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2953A -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2953A
KR20230042953A KR1020210125842A KR20210125842A KR20230042953A KR 20230042953 A KR20230042953 A KR 20230042953A KR 1020210125842 A KR1020210125842 A KR 1020210125842A KR 20210125842 A KR20210125842 A KR 20210125842A KR 20230042953 A KR20230042953 A KR 20230042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utamic acid
microorganism
sequence
activity
poly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나라
봉현주
이아름
허정옥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210125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2953A/ko
Priority to CA3230528A priority patent/CA3230528A1/en
Priority to AU2022352442A priority patent/AU2022352442A1/en
Priority to CN202280064314.0A priority patent/CN117980486A/zh
Priority to PCT/KR2022/014177 priority patent/WO2023048480A1/en
Priority to TW111136036A priority patent/TW202330901A/zh
Priority to ARP220102563A priority patent/AR127131A1/es
Publication of KR20230042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Corynebacterium (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4Glutamic acid; Glut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4Glutamic acid; Glutamine
    • C12P13/18Glutamic acid; Glutamine using biotin or its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5Corynebacter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Strain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L-glutam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본 출원은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L-글루탐산(L-glutamic acid)은 발효에 의하여 생산되는 대표적인 아미노산으로, 특유의 독특한 맛을 지니고 있어 식품 분야에서는 물론 의약품 분야, 기타 동물 사료 분야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중요한 아미노산 중의 하나이다. L-글루탐산은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속, 대장균(Escherichia coli), 고초균(Bacillus), 방선균(Streptomyces), 페니실리움(Penicillum) 속, 크렙시엘라(Klebsiella), 어위니아(Erwinia), 또는 판토에아(Pantoea) 속 등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제3,220,929호, 미국 특허 제6,682,912호).
현재 L-글루탐산을 고효율로 생산하는 미생물 및 발효공정 기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서 아미노산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아미노산 생합성에 불필요한 유전자를 제거하는 것과 같은 목적 물질 특이적인 접근 방법이 L-글루탐산 생산 수율 향상을 위하여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단백질의 활성이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the genus of Corynebacterium)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본 발명의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글루탐산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본 발명의 미생물; 이를 배양한 배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L-글루탐산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본 발명의 단백질의 활성을 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통상의 실험만을 사용하여 본 출원에 기재된 본 출원의 특정 양태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지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등가물은 본 출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단백질의 활성이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the genus of Corynebacterium)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거나, 포함하거나, 이루어지거나, 상기 아미노산 서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질(essentially consisting of)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단백질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기재된 폴리펩티드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인 미국국립보건원 진뱅크(NIH GenBank)에서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은 상기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5.18%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99% 이상, 99.5% 이상, 99.7% 이상 또는 9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며 상기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에 상응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아미노산 서열이라면, 일부 서열이 결실, 변형, 치환, 보존적 치환 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도 본 출원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아미노산 서열 N-말단, C-말단 그리고/또는 내부에 본 출원의 단백질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 서열 추가 또는 결실,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돌연변이, 잠재성 돌연변이(silent mutation) 또는 보존적 치환을 가지는 경우이다.
상기 "보존적 치환(conservative substitution)"은 한 아미노산을 유사한 구조적 및/또는 화학적 성질을 갖는 또 다른 아미노산으로 치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아미노산 치환은 일반적으로 잔기의 극성, 전하, 용해도, 소수성, 친수성 및/또는 양친매성(amphipathic nature)에서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보존적 치환은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동성(homology)' 또는 '동일성(identity)'은 두 개의 주어진 아미노산 서열 또는 염기 서열 상호간 유사한 정도를 의미하며 백분율로 표시될 수 있다. 용어 상동성 및 동일성은 종종 상호교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보존된(conserved)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서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은 표준 배열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되는 프로그램에 의해 확립된 디폴트 갭 페널티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동성을 갖거나(homologous) 또는 동일한(identical) 서열은 일반적으로 서열 전체 또는 일부분과 중간 또는 높은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s)에서 하이브리드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화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일반 코돈 또는 코돈 축퇴성을 고려한 코돈을 함유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의 하이브리드화 역시 포함됨이 자명하다.
임의의 두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서열이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지 여부는, 예를 들어, Pearson et al (1988)[Proc. Natl. Acad. Sci. USA 85]: 2444에서와 같은 디폴트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FASTA" 프로그램과 같은 공지의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는, EMBOSS 패키지의 니들만 프로그램(EMBOSS: The European Molecular Biology Open Software Suite, Rice et al., 2000, Trends Genet. 16: 276-277)(버전 5.0.0 또는 이후 버전)에서 수행되는 바와 같은, 니들만-운치(Needleman-Wunsch) 알고리즘(Needleman and Wunsch, 1970, J. Mol. Biol. 48: 443-453)이 사용되어 결정될 수 있다(GCG 프로그램 패키지 (Devereux, J., et al, Nucleic Acids Research 12: 387 (1984)), BLASTP, BLASTN, FASTA (Atschul, [S.] [F.,] [ET AL, J MOLEC BIOL 215]: 403 (1990); Guide to Huge Computers, Martin J. Bishop, [ED.,] Academic Press, San Diego,1994, 및 [CARILLO ETA/.](1988) SIAM J Applied Math 48: 107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국립 생물공학 정보 데이터베이스 센터의 BLAST, 또는 ClustalW를 이용하여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을 결정할 수 있다.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상동성, 유사성 또는 동일성은, 예를 들어, Smith and Waterman, Adv. Appl. Math (1981) 2:482 에 공지된 대로, 예를 들면, Needleman et al. (1970), J Mol Biol. 48:443과 같은 GAP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열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요약하면, GAP 프로그램은 두 서열 중 더 짧은 것에서의 기호의 전체 수로, 유사한 배열된 기호(즉, 뉴클레오티드 또는 아미노산)의 수를 나눈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GAP 프로그램을 위한 디폴트 파라미터는 (1) 이진법 비교 매트릭스(동일성을 위해 1 그리고 비-동일성을 위해 0의 값을 함유함) 및 Schwartz and Dayhoff, eds., Atlas Of Protein Sequence And Structure, National Biomedical Research Foundation, pp. 353-358 (1979)에 의해 개시된 대로, Gribskov et al(1986) Nucl. Acids Res. 14: 6745의 가중된 비교 매트릭스(또는 EDNAFULL (NCBI NUC4.4의 EMBOSS 버전) 치환 매트릭스); (2) 각 갭을 위한 3.0의 페널티 및 각 갭에서 각 기호를 위한 추가의 0.10 페널티(또는 갭 개방 패널티 10, 갭 연장 패널티 0.5); 및 (3) 말단 갭을 위한 무 페널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로, 본 출원의 단백질은 미생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구체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로부터 유래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데세르티(Corynebacterium deserti), 코리네박테리움 크레나툼(Corynebacterium crenatum), 코리네박테리움 이피시엔스(Corynebacterium efficiens), 코리네박테리움 수라나리애(Corynebacterium suranareeae) 등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미생물에서 불활성화 되는 단백질은 서열번호 1로 표시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서열은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미생물에서 불활성화 되는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70% 이상의 동일성을 가지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유래의 단백질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1과 95% 이상의 동일성을 가지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의 단백질일 수 있다. 그 예로, NCBI Accession No. WP_060565206.1, QWQ85246.1, WP_065367112.1, WP_038585884.1, WP_040072989.1, WP_011265991.1, WP_074492394.1, ARV66101.1, WP_003853812.1, WP_006285921.1, WP_003862956.1, WP_044027349.1, BAF55605.1, WP_179205783.1, WP_172769145.1, WP_211439424.1, WP_179111498.1, WP_059289862.1, WP_185969420.1, WP_173673681.1, QDQ21801.1 등의 단백질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출원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된 아미노산 서열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유래 FOL53_14395, B7P23_15040, KaCgl_12360, B5C28_13285, cgR_2591, BBD29_13140 등의 유전자명(locus tag)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일 수 있고, 그 예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유래 BBD29_1314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BBD29_13140은 서열번호 2로 기재된 염기서열을 가지거나, 포함하거나, 이루어지거나, 상기 염기서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뉴클레오티드 단위체(monomer)가 공유결합에 의해 길게 사슬모양으로 이어진 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polymer)로 일정한 길이 이상의 DNA 또는 RNA 가닥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코돈의 축퇴성(degeneracy) 또는 본 출원의 단백질을 발현시키고자 하는 생물에서 선호되는 코돈을 고려하여,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코딩 영역에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서열번호 2의 서열과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70% 이상, 75% 이상, 76%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인 염기서열을 가지거나 포함하거나, 또는 서열번호 2의 서열과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70% 이상, 75% 이상, 76% 이상, 80%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인 염기서열로 이루어지거나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공지의 유전자 서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프로브, 예를 들면,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상보 서열과 엄격한 조건 하에 하이드리드화할 수 있는 서열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엄격한 조건(stringent condition)"이란 폴리뉴클레오티드 간의 특이적 혼성화를 가능하게 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은 문헌(J. Sambrook et al.,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ew York, 1989; F.M. Ausubel et al.,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9.50-9.51, 11.7-11.8 참조)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높은 폴리뉴클레오티드끼리, 70% 이상, 75% 이상, 76% 이상, 85% 이상, 90% 이상, 95% 이상,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의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갖는 폴리뉴클레오티드끼리 하이브리드화하고, 그보다 상동성 또는 동일성이 낮은 폴리뉴클레오티드끼리 하이브리드화하지 않는 조건, 또는 통상의 써던 하이브리드화(southern hybridization)의 세척 조건인 60℃, 1ХSSC, 0.1% SDS, 구체적으로 60℃, 0.1ХSSC, 0.1% SDS, 보다 구체적으로 68℃, 0.1ХSSC, 0.1% SDS에 상당하는 염 농도 및 온도에서, 1회, 구체적으로 2회 내지 3회 세정하는 조건을 열거할 수 있다.
