내에 축적될 때, 바이패스 밸브에 대해 작용하는 유체 압력은 바이패스 밸브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극복할 수 있다. 유체 압력이 스프링을 극복하고 바이패스 밸브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면, 바이패스 밸브는 핸들이 다시 제1 작동 모드에 놓일 때까지 제2 위치에 남아 있을 수 있다.
블록(406)에서, 프로세스(400)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입구 밸브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의 위치에 관계없이 입구 밸브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입구 밸브는 유체가 피스톤의 진공 행정 하에서 유체 저장소로부터 밸브 어셈블리로 끌어당겨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입구 밸브는 피스톤의 압축 행정 하에서 유체 저장소로의 역방향 유체 흐름을 제한하거나 한정할 수 있다.
블록(408)에서, 프로세스(400)는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에 위치하고 핸들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해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이 폐쇄될 때 펌프 어셈블리를 과도하게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펌프 어셈블리는 피스톤의 압축 행정 하에서 유체가 유체 저장소로 다시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흐름 회로에 대한 접근은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에 있을 때만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챔버는 밀봉부에 의해 바이패스 흐름 회로로부터 밀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블록(408)은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바이패스 밸브와 밸브 챔버 사이의 밀봉을 해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단 밀봉이 해제되면, 위에서 설명한 방식과 같이, 유체는 밸브 챔버에서 바이패스 흐름 회로로 향할 수 있다.
모든 상대적이고 방향성인 참조(상단, 하단, 측면, 전면, 후면 등을 포함)는 여기에 설명된 예에 대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로서 제공된다. 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는 한, 그것들은 특히 위치, 방향 또는 용도에 관한 요구사항이나 제한사항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연결 참조(예를 들어, 부착, 결합, 연결, 접합 등)는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요소들의 연결 및 요소들 간의 상대적 이동 사이의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참조는, 청구범위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지 않는 한, 두 요소가 직접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고정된 관계에 있음을 반드시 암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로서 교시한다. 따라서 위의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다음 청구범위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모든 일반적이고 특정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언어의 문제로서 이들 사이에 있다고 말할 수 있는 본 방법 및 시스템의 범위에 대한 모든 진술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제1 모드와 제2 모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핸들; 및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입구 밸브 및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1 위치는 상기 핸들이 제1 모드와 연관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2 위치는 상기 핸들의 제2 모드와 연관되어서, 상기 핸들이 제2 모드에 위치할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핸들이 제1 모드에 위치할 때까지 제2 위치에 남아 있으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입구 밸브는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강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구 밸브는 제1 리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밸브는 제2 리드 밸브 또는 피핏 밸브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는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중 하나에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구강 세정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어셈블리는,
    입구;
    출구;
    상기 입구를 상기 출구로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밸브 챔버; 및
    상기 밸브 챔버 내 바이패스 밸브의 위치에 기초하여 입구 및 밸브 챔버 사이에 유체를 향하게 하도록 상기 밸브 챔버를 상기 입구에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바이패스 흐름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밸브 챔버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1 위치는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2 위치는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구강 세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서의 출력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 압력 조절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 어셈블리는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되는,
    구강 세정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제1 위치를 향해 편향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유체 압력을 통해 제2 위치에 유지되는,
    구강 세정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핸들을 통한 유제 흐름을 제한하는,
    구강 세정기.
  8. 구강 세정기의 펌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펌프 어셈블리는,
    입구;
    출구;
    바이패스 흐름 회로; 및
    밸브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어셈블리는,
    상기 입구 및 출구 사이에 유체를 향하게 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해 유체를 향하게 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입구 밸브;
    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중공 로드 섹션 및 상기 중공 로드 섹션으로부터 환형으로 연장하는 레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공 로드 섹션은 상기 입구, 상기 출구, 및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 사이에 유체를 향하게 하도록 그것을 통해서 규정된 하나 이상의 보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를 규정하도록 제1 정지부에 대해 상기 레지를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단부 표면에 대한 그리고 상기 출구 내 유체 압력은 스프링을 극복하고 제2 정지부에 대해 상기 제2 위치 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구강 세정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근처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단부에 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 출구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상기 출구 밸브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와 함께 이동하는,
    펌프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는 제1 리드 밸브를 포함하거나,
    상기 출구 밸브는 제2 리드 밸브 또는 피핏 밸브를 포함하는,
    펌프 어셈블리.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근처 밸브 챔버의 제1 표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1 부분을 밀봉하는 제1 밀봉부;
    상기 출구 근처 상기 밸브 챔버의 제2 표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2 부분을 밀봉하는 제2 밀봉부;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들 사이에서 상기 밸브 챔버의 제3 표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제3 부분을 밀봉하는 제3 밀봉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이동은 상기 제3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밀봉부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상기 밸브 챔버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로 유체를 향하게 하는,
    구강 세정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밀봉부들 사이에서 사기 밸브 챔버와 유체 소통하는 제1 흐름 채널, 및 상기 입구와 유체 소통하는 제2 흐름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표면과 상기 제3 밀봉부의 맞물림은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의 상기 제1 및 제2 흐름 채널들을 통한 상기 입구 및 상기 밸브 챔버 사이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고,
    상기 제3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밀봉부의 맞물림 해제는 상기 바이패스 흐름 회로의 상기 제1 및 제2 흐름 채널들을 통한 상기 입구 및 상기 밸브 챔버 사이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구강 세정기.
