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579A -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 - Google Patents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579A
KR20230041579A KR1020220064617A KR20220064617A KR20230041579A KR 20230041579 A KR20230041579 A KR 20230041579A KR 1020220064617 A KR1020220064617 A KR 1020220064617A KR 20220064617 A KR20220064617 A KR 20220064617A KR 20230041579 A KR20230041579 A KR 20230041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adiating
disposed
reflector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엔 치아-테
린 청-헝
Original Assignee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이치티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30041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20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 H01Q21/205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curvilinear path providing an omnidirectional cover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14Reflecting surfaces; Equivalen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06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using two or more intersecting plane surfaces, e.g. corner reflect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having two or more spaced reflecting surfaces
    • H01Q19/185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having two or more spaced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28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 H01Q19/3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a secondary device in the form of two or more substantially straight conductive elements the primary active element being centre-fed and substantially straight, e.g. Yagi antenna

Landscapes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가 제공된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는 제1 신호 방사체, 제2 신호 방사체, 및 반사 신호 방사체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방사체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신호 방사체는 제1 신호 방사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제2 방향 및/또는 제3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은 상이하다. 반사 신호 방사체는 제1 신호 방사체와 제2 신호 방사체 사이에 배치되고, 전방향으로 제3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3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제1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다.

Description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 {SIGNAL RADIATION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9월 1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제63/245,207호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언급된 특허 출원 전부는 본원에 참고로 통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분할 및 다중화(multiplexing)를 달성할 수 있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전과 정보 시대의 도래에 따라 무선 통신은 전자 기기의 필수 역량이 되었다.
전자 디바이스들의 통신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주파수 분할 및 다중화의 적용이 필연적인 추세가 되었다. 현재 기술 분야에서 안테나 디바이스는 주로 브로드사이드 패턴(broadside pattern)과 엔드파이어 패턴(endfire pattern)인 선형 편파(polarized wave)를 갖는 안테나로 설계되고, 원형 편파로 설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개시는 다중 라디오 주파수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제공할 수 있고, 주파수 분할 및 다중화의 주파수 응용을 달성할 수 있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는 제1 신호 방사체(radiator), 제2 신호 방사체, 및 반사 신호 방사체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방사체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신호 방사체는 상기 제1 신호 방사체와 중첩하여 배치되고, 제2 방향과 제3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서로 상이하다. 상기 반사 신호 방사체는 상기 제1 신호 방사체와 상기 제2 신호 방사체 사이에 배치되며, 전방향으로 제3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작다.
본 개시에서의 안테나 구조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다중 신호 방사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들은 서로 결합된다.
이상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는 상이한 방향의 신호에 대해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 방사체와 전방향으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반사 신호 방사체를 갖는다. 안테나 디바이스는 다중 주파수 작동을 달성하고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여 주파수 분할 및 다중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개별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 방사체의 상이한 구현예들의 개략도들이다.
도 5a 내지 5c는 개별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 방사체의 상이한 구현예들의 개략도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신호 방사체의 상이한 구현예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개략도이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100)는 제1 신호 방사체(110), 제2 신호 방사체(120) 및 반사 신호 방사체(130)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방사체(110)는 제1 방향을 따라 제1 신호(WB1)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방향은 제1 축(Z-축) 방향일 수 있다. 제2 신호 방사체(120)는 제1 신호 방사체(110)와 중첩하여 배치된다. 제2 신호 방사체(120)는 제2 방향(X-축) 및/또는 제3 방향(Y-축)을 따라 제2 신호(WB2-1, WB2-2)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방향은 제2 축(X-축) 방향이고, 제3 방향은 제3 축(Y-축)의 방향일 수 있다. 제1 축(Z-축), 제2 축(X-축) 및 제3 축(Y-축)는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축(Z-축), 제2 축(X-축) 및 제3 축(Y-축)은 2개씩 모두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신호 방사체(130)는 제1 신호 방사체(110)와 제2 신호 방사체(120) 사이에 배치된다. 