혼성화는 비록 혼성화의 엄격도에 따라 염기 간의 미스매치(mismatch)가 가능할지라도, 두 개의 핵산이 상보적 서열을 가질 것을 요구한다. 용어, "상보적"은 서로 혼성화가 가능한 뉴클레오티드 염기 간의 관계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DNA에 관하여, 아데닌은 티민에 상보적이며 시토신은 구아닌에 상보적이다. 따라서,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또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핵산 서열뿐만 아니라 전체 서열에 상보적인 단리된 핵산 단편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상동성 또는 동일성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는 55℃의 Tm 값에서 혼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혼성화 조건을 사용하고 상술한 조건을 사용하여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m 값은 60℃, 63℃ 또는 6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 목적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혼성화하는 적절한 엄격도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길이 및 상보성 정도에 의존하고 변수는 해당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예컨대, J. Sambrook et al., 상동).
본 출원에서 용어, "미생물(또는, 균주)"은 야생형 미생물이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유전적 변형이 일어난 미생물을 모두 포함하며, 외부 유전자가 삽입되거나 내재적 유전자의 활성이 강화되거나 불활성화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서 특정 기작이 약화되거나 강화된 미생물로서, 목적하는 폴리펩티드, 단백질 또는 산물의 생산을 위하여 유전적 변형(modification)을 포함하는 미생물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폴리펩티드의 활성의 "약화"는 내재적 활성에 비하여 활성이 감소되는 개념이며, 상기 약화는 하향조절(down-regulation), 감소(decrease), 저하(reduce), 감쇠(attenuation)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서 단백질 활성의 약화는 단백질의 활성이 있지만, 완전히 결손되어 불활성화되지는 않은 상태로, 야생형 또는 모균주에 비해 낮은 활성을 나타내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약화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변이 등으로 폴리펩티드 자체의 활성이 본래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에 비해 감소된 경우,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유전자의 발현 저해 또는 폴리펩티드로의 번역(translation) 저해 등으로 세포 내에서 전체적인 폴리펩티드 활성 정도 및/또는 농도(발현량)가 천연형 균주에 비하여 낮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재적 활성"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한 유전적 변이로 형질이 변화하는 경우, 형질 변화 전 모균주, 야생형 또는 비변형 미생물이 본래 가지고 있던 특정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의미한다. 이는 "변형 전 활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하여 "약화, 감소, 하향조절, 저하, 감쇠"한다는 것은, 형질 변화 전 모균주 또는 비변형 미생물이 본래 가지고 있던 특정 폴리펩티드의 활성에 비하여 낮아진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폴리펩티드의 활성의 약화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의 적용으로 달성될 수 있다(예컨대, Nakashima N et al., Bacterial cellular engineering by genome editing and gene silencing. Int J Mol Sci. 2014;15(2):2773-2793,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2012 등).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폴리펩티드의 활성의 약화는
1)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일부의 결손;
2)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도록 발현조절영역(또는 발현조절서열)의 변형;
3)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의 변형(예컨대, 아미노산 서열 상의 1 이상의 아미노산의 삭제/치환/부가);
4)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서열의 변형(예를 들어,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변형된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핵산염기 서열 상의 1 이상의 핵산염기의 삭제/치환/부가);
5)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전사체의 개시코돈, 샤인-달가노(Shine-Dalgarno) 서열 또는 5'-UTR 지역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의 변형;
6)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상기 유전자의 전사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예컨대, 안티센스 RNA)의 도입;
7) 리보솜(ribosome)의 부착이 불가능한 2차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샤인-달가노(Shine-Dalgarno) 서열 앞단에 샤인-달가노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의 부가;
8)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서열의 ORF(open reading frame)의 3' 말단에 반대 방향으로 전사되는 프로모터의 부가(Reverse transcription engineering, RTE); 또는
9) 상기 1) 내지 8) 중 선택된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1)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상기 유전자 일부의 결손은, 염색체 내 내재적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에서 일부 뉴클레오티드가 결실된 폴리뉴클레오티드로의 교체 또는 마커 유전자로 교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 발현조절영역(또는 발현조절서열)의 변형은, 결실, 삽입, 비보존적 또는 보존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발현조절영역(또는 발현조절서열) 상의 변이 발생, 또는 더욱 약한 활성을 갖는 서열로의 교체일 수 있다. 상기 발현조절영역에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서열, 리보좀 결합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와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3) 및 4)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형은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실, 삽입, 비보존적 또는 보존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서열상의 변이 발생, 또는 더욱 약한 활성을 갖도록 개량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활성이 없도록 개량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로의 교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내 변이를 도입하여 종결 코돈을 형성시킴으로써, 유전자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약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5)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전사체의 개시코돈 또는 5'-UTR 지역을 코딩하는 염기서열 변형은, 예를 들면, 내재적 개시코돈에 비해 폴리펩티드 발현율이 더 낮은 다른 개시코돈을 코딩하는 염기서열로 치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6)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상기 유전자의 전사체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예컨대, 안티센스 RNA)의 도입은 예를 들어 문헌 [Weintraub, H. et al., Antisense-RNA as a molecular tool for genetic analysis, Reviews - Trends in Genetics, Vol. 1(1) 1986]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7) 리보솜(ribosome)의 부착이 불가능한 2차 구조물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샤인-달가노(Shine-Dalgarno) 서열 앞단에 샤인-달가노 서열과 상보적인 서열의 부가는 mRNA 번역을 불가능하게 하거나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8)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서열의 ORF(open reading frame)의 3' 말단에 반대 방향으로 전사되는 프로모터의 부가(Reverse transcription engineering, RTE)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전사체에 상보적인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를 만들어 활성을 약화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폴리펩티드 활성의 "강화"는,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하여 증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강화는 활성화(activation), 상향조절(up-regulation), 과발현(overexpression), 증가(increase)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강화, 상향조절, 과발현, 증가는 본래 가지고 있지 않았던 활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 또는 내재적 활성 또는 변형 전 활성에 비하여 향상된 활성을 나타내게 되는 것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재적 활성"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한 유전적 변이로 형질이 변화하는 경우, 형질 변화 전 모균주 또는 비변형 미생물이 본래 가지고 있던 특정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의미한다. 이는 "변형 전 활성"과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하여 "강화", "상향조절", "과발현" 또는 "증가"한다는 것은, 형질 변화 전 모균주 또는 비변형 미생물이 본래 가지고 있던 특정 폴리펩티드의 활성 및/또는 농도(발현량)에 비하여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강화는 외래의 폴리펩티드를 도입하거나, 내재적인 폴리펩티드의 활성 강화 및/또는 농도(발현량)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펩티드의 활성의 강화 여부는 해당 폴리펩티드의 활성 정도, 발현량 또는 해당 폴리펩티드로부터 배출되는 산물의 양의 증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폴리펩티드의 활성의 강화는 당해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의 적용이 가능하며, 목적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변형전 미생물보다 강화시킬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분자생물학의 일상적 방법인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유전자 공학 및/또는 단백질 공학을 이용한 것일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예컨대, Sitnicka et al. Functional Analysis of Genes. Advances in Cell Biology. 2010, Vol. 2. 1-16,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2012 등).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폴리펩티드 활성의 강화는
1)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세포 내 카피수 증가;
2)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염색체상의 유전자 발현조절영역을 활성이 강력한 서열로 교체;
3)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전사체의 개시코돈 또는 5'-UTR 지역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의 변형;
