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602A -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602A
KR20230040602A KR1020210123948A KR20210123948A KR20230040602A KR 20230040602 A KR20230040602 A KR 20230040602A KR 1020210123948 A KR1020210123948 A KR 1020210123948A KR 20210123948 A KR20210123948 A KR 20210123948A KR 20230040602 A KR20230040602 A KR 20230040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ble tray
construction method
concret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후락
Original Assignee
이후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후락 filed Critical 이후락
Priority to KR1020210123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602A/en
Publication of KR2023004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6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64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concrete
    • E04B2/6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concrete made by filling-up wall cav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02D27/016Flat foundations made mainly from prefabricated concret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2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low bending resistance
    • E04C5/04M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applies concrete to construct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ithout dismantling a formwork after using a cable tray as the formwork for applying the concrete.

Description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으로 이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 해체 작업없이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이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ithout dismantling the formwork by placing concrete after using a cable tray as a formwork for concrete placement.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건축물은 콘크리트 기초 매트 상에 벽체가 세워지는 위치에 먹줄 작업을 수행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벽체에 대응되는 위치에 거푸집을 조립하여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을 통해 시공된다.In general, buildings with reinforced concrete perform ink-line work at the position where the wall is built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place the reinforcing bars, assemble and form a formwork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ll, pour concrete, and dismantle the formwork. It is built through the process of

종래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 방법은 벽체에 해당하는 부분에 유로폼이라 불리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경화한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the process of dismantling the formwork after installing a formwork called Euroform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wall, pouring and hardening the concrete is essential, so the work is cumbersome and the air is long.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트레이를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으로 이용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푸집 해체 작업없이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이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without dismantling the formwork by using the cable tray as a formwork for concrete pouring and then pouring the concrete.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기초매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에 건축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외부를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lacing a concrete foundation mat; Establishing a frame frame with a cable tray on a concrete foundation mat; arranging reinforcing bars in the frame frame and installing construction equipment in the frame frame; clos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uring by pouring concrete in the frame frame.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의 벽체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 라인 상에 규격에 맞는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되, 벽체의 양단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여 수직 골조 틀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 골조 틀 상에 수평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배치하여 수평 골조 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stablishing a frame frame with a cable tray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includes forming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location of the wall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Install a cable tray that meets the standard on the guide line, install cable trays at both ends and inside of the wall at regular intervals to install a vertical frame frame, and place the cable tray horizontally on the vertical frame frame to construct a horizontal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the step of installing the frame.

벽체의 구조적 보강을 위해 상기 수직 골조 틀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수평으로 보조 케이블 트레이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rranging auxiliary cable trays horizontally between the cable trays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of the wall.

상기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는 수직 골조 틀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 바에 철근을 올려 수평근을 배근하고, 상기 수평근을 직교하는 수직을 배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arranging the reinforcing bars may include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on the inner bar of the cable tray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frame, arranging horizontal bars, and placing vertical bars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bars.

상기 골조 틀 내외부를 마감하는 단계는 골조 틀 내부에 내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골조 틀 외부에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마감재는 단열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마감재는 CRC 보드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일체화되기 때문에 별도의 석고보드로 내부 마감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감 공정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p of finish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includes attaching an internal finish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frame frame and attaching an external finish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frame frame; Since the external finish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the internal finish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CRC board and integrated after concrete pouring,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n internal finishing work with a separate gypsum board, thereby shortening the period of the finishing process. .