반사 신호 방사체(130)는 전방향으로(omnidirectionally) 제3 신호(WB3)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신호(WB3)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다. 제1 신호(WB1)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신호들(WB2-1, WB2-2)은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보다 낮다. 추가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3 주파수 대역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제1 신호 방사체(110), 제2 신호 방사체(120) 및 반사 신호 방사체(130)의 조합을 통해, 본 실시예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100)는 다중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주파수 분할 및 다중화의 응용을 달성하기 위해 다중 라디오 주파수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transceiving oper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이 실시예에서 신호 방사 디바이스(100)는 또한 전방향성 패턴 변조와 유사한 신호 방사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100)는 원형 편파의 커버리지를 가지며, 공간 내의 임의의 편파의 전파를 증강시키고,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측면도이다. 제1 신호 방사체(210), 제2 신호 방사체(220), 및 반사 신호 방사체(230)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방사체(210)는 반사판(214), 기판(213) 및 방사 본체(radiation body)(211, 212)를 포함한다. 기판(213)은 반사판(214) 상에 배치되고, 방사 본체(211, 212)는 기판(213) 상에 배치된다. 반사판(214)는 제1축(예를 들어, 3차원 좌표계의 Z축)을 마주하는 신호 반사체일 수 있으며, 제1 신호 방사체(210)의 기준 접지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방사 본체(211, 212)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금속판일 수 있고, 신호가 Z축 방향을 향해 방사되도록 구성된다. 방사 본체(211, 212)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제2 신호 방사체(220)는 방사 본체(221, 222), 도파로 소자(223, 224), 기판(225) 및 반사판(226)을 포함한다. 기판(225)은 반사판(214)과 중첩하여 배치되며, 반사판(214) 아래에 배치된다. 반사판(226)은 기판(225) 아래에 배치된다. 방사 본체(221, 222)는 반사판(226)의 양측, 즉 신호 방사 디바이스(2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방사 본체(221)의 외측에 도파로 소자(223)가 배치되고, 방사 본체(222)의 외측에 도파로 소자(224)가 배치된다.
반사판(226)은 수직 반사체일 수 있다. 방사 본체들(221, 222)은 쿼시 야기(Quasi-Yagi) 방사 본체이며, 다이폴(dipole) 방사 본체와 동등할 수 있다. 제2 신호 방사체(220)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200)의 양측에 퀴시 야기 방사 본체와 동등한 수평 반사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의 빔 방향은 기판(25)의 측면(2)을 향해 방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파로 소자(223)는 하나 이상의 도파로 유닛들을 가질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도파로 소자(224)는 또한 하나 이상의 도파로 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판(226)은 제2 축(예를 들어, 3차원 좌표계의 X축) 또는 제3 축(예를 들어, 3차원 좌표계의 Y축)에 마주하는 신호 반사체일 수 있다. 반사판(226)은 제2 신호 방사체(220)의 기준 접지면을 제공할 수 있다. 방사 본체(21)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금속판일 수 있다.
또한, 반사 신호 방사체(230)는 반사판(231, 232)과 신호 급전부(feed source)(233)를 포함한다. 신호 급전부(233)는 반사판(231, 232) 사이에 결합되어 방사체 그룹을 형성한다. 반사판(231, 232)과 신호 급전부(233)에 의해 형성된 방사체 그룹은 반사판(214)과 기판(225) 사이에 배치된다. 신호 급전부(233)는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반사판(231, 232)으로 전송한다. 반사판(231) 및 반사판(232)은 각각 반대 극성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반사판(231, 232)은 X, Y, Z 축을 따라 신호에 대한 반사 동작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반사판들(231 및 232)의 금속 표면들은 다이폴 방사 본체와 동등할 수 있고, 이들의 빔은 전방향성 방사 패턴과 유사하여, 반사 신호 방사체(230)은 전방향으로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300)는 제1 신호 방사체(311, 312), 제2 신호 방사체(321 내지 324) 및 반사 신호 방사체(331)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방사체(311, 312)는 쌍으로 배치된다. 제2 신호 방사체(321, 322)는 제1 신호 방사체(311)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2 신호 방사체(323, 324)는 제1 신호 방사체(312)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1 신호 방사체(311, 312)는 Z 축을 따라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신호 방사체(321, 324)는 X축에 따라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제공하고, 제2 신호 방사체(322, 323)는 Y축에 따라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반사 신호 방사체(331)는 제1 신호 방사체(311, 312)의 아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신호 방사체(321)를 예로 들어, 제2 신호 방사체(321) 내의 방사 본체는 서브 방사 본체들(3211, 3212)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신호 방사체(321)는 신호 급전부(3213)를 더 포함한다. 신호 급전부(3213)는 서브 방사 본체(3211)와 서브 방사 본체(3212) 사이에 결합되어 서브 방사 본체(3211, 3212)로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전송한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신호 방사 디바이스(300)는 또한 다중 전송 배선(W1 내지 W4)에 의해 형성된 급전 회로(feeder circuit)를 포함한다. 급전 회로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300)에서 전기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신호 방사 디바이스(300)는 전기 신호의 전송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급전 회로와 매칭하도록 구성된 방사 스위치(341, 3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호 방사 디바이스에 포함되는 제1 신호 방사체 및 제2 신호 방사체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제1 신호 방사체 및 제2 신호 방사체의 개수는 단지 예시를 위한 예제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도 4a 내지 도 4d는 개별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 방사체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 a에서, 제1 신호 방사체(401)는 반사판(미도시), 기판(410) 및 복수의 방사 본체(421)를 포함한다. 방사 본체(421)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기판(410) 상에 배치된다. 반사판은 기판(410) 아래에 배치되고 기판(410)에 의해 커버된다.