4) 폴리펩티드 활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의 변형;
5) 폴리펩티드 활성이 강화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형(예를 들어, 폴리펩티드의 활성이 강화되도록 변형된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형);
6)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나타내는 외래 폴리펩티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외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도입;
7)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코돈 최적화;
8) 폴리펩티드의 삼차구조를 분석하여 노출 부위를 선택하여 변형하거나 화학적으로 수식; 또는
9) 상기 1) 내지 8) 중 선택된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세포 내 카피수 증가는, 해당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숙주와 무관하게 복제되고 기능할 수 있는 벡터의 숙주세포 내로의 도입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해당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세포 내의 염색체 내에 1 카피 또는 2 카피 이상 도입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색체 내에 도입은 숙주세포 내의 염색체 내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삽입시킬 수 있는 벡터가 숙주세포 내에 도입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2)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염색체상의 유전자 발현조절영역(또는 발현조절서열)을 활성이 강력한 서열로 교체는, 예를 들면, 상기 발현조절영역의 활성을 더욱 강화하도록 결실, 삽입, 비보존적 또는 보존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서열상의 변이 발생, 또는 더욱 강한 활성을 가지는 서열로의 교체일 수 있다. 상기 발현조절영역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서열, 리보좀 결합 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그리고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본래의 프로모터를 강력한 프로모터로 교체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지된 강력한 프로모터의 예에는 CJ1 내지 CJ7 프로모터(미국등록특허 US 7662943 B2), lac 프로모터, trp 프로모터, trc 프로모터, tac 프로모터, 람다 파아지 PR 프로모터, PL 프로모터, tet 프로모터, gapA 프로모터, SPL7 프로모터, SPL13(sm3) 프로모터(미국등록특허 US 10584338 B2), O2 프로모터(미국등록특허 US 10273491 B2), tkt 프로모터, yccA 프로모터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3)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유전자 전사체의 개시코돈 또는 5'-UTR 지역을 코딩하는 염기서열 변형은, 예를 들면, 내재적 개시코돈에 비해 폴리펩티드 발현율이 더 높은 다른 개시코돈을 코딩하는 염기 서열로 치환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4) 및 5)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형은,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강화하도록 상기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또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을 결실, 삽입, 비보존적 또는 보존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서열상의 변이 발생, 또는 더욱 강한 활성을 갖도록 개량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활성이 증가하도록 개량된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로의 교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교체는 구체적으로 상동 재조합에 의하여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염색체내로 삽입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되는 벡터는 염색체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별 마커(selection mark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6) 폴리펩티드의 활성을 나타내는 외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도입은, 상기 폴리펩티드와 동일/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외래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숙주세포 내 도입일 수 있다. 상기 외래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상기 폴리펩티드와 동일/유사한 활성을 나타내는 한 그 유래나 서열에 제한이 없다. 상기 도입에 이용되는 방법은 공지된 형질전환 방법을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숙주 세포 내에서 상기 도입된 폴리뉴클레오티드가 발현됨으로써 폴리펩티드가 생성되어 그 활성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7) 폴리펩티드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코돈 최적화는, 내재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세포 내에서 전사 또는 번역이 증가하도록 코돈 최적화한 것이거나, 또는 외래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숙주세포 내에서 최적화된 전사, 번역이 이루어지도록 이의 코돈을 최적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8) 폴리펩티드의 삼차구조를 분석하여 노출 부위를 선택하여 변형하거나 화학적으로 수식하는 것은, 예를 들어 분석하고자 하는 폴리펩티드의 서열정보를 기지 단백질들의 서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함으로써 서열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주형 단백질 후보를 결정하고 이를 토대로 구조를 확인하여, 변형하거나 화학적으로 수식할 노출 부위를 선택하여 변형 또는 수식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펩티드 활성의 강화는, 상응하는 폴리펩티드의 활성 또는 농도 발현량이 야생형이나 변형 전 미생물에서 발현된 폴리펩티드의 활성 또는 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증가되거나, 해당 폴리펩티드로부터 생산되는 산물의 양이 증가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미생물에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일부 또는 전체의 변형은 (a) 미생물 내 염색체 삽입용 벡터를 이용한 상동 재조합 또는 유전자가위(engineered nuclease, e.g., CRISPR-Cas9)을 이용한 유전체 교정 및/또는 (b) 자외선 및 방사선 등과 같은 빛 및/또는 화학물질 처리에 의해 유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전자 일부 또는 전체의 변형 방법에는 DNA 재조합 기술에 의한 방법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 유전자와 상동성이 있는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벡터를 상기 미생물에 주입하여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이 일어나게 함으로써 유전자 일부 또는 전체의 결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주입되는 뉴클레오티드 서열 또는 벡터는 우성 선별 마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벡터는 적합한 숙주 내에서 목적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킬 수 있도록 적합한 발현조절영역(또는 발현조절서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DNA 제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현조절영역은 전사를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 그러한 전사를 조절하기 위한 임의의 오퍼레이터 서열, 적합한 mRNA 리보좀 결합부위를 코딩하는 서열, 및 전사 및 해독의 종결을 조절하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벡터는 적당한 숙주세포 내로 형질전환된 후, 숙주 게놈과 무관하게 복제되거나 기능할 수 있으며, 게놈 그 자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벡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벡터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벡터의 예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MBL3, MBL4, IXII, ASHII, APII, t10, 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DZ계,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DZ, pDC, pDCM2, pACYC177, pACYC184, pCL, pECCG117, pUC19, pBR322, pMW118, pCC1BAC 벡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세포 내 염색체 삽입용 벡터를 통해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염색체 내로 삽입할 수 있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염색체 내로의 삽입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상동 재조합(homologous recombinat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염색체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선별 마커(selection marker)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별 마커는 벡터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 즉 목적 핵산 분자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약물 내성, 영양 요구성, 세포 독성제에 대한 내성 또는 표면 폴리펩티드의 발현과 같은 선택가능 표현형을 부여하는 마커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제(selective agent)가 처리된 환경에서는 선별 마커를 발현하는 세포만 생존하거나 다른 표현 형질을 나타내므로, 형질전환된 세포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숙주세포 혹은 미생물 내에 도입하여 숙주세포 내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코딩하는 폴리펩티드가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형질전환된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기만 한다면, 숙주세포의 염색체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거나 염색체 외에 위치하거나 상관없이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DNA 및/또는 RNA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숙주세포 내로 도입되어 발현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자체적으로 발현되는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구조체인 발현 카세트(expression cassette)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통상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프로모터(promoter), 전사 종결신호, 리보좀 결합부위 및 번역 종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현 카세트는 자체 복제가 가능한 발현 벡터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그 자체의 형태로 숙주세포에 도입되어 숙주세포에서 발현에 필요한 서열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란 본 출원의 목적 폴리펩티드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전사를 개시 및 매개하도록 하는 프로모터 서열과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미생물은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된 미생물; 또는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벡터를 통해 유전적으로 변형된 미생물(예컨대, 재조합 미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벡터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미생물은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가진 미생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미생물은 자연적으로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가지고 있는 미생물 또는 L-글루탐산 생산능이 없는 모균주에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되어 L-글루탐산 생산능이 부여된 미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본 출원의 재조합 미생물은,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벡터를 통해 형질전환되어,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된 미생물로서,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되어 L-글루탐산을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목적상, 본 출원의 재조합 미생물은 천연의 야생형 미생물 또는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여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에 상기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되어, 상기 천연의 야생형 미생물 또는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여 L-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미생물에 비해 L-글루탐산 생산능이 증가된 미생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예로, 상기 L-글루탐산 생산능의 증가 여부를 비교하는 대상 균주인, 본 출원의 단백질의 활성이 약화되지 않은, 비변형 미생물은 L-글루탐산 생산 균주로 알려진 odhA 유전자가 결손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균주, L-글루탐산 생산 NTG 변이 균주로 알려진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BL2 균주(KFCC11074, 한국 등록특허 제10-0292299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상기 생산능이 증가된 재조합 균주는 변이 전 모균주 또는 비변형 미생물의 L-글루탐산 생산능에 비하여 약 0.3% 이상, 구체적으로는 약 0.5% 이상, 약 1% 이상, 약 2% 이상, 약 3% 이상, 약 4% 이상, 약 5% 이상, 약 6% 이상, 약 7% 이상, 약 8% 이상, 약 9% 이상, 약 10% 이상, 약 10.7% 이상, 약 11% 이상, 약 12% 이상, 약 12.3% 이상, 약 13% 이상, 약 14% 이상, 약 14.4% 이상, 약 15% 이상, 약 15.1% 이상, 약 16% 이상 또는 약 16.9% 이상 (상한값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약 200% 이하, 약 150% 이하, 약 100% 이하, 약 50% 이하, 약 40% 이하, 약 30% 이하 또는 약 20% 이하일 수 있음)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변이 전 모균주 또는 비변형 미생물의 생산능에 비해 +값의 증가량을 갖는 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에서, 상기 생산능이 증가된 미생물은 변이 전 모균주 또는 비변형 미생물에 비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이 약 1.005배 이상, 약 1.01배 이상, 약 1.02배 이상, 약 1.03배 이상, 약 1.04배 이상, 약 1.05배 이상, 약 1.06배 이상, 약 1.07배 이상, 약 1.08배 이상, 약 1.09배 이상, 약 1.10배 이상, 약 1.107배 이상, 약 1.11배 이상, 약 1.12배 이상, 약 1.123배 이상, 약 1.13배 이상, 약 1.14배 이상, 약 1.144배 이상, 약 1.15배 이상, 약 1.151배 이상, 약 1.16배 이상 또는 약 1.169배 이상 (상한값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약 10배 이하, 약 5배 이하, 약 3배 이하, 또는 약 2배 이하일 수 있음)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용어, "비변형 미생물"은 미생물에 자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균주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며, 야생형 균주 또는 천연형 균주 자체이거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 요인에 의한 유전적 변이로 형질이 변화되기 전 균주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변형 미생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출원의 단백질의 활성이 약화되지 않거나 약화되기 전의 균주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비변형 미생물"은 "변형 전 균주", "변형 전 미생물", "비변이 균주", "비변형 균주", "비변이 미생물" 또는 "기준 미생물"과 혼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일 예로, 본 출원의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스테이셔니스(Corynebacterium stationis), 코리네박테리움 크루디락티스(Corynebacterium crudilactis), 코리네박테리움 데세르티(Corynebacterium deserti), 코리네박테리움 이피시엔스(Corynebacterium efficiens), 코리네박테리움 칼루내(Corynebacterium callunae), 코리네박테리움 싱굴라레(Corynebacterium singulare), 코리네박테리움 할로톨레란스(Corynebacterium halotolerans), 코리네박테리움 스트리아툼(Corynebacterium striatum), 코리네박테리움 암모니아게네스(Corynebacterium ammoniagenes), 코리네박테리움 폴루티솔리(Corynebacterium pollutisoli), 코리네박테리움 이미탄스(Corynebacterium imitans), 코리네박테리움 테스투디노리스(Corynebacterium testudinoris)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플라베스센스(Corynebacterium flavescens)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하나의 예로, 본 출원의 재조합 미생물은, L-글루탐산 생합성 경로 내 단백질 일부의 활성이 추가적으로 강화되거나, L-글루탐산 분해 경로 내 단백질 일부의 활성이 추가적으로 불활성화되어 L-글루탐산 생산능이 강화된 미생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미생물은 OdhA 단백질이 추가로 불활성화되거나, odhA 유전자가 추가로 결손된 미생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에서 OdhA 단백질이 불활성화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에서 odhA 유전자가 결손된 미생물일 수 있다. 상기 "OdhA 단백질"은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인 NCBI의 GenBank에서 그 서열을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NCBI Sequence ID WP_06056434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odhA 유전자는 NCBI GenBank BBD29_06050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OdhA 단백질 불활성화 또는 odhA 유전자 결손은 한 가지 예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출원의 미생물은 다양한 공지의 L-글루탐산 생합성 경로의 단백질 활성이 강화되거나 분해 경로의 단백질 활성이 불활성화 또는 약화된 미생물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글루탐산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L-글루탐산 생산방법은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된 미생물; 또는 본 출원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의 활성이 약화되도록 벡터를 통해 유전적으로 변형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배양"은 본 출원의 미생물을 적당히 조절된 환경 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배양과정은 당업계에 알려진 적당한 배지와 배양조건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양 과정은 선택되는 미생물에 따라 당업자가 용이하게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양은 회분식, 연속식 및/또는 유가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용어, "배지"는 본 출원의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혼합한 물질을 의미하며, 생존 및 발육에 불가결한 물을 비롯하여 영양물질 및 발육인자 등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 및 기타 배양 조건은 통상의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의 미생물을 적당한 탄소원, 질소원, 인원, 무기화합물, 아미노산 및/또는 비타민 등을 함유한 통상의 배지 내에서 호기성 조건 하에서 온도, pH 등을 조절하면서 배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에 대한 배양 배지는 문헌["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by the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사카로오스, 락토오스, 프룩토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등과 같은 탄수화물; 만니톨, 소르비톨 등과 같은 당 알코올, 피루브산, 락트산, 시트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 글루탐산, 메티오닌, 리신 등과 같은 아미노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분 가수분해물, 당밀, 블랙스트랩 당밀, 쌀겨울, 카사버, 사탕수수 찌꺼기 및 옥수수 침지액 같은 천연의 유기 영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오스 및 살균된 전처리 당밀(즉, 환원당으로 전환된 당밀) 등과 같은 탄수화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의 적정량의 탄소원을 제한 없이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초산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안모늄, 질산암모늄 등과 같은 무기질소원; 글루탐산, 메티오닌, 글루타민 등과 같은 아미노산,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카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생성물, 탈지 대두 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 생성물 등과 같은 유기 질소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질소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원으로는 인산 제1칼륨, 인산 제2칼륨, 또는 이에 대응되는 소디움-함유 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무기화합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철, 황산마그네슘, 황산철, 황산망간, 탄산칼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외에 아미노산, 비타민 및/또는 적절한 전구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구성성분 또는 전구체는 배지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미생물의 배양 중에 수산화암모늄,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인산, 황산 등과 같은 화합물을 배지에 적절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배지의 pH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배양 중에는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지의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배지 내로 산소 또는 산소 함유 기체를 주입하거나 혐기 및 미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기체의 주입 없이 혹은 질소, 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주입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배양에서 배양온도는 20 내지 45℃,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40℃를 유지할 수 있고, 약 10 내지 160 시간 동안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배양에 의하여 생산된 L-글루탐산은 배지 중으로 분비되거나 세포 내에 잔류할 수 있다.
본 출원의 L-글루탐산 생산방법은, 본 출원의 미생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또는 이들의 조합(순서에 무관, in any order)을, 예를 들어, 상기 배양하는 단계 이전에,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L-글루탐산 생산방법은, 상기 배양에 따른 배지(배양이 수행된 배지) 또는 배양된 미생물로부터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수하는 단계는 상기 배양하는 단계 이후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수는 본 출원의 미생물의 배양 방법, 예를 들어 회분식, 연속식 또는 유가식 배양 방법 등에 따라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L-글루탐산을 수집(collect)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심분리, 여과, 결정화 단백질 침전제에 의한 처리(염석법), 추출, 초음파 파쇄, 한외여과, 투석법, 분자체 크로마토그래피(겔여과), 흡착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각종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는 이들의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당해 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배지 또는 미생물로부터 목적하는 L-글루탐산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L-글루탐산 생산방법은, 추가적으로 정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적합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본 출원의 L-글루탐산 생산방법이 회수 단계와 정제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수 단계와 정제 단계는 순서에 상관없이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수행되거나, 동시에 또는 하나의 단계로 통합되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방법에서, 단백질, 폴리뉴클레오티드, 벡터 및 미생물 등은 상기 다른 양태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단백질의 활성이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이를 배양한 배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L-글루탐산 생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조성물은 L-글루탐산 생산용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적합한 부형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형제는, 예를 들어 보존제, 습윤제, 분산제, 현탁화제, 완충제, 안정화제 또는 등장화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단백질의 활성을 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본 출원의 단백질의 활성이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L-글루탐산 생산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단백질, 약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등은 상기 다른 양태에서 기재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단백질의 활성을 약화시킨 L-글루탐산 생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고수율로 L-글루탐산을 생산할 수 있어 L-글루탐산의 산업적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불과한 것이며 따라서,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기술적인 사항들은 본 출원의 기술 분야 또는 유사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이면 충분히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BBD29_13140 유전자의 개시코돈 변경을 위한 재조합 벡터 제작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의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 유전자(서열번호 2)의 개시코돈을 ATG에서 각각 GTG, TTG로 변경하였을 때 L-글루탐산의 생산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시코돈 변경 벡터를 제작하기 위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유전자 단편을 PCR 수행을 통해 수득하였다. 중합효소는 SolgTM Pfu-X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은 95℃에서 5분간 변성 후, 95℃ 30초 변성, 55℃ 30초 어닐링, 72℃ 6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간 중합반응하여 수행하였다.
증폭된 유전자 단편과 SmaI 제한효소로 절단된 염색체 형질전환용 벡터 pDCM2(대한민국 공개번호 제 10-2020-0136813호)는 깁슨 어셈블리(DG Gibson et al., NATURE METHODS, VOL.6 NO.5, MAY 2009, NEBuilder HiFi DNA Assembly Master Mix) 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닝함으로써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였으며, pDCM2-BBD29_13140(a1g) 벡터로 명명하였다. 클로닝은 깁슨 어셈블리 시약과 각 유전자 단편들을 계산된 몰수로 혼합 후 50℃에 1시간 보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7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유전자 단편을 PCR 수행을 통해 수득하였다. 중합효소는 SolgTM Pfu-X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은 95℃에서 5분간 변성 후, 95℃ 30초 변성, 55℃ 30초 어닐링, 72℃ 6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간 중합반응하여 수행하였다.
증폭된 유전자 단편과 SmaI 제한효소로 절단된 염색체 형질전환용 벡터 pDCM2는 깁슨 어셈블리 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닝함으로써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였으며, pDCM2-BBD29_13140(a1t) 벡터로 명명하였다. 클로닝은 깁슨 어셈블리 시약과 각 유전자 단편들을 계산된 몰수로 혼합 후 50℃에 1시간 보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pDCM2-BBD29_13140(a1g) 벡터와 pDCM2-BBD29_13140(a1t) 벡터를 하기 실시예에서 균주에 도입하였다.
실시예 2. BBD29_13140 유전자의 개시코돈을 변경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제작
실시예 2-1.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제작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유래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를 제작하기 위해 선행문헌(Appl Environ Microbiol. 2007 Feb;73(4):1308-19. Epub 2006 Dec 8.)을 바탕으로 odhA 유전자를 결손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odhA 균주를 제작하였다. OdhA 단백질은 공지의 데이터 베이스인 NCBI의 GenBank에서 그 서열(GenBank Accession No. WP_060564343.1)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odhA 결손을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9 및 서열번호 10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1 및 서열번호 12의 프라이머 쌍을 각각 이용하여 odhA 유전자의 업스트림(Upstream) 지역과 다운스트림(Downstream) 지역을 PCR 수행을 통해 수득하였다. 중합효소는 SolgTM Pfu-X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 조건은 95℃에서 5분간 변성 후, 95℃에서 30초 변성, 58℃에서 30초 어닐링, 72℃ 6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간 중합반응을 수행하였다.
증폭된 odhA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 지역, 그리고 SmaI 제한효소로 절단된 염색체 형질전환용 플라스미드벡터 pDCM2를 깁슨 어셈블리 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닝함으로써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였으며, pDCM2-△odhA로 명명하였다. 클로닝은 깁슨 어셈블리 시약과 각 유전자 단편들을 계산된 몰수로 혼합 후 50℃에 1시간 보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제작된 pDCM2-△odhA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균주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 후,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에서 odhA 유전자가 결손된 균주를 수득하였다. odhA 유전자 결손 여부는 서열번호 13 및 서열번호 14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 과 게놈 시퀀싱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제작된 균주를 ATCC13869△odhA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2. BBD29_13140 유전자가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유래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갖는 균주 제작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odhA 균주를 대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작된 pDCM2-BBD29_13140(a1g) 벡터와 pDCM2-BBD29_13140(a1t) 벡터를 도입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두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odhA 균주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한 후,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 유전자의 개시코돈이 ATG에서 각각 GTG, TTG로 변경된 균주를 확보하였다.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 법과 게놈 시퀀싱을 통해 해당 유전적 조작을 확인하였으며, 제작된 균주를 각각ATCC13869△odhA-BBD29_13140(a1g), ATCC13869△odhA-BBD29_13140(a1t)로 명명하였다.