그리고 상기 골조 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이전에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반생홀을 형성하고, 내부 마감재 외부면에 제 1 보강재를 부착하고; 상기 제 1 보강재가 형성된 마감재 외면에 제 2 보강재를 상기 제 1 보강재와 직교하여 맞닿도록 배치한 후 반생을 반생홀에 관통시켜 상기 제 2 보강재를 단단히 고정하여 상기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의 구조를 보강하고 단단히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before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in the frame frame, forming a plurality of half-holes penetrating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and attaching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inishing material; The structure of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by arranging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o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is formed so as to orthogonally contact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and then passing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through the half-saeng hole to firmly fix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reinforcing and firmly fixing.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은 케이블 트레이가 관형 설비의 이동 통로가 아닌 거푸집 및 골조 틀 역할을 담당하여 별도의 거푸집 없이 케이블 트레이를 골조 틀로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거푸집 해제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가 구조재로 역할을 담당하므로 건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tray serves as a formwork and frame frame rather than a movement passage for tubular facilities, so that the cable tray is formed as a frame frame without a separate formwork and then the formwork is released by pouring concrete. Since the process is unnecessary,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and since the cable tray serves as a structural material, it has an excellent effect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build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계별 시공 사진도이다.
도 3은 케이블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ep-by-step construction photograph of Figure 1.
3 schematically shows a cable tray.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단계별 시공 사진도이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ep-by-step construction photograph of FIG.

케이블 트레이는 건물을 통해 와이어, 케이블 및 도관 등의 관형 설비를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건축 자재로 활용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관형 설비의 이동 통로가 아닌 거푸집 및 골조 틀 역할을 담당한다. A cable tray is used as a building material for safely transporting tubular facilities such as wires, cables, and conduits through a building,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ble tray serves as a formwork and frame frame rather than a moving passage for tubular facilities.

본 발명은 별도의 거푸집 없이 케이블 트레이를 골조 틀로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거푸집 해제 공정이 불필요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으며 케이블 트레이가 구조재로 역할을 담당하므로 건물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able tray is formed as a frame frame without a separate formwork and then concrete is poured, a formwork release process is not required, which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ince the cable tray plays a role as a structural material, the rigidity of the building can be reinforced.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 기초매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에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외부를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and 2, th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lacing a concrete foundation mat, erecting a frame frame with a cable tray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placing reinforcing bars in the frame fram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step of installing equipment to the frame frame, the step of finish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and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rame frame.

도 2a는 콘크리트 기초 매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먹줄작업을 하는 것을 도시한 사진도이다.Figure 2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laying of a concrete foundation mat and the ink line work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골조 틀 역할을 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시공하기 위한 기초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로 통상의 건물 바닥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방법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The step of placing the concrete foundation mat is a step of forming a foundation floor for constructing a cable tray serving as a frame frame, and is the same as a concrete pouring method for constructing a general floor layer of a building,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b는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여 조립하는 것을 도시한 사진도이고, 도 2c는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것을 도시한 사진도이다.Figure 2b is a photograph showing connecting and assembling cable trays, and Figure 2c is a photograph showing erecting a frame frame with cable trays.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의 벽체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 라인 상에 규격에 맞는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p of erecting a frame frame with a cable tray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may include forming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wall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and installing a cable tray that meets the standard on the guide line. there is.

상기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는 벽체 위치에 대응되는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라인을 표시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통상의 먹줄 작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The step of forming the guide line is to guid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able tray by marking the line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wall, and can be performed by a normal ink line operation.

여기서, 상기 벽체는 시공 후 벽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벽체 외곽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여 벽체 외형이 형성된다.Here, the wall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all is formed after construction, and a cable tray is installed outside the wall to form the wall exterior.

도 3은 케이블 트레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3 schematically shows a cable tray.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규격품으로 다양한 넓이(W)와 높이(H)로 제작될 수 있으며, 벽체의 두께 및 높이에 맞은 케이블 트레이를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체의 두께가 200mm인 경우 넓이(W)가 200mm인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cable tray may be manufactured as a standard product in various widths (W) and heights (H), and a cable tray suitable for the thickness and height of the wall may be selected and constructed.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of the wall is 200mm, it can be constructed using a cable tray with a width (W) of 200mm.

즉, 케이블 트레이의 넓이(W)는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고, 케이블 트레이의 높이(H)는 벽체의 높이에 대응된다.That is, the width W of the cable tray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and the height H of the cable tra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wall.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는 벽체의 양단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여 수직 골조 틀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 골조 틀 상에 수평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배치하여 수평 골조 틀을 설치하여 완성될 수 있다. The step of installing the cable tray is completed by installing cable trays at both ