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1182A - 약장 - Google Patents

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1182A
KR20230041182A KR1020210124487A KR20210124487A KR20230041182A KR 20230041182 A KR20230041182 A KR 20230041182A KR 1020210124487 A KR1020210124487 A KR 1020210124487A KR 20210124487 A KR20210124487 A KR 20210124487A KR 20230041182 A KR20230041182 A KR 20230041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container
medicine
discarded
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976B1 (ko
Inventor
문영호
곽광수
김덕기
한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디에스피
Priority to KR102021012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9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2Cabinets for shaving tackle, medicin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품을 보관하는 약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장으로의 약품 반입과 반출 및 폐기 관리가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약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장은 약품용기 반입 위한 상부도어(120)와 약품용기 반출 및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을 위한 약품용기 출입부(130)와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을 위한 하부도어(140)를 구비한 약품용기 보관함(100); 상기 상부도어를 통해 반입되는 약품용기들을 순차적으로 이동 및 보관하는 상부 슬라이딩 랙(200);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마킹을 실시하고 마킹여부를 감지하는 마커(300);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들이 순차적으로 이동 및 보관되는 하부 슬라이딩 랙(400);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된 인증부(500); 약품용기 보관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증부, 상부도어, 약품용기 출입부, 하부도어, 저울, 마커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600); 및 상기 인증부와 제어부가 취득한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서버(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약장{Drug storage box}
본 발명은 약품을 보관하는 약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장으로의 약품 반입과 반출 및 폐기 관리가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약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품 중에는 일반의약품과 같이 위험성이 적은 약품도 있으나, 전문의약품이나 향정신성의약품과 같은 위험성이 큰 약품도 존재한다.
이와 같이 위험성이 큰 약품들이 처방받지 않은 사람에게 투약되거나 처방보다 과다투약 되면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중독을 유발하는 등 심각한 부작용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현행 의료법 및 수의사법 등에서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를 비롯한 수의사, 약사 등에 대하여 의료목적으로 향정신성의약품을 관리하고 처방하도록 하는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아울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상,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 등이 마약을 저장하는 경우 이중으로 잠금장치가 설치된 금고에만 저장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이유로 병원, 약국, 연구실에서는 다량 다종의 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약장을 비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약장은 단순히 약품 분실 내지 도난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약품의 반입 및 반출이 수기로 기록되고 있어 관리에 큰 허점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사용 후 남은 약품은 재사용할 수 없도록 즉시 폐기가 원칙이지만, 종래의 약장은 사용 약품에 대한 폐기 관리가 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단순 실수나 악용하려는 의도에 의하여 폐기되지 않은 사용 약품이 약장 내에 재보관되고 재사용됨으로써 안전사고는 물론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를 종종 일으키고 있는바,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8341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안성이 높고 약품의 반입과 반출을 비롯한 폐기에 대한 모든 사항들을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약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약장은 약품용기 반입 위한 상부도어와, 약품용기 반출 및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을 위한 약품용기 출입부와,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을 위한 하부도어를 구비한 약품용기 보관함; 상기 상부도어를 통해 반입되는 약품용기들을 순차적으로 이동 및 보관하는 상부 슬라이딩 랙;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마킹을 실시하고 마킹여부를 감지하는 마커;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들이 순차적으로 이동 및 보관되는 하부 슬라이딩 랙;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된 인증부; 약품용기 보관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증부, 상부도어, 약품용기 출입부, 하부도어, 마커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증부와 제어부가 취득한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는 인증부의 인증을 통과한 관리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되며,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는 인증부의 인증을 통과한 인가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약품용기 출입부는 상부 슬라이딩 랙의 하단과 하부 슬라이딩 랙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약품용기 보관함의 중앙에 형성된 격실과, 상기 격실의 전면을 개방하는 제1도어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의 약품용기를 격실 내부로 배출시키는 제2도어와, 상기 격실의 바닥을 개방하여 격실 내부에 놓여진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를 하부 슬라이딩 랙으로 투입시키는 제3도어와, 상기 제3도어에 설치되어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저울이 측정한 폐기될 사용 약품 용기의 무게와 반출 당시 입력된 처방에 따른 사용양을 대비하여 과다 사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비정상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부는 인증을 요구에 따른 인가자의 영상과 음성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부; 인가자의 안면, 지문, 홍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싱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인가자에 한하여 인가자가 반입, 반출 및 폐기를 요청하는 약품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인가자가 요청한 반입, 반출 및 폐기 약품의 