도 4b에서, 제1 신호 방사체(402)는 반사판(미도시), 기판(410) 및 다수의 방사 본체(422)를 포함한다. 방사 본체(422)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어레이 형태로 기판(410) 상에 배치된다. 반사판은 기판(410) 아래에 배치되고 기판(410)에 의해 커버된다.
도 4c에서, 제1 신호 방사체(403)는 반사판(미도시), 기판(410) 및 다수의 방사 본체(423)를 포함한다. 방사 본체(423)는 삼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기판(410) 상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다. 반사판은 또한 기판(410) 아래에 배치되고 기판(410)에 의해 커버된다.
도 4d에서, 제1 신호 방사체(404)는 반사판(미도시), 기판(410), 및 다수의 방사 본체(424)를 포함한다. 방사 본체(424)는 원형(또는 타원형) 형상일 수 있고 기판(410) 상에 어레이 형태로 배치된다. 반사판은 또한 기판(410) 아래에 배치되고 기판(410)에 의해 커버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 방사체의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a에서, 제2 신호 방사체(501)는 반사판(511), 기판(521), 방사 본체(531) 및 도파로 소자(WG1 내지 WG3)를 포함한다. 기판(521)은 반사판(511) 상에 배치되고, 방사 본체(531) 및 도파로 소자(WG1 내지 WG3)는 반사판(511)의 측면(S1)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방사 본체(531)에 인접한 반사판(511)의 측면(S1)은 평평한 측면일 수 있다. 도파로 소자(WG1 내지 WG3)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가치가 있다. 도파로 소자(WG1)의 형상은 > 형상일 수 있다. 도파로 소자(WG2)의 형상은 긴 스트립일 수 있다. 도파로 소자(WG3)의 형상은 < 의 형상일 수 있다.
도 5b에서, 제2 신호 방사체(502)는 반사판(512), 기판(522), 방사 본체(532), 및 도파로 소자(WG1 및 WG2)를 포함한다. 기판(522)은 반사판(512) 상에 배치되고, 방사 본체(532) 및 도파로 소자(WG1, WG2)는 반사판(512)의 측면(S2) 외부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방사 본체(532)에 인접한 반사판(512)의 측면(S2) 는 오목부를 갖는다. 반사판(512)의 오목부는 방사 본체(532)에 의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가 집성(aggregation) 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오목부의 사잇각(included angle)은 송수신 신호의 파장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5c에서, 제2 신호 방사체(503)는 반사판(513), 기판(523), 방사 본체(533) 및 도파로 소자(WG1, WG2)를 포함한다. 기판(523)은 반사판(513) 상에 배치되고, 방사 본체(533) 및 도파로 소자(WG1, WG2)는 반사판(513)의 측면(S3) 외부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방사 본체(533)에 인접한 반사판(513)의 측면(S3)은 돌출부를 갖는다. 반사판(513)의 돌출부는 방사 본체(533)가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가 발산(divergence)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 신호 방사체의 상이한 구현예들의 개략도이다. 도 2의 반사형 신호 방사체(230)와 비교하면, 본 실시예의 반사형 신호 방사체(600)는 다수의 방사체 그룹(611 내지 614)을 포함한다. 방사체 그룹(611 내지 614)은 서로 동일한 구조체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방사체 그룹(611 내지 614)은 반사 신호 반사체(230)과 동일한 아키텍처를 가질 수 있다. 방사체 그룹(611 내지 614)은 수평 방향으로 순차로 배치되며, 바로 인접한 두 개의 방사체 그룹(611 내지 614) 사이에는 이격 거리가 있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안테나 구조체(700)는 다수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710 내지 740), 평면 기판(750), 및 다수의 전송 배선(W1 내지 W6)를 포함한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들(710 내지 740)은 평면 기판(750) 상에 집합적으로 배치되며, 평면 기판(750)은 다층 기판일 수 있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710 내지 740)는 2개씩 모두 전송 배선(W1 내지 W6)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세하게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710 및 720)는 전송 배선(W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방사 디바이스(720 및 730)는 전송 배선(W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방사 디바이스(730 및 740)는 전송 배선(W4)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방사 디바이스(710 및 740)는 전송 배선(W1)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방사 디바이스(710 및 730)는 전송 배선(W5)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신호 방사 디바이스(720 및 740)는 전송 배선(W6)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710 내지 740) 각각의 구현 세부 내용은 전술한 실시예 및 구현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여,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도이다. 안테나 구조체(800)는 다수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810 내지 840)를 포함한다. 