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329A -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329A
KR20230041329A KR1020210124798A KR20210124798A KR20230041329A KR 20230041329 A KR20230041329 A KR 20230041329A KR 1020210124798 A KR1020210124798 A KR 1020210124798A KR 20210124798 A KR20210124798 A KR 20210124798A KR 20230041329 A KR20230041329 A KR 20230041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information
server
biological indicator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병년
김진우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덱 filed Critical (주)바이오덱
Priority to KR102021012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329A/ko
Publication of KR2023004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61L2/28Devices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r completeness of sterilisation, e.g. indicators which chang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구 및 공간과 표면의 멸균 상태를 점검하고, 검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도구의 멸균 상태를 점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체에 대한 시술에 이용되는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는 과정;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and verifying sterility}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도구 및 공간과 표면의 멸균 상태를 점검하고, 검증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도구의 멸균 상태를 점검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의료기관이나 미용 시술업소에서 이용되며, 인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도구 또는 장치 등은, 세균 등의 감염 위험에 취약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병원은 자체적으로 감염 관리실이 구비되어, 의료 행위에 사용된 도구 또는 장치에 대한 멸균을 수행하고, 이를 자체 검증할 수 있다. 다만, 중소형 개인 병원, 치과 병원, 요양 병원 등의 일부는 감염 관리실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문신, 타투 등의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미용시술업소 등은, 관리기준이나 관련 법의 부재로 인해 자체 감염 관리실을 운영하기 어렵다. 미국 등의 경우는, 주 법령에 따라, 멸균 검증이 필요한 기관을 두고 있으며 이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으나 국내는 그렇지 못한 상황이다.
본 개시(disclosure)는,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도구의 멸균 상태를 효과적으로 점검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체에 대한 시술에 이용되는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는 과정;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체에 대한 시술에 이용되는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고,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고,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의 동작에 관한 다른 순서도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멸균 상태를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을 나열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前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의 구성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예시된 구성은 서버(20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의 서버(108)와 도 2의 서버(200)는 동일하거나 상호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30), 저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도 1의 전자 장치 (101)에 포함된 프로세서(120)와 동일하거나 상호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3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통신 모듈(190)과 동일하거나 상호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50)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된 메모리(130)와 동일하거나 상호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장치와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제어 명령을 전자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서버가 전송하는 제어 명령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 및 데이터에 기반하여, 수신한 신호 및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대응하는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도구는 인체에 대한 시술 또는 수술에 이용되는 도구로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인체에 접촉하거나 인체를 대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도구, 장비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할 때, 후술하는 의료 도구는 이러한 도구를 의미할 수 있고, 반드시 의료법상 허가된 도구거나 의료행위를 위해 이용되는 도구에 한정하여 해석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법적으로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않는 문신, 타투 등의 시술에 사용되는 도구 또한 본 개시에는 의료도구 또는 도구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의 동작에 관한 순서도이다.
단계(301)에서, 서버는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의료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한다.