보관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는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의 격실로 반입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에 접촉하여 마킹을 수행하는 마킹프레스와,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의 격실로 반입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대하여 마킹 여부를 판별하는 비전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비전센서가 촬영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의 영상에서 마킹이 이미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의 내부에는 약품용기 보관함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공조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기의 제어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와 습도 정보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투입되는 약품용기의 수량과 반출되는 약품용기의 수량을 카운팅 하는 약품용기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슬라이딩 랙의 하부에는 반출되는 폐기될 약품용기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약품용기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마킹을 실시하고 감지하는 마커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약품용기 보관함으로 사용된 약품 및 폐기 처리된 약품용기의 재반입 및 재사용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므로 관리 및 감독에 대한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약품용기의 반입과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에 대한 접근권한과, 약품용기의 반출과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에 대한 접근권한을 서로 달리 부여하므로 보안성이 매우 높고 책임소재가 명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품 보관함의 내부에 제어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가 취득한 정보가 데이터서버에 저장되도록 구성되므로 외부인이 개입할 여지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약물의 오남용 및 부정사용을 보다 확실하게 막을 수 있게 되므로 약품관리 및 감독에 대한 신뢰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장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약품용기 출입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마킹이 완료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평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장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약품용기 출입부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마킹이 완료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장은 약품용기 보관함(100)과 상부 슬라이딩 랙(Sliding Rack; 200)과 마커(Marker;300)와 하부 슬라이딩 랙(400)과 인증부(500)와 제어부(600)와 데이터서버(700)로 구성된다.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100)은 약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철재 및 이에 준하는 강도를 가진 소재로 제작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약품용기의 반입을 위한 상부도어(120)와, 약품용기의 반출 및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을 위한 약품용기 출입부(130)와,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을 위한 하부도어(140)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도어(120)와 하부도어(140)는 인증을 통과한 관리자만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130)는 인증을 통과한 인가자만 개폐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인가자는 약품을 실제 사용하는 의사를 비롯한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담당자이며, 상기 관리자는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최상위 관리자를 비롯하여 약품의 사용 및 보관 현황을 파악하고 그 취급보고를 받아야 하는 의료감독기관(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관리공단, 보건소)이 여기에 포함되며 상기 인가자와 구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약품용기의 투입 및 반출과 폐기될 사용한 약품용기의 반입이 이루어지는 상부도어(120)와 폐기될 사용한 약품용기의 반출이 이루어지는 하부도어(140)의 접근 권한과, 약품용기의 반출과 반입이 이루어지는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접근권한을 서로 달리 설정함으로써, 약품관리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책임소재를 명확히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100)에는 약품용기 보관함(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에어컨, 히터, 팬 등의 공조기(1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슬라이딩 랙(200)은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도어(120)를 통해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200)은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상부에 지지되는 랙 프레임(210)과, 상기 랙 프레임(210)에 상하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된 약물용기 이송레일(2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상부도어(120)를 개방한 뒤 상부 슬라이딩 랙(200)의 상단으로 약품용기를 차례로 투입하기만 하면, 투입된 약품용기들이 이송레일(220)을 따라 상부 슬라이딩 랙(200)의 하단으로 순차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적층 보관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2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투입되는 약품용기의 수량과 반출되는 약품용기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약품용기 센서(230,240)가 설치될 수 있다.
약품용기 출입부(130)는 상부 슬라이딩 랙(200)과 하부 슬라이딩 랙(400) 사이에 위치되어 보관중인 약품용기의 반출 및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상부 슬라이딩 랙(200)의 하단 및 하부 슬라이딩 랙(400)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중앙에 형성된 격실(131)과, 상기 격실(131)의 전면을 개방하는 제1도어(132)와,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200)의 약품용기를 격실(131) 내부로 배출시키는 제2도어(133)와, 상기 격실(131)의 바닥을 개방하여 격실(131) 내부에 놓여진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를 하부 슬라이딩 랙(400)으로 투입시키는 제3도어(134)와, 상기 제3도어(134)에 설치되어 약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1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울(135)은 정밀한 무게 측정을 위하여 하중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 무게 측정 방식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격실(131) 내에는 마커(300)가 설치된다.
상기 마커(300)는 약품용기 출입부(130)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대하여 마킹을 실시하고 마킹여부를 감지한다.
