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301A -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 Google Patents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301A
KR20230041301A KR1020210124737A KR20210124737A KR20230041301A KR 20230041301 A KR20230041301 A KR 20230041301A KR 1020210124737 A KR1020210124737 A KR 1020210124737A KR 20210124737 A KR20210124737 A KR 20210124737A KR 20230041301 A KR20230041301 A KR 20230041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racket
safe
releasing
lock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희
정윤석
김현진
강병찬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1301A/ko
Priority to PCT/KR2022/013793 priority patent/WO2023043227A1/ko
Publication of KR2023004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3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4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05Y2900/2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for metal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도어는, 바디부와,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와,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락킹유닛을 포함하고, 리락킹유닛은 액츄에이터와, 액츄에이터의 외형을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고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리락킹브라켓과,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장착되어 리락킹브라켓의 이동시, 락킹부를 구속하는 리락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DOOR FOR SAFE AND SAF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의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귀중품의 소유자 이외의 제3자가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귀중품을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금고는 제3자가 귀중품을 무단으로 가져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통하여 도어를 개폐한다. 즉, 평소에는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케이스에 대하여 닫힌 후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는 잠기지만, 사용자가 귀중품을 케이스 내부에 넣거나 뺄 경우에는 잠금장치가 해제되고 도어는 열릴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잠금장치를 파손하거나 도어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잠금장치의 락킹을 해제하는 경우 있다.
따라서, 금고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제3자에 의해 금고가 개방되더라도 경찰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금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고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금고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락킹유닛은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형을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리락킹브라켓; 및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락킹부를 구속하는 리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금고도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락킹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리락킹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락킹부를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리락킹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락킹부재는 상기 락킹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의 제1 메인로드에 고정 가능한 리락킹핀; 일단부가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락킹핀에 연결되며, 타단에 커넥팅홈이 형성된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의 끝단에 입출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홈에 장착되고, 상기 리락킹핀이 상기 메인지지부를 구속할 때,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커넥팅핀; 및 상기 커넥팅홈에서 상기 커넥팅핀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락킹브라켓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측부 및 하부를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는 브라켓 프레임부; 및 상기 리락킹핀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강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깨지도록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세이프티 글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걸림홀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락킹브라켓은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의 걸림홀에 걸려지도록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후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후크부는 상기 락킹부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로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가 승강될 때,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와 함께 승강되도록,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금고케이스; 및 상기 금고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금고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금고도어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및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락킹유닛은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형을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리락킹브라켓; 및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락킹부를 구속하는 리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금고.
또한, 상기 리락킹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리락킹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락킹부를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강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깨지도록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세이프티 글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락킹브라켓은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의 걸림홀에 걸려지도록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락킹유닛을 통해 락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금고에 대한 외부 공격시 세이프티 글라스가 깨지도록 하여, 락킹부를 리락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고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금고에 대한 불법적인 침투 시도가 발생되더라도, 금고 보안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금고의 개방을 최대한 늦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금고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태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금고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금고도어의 락킹부가 잠금 상태에 놓였을 때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도어의 주요 구성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도어의 주요 구성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락킹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후 방향 등의 방향에 대한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의 전후 방향은 도 1, 도 2, 도 4, 도 5 및 도 6에서 x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은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및 도 6에서 y축 방향일 수 있으며, 제2 방향은 z축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1)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고(1)는 사용자의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의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금고(1)는 보관된 귀중품이 사용자가 아닌 제3자에 의해 무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금고(1)는 금고케이스(10) 및 금고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금고케이스(10)는 내부에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금고케이스(10)는 금고도어(20)에 의해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금고케이스(10)는 외력에 의해 쉽게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금고케이스(10)는 드릴과 같은 도구로 쉽게 뚫리지 않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금고도어(20)는 금고케이스(10)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고도어(20)는 힌지를 통하여 금고케이스(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금고도어(20)는 후술할 락킹부(300)가 개방 상태에 놓이면 금고케이스(10)를 개폐하기 위하여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금고도어(20)는 금고케이스(10)의 입구를 폐쇄한 상태에서 락킹부(300)가 잠금 상태에 놓이면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락킹부(300)의 잠금 상태 해제 없이는 금고케이스(10) 내부를 개방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금고도어(20)는 바디부(100), 커넥터(200), 락킹부(300), 메인지지부(400), 핸들(600), 베이스부(700), 잠금유닛(800) 및 리락킹유닛(9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바디부(100), 커넥터(200), 락킹부(300), 메인지지부(400), 핸들(600) 및 베이스부(7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일 예로, 힌지를 통하여 금고케이스(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금고케이스(10) 내부를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의 전방측 외주면에는 핸들(6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00)는 핸들(60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핸들(600)을 당기면 바디부(100)는 핸들(600)을 지지한 채로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복수 개의 바디(110, 120, 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바디(110, 120, 13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 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110)는 금고케이스(10)의 내부 공간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와 제3 바디(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3 바디(130)는 외부와 대향하도록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 보다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서로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후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와 중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가 3겹의 구조로 배치됨으로써 최외측의 제3 바디(130)가 침입자에 의해 훼된된다 하더라도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에 의해 금고케이스(10) 내부는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침입자에 의해 금고(1)가 개방되더라도 침입자가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제3 바디(130) 모두를 뚫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바디부(100)의 이면(내측면), 보다 자세하게, 제1 바디(110)의 이면에는 세이프티 글라스(710)가 설치될 수 있다. 금고에 대한 불법적인 침투 시도가 발생되는 경우, 세이프티 글라스(710)가 깨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금고(1)에 대한 보안조치를 신속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핸들(600)의 회전운동을 메인지지부(40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일측이 핸들(600)과 연결되고, 타측이 메인지지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는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으며,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의 회전축은 핸들(600)의 회전축과 나란할 수 있으며, 동축(coaxial)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핸들(600)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할 경우 커넥터(200)는 핸들(600)에 대응하여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200)의 타측에 연결된 메인지지부(400)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200)에는 걸림구(420)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구(210)는 걸림구(420)가 삽입될 수 있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맞물림구(210)는 홀 형상을 가지는 걸림구(420)에 맞물릴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맞물림구(2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걸림구(420)는 맞물림구(210)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200)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면 커넥터(200)의 타측의 회전에 의해 메인지지부(400)는 직선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200)는 메인지지부(400)보다 후방측에서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될 수 있다.
락킹부(300)는 금고도어(20)를 금고케이스(10)에 대하여 락킹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잠금 상태 및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킹부(300)는 잠금 상태에 놓일 때, 바디부(100)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락킹부(300)가 바디부(100)로부터 돌출되어 락킹부(3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락킹부(300)는 개방 상태에 놓일 때,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즉, 락킹부(30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100)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지 않도록 바디부(100)로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되며, 메인지지부(400)의 이동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메인지지부(400)가 제1 방향 일측(예를 들어, 도 4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개방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락킹부(300)는 메인지지부(400)가 제1 방향 타측(예를 들어, 도 4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잠금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러한 락킹부(300)는 제1 락킹샤프트(310) 및 제2 락킹샤프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락킹샤프트(310)는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메인지지부(40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락킹샤프트(310)는 메인지지부(400)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1 락킹샤프트(3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 중 제2 방향(z축 방향)에 있어서 최외측에 배치된 일부는 바디부(100)의 제2 방향 양측 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제2 락킹샤프트(320)는 제2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락킹샤프트(310)는 메인지지부(400)의 제1 방향 이동에 의해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제2 락킹샤프트(32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락킹샤프트(320) 중 어느 일부는 바디부(1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락킹샤프트(320) 중 다른 일부는 바디부(100)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메인지지부(400)는 락킹부(300)를 지지하며, 바디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지지부(400)는 커넥터(200)의 회전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지지부(400)는 락킹부(300)가 잠금 상태 및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커넥터(20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지지부(400)는 락킹부(300)보다 후방측에서 락킹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지지부(400)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락킹샤프트(310)를 지지하기 위하여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메인지지부(400)에는 메인가이드(410), 걸림구(420), 제1 메인로드(440) 및 제2 메인로드(450)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가이드(410)는 제2 락킹샤프트(320)와 맞물리며, 제2 락킹샤프트(3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가이드(410)는 제1 메인가이드(411), 제2 메인가이드(412) 및 제3 메인가이드(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가이드(411)는 메인지지부(400)의 상측에 형성되며, 메인지지부(4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메인가이드(411)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예로 상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2 메인가이드(412)는 메인지지부(400)의 하측에 형성되며, 메인지지부(4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메인가이드(412)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 예로 하방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3 메인가이드(413)는 제1 메인가이드(411) 및 제2 메인가이드(4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메인지지부(4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메인가이드(413)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구(420)는 커넥터(200)의 맞물림구(21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420)는 메인지지부(400)로부터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420)는 커넥터(200)가 회전할 때, 커넥터(200)의 회전 동력을 메인지지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메인로드(440)는 메인지지부(400)의 상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로드(440)의 상부에는 리락킹유닛(900)의 리락킹부재(930)에 의해 구속이 가능한 로드홈(4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로드(440)의 하부에는 제2 잠금유닛(820)에 의해 구속이 가능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잠금유닛(820)이 제1 메인로드(440)의 홀에 삽입되면, 메인지지부(4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제2 메인로드(450)는 메인지지부(400)의 하부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인로드(450)의 상부에는 리락킹유닛(900)의 리락킹부재(930)에 의해 구속이 가능한 로드홈(44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메인로드(450)의 하부에는 제2 잠금유닛(820)에 의해 구속이 가능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잠금유닛(820)이 제2 메인로드(450)의 홀에 삽입되면, 메인지지부(4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핸들(60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들(600)은 바디부(100)에 지지되며, 적어도 일부가 바디부(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600)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 및 커넥터(200)와 연결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700)는 잠금유닛(800) 및 리락킹유닛(9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700)는 바디부(100)에 지지되며, 바디부(10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700)의 이면에는 세이프티 글라스(710)가 배치될 수 있다.
세이프티 글라스(710)는 베이스부(700)와 바디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세이프티 글라스(710)는 베이스부(700)보다 적어도 더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금고(1)에 대한 불법적인 침투 시도가 발생되는 경우, 외부 충격시에 의한 신속한 깨짐을 위해서, 세이프티 글라스(710)에는 리락킹유닛(900)의 브라켓 후크부(923)가 걸리도록 관통되는 걸림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도 6 참조).
금고(1)에 대한 불법적인 침투 시도가 발생되는 경우, 일 예로, 금고(1)에 대한 외부 공격으로 인해 바디부(100)가 떨어져 나갈 경우, 브라켓 후크부(923)에 의해 걸려 있는 걸림홀(711)의 주위가 손상되면서, 세이프티 글라스(710)는 깨어질 수 있다.
잠금유닛(800)은 메인지지부(400)의 이동, 다시 말해, 락킹부(3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유닛(800)은 제1 잠금유닛(810) 및 제2 잠금유닛(8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유닛(810)은 메인지지부(4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잠금유닛(810)은 잠금 위치 또는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제1 잠금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바가 잠금 위치로 이동되면 메인지지부(400)를 구속할 수 있으며, 제1 잠금바가 허용 위치에 이동되면 제1 잠금바는 메인지지부(4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잠금유닛(820)은 제1 메인로드(440) 및 제2 메인로드(450)를 통해 메인지지부(4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잠금유닛(820)은 잠금 위치 또는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제2 잠금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바가 잠금 위치로 이동되면 제1 메인로드(440) 및 제2 메인로드(450)를 구속할 수 있으며, 제2 잠금바가 허용 위치에 이동되면 제2 잠금바는 제1 메인로드(440) 및 제2 메인로드(45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도어(20)는 커넥터, 락킹부(300), 메인지지부(400)의 구성에 의해 용이하게 금고도어(20)를 잠그거나 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부(100)를 복수 개의 바디(110, 120, 130)로 구성하여, 침입자가 쉽게 바디부(100)를 뚫지 못하고, 금고(1)를 개방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대로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리락킹유닛(900)은 액츄에이터(910)를 보호하는 리락킹브라켓(920)을 통해 락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락킹부(300)가 잠금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강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세이프티 글라스(710)를 깨지도록 함으로써, 잠금유닛(800)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리락킹유닛(900)은 열쇠의 회전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리락킹유닛(900)이 구동되면, 리락킹유닛(900)은 락킹부(300)를 잠금 상태 및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락킹유닛(900)은 액츄에이터(910) 및 리락킹브라켓(920), 리락킹부재(930) 및 지지스프링(94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910)는 베이스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910)는 열쇠의 회전 또는 비밀번호의 입력시, 메인지지부(400)를 리칵킹을 위한 작동력을 익스텐션볼트(911)를 통해 리락킹부재(930)에 제공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910)는 리락킹브라켓(920)에 의해 외부 공격(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리락킹브라켓(920)은 액츄에이터(910)의 작동에 의해 승강 이동이 가능하도록 베이스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락킹브라켓(920)은 브라켓 프레임부(921), 브라켓 가이드홈부(922) 및 브라켓 후크부(9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리락킹브라켓(920)의 브라켓 프레임부(921)는 액츄에이터(910)의 외형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 프레임부(921)의 양측부에는 브라켓 가이드홈부(922)가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 프레임부(921)의 상단부에는 커넥팅로드(932)가 삽입되는 브라켓홀(921a)이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홈부(922)는 브라켓 프레임부(921)의 일측부에서 리락킹핀(931)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홈부(922)는 브라켓 프레임부(921)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리락킹브라켓(920)의 브라켓 후크부(923)는 브라켓 프레임부(921)의 타측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후크부(923)는 베이스부(700)를 관통하여 세이프티 글라스(710)의 걸림홀(711)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리락킹유닛(900)이 락킹부(300)를 잠금할 때, 브라켓 후크부(923)는 세이프티 글라스(710)의 걸림홀(711)에 걸려질 수 있다. 이때, 락킹부(300)가 잠금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강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브라켓 후크부(923)에 의해 걸린 상태의 세이프티 글라스(710)는, 외력에 의해 깨어질 수 있다. 세이프티 글라스(710)가 깨지면, 잠금유닛(800)이 작동되어, 잠금유닛(800)은 락킹부(300)를 락킹할 수 있다.
리락킹부재(930)는 리락킹브라켓(920)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리락킹부재(930)는 액츄에이터(910)의 작동에 따른 리락킹브라켓(920)의 이동에 의해, 승강되면서 메인지지부(400)의 제1 메인로드(440)를 구속할 수 있다. 이 리락킹부재(930)는 리락킹핀(931), 커넥팅로드(932), 커넥팅핀(933) 및 탄성스프링(934)을 포함할 수 있다.
리락킹부재(930)의 리락킹핀(931)은 메인지지부(400)의 제1 메인로드(440)를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예컨대, 리락킹브라켓(920)의 이동에 따른 하강시, 리락킹핀(931)은 메인지지부(400)의 제1 메인로드(440)에 형성된 로드홈(441)에 삽입되어, 제1 메인로드(440)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리락킹핀(931)의 상부에는 커넥팅로드(932)가 관통되는 관통홀(931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로드(932)는 리락킹브라켓(920)과 리락킹핀(93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로드(932)의 일단부는 리락킹브라켓(92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커넥팅로드(932)의 타단부는 리락킹핀(931)에 연결될 수 있다. 커넥팅로드(932) 타단에는 탄성스프링(934)이 내장된 커넥팅홈(932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팅핀(933)은 커넥팅로드(932)의 끝단에 입출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홈에 장착될 수 있다. 리락킹핀(931)이 메인지지부(400)를 구속할 때, 커넥팅핀(933)은 바디부에 형성된 고정홈(1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커넥팅핀(933)은 탄성스프링(934)에 의해 커넥팅홈(932a)에서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고도어(20)는, 금고(1)에 대한 불법적인 침투 시도가 발생되는 경우, 리락킹유닛(900)의 구성을 통해, 리락킹유닛(900)을 통해 락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금고에 대한 외부 공격시 세이프티 글라스가 깨지도록 하여, 금고(1)에 대한 보안조치를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금고
10: 금고케이스 20: 금고도어
100: 바디부 110: 제1 바디
120: 제2 바디 130: 제3 바디
200: 커넥터 210: 맞물림구
300: 락킹부 310: 제1 락킹샤프트
320: 제2 락킹샤프트 400: 메인지지부
410: 메인가이드 411: 제1 메인가이드
412: 제2 메인가이드 420: 걸림구
440: 제1 메인로드 450: 제2 메인로드
600: 핸들
700: 베이스부 710: 세이프티 글라스
800: 잠금유닛 810: 제1 잠금유닛
820: 제2 잠금유닛
900: 리락킹유닛 910: 액츄에이터
920: 리락킹브라켓 921: 브라켓 프레임부
921: 브라켓 가이드홈부 923: 브라켓 후크부
930: 리락킹부재 931: 리락킹핀
932: 커넥팅로드 932a: 커넥팅홈
933: 커넥팅핀 934: 탄성스프링

Claims (14)

  1.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락킹유닛은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형을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리락킹브라켓; 및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락킹부를 구속하는 리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금고도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락킹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리락킹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락킹부를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게 하는,
    금고도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를 지지하고, 상기 바디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메인지지부;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가지며, 타측은 상기 메인지지부에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리락킹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금고도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락킹부재는
    상기 락킹부를 구속하도록 상기 메인지지부의 제1 메인로드에 고정 가능한 리락킹핀;
    일단부가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락킹핀에 연결되며, 타단에 커넥팅홈이 형성된 커넥팅로드;
    상기 커넥팅로드의 끝단에 입출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팅홈에 장착되고, 상기 리락킹핀이 상기 메인지지부를 구속할 때, 상기 바디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커넥팅핀; 및