상기에서 제작된 ATCC13869△odhA-BBD29_13140(a1g), ATCC13869△odhA-BBD29_13140(a1t) 균주와 ATCC13869△odhA 균주를 대조군으로 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확인하고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하기의 종배지로 이루어진 평판배지에 상기 균주들을 접종하여 30℃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하기의 생산배지 25㎖을 함유하는 250㎖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균주를 1백금이 접종하고, 30℃에서 40시간 동안, 200rpm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종배지>
포도당 1%, 육즙 0.5%, 폴리펩톤 1%, 염화나트륨 0.25%, 효모엑기스 0.5%, 한천 2%, 유레아 0.2%, pH 7.2
<생산배지>
원당 6%, 탄산칼슘 5%, 황산암모늄 2.25%, 일인산칼륨 0.1%, 황산마그네슘 0.04%, 황산철 10 mg/L, 티아민 염산염 0.2 mg/L, 비오틴 50㎍/L
배양 종료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L-글루탐산 농도(g/L) L-글루탐산 농도 증가율(%)
ATCC13869△odhA 1.99 -
ATCC13869△odhA-BBD29_13140(a1g) 2.13 107.0%
ATCC13869△odhA-BBD29_13140(a1t) 2.29 115.1%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야생형 유래 ATCC13869△odhA 균주에 비하여 BBD29_13140 유전자의 개시코돈이 ATG에서 GTG 또는 TTG로 약화된 균주 ATCC13869△odhA-BBD29_13140(a1g), ATCC13869△odhA-BBD29_13140(a1t)에서 L-글루탐산의 농도가 약 7%, 15.1%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BBD29_13140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Ribosome binding site, RBS)을 변경한 재조합 벡터 제작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의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유전자를 약화시키기 위해 상기 유전자의 상단 35개의 염기쌍(base pair)과, 오픈리딩프레임(open reading frame, ORF)의 N-말단으로부터 35개의 염기쌍을 포함하는 염기서열로부터 샤인-달가노 서열(Shine-Dalgano, SD)을 예측하였다.
상기의 염기서열을 토대로 하여, RBS Calculator(github)를 통해 RBS1, RBS2, RBS3, RBS4의 총 4종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 후보군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상기 4종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 후보군은 기존 라이보좀 결합 서열에 비해 각각 발현이 20% 감소, 60% 감소, 80% 감소, 90% 감소로 예측되는 서열이다.
예측된 라이보좀 결합 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서열번호 명칭 샤인-달가노 서열 예측 발현양 발현 정도 (%)
34 original SD CTAGATTGG 100%
35 RBS1 CAAGGCCGG 80%
36 RBS2 CGTGACAGG 40%
37 RBS3 CTTCGCTGG 20%
38 RBS4 GTCGATTTC 10%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의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을 변경하여 유전자를 약화시켰을 때 L-글루탐산의 생산능이 향상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앞서 예측한 라이보좀 결합 서열 4가지 각각에 대한 라이보좀 결합 서열 변경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18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9 및 서열번호20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21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2 및 서열번호20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23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4 및 서열번호20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17 및 서열번호 25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26 및 서열번호20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유전자 단편을 PCR 수행을 통해 각각 수득하였다. 중합효소는 SolgTM Pfu-X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은 95℃에서 5분간 변성 후, 95℃ 30초 변성, 55℃ 30초 어닐링, 72℃ 6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간 중합반응하여 수행하였다.
증폭된 유전자 단편과 SmaI 제한효소로 절단된 염색체 형질전환용 벡터 pDCM2는 깁슨 어셈블리 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닝함으로써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였으며, 각각 pDCM2-RBS1, pDCM2-RBS2, pDCM2-RBS3, 그리고 pDCM2-RBS4 벡터로 명명하였다. 클로닝은 깁슨 어셈블리 시약과 각 유전자 단편들을 계산된 몰수로 혼합 후 50℃에 1시간 보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실시예 4. BBD29_13140 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Ribosome binding site, RBS) 변경을 위한 재조합 균주 제작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된 ATCC13869△odhA 균주를 대상으로 실시예 3에서 제작된 pDCM2-RBS1, pDCM2-RBS2, pDCM2-RBS3, 그리고 pDCM2-RBS4 벡터를 도입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4종의 벡터를 각각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odhA 균주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한 후,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 유전자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이 각각 RBS1, RBS2, RBS3, RBS4로 변경된 균주를 수득하였다.
상동 재조합 업스트림 지역과 다운스트림 지역을 각각 증폭할 수 있는 서열번호 27 및 서열번호28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과 게놈 시퀀싱을 통해 해당 유전적 조작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각각 ATCC13869△odhA-RBS1, ATCC13869△odhA-RBS2, ATCC13869△odhA-RBS3, ATCC13869△odhA-RBS4로 명명하였다.
상기에서 제작된 ATCC13869△odhA-RBS1, ATCC13869△odhA-RBS2, ATCC13869△odhA-RBS3, ATCC13869△odhA-RBS4 와 ATCC13869△odhA 균주를 대조군으로 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확인하고자 상기 실시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L-글루탐산 농도(g/L) L-글루탐산 농도 증가율(%)
ATCC13869△odhA 1.87 -
ATCC13869△odhA-RBS1 1.88 100.5%
ATCC13869△odhA-RBS2 2.07 110.7%
ATCC13869△odhA-RBS3 2.10 112.3%
ATCC13869△odhA-RBS4 2.14 114.4%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야생형 유래 ATCC13869△odhA 균주에 비하여 BBD29_13140 유전자의 라이보좀 결합 서열이 RBS로 약화된 균주에서 L-글루탐산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BBD29_13140 유전자의 결손 벡터 제작
코리네박테리움 속 균주의 염색체 상에서 상기 실시예에서 확인된 BBD29_13140의 약화 효과 외에 BBD29_13140 유전자를 결손시켰을 때 L-글루탐산의 생산능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결손 벡터를 제작하였다.
상기 유전자를 결손시킬 수 있는 재조합 벡터의 제작을 위하여,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 염색체 DNA를 주형으로 하여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29의 프라이머 쌍, 서열번호 30 및 서열번호 31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하여 유전자 단편을 PCR 수행을 통해 수득하였다. 중합효소는 SolgTM Pfu-X DNA 폴리머라제를 사용하였으며, PCR 증폭은 95 ℃에서 5분간 변성 후, 95℃ 30초 변성, 55℃ 30초 어닐링, 72℃ 60초 중합을 30회 반복한 후, 72℃에서 5분간 중합반응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증폭된 유전자 단편과 SmaI 제한효소로 절단된 염색체 형질전환용 벡터 pDCM2는 깁슨 어셈블리 방법을 이용하여 클로닝함으로써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획득하였으며, pDCM2-△BBD29_13140으로 명명하였다. 클로닝은 깁슨 어셈블리 시약과 각 유전자 단편들을 계산된 몰수로 혼합 후 50℃에 1시간 보존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pDCM2-△BBD29_13140 벡터를 하기 실시예에서 균주에 도입하였다.
실시예 6. BBD29_13140 유전자가 결손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제작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작된 ATCC13869△odhA 균주를 대상으로 실시예 5에서 제작된 pDCM2-△BBD29_13140 벡터를 도입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pDCM2-△BBD29_13140 벡터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869△odhA 균주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한 후,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 유전자가 결손된 균주를 수득하였다. 서열번호 32 및 서열번호 33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 법과 게놈 시퀀싱을 통해 해당 유전적 조작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ATCC13869△odhA△BBD29_13140로 명명하였다.
상기에서 제작된 ATCC13869△odhA△BBD29_13140 균주를 ATCC13869△odhA 균주를 대조군으로 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확인하고자 상기 실시예 2-2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L-글루탐산 농도(g/L) L-글루탐산 농도 증가율(%)
ATCC13869△odhA 2.00 100.0%
ATCC13869△odhA△BBD29_13140 0.99 49.5%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야생형 유래 ATCC13869△odhA균주에 비하여 BBD29_13140 유전자가 결손된 ATCC13869△odhA△BBD29_13140은 생장에 저해를 받으며 오히려 L-글루탐산의 농도가 약 49.5%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BBD29_13140 유전자가 약화된 N-메틸-N'-니트로-N-니트로소구아니딘(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TG) 변이주 유래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 제작
야생형 코리네박테리움 속 유래 균주 이외에, L-글루탐산 생산능이 증가된 NTG 변이 코리네박테리움 속 유래 균주에서도 상기 유전자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L-글루탐산 생산 NTG 변이 균주로 알려진 KFCC11074 균주(한국 등록특허 제10-0292299호)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작한 pDCM2-BBD29_13140(a1t) 벡터를 도입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벡터를 KFCC11074 균주에 전기천공법으로 형질전환한 후, 2차 교차 과정을 거쳐 염색체 상에서 BBD29_13140 유전자의 개시코돈이 ATG에서 TTG로 변경된 균주를 얻었다. 서열번호 15 및 서열번호 16의 프라이머 쌍을 이용한 PCR 법과 게놈 시퀀싱을 통해 해당 유전적 조작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KFCC11074-BBD29_13140(a1t)로 명명하였다.