이 경우, 상기 마커(300)는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격실(131)로 반입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A)에 접촉하여 마킹을 수행하는 마킹프레스(310)와,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격실(131)로 반입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대하여 마킹 여부를 판별하는 비전센서(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마커(300)는 마킹프레스(310)를 통해 뚜껑(A)에 잉크를 묻히는 스탬프 방식이나 뚜껑(A)을 강하게 가압하여 압흔을 형성시키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뚜껑(A)에 마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마커(300)는 마킹프레스(310) 대신 뚜껑(A)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마킹을 수행하는 레이저 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비전센서(320)는 협소한 격실(131)내 공간 점유를 최소화하도록 마킹프레스(310)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저울(135)의 상면에는 약품용기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 형상의 함몰부(1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울(135) 위로 이동한 약품용기는 상기 함몰부(136)에 자연스럽게 수용되면서 항상 정규위치에 유동없이 위치하게 되므로 정밀한 마킹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함몰부(136)의 중앙에는 약물용기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센서(137)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약품용기가 접촉센서(137)에 접촉됨이 확인된 경우에 한하여 마커(300)를 동작시킴으로써 정확한 마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격실(131)에는 상기 마커(300)와 마주하는 지지실린더(13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실린더(138)는 마커(130)가 함몰부(136)에 위치한 약품용기에 마킹을 수행하기 직전에 일정거리 신장됨으로써 마킹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약품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하부 슬라이딩 랙(400)은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100)을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들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보관한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 랙(400)의 하부에는 반출되는 폐기될 약품용기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카운팅하는 약품용기 센서(430)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 슬라이딩 랙(400)은 상부 슬라이딩 랙(200)과 그 구성이 유사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하부 슬라이딩 랙(400)은 하부도어(140)를 통해 개방이 이루어지게 되며, 하부도어(140)가 개방된 상태에서 보관 중인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들의 반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인증부(500)는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인가자 및 관리자의 신원확인을 비롯하여 신원이 확인된 관리자의 경우에는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내부 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조작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인증부(500)는 인증을 요구에 따른 인가자 및 관리자의 영상과 음성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부와, 인가자 및 관리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안면인식센서나 지문인식센서나 홍채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된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인가자 및 관리자에 한하여 인가자가 반입, 반출 및 폐기를 요청하는 약품용기의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와, 상기 인가자 및 관리자가 수행한 반입, 반출 및 폐기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한하여 시각과 청각을 통해 주위를 환기시키는 알람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부(500)는 센싱부를 통한 인증 이외에도 미리 저장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부를 통해 성공적으로 입력한 경우에 한하여 센싱부를 통한 인증절차가 개시되거나 완료되도록 하는 추가적인 인증과정을 추가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증부(500)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공조기(150)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약품용기 보관함(100) 내부의 온도와 습도 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입력부와 표시부는 인가자 및 관리자의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터치형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영상기록부는 입력부와 연동하는 별도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중 상기 카메라는 센싱부에 구비된 카메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한 인증 요구 행위가 발생할 경우(예를 들면, 입력부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를 통한 화면 구동, 마우스/키보드의 움직임, 음성명령, 외부버튼 등)에 상기 카메라를 통해 영상이 녹화되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녹음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알림부는 경광등과 스피커를 구비하며, 예를 들어 비인가자 및 비관리자의 접근이 확인되거나, 관리자 및 인가자가 요청한 반입, 반출 및 폐기 약품에 대한 보관정보가 후술할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된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등 설정된 정보와 불일치하는 모든 비정상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경광등과 스피커가 동작되면서 시각과 청각을 통한 주위 환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알림내역이 데이터서버(700)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인증부(500)를 비롯하여 상부도어(120), 약품용기 출입부(130), 하부도어(140), 저울(135), 마커(300)의 동작은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600)는 보안 강화를 위하여 약품용기 보관함(100)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와 인증부(500)는 데이터서버(700) 및 관리자의 단말기와 유선(LAN ; Local Area Network)은 물론 무선(USN ; Ubiquitous Sensor Network, WIFI ; Wireless-Fidelity)으로 연결되며, 상기 인증부(500)와 제어부(600)가 취득한 정보는 상기 데이터서버(700)측에 저장된다.