  15. 핸들, 제1 및 제2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 및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입구 밸브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기를 통한 유체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핸들이 제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제1 위치 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핸들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제2 위치 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입구 밸브가 개방 및 폐쇄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재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핸들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해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핸들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바이패스 흐름 회로를 통해 유체를 흐르게 하는 단계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제2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바이패스 밸브 및 밸브 챔버 사이의 밀봉의 해제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는 스프링을 이용하여 제1 정지부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함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내에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하는 단계는 유체 압력을 이용하여 제2 정지부에 대해 상기 바이패스 밸브를 유지함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는 상기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핸들의 세정 모드이고,
    상기 제2 작동 모드는 상기 핸들을 통한 유체 흐름을 제한하는 핸들의 일시 정지 모드인,
    방법.
KR1020227046417A 2020-07-22 2021-07-08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 KR20230043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55117P 2020-07-22 2020-07-22
US63/055,117 2020-07-22
US202063126000P 2020-12-16 2020-12-16
US63/126,000 2020-12-16
PCT/US2021/040872 WO2022020100A1 (en) 2020-07-22 2021-07-08 Bypass flow assembly of an oral irrig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3077A true KR20230043077A (ko) 2023-03-30

Family

ID=77168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6417A KR20230043077A (ko) 2020-07-22 2021-07-08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023019A1 (ko)
JP (1) JP2023535188A (ko)
KR (1) KR20230043077A (ko)
CN (2) CN113967093B (ko)
WO (1) WO2022020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7324S1 (en) * 2018-05-17 2020-03-03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handle
USD913485S1 (en) * 2019-09-11 2021-03-16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JP2023535188A (ja) * 2020-07-22 2023-08-16 ウォーター ピ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口腔洗浄器のバイパス流れ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0813A (en) * 1969-04-15 1971-07-06 Sunbeam Corp Oral hygiene appliance
DE3801097A1 (de) * 1988-01-16 1989-07-27 Moser Gmbh Kuno Munddusche und verfahren zum ein- und ausschalten einer munddusche
US4951713A (en) * 1988-09-02 1990-08-28 Jordan Foster A Overflow check system having automatic start-up
AU627537B2 (en) * 1989-01-17 1992-08-27 Shop-Vac Corporation Pressure washer with spring-less outlet to inlet bypass
EP0633751B1 (de) * 1992-04-02 1996-06-12 Werner Trawöger Einrichtung an einer zahnärztlichen absauganlage
ATE266478T1 (de) * 2002-07-24 2004-05-15 Cattani Spa Zyklonabscheider für veränderliche durchflussraten
US7147468B2 (en) * 2002-12-31 2006-12-12 Water Pik, Inc. Hand held oral irrigator
US6988488B2 (en) * 2003-04-15 2006-01-24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uel pressure relief valve
US8317424B2 (en) * 2004-06-03 2012-11-27 The Gillette Company Oral care device
US20070203439A1 (en) * 2006-02-24 2007-08-30 Water Pik, Inc. Water jet unit and handle
US9642677B2 (en) * 2013-03-14 2017-05-09 Water Pik, Inc. Oral irrigator with massage mode
CN105828745B (zh) * 2013-11-27 2018-11-06 洁碧有限公司 具有滑动暂停开关的口腔冲洗器
CA3046973C (en) * 2016-12-15 2021-07-20 Water Pik, Inc. Pause valve and swivel assemblies for oral irrigator handle
JP2023535188A (ja) * 2020-07-22 2023-08-16 ウォーター ピ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口腔洗浄器のバイパス流れ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0100A1 (en) 2022-01-27
US20220023019A1 (en) 2022-01-27
CN215875040U (zh) 2022-02-22
CN113967093A (zh) 2022-01-25
CN113967093B (zh) 2023-08-11
JP2023535188A (ja)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3077A (ko) 구강 세정기의 바이패스 흐름 어셈블리
US4412823A (en) Oral cavity cleaner
US3420228A (en) Massaging and cleaning dental syringe
US11635149B2 (en) Flow control device
CN210422911U (zh) 一种微型电磁水泵
CN216823741U (zh) 冲牙器
JP2004073558A (ja) 口腔洗浄具
CN213156642U (zh) 脉冲水泵以及洗牙器
US3551931A (en) Hydraulic motor driven toothbrush
JP2022528645A (ja) 農業用植物保護機及びそのダイアフラムポンプ
CN210788332U (zh) 压力清洗机及其泵
JP5239549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CN210784778U (zh) 一种冲洗装置的管路结构
CN211587121U (zh) 一种残留水排出装置
US3484885A (en) Hydraulic motor driven toothbrush
CN217500438U (zh) 一种冲水阀及马桶
CN111169009B (zh) 一种可快速清洗的3d打印喷头
JP7390696B2 (ja) 充填バルブ
KR200233640Y1 (ko) 풋밸브 구동형 절수장치의 맥동방지용 패킹구조
CN216961770U (zh) 一体式牙刷
JP4214770B2 (ja) ピストン式定量充填装置
EP4025158B1 (en) Air vent assembly for a pump
JP4081221B2 (ja) 液圧パワーパッケージ
CN108163354B (zh) 一种倒置式挤压泡沫泵
CN212986220U (zh) 液体控制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