제작한 KFCC11074-BBD29_13140(a1t)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KFCC11074 균주를 대상으로 아래 명시된 방법으로 발효 역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하기의 종배지로 이루어진 평판배지에 상기 균주들을 접종하여 30℃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하기의 생산배지 25㎖을 함유하는 250㎖ 코너-바플 플라스크에 균주를 1백금이 접종하고, 30℃에서 40시간 동안, 200rpm에서 진탕 배양하였다.
<종배지>
포도당 1%, 육즙 0.5%, 폴리펩톤 1%, 염화나트륨 0.25%, 효모엑기스 0.5%, 한천 2%, 유레아 0.2%, pH 7.2
<생산배지>
원당 6%, 탄산칼슘 5%, 황산암모늄 2.25%, 일인산칼륨 0.1%, 황산마그네슘 0.04%, 황산철 10 mg/L, 티아민 염산염 0.2 mg/L, 비오틴 500㎍/L
배양 종료 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L-글루탐산 농도(g/L) L-글루탐산 농도 증가율(%)
KFCC11074 6.70 100.0%
KFCC11074-BBD29_13140(a1t) 7.83 116.9%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KFCC11074 균주에 비하여 BBD29_13140 유전자의 개시코돈이 ATG에서 TTG로 약화된 KFCC11074-BBD29_13140(a1t) 균주에서 L-글루탐산의 농도가 약 16.9%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CJ CheilJedang Corporation <120> Strain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L-glutam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130> KPA210836-KR <160> 3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45 <212> PRT <213> Unknown <220> <223> BBD29_13140 <400> 1 Met Asn Gln Asp Leu Ser His Glu Asp Ser Gly Asp Gly Asn Ser Val 1 5 10 15 Asp Arg Gly Gln Ile Leu Leu Ala Val Leu Ile Gly Leu Ala Leu Ile 20 25 30 Ala Ser Val Ile Met Leu Leu Ala Asn Ser Asp Gly Ala Met Lys Ile 35 40 45 Ala Leu Leu Ala Ala Leu Trp Ala Ala Ile Ile Gly Phe Phe Leu Val 50 55 60 Tyr Arg Ser Arg Lys Gln Val Glu Ala Ala Ala Arg Glu Lys Glu Thr 65 70 75 80 Leu Glu Tyr Ala His Gln Ser Glu Leu Asn Arg Leu Glu Ala Glu Leu 85 90 95 Val Gln Glu Lys Met Glu Ile Ser Glu Ser Arg Arg Ala Arg Asp Gln 100 105 110 Glu Thr Leu Glu Glu Ile Lys Leu Gln Leu Glu Glu Met Arg Thr Gln 115 120 125 Leu Ser Glu Leu Ser Gly Arg Glu Trp Gly Tyr Glu Pro Thr Met Leu 130 135 140 Arg Ala Glu Ala Arg Arg Ile Leu Glu Leu Glu Ser Gln Gln Leu Ser 145 150 155 160 Gln Gln Phe Gln Ala Pro Gln Pro Glu Val Pro Glu Pro Val Ala Val 165 170 175 Pro Glu Pro Thr Pro Glu Pro Ala Pro Val Pro Glu Pro Glu Pro Val 180 185 190 Glu Val Ala Val Glu Ala Glu Glu Glu Pro Ala Pro Gly Arg Arg Arg 195 200 205 Arg Arg His Ala Ala Pro Glu Glu Ala Gly Gly Arg Arg Arg Lys Asp 210 215 220 Glu Arg Gln Gly Gly Leu Ser Val Ala Asp Leu Leu Ala Ala Ala Arg 225 230 235 240 Lys Lys Glu Asn Asn 245 <210> 2 <211> 738 <212> DNA <213> Unknown <220> <223> BBD29_13140 <400> 2 atgaatcaag acctgtcaca cgaggattcc ggcgacggca attctgtcga ccgtggacag 60 attctgctag cagtactcat tggacttgcc ctgattgcca gcgtcatcat gctgctggcc 120 aacagtgacg gcgccatgaa aatagcactt cttgcagcgc tgtgggcggc aatcatcgga 180 ttcttccttg tttatcggtc ccgcaaacaa gtcgaagctg ctgcgcggga gaaggaaacc 240 ctcgaatacg cacaccaatc tgaactcaac cgactagaag ctgaactcgt ccaagaaaaa 300 atggagattt ctgaatcccg tcgtgcacgc gatcaggaaa cccttgagga aatcaaactt 360 caactggagg aaatgcgcac ccagctgtct gagctttctg gccgtgaatg gggctatgag 420 ccaaccatgc tgcgtgccga agcccgacga atccttgagt tggaatccca gcagctttcc 480 cagcagttcc aggcaccgca gccagaagtc ccggagcctg ttgcagttcc agagccaacg 540 ccggaacctg caccggtgcc ggaacctgag ccagttgaag ttgctgtcga agctgaggaa 600 gaaccagcac caggtcgcag aaggcgtagg cacgcggctc ccgaagaagc tggcggacgc 660 cgacgcaaag atgaacgcca aggcggtttg agcgtggctg atcttctggc agcagcaagg 720 aaaaaggaaa acaactaa 738 <210> 3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F <400> 3 ttcgagctcg gtaccccgat ctactcaacc ccaccgtg 38 <210> 4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R <400> 4 acaggtcttg attcacgaat tccaatctag ctgatcgc 38 <210> 5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F <400> 5 agctagattg gaattcgtga atcaagacct gtcacacg 38 <210> 6 <211> 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4R <400> 6 actctagagg atccccgatc agccacgctc aaac 34 <210> 7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R <400> 7 acaggtcttg attcaagaat tccaatctag ctgatcgc 38 <210> 8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6F <400> 8 agctagattg gaattcttga atcaagacct gtcacacg 38 <210> 9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7F <400> 9 tgaattcgag ctcggtaccc ttgaacggaa ttgggtgg 38 <210> 10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8R <400> 10 cccaggtggc atcggtacct tcacccagcg ccacgcag 38 <210> 11 <211> 3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F <400> 11 cgctgggtga aggtaccgat gccacctggg ttggtcaag 39 <210> 12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0R <400> 12 gtcgactcta gaggatcccc ggacaaggaa tggagaga 38 <210> 1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1F <400> 13 cttaccgttg ttgccctt 18 <210> 1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2R <400> 14 ctccttcacc cacatcatt 19 <210> 1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3F <400> 15 gatcgctacg cgctgc 16 <210> 16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4R <400> 16 gcgaggagcc tgcattag 18 <210> 17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5F <400> 17 tgaattcgag ctcggtaccc cgcctttgtg ttgatccc 38 <210> 18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6R <400> 18 ggtcttgatt catgaattcc ggccttgctg atcgcttcgc cagattgg 48 <210> 19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7F <400> 19 ccaatctggc gaagcgatca gcaaggccgg aattcatgaa tcaagacc 48 <210> 20 <211> 3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R <400> 20 gtcgactcta gaggatcccc gctctggaac tgcaacag 38 <210> 21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9R <400> 21 ggtcttgatt catgaattcc tgtcacgctg atcgcttcgc cagattgg 48 <210> 22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0F <400> 22 ccaatctggc gaagcgatca gcgtgacagg aattcatgaa tcaagacc 48 <210> 23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1R <400> 23 ggtcttgatt catgaattcc agcgaagctg atcgcttcgc cagattgg 48 <210> 24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2F <400> 24 ccaatctggc gaagcgatca gcttcgctgg aattcatgaa tcaagacc 48 <210> 25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3R <400> 25 ggtcttgatt catgaattga aatcgacctg atcgcttcgc cagattgg 48 <210> 26 <211> 4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4F <400> 26 ccaatctggc gaagcgatca ggtcgatttc aattcatgaa tcaagacc 48 <210> 27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5F <400> 27 cacgcaccct cgatgtg 17 <210> 28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6R <400> 28 ccagcttctt cgggagc 17 <210> 29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7R <400> 29 gaaggcgagg agcctgcaga attccaatct agctg 35 <210> 30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8F <400> 30 cagctagatt ggaattctgc aggctcctcg ccttc 35 <210> 31 <211> 3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9R <400> 31 actctagagg atcccccagc tcaatatctt gcgcg 35 <210> 32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0F <400> 32 cccaaatgaa ccccgtg 17 <210> 33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31R <400> 33 gatgccgtgc gtgagcg 17 <210> 34 <211> 9 <212> DNA <213> Unknown <220> <223> original SD <400> 34 ctagattgg 9 <210> 35 <211> 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BS1 <400> 35 caaggccgg 9 <210> 36 <211> 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BS2 <400> 36 cgtgacagg 9 <210> 37 <211> 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BS3 <400> 37 cttcgctgg 9 <210> 38 <211> 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BS4 <400> 38 gtcgatttc 9

Claims (10)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해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L-글루탐산 생산능을 가지는, 미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는 것인, 미생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인, 미생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해 약화되지 않은 모균주 또는 야생형에 비하여 L-글루탐산 생산능이 증가된, 미생물.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단백질의 활성이 내재적 활성에 비해 약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글루탐산 생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에 의해 코딩되는 것인, 생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의 활성 약화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기재된 폴리뉴클레오티드의 약화인 것인, 생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인 것인, 생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방법은 상기 배양된 미생물 또는 배지로부터 L-글루탐산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생산방법.