이 경우, 상기 관리자는 자신의 단말기로 실시간으로 약품용기의 반입, 반출 및 폐기 이력을 비롯한 전체적인 약장 관리 현황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약장을 통한 약품용기의 반입, 보관, 반출, 폐기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약장 내부로 약품용기를 반입시키고자 할 경우, 관리자는 인증부(500)를 통한 인증절차를 거처야 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관리자는 인증부(500)의 입력부와 표시부를 통해 보관 중인 다양한 약품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를 기반으로 약품용기의 반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관리자가 인증부(500)를 통해 반입시킬 약품용기의 수량을 입력한 뒤 상부도어(120)의 개방하고, 개방된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 슬라이딩 랙(200)으로 입력한 수량만큼 약품용기를 차례로 투입하면, 상부 슬라이딩 랙(200)에 설치된 약품용기 센서(230,240)는 투입되는 약품용기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카운팅하여 인증부(500)의 표시부로 출력한다.
이 때, 약품 관리의 편의상 반입되는 약품용기는 동종의 약품용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품용기의 투입이 완료되고 관리자가 입력부에 투입 종료를 입력하면 개방된 상부도어(120)가 폐쇄된다.
그리고, 관리자, 상부도어(120) 개폐 내역, 반입 시간, 반입 약품 수량 등 반입과 관련된 모든 기록들이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된다.
약품 반출시, 인자자는 관리자와 동일하게 인증부(500)를 통한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며, 인증에 성공하면 반출절차가 진행된다.
이에, 인가자가 입력부를 통해 반출할 약품용기의 수량과 처방에 따른 사용양을 입력하면, 제어부(600)가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제1도어(132)를 개방시킨 다음 상부 슬라이딩 랙(200)의 하단으로 보관 중인 약품용기들이 순차적으로 격실(131)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도어(133)를 개방시킨다.
약품용기의 반출이 완료되고 인가자가 입력부에 투입 종료를 입력하면 개방된 제1도어(132)와 제2도어(133)가 폐쇄된다.
그리고, 인가자, 제1도어(132), 제2도어(133) 개폐 내역, 반출 시간, 반출 약품용기 수량, 처방에 따른 사용양 등 반출과 관련된 모든 기록들이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된다.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를 반입시킬 경우에는 인가자가 입력부를 통해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 기록을 검색하여 선택하고 반입수량을 입력하면 제어부(600)가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제1도어(132)를 개방시킨다.
이에, 인가자가 개방된 제1도어(132)를 통해 격실(131) 바닥에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를 내려놓으면, 저울(135)을 통해 약품용기의 무게가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된다.
이때, 제어부(600)는 검출된 약품용기의 무게를 통해 반출 당시 입력된 처방에 따른 사용양과 대비하여 과다 사용 여부를 판단하며, 이상이 없는 경우 비전센서(320)를 동작시킨다.
상기 비전센서(320)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A)을 촬영하여 마킹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마킹(B)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상으로 판단하고 마킹프레스(310)를 동작시켜 마킹을 실시한다. 상기 마킹프레스(310)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A)에 접촉하여 마킹을 수행한다.
마킹이 완료되면, 약품용기 출입부(130)의 제3도어(134)가 개방되면서 하부 슬라이딩 랙(400)의 상단으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가 투입되고, 하부 슬라이딩 팩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순차적으로 적층 보관된다.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이 완료되고 인가자가 입력부에 반입 종료를 입력하면 개방된 제1도어(132)와 제3도어(134)가 폐쇄된다.
그리고, 인가자, 제1도어(132), 제3도어(134) 개폐 내역, 반입 시간, 반입 약품 용기 수량, 무게 등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과 관련된 모든 기록들이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된다.
만일, 상기 제어부(600)가 저울(135)이 측정한 폐기될 사용 약품 용기의 무게와 반출 당시 입력된 처방에 따른 사용양을 대비하여 과다 사용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비전센서(320)가 촬영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A)의 영상을 통해 마킹(B)이 이미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비정상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진행중인 반입절차를 중지함과 동시에 알람부를 동작시키고 표시부를 통해 경고메시지를 출력하여 인가자로 하여금 약품 용기의 재확인 및 이에 따른 합당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울러, 이러한 비정상 이벤트에 대한 내역은 데이터서버(700)에 기록된다.
한편, 약품용기 보관함(100)에 보관되는 폐기될 약품용기들은 하부도어(140)를 관리하는 관리자를 통해 주기적으로 폐기된다.
상기 관리자는 인증부(500)를 통한 인증절차를 거치게 되며, 인증에 성공하면 폐기절차가 진행되면서 하부도어(140)가 개방된다.