신호 방사 디바이스(810 내지 840)는 상이한 평면 기판(811 내지 814)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평면 기판(811) 및 평면 기판(831)은 제1 축(예를 들어, Z축) 및 제2축(예를 들어, X축)에 의해 형성된 제 1 평면 상에 배치되고, 평면 기판(831) 및 평면 기판(841)은 제2축(예를 들어, X축) 및 제3 축(예를 들어, Y축)에 의해 형성된 제2 평면 상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 방사 디바이스들(810 내지 840)은 전송 배선(W1, W2)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 구조체(800)는 3차원 사시 구조체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송수신 신호의 패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이상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제1 신호 방사체와 제2 신호 방사체 사이에 반사형 신호 방사체를 배치하고, 원형 편파의 설계를 조합함으로써, 전방향성 신호 송수신 기능이 달성된다. 또한, 안테나 디바이스는 다중 주파수 동작을 가질 수 있고, 주파수 분할 및 다중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신호 방사 디바이스(signal radiation device)에 있어서,
    제1 방향을 따라 제1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transceiving operation)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신호 방사체(signal radiator);
    상기 제1 신호 방사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제2 방향 및/또는 제3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2 신호 방사체로서,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상이한, 상기 제2 신호 방사체; 및
    상기 제1 신호 방사체와 상기 제2 신호 방사체 사이에 배치되어 전방향으로 제3 신호에 대한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반사 신호 방사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신호는 제 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상기 제 1 신호는 제 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제 3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신호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3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신호 방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2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신호 방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신호 방사체는,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방사체 그룹은,
    제1 반사판;
    제2 반사판; 및
    상기 제1 반사판과 상기 제2 반사판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2 반사판으로 라디오 주파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신호 급전부(signal feed source)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판 및 상기 제2 반사판은 서로 반대 극성의 신호를 개별적으로 송수신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 그룹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두개의 인접한 방사체 그룹은 이격 거리 만큼 이격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방사체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상에 배치되고 기준 접지면(reference ground plane)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 본체(radiation body)를 포함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 본체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방사 본체는 어레이 형태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사 본체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관련 동작 파장(wavelength)인, 신호 방사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방사체는,
    상기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방사 본체; 및
    상기 제1 방사 본체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도파로 소자를 포함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방사체는,
    상기 신호 방사 디바이스의 제2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방사 본체; 및
    상기 제2 방사 본체에 인접하고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도파로 소자를 더 포함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파로 소자는 상기 제1 방사 본체와 평행하거나 비평행한 에지(edge)를 갖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본체는,
    제1 서브 방사 본체 및 제2 서브 방사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 방사체는,
    상기 제1 서브 방사 본체와 상기 제2 서브 방사 본체 사이에 결합된 신호 급전부(signal feed source)를 더 포함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방사체는,
    상기 제1 신호 방사체와 중첩되어 배치된 반사판;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1 신호 방사체 사이에 배치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파로 소자는 상기 반사판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측면 위에 배치되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적어도 측면은 평평한 측면인, 신호 방사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적어도 일 측면은 오목부 또는 돌출부를 갖는, 신호 방사 디바이스.