KR1020210125842A 2021-09-23 2021-09-23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KR20230042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42A KR20230042953A (ko) 2021-09-23 2021-09-23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CA3230528A CA3230528A1 (en) 2021-09-23 2022-09-22 Strain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l-glutam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AU2022352442A AU2022352442A1 (en) 2021-09-23 2022-09-22 Strain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l-glutam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CN202280064314.0A CN117980486A (zh) 2021-09-23 2022-09-22 用于生产高浓度l-谷氨酸的菌株和使用该菌株生产l-谷氨酸的方法
PCT/KR2022/014177 WO2023048480A1 (en) 2021-09-23 2022-09-22 Strain for producing high concentration l-glutamic acid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TW111136036A TW202330901A (zh) 2021-09-23 2022-09-23 用以生產高濃度左旋麩胺酸的菌株及使用該菌株生產左旋麩胺酸的方法
ARP220102563A AR127131A1 (es) 2021-09-23 2022-09-23 Cepa para producir ácido l-glutámico de alta concentración y método para producir ácido l-glutámico utilizando el mi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842A KR20230042953A (ko) 2021-09-23 2021-09-23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953A true KR20230042953A (ko) 2023-03-30

Family

ID=8572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842A KR20230042953A (ko) 2021-09-23 2021-09-23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20230042953A (ko)
CN (1) CN117980486A (ko)
AR (1) AR127131A1 (ko)
AU (1) AU2022352442A1 (ko)
CA (1) CA3230528A1 (ko)
TW (1) TW202330901A (ko)
WO (1) WO202304848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0929A (en) 1964-02-10 1965-11-30 Kyowa Hakko Kogyo Kk Microbiological production of amino acid by reductive amination
AU746542B2 (en) 1998-03-18 2002-05-02 Ajinomoto Co., Inc. L-glutamic acid-producing bacterium and method for producing L-glutamic acid
KR100292299B1 (ko) 1999-03-22 2001-06-01 손경식 글루탐산 생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글루탐산 생산방법
US6897055B2 (en) * 1999-11-25 2005-05-24 Degussa Ag Nucleotide sequences coding for the genes sucC and sucD
KR100620092B1 (ko) 2004-12-16 2006-09-08 씨제이 주식회사 코리네박테리움 속 세포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프로모터서열, 그를 포함하는 발현 카세트 및 벡터, 상기 벡터를포함하는 숙주 세포 및 그를 이용하여 유전자를 발현하는방법
KR100824457B1 (ko) * 2006-10-16 2008-04-22 씨제이제일제당 (주) 고농도의 글루탐산을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글루탐산의 제조 방법
EP2700715B1 (de) * 2012-08-20 2018-07-25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fermentativen Herstellung von L-Aminosäuren unter Verwendung von verbesserten Stämmen der Familie Enterobacteriaceae
KR101632642B1 (ko) 2015-01-29 2016-06-22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신규한 프로모터 및 그의 용도
ES2907694T3 (es) 2016-08-31 2022-04-26 Cj Cheiljedang Corp Nuevo promotor y uso del mismo
US10428359B2 (en) * 2016-10-03 2019-10-01 Ajinomoto Co, Inc. Method for producing L-amino acid
KR102278000B1 (ko) 2020-03-17 2021-07-15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프리페네이트 디하이드라타아제 활성 강화를 통한 l-트립토판을 생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8480A1 (en) 2023-03-30
AR127131A1 (es) 2023-12-20
CA3230528A1 (en) 2023-03-30
CN117980486A (zh) 2024-05-03
TW202330901A (zh) 2023-08-01
AU2022352442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407B1 (ko) 신규한 글루타메이트 합성 효소 서브 유니트 알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 방법
KR102274484B1 (ko) 신규한 f0f1 atp 합성효소 서브유닛 알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KR102284730B1 (ko) 신규한 수용성 피리딘 뉴클레오티드 트랜스수소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트립토판 생산 방법
KR102277410B1 (ko) 신규한 이중기능성 pyr 오페론 전사조절자/우라실 포스포리보실 전달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KR102277408B1 (ko) 신규한 포르메이트 의존성 포스포리보실글리신아미드 포밀 전이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KR102279696B1 (ko) 신규한 l-세린 암모니아 분해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KR102277409B1 (ko) 신규한 2중기능성 포스포리보실아미노이미다졸카르복사미드 포밀트랜스퍼라아제/imp 사이클로하이드롤라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KR102273640B1 (ko) 신규한 f0f1 atp 합성효소 서브유닛 감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KR102273639B1 (ko) 신규한 이중기능성 메틸렌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 탈수소효소/메테닐테트라하이드로폴레이트 사이클로하이드롤라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KR102267931B1 (ko) 신규한 5-(카르복시아미노)이미다졸리보뉴클레오티드합성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KR102273638B1 (ko) 신규한 포스포글리세린산 디하이드로게나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xmp 또는 gmp 생산 방법
KR102525073B1 (ko) 신규한 시트레이트 신타아제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306010B1 (ko) 신규한 분지쇄아미노산 투과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284731B1 (ko) 신규한 아이소시트르산 디하이드로게네이즈 키나아제/포스파타제 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트립토판 생산 방법
JP2023540315A (ja) L-グルタミン酸生産組換え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l-グルタミン酸製造方法
KR102665227B1 (ko)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KR20230042953A (ko) 고농도 l-글루탐산을 생산하기 위한 균주 및 이를 이용한 l-글루탐산 생산방법
KR102279137B1 (ko) 신규한 아데닌 포스포리보실기 전이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imp 생산 방법
KR102281371B1 (ko) 신규한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탈수소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281370B1 (ko) 신규한 2-이소프로필말레이트합성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281369B1 (ko) 신규한 디히드로리포일 아세틸기전이효소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306008B1 (ko) 신규한 전사 조절자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306009B1 (ko) 신규한 WhiB 계열 전사 조절자 WhcA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KR102314885B1 (ko) 신규한 단백질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 생산 방법
KR102306007B1 (ko) 신규한 슈가 포터 계열 mfs 트랜스포터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l-발린 생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