하부도어(140)가 개방되면, 약품용기 보관함(10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슬라이딩 랙(400)으로부터 폐기될 약품용기들을 차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 슬라이딩 랙(400)에 설치된 약품용기 센서(430)는 반출되는 폐기될 약품용기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카운팅하여 인증부(500)의 표시부로 출력한다.
폐기될 약품용기의 반출이 완료되고 인가자가 인증부(500)의 입력부에 반출 종료를 입력하면 개방된 하부도어(140)가 폐쇄된다.
그리고, 관리자, 하부도어(140) 개폐 내역, 반출 시간, 반출된 폐기될 사용 약품 용기의 수량 등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과 관련된 모든 기록들이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약장은 사용 약품용기에 대한 실제 폐기 여부는 물론 폐기량과 약품용기의 사용 이력 등 일련의 모든 데이터가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되기 때문엔 사후 확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약품에 대한 책임과 관리소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반출 및 반입하는 약품 용기에 대한 모든 이력이 데이터서버(700)에 저장되며, 이러한 데이터들의 입출력 역시 약품용기 보관함(100)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600)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허가받지 않은 외부로부터의 부정적 개입이 물리적으로 원천 차단되면서 보안성이 매우 높아진다.
그리고, 데이터서버(700)에서 관리되는 모든 정보들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으로 의료감독기관(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관리공단, 보건소)으로의 취급보고가 이루어지게 되며, 필요할 경우 상기 의료감독기관의 요청에 따라 원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병원이나 약국 또는 연구소에서 취급되는 관리 대상 약품에 대한 통합 관리 감독이 수월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약장은 약품용기 보관함(100)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약품 용기의 반입, 반출, 폐기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권한이 없는 외부의 개입할 여지가 전혀 없을 정도로 보안성이 높아 약물의 오남용 및 부정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약품관리 및 감독에 대한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약품용기 보관함 120...상부도어
130...약품용기 출입부 131...격실
132...제1도어 133...제2도어
134...제3도어 135...저울
140...하부도어 150...공조기
200...상부 슬라이딩 230,240,430...약품용기 센서
300...마커 310...마킹프레스
320...비전센서 400...하부 슬라이딩 랙
500...인증부 600...제어부
700...데이터서버 A...뚜껑
B...마킹

Claims (10)

  1. 약품용기 반입 위한 상부도어와, 약품용기 반출 및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입을 위한 약품용기 출입부와,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반출을 위한 하부도어를 구비한 약품용기 보관함;
    상기 상부도어를 통해 반입되는 약품용기들을 순차적으로 이동 및 보관하는 상부 슬라이딩 랙;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마킹을 실시하고 마킹여부를 감지하는 마커;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를 통해 반입되는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들이 순차적으로 이동 및 보관되는 하부 슬라이딩 랙;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의 전면에 설치된 인증부;
    약품용기 보관함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증부, 상부도어, 약품용기 출입부, 하부도어, 마커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정상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증부와 제어부가 취득한 정보가 입력되는 데이터서버를 포함하는 약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도어와 하부도어는 인증부의 인증을 통과한 관리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되며;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는 인증부의 인증을 통과한 인가자에게만 접근이 허락되도록 한 약장.
  3. 제 1항에 있어서,
    약품용기 출입부는
    상부 슬라이딩 랙의 하단과 하부 슬라이딩 랙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약품용기 보관함의 중앙에 형성된 격실;
    상기 격실의 전면을 개방하는 제1도어;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의 약품용기를 격실 내부로 배출시키는 제2도어;
    상기 격실의 바닥을 개방하여 격실 내부에 놓여진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를 하부 슬라이딩 랙으로 투입시키는 제3도어; 및
    상기 제3도어에 설치되어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을 구비한 약장.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울이 측정한 폐기될 사용 약품 용기의 무게와 반출 당시 입력된 처방에 따른 사용양을 대비하여 과다 사용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비정상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약장.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
    인증을 요구에 따른 인가자의 영상과 음성을 녹화하여 저장하는 영상기록부;
    인가자의 안면, 지문, 홍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식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싱부;
    상기 센싱부를 통해 인증이 완료된 인가자에 한하여 인가자가 반입, 반출 및 폐기를 요청하는 약품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인가자가 요청한 반입, 반출 및 폐기 약품의 보관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약장.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의 격실로 반입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에 접촉하여 마킹을 수행하는 마킹프레스; 및
    상기 약품용기 출입부의 격실로 반입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에 대하여 마킹 여부를 판별하는 비전센서를 구비한 약장.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전센서가 촬영한 폐기될 사용 약품용기의 뚜껑의 영상을 통하여 마킹이 이미 존재하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비정상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약장.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용기 보관함의 내부에는 약품용기 보관함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공조기가 구비되고;
    상기 공조기의 제어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와 습도 정보는 상기 인증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도록 한 약장.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딩 랙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투입되는 약품용기의 수량과 반출되는 약품용기의 수량을 카운팅 하는 약품용기 센서가 설치된 약장.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슬라이딩 랙의 하부에는 반출되는 폐기될 약품용기의 수량을 카운팅하는 약품용기 센서가 설치된 약장.
KR1020210124487A 2021-09-17 2021-09-17 약장 KR10257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487A KR102573976B1 (ko) 2021-09-17 2021-09-17 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487A KR102573976B1 (ko) 2021-09-17 2021-09-17 약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182A true KR20230041182A (ko) 2023-03-24
KR102573976B1 KR102573976B1 (ko) 2023-09-04

Family

ID=85872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487A KR102573976B1 (ko) 2021-09-17 2021-09-17 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97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13436A1 (ja) *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管理方法
KR101194189B1 (ko) * 2010-04-06 2012-10-25 (주)제이브이엠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
JP2015043893A (ja) * 2013-08-28 2015-03-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薬剤監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19306B1 (ko) * 2014-09-05 2015-05-11 박의식 시럽 약제 포장장치
KR101583411B1 (ko) 2014-04-21 2016-01-07 이준종 마약류 보관 장치
KR101852929B1 (ko) * 2017-02-23 2018-06-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화기기를 통한 병원용 마약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병원용 마약류 관리 방법
JP6590108B2 (ja) * 2007-10-23 2019-10-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0108B2 (ja) * 2007-10-23 2019-10-1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WO2010113436A1 (ja) * 2009-03-31 2010-10-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薬剤管理方法
KR101194189B1 (ko) * 2010-04-06 2012-10-25 (주)제이브이엠 약품보관 및 약품 인출입 자동화 관리시스템
JP2015043893A (ja) * 2013-08-28 2015-03-1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薬剤監査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83411B1 (ko) 2014-04-21 2016-01-07 이준종 마약류 보관 장치
KR101519306B1 (ko) * 2014-09-05 2015-05-11 박의식 시럽 약제 포장장치
KR101852929B1 (ko) * 2017-02-23 2018-06-0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화기기를 통한 병원용 마약류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병원용 마약류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976B1 (ko) 202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30534A1 (en) Access controlled medication storage and inventory control apparatus
KR101710222B1 (ko) 긴급 접근 약물 분배 스테이션
US201302537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site distribution of medications and medical supplies
US201700610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dside medication dispensing
KR102095902B1 (ko) 중량센서를 이용하여 반출입 및 현재 향정신성의약품의 잔량정보와 같은 정보상태를 안정적이고 빠르고 정확히 실시간 자동 전송 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관리장치
US10417850B2 (en) Tracking and access system
US110596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erting unauthorized access into a container
US20230147994A1 (en) Integrated device and system for remote medications management
JP5118254B2 (ja) 薬剤管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薬剤管理装置
CN114365232A (zh) 用于药物的智能废物站
KR102573976B1 (ko) 약장
KR101816606B1 (ko) 다양한 전자 센서 모듈에 의한 마약류를 포함하는 특별 관리 의료 제품의 저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131331A (ko) 의약품 반출입 및 조제 관리 장치
KR20220073887A (ko) 약장 관리 시스템
KR102198610B1 (ko) 사물인터넷기술과 하나되어 온습도 기능을 제어하고 필요한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향정신성의약품 자동 관리장치
KR20190008669A (ko) 스마트 약물보관 장치를 활용한 원격 약물관리 시스템
JP2014211364A (ja) 放射性物質管理システムおよび放射性物質管理方法
US20220402696A1 (en) Integrate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drug dispensing
KR101562338B1 (ko) 약제 관리 장치 및 약제 관리 장치용 카트리지
JP2023183199A (ja) 調剤薬局管理システム
US20060282300A1 (en) System for influencing and monitoring the movement of products
KR20220008477A (ko) 스마트 캐비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