  15.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복수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방사 디바이스는 서로 결합된, 안테나 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방사 디바이스는 평면 기판 상에 집합적으로 배치된, 안테나 구조체.
  17.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전송 배선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전송 배선은 2개의 신호 방사 디바이스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안테나 구조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방사 디바이스 중 제1 방사 디바이스 내지 제4 방사 디바이스는 제1 평면 기판 내지 제4 평면 기판 상에 개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평면 기판 및 상기 제2 평면 기판은 제1 축 및 제2 축에 의해 형성된 제1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평면 기판 및 상기 제4 평면 기판은 상기 제2 축 및 제3 축에 의해 형성된 제2 평면 상에 배치된, 안테나 구조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 상기 제2 축 및 상기 제3 축은 2개씩 모두 서로 직교하는, 안테나 구조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상기 제2 방향, 및 상기 제3 방향은 2개씩 모두 서로 직교하는, 안테나 구조체.
KR1020220064617A 2021-09-17 2022-05-26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 KR20230041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45207P 2021-09-17 2021-09-17
US63/245,207 2021-09-17
US17/696,874 US20230087415A1 (en) 2021-09-17 2022-03-17 Signal radiation device and antenna structure
US17/696,874 2022-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579A true KR20230041579A (ko) 2023-03-24

Family

ID=8552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617A KR20230041579A (ko) 2021-09-17 2022-05-26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87415A1 (ko)
JP (1) JP7454013B2 (ko)
KR (1) KR20230041579A (ko)
CN (1) CN115832702A (ko)
TW (1) TWI807700B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4666B2 (ja) 2000-02-28 2006-01-11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アレーアンテナ
JP2010119002A (ja) 2008-11-14 2010-05-27 Nec Corp 携帯端末装置
US8666450B2 (en) * 2010-05-09 2014-03-04 Ralink Technology Corp. Antenna and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TWI619313B (zh) * 2016-04-29 2018-03-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雙頻印刷式天線
TWI628862B (zh) * 2016-05-10 2018-07-01 啟碁科技股份有限公司 通訊裝置
KR101939047B1 (ko) 2017-12-26 2019-01-16 삼성전기 주식회사 안테나 모듈 및 듀얼밴드 안테나 장치
TWM601907U (zh) * 2020-05-07 2020-09-21 佐臻股份有限公司 指向性天線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7415A1 (en) 2023-03-23
TWI807700B (zh) 2023-07-01
CN115832702A (zh) 2023-03-21
TW202315219A (zh) 2023-04-01
JP2023044625A (ja) 2023-03-30
JP7454013B2 (ja)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0700B2 (en) Omnidirectional antenna for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US6593891B2 (en) Antenna apparatus having cross-shaped slot
KR100677093B1 (ko) 평면 안테나
US20100007573A1 (en) Multibeam antenna
WO2006030583A1 (ja) アンテナ装置及びマルチビームアンテナ装置
US11936116B2 (en) Dual polarized omni-directional antenna and base station including same
US7683841B2 (en) Antenna device
KR101973440B1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안테나 모듈
JP3761988B2 (ja) アンテナ装置
KR101901101B1 (ko)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100837408B1 (ko) 안테나 장치
US11374331B1 (en) Base station antenna including Fabrey-Perot cavities
US11469524B2 (en) Polarized wave shared array antenna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7243483B2 (ja) 偏波共用アレイアンテナ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016349A1 (ja) アンテナ及びセクタアンテナ
KR20230041579A (ko) 신호 방사 디바이스 및 안테나 구조체
JP2005072915A (ja) アンテナ装置
WO2021233353A1 (zh) 天线装置和无线电通信设备
CN112448174B (zh) 天线系统和终端设备
JP2003078339A (ja) 水平および垂直偏波共用アンテナ装置
KR20120086842A (ko) 다중 밴드의 다이폴 소자 배열을 갖는 기지국 안테나
JP5582351B2 (ja) 無指向性アレイアンテナ
JP2001144532A (ja) アンテナ装置
JP4262154B2 (ja) 偏波共用アンテナ装置
JP2023131004A (ja) 周波数共用アンテナ及びダイポールア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