    상기 커넥팅홈에서 상기 커넥팅핀을 탄성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금고도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리락킹브라켓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측부 및 하부를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는 브라켓 프레임부; 및
    상기 리락킹핀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브라켓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금고도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강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깨지도록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세이프티 글라스를 더 포함하는,
    금고도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 걸림홀이 연장 형성되는,
    금고도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락킹브라켓은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의 걸림홀에 걸려지도록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후크부를 더 포함하는,
    금고도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후크부는
    상기 락킹부를 잠금하기 위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로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가 승강될 때,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와 함께 승강되도록, 상기 브라켓 프레임부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금고도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서로 간에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지지부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기 커넥터에 대응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어느 일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복수 개의 락킹샤프트 중 다른 일부는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금고도어.
  1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금고케이스; 및
    상기 금고케이스 내부의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금고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금고도어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된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일 수 있는 락킹부; 및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락킹부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리락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리락킹유닛은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형을 감싸는 브라켓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리락킹브라켓; 및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리락킹브라켓의 이동시, 상기 락킹부를 구속하는 리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금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락킹유닛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따른 상기 리락킹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락킹부를 잠금 상태 및 상기 잠금 상태로부터 이탈된 개방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놓이게 하는,
    금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가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강제 이동되도록 외력이 가해질 때, 깨지도록 상기 바디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세이프티 글라스를 더 포함하는,
    금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락킹브라켓은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의 걸림홀에 걸려지도록 상기 세이프티 글라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 후크부를 포함하는,
    금고.
KR1020210124737A 2021-09-17 2021-09-17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202300413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37A KR20230041301A (ko) 2021-09-17 2021-09-17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PCT/KR2022/013793 WO2023043227A1 (ko) 2021-09-17 2022-09-15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737A KR20230041301A (ko) 2021-09-17 2021-09-17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301A true KR20230041301A (ko) 2023-03-24

Family

ID=85603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737A KR20230041301A (ko) 2021-09-17 2021-09-17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41301A (ko)
WO (1) WO20230432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609B1 (ko) * 2007-06-29 2008-11-21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 잠금구조
KR101306900B1 (ko) * 2012-04-05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2B1 (ko) * 2012-05-03 2013-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KR101795210B1 (ko) * 2016-02-16 2017-1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CN211287219U (zh) * 2019-10-22 2020-08-1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重锁保险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43227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314B2 (en) Padlock
KR10072600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EP2586951B1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KR1013068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230041301A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900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2588264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588302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102588288B1 (ko)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KR20090002449A (ko) 도어 잠금구조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0869609B1 (ko) 도어 잠금구조
KR10072600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2568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5707368B2 (ja) 錠前防護装置
KR101199696B1 (ko) 도어잠금 안전장치
KR101306901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1131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JP5657911B2 (ja) 保管庫
CN107407107A (zh) 安全锁闭系统
RU2673993C1 (ru) Сейф
KR100716755B1 (ko) 도어 잠금구조
KR20140086427A (ko) 도어용 이중 잠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