미리 정해진 정보는, 멸균 검증의 수준(level), 멸균에 사용되는 장비, 멸균 수행의 주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정보는, 멸균과 관련된 정부 지침 또는 관계 법령과 연관된 것일 수 있다. 서버는, 멸균과 관련된 미리 정해진 정보를 외부 장치를 통해 수신하거나, 사용자를 통해 직접 입력 받을 수 있고, 이는 서버 내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의 수준을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특정 의료 도구에 대한 멸균이 99퍼센트 이상으로 완료되었을 때에 한하여, 정해진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어떠한 멸균 장비를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멸균 수행의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의료 도구에 대응되는 멸균 장비(예: 멸균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 과정은, 미리 정해진 정보에 포함되는 테이블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서버는, 멸균 작업을 얼마나 자주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고, 이는 멸균을 수행할 대상 기관(예: 특정 병원, 시술소) 및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서버는, 미리 저장된 기준에 따라 사용할 멸균 장비가 결정되면,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할 수 있다. 생물학적 지표는,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가 얼마나 멸균이 잘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작용할 수 있다. 생물학적 지표는,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의 종류 또는 상태, 이용할 멸균 장비 등 미리 저장된 정보를 통해 식별할 수 있는 멸균과 연관된 정보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멸균과 연관된 정보는 멸균 관련 법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결정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전용 패키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서버는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한다.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는,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는 출력 수단,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는, 멸균 장비이거나,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가 존재하는 기관의 장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서버와 연결된 전자 장치를 통해 출력된 생물학적 지표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에 배치할 지시자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에 함께 배치된 지시자는, 멸균 수행 이후 사용자에게 새로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 수행 이후, 의료 도구에 배치된 지시자는 구성이 변경되거나,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새로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외부 장치로부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수신하는 동작은, 서버와 연결된 입력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변경된 지시자와 연관된 구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업로드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7)에서, 서버는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한다.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은, 멸균 수행 후, 의료 도구로부터 지시자를 회수한 후, 이를 배양하여 멸균의 정도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멸균 상태는,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결정된 멸균 상태 수준을 달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으로 귀결될 수 있다. 또한, 멸균 상태 결정 동작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결정된 멸균 상태는 멸균 수행 결과 정보로 변환되어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서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의 동작에 관한 다른 순서도이다.
단계(401)에서, 서버는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한다. 멸균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은, 도 3의 단계(307)과 동일하거나 상호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계(403)에서, 서버는 결정된 멸균 상태에 대응되는 수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결정된 멸균 상태를 수치화 된 데이터 또는 물리량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의 멸균 상태가 나쁨, 보통, 양호, 매우 양호 등으로 분류되는 경우, 단계(403)에서 서버는 각각의 상태를 그에 대응되는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쁨'은 50 미만, '보통'은 50 이상 80 미만, '양호'는 80이상 95 미만, '매우 양호'는 95 이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는 각각의 멸균 상태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 위한 기준 단위에 기반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서버는 결정된 수치가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멸균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적합하도록 멸균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멸균 상태에 대응하는 수치화 된 값과, 미리 정해진 기준치에 대응하는 임계 값을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값과 수치 값은 동일한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서버는 수치 값이 임계 값을 상회하는지, 오차 범위 내인지, 또는 얼마나 미달인지 등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서버는 결정된 수치가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멸균 재수행 요청 메시지를 출력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 서버는 결정된 수치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멸균 재수행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결정된 수치가 임계 값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에 따라 미리 정해진 멸균 목표 치를 만족하였는지 여부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407)와 같이 결정된 수치가 임계 값 이상일 때 멸균 재수행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의 경우, 임계 값은 멸균 수행의 대상이 되는 의료 도구에 존재하는 미처리된 잔여 세균에 대응하는 값일 수 있다. 이 때, 서버는 해당 의료 도구에 대한 멸균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멸균 재수행 요청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멸균 재수행 요청 메시지의 출력은 서버에 구비된 출력 장치를 통해 구현되거나, 출력 장치를 구비한 외부 전자 장치에 해당 메시지를 출력할 것을 요청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서버는 결정된 수치가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동작을 종료하거나, 멸균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멸균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은, 멸균 재수행 요청 메시지를 출력하는 동작과 동일하거나 상호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멸균 상태를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의 동작을 나열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멸균 상태 점검 시스템은, 멸균 검증 대행기관에 적용되는 경우와, 자체 멸균 검증을 수행하는 의료 기관에 수행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미용을 목적으로 인체(예: 피부 등)에 착색 등을 가하는 문신, 타투를 업으로 영위하는 '미용시술업소'의 경우, 자체 감염관리실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지 않으므로, 멸균 검증 대행 기관을 통해 멸균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를 구동하는 대행 기관은, 검증용 BI(biological indicator)를 해당 업소에 발송할 수 있다. 이 때, 검증용 BI는 멸균 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멸균 대상 기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BI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가 결정 및 송신하는 생물학적 지표와 연관될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전용 패키지일 수 있다.
이후, 대행 기관은, 결정된 BI를 질병관리청 기준에 따라 멸균 대상 기기에 함께 베치하고 멸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멸균 작업은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멸균 검증의 경우 반복되는 멸균기의 검증을 지속적으로 동일한 멸균 검증 결과를 얻기 위해 멸균 Validation을 실시할 수 있다. 이는, IQ(Installation Qualification), OQ(Operation Qualification), PQ(Performance Qualification) 세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이중 실제 멸균기 자체의 멸균이 제대로 되는지를 멸균대상물이 없는 상태에서 BI를 배치한 후 멸균 사이클을 가동시켜 BI가 사멸되는지를 확인하고, 멸균기 자체의 멸균 검증이 완료된 후 멸균 대상물을 적재해 놓은 상태에서 BI 검증을 수행하여 동일한 결과를 3회 수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멸균 완료 후, 멸균 대상 기기로부터 BI를 수거할 수 있다. 이때, 수거된 BI는 회수용 전용 패키지에 포함될 수 있다. 멸균 대상 기기로부터 BI를 수거하는 작업은 대행 기관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수거된 BI를 분석하고, 배양하여 멸균 검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생성된 멸균 검증 결과를, 의뢰자기관용 또는 관리 부처용 전용 인증이 요구되는 온라인 상에 업로드할 수 있다. 멸균 검증 결과는 검증 결과 즉, 대상 기기에 대한 현재 멸균 상태 뿐 아니라, 멸균 검증 주기에 기반한 이후 멸균 일정 등에 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검증 결과를 분석하여 대상 멸균이 충분하지 않거나 미리 정해진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멸균이 실패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멸균 대상 기기에 대한 사용법 및 적재 상태 등을 확인하여 재 검증을 하기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병원 등의 의료기관이나, 중소형 또는 개인 병원이거나 요양병원 등의 일부는, 자체 감염 관리실을 운영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나, 멸균 관련 법령에 의한 관리에 따라 멸균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의료기관의 경우, 대행 기관이 검증용 BI를 해당 의료기관에 발송하는 과정 및 대행기관이 멸균 완료 후 BI를 수거하는 동작을 생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를 때, 멸균 수행 및 결과 점검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의뢰기관의 멸균 대상, 멸균 대상별 적합한 멸균기, 검증 주기에 대한 상담 및 계약 체결
2) 계약 체결 기관에 검증 주기에 맞게 BI 전달 및 배치 절차 안내서 전달 (첫 계약 시 방문 상담 안내) : 배포 현황 온라인에 기재
3) 멸균 수행 시 멸균검증 주기에 따라 매주, 매일, 매월 같은 날짜에 멸균 수행 시 BI 배치 : 멸균 수행 시 BI 검증 배치 사항 온라인에 기재
4) 멸균 사이클 완료 후 배치 BI 회수 후 멸균 검증 대행업체에 택배발송 : 검증 대행업체 발송 후 택배번호 온라인에 기재
5) 대행업체 BI 회수 후 배양 실시
6) 대행업체 배양결과 (멸균 성공 또는 실패) 안내: 온라인에 결과내용 기재 (의뢰기관 및 규제기관에서 온라인으로 결과 확인)
  6-1) 멸균 검증 결과 실패 시 대행업체 멸균 검증 방법 재교육 
Figure pat00001
 멸균 결과 성공확인
  6-2) 멸균 검증 결과 실패 시 대행업체 멸균 검증 방법 재교육 후에도 멸균 결과 실패 시 멸균기의 이상 여부 점검 확인 보완 완료 후 멸균 결과 성공 확인 종료.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은,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의료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는 과정;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멸균 대상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멸균 대상에 기반하여 적합한 멸균 수행 장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생물학적 지표는, 상기 멸균 수행 장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멸균 대상은, 멸균 수행을 위한 상기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에 대응되는 수치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멸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도구에 대한 멸균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멸균 검증 주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생물학적 지표와 연관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장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의료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고,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고,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멸균 대상을 결정하고, 상기 멸균 대상에 기반하여 적합한 멸균 수행 장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생물학적 지표는, 상기 멸균 수행 장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멸균 대상은, 멸균 수행을 위한 상기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에 대응되는 수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멸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도구에 대한 멸균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멸균 검증 주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생물학적 지표와 연관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장치(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가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EM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장치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장치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통합 이전에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2)

  1. 인체에 대한 시술에 이용되는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는 과정;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는 과정;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 및 감염 구역과 무균 구역에서의 상기 도구의 공간과 표면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멸균 대상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멸균 대상에 기반하여 적합한 멸균 수행 장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생물학적 지표는, 상기 멸균 수행 장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멸균 대상은, 멸균 수행을 위한 상기 도구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에 대응되는 수치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멸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 및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도구에 대한 멸균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멸균 검증 주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생물학적 지표와 연관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상기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지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상기 서버가 생성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7. 인체에 대한 시술에 이용되는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기 위한 서버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에 이용되는 생물학적 지표를 결정하고,
    멸균 수행과 연관된 외부 장치로 상기 생물학적 지표를 송신하고,
    상기 멸균 수행에 따라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를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변경된 생물학적 지표에 기반하여 멸균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도구의 멸균 상태 점검 및 감염 구역과 무균 구역에서의 상기 도구의 공간과 표면의 멸균 상태 점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멸균 대상을 결정하고,
    상기 멸균 대상에 기반하여 적합한 멸균 수행 장치를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생물학적 지표는, 상기 멸균 수행 장치에 기반하여 결정되고,
    상기 멸균 대상은, 멸균 수행을 위한 상기 도구를 포함하는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에 대응되는 수치를 결정하고,
    상기 수치가 미리 정해진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에 대응하여, 멸균 완료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수치가 상기 임계 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도구에 대한 멸균을 다시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미리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멸균 검증 주기에 관한 정보를, 상기 생물학적 지표와 연관된 정보로서 상기 외부 장치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멸균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멸균 검증 결과 정보를 외부 서버로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지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한 정보 및 상기 서버가 생성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KR1020210124798A 2021-09-17 2021-09-17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041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98A KR20230041329A (ko) 2021-09-17 2021-09-17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98A KR20230041329A (ko) 2021-09-17 2021-09-17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329A true KR20230041329A (ko) 2023-03-24

Family

ID=8587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798A KR20230041329A (ko) 2021-09-17 2021-09-17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13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94919B (zh) 用于通过使用治疗管理系统管理医疗保健服务的方法
US20210194834A1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message construction and processing based upon historical data
US20160078747A1 (en) Intelligent presentation of alarms and messages in mobile health systems
US10983040B2 (en) Particle counter with integrated bootloader
KR20220004259A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원격진료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aguire et al. Shaping the future of digital technology in health and social care
US1064295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llecting, and configuring patient intervention screening information from a pharmacy
WO2020185938A1 (en) Population health platform
CN110335687A (zh) 远程会诊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40120080A1 (en) Machine learning models for automated request processing
KR20230041329A (ko) 멸균 상태를 점검 및 검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 Hamadi et al. Theorem proving verification of privacy in WBSN for healthcare systems
JP2011204206A (ja) 医療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30290493A1 (en) Medical device diagnostics and alerting
KR102388874B1 (ko) 감염병 환자 추적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프로그램
WO2022249407A1 (ja) アセスメント支援システム、アセスメント支援方法、及び記録媒体
CN111899844B (zh) 一种样本生成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WO2022170099A1 (en) Predicting adverse health events
KR20230000664A (ko) 문진 문항 자동생성 시스템 및 방법
CN113744897A (zh) 网络问诊方法、计算机装置和存储介质
Sharma et al. Intelligent Conversational Healthcare Chat-Bot System
KR20160086123A (ko) 전자 의무기록 제공 장치
US20240096481A1 (en) Scheduling healthcare-related services, emr access, and wound detection
US1165791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procedure management
Alkhaldi et al. Systemic design approach to reducing rates of unplanned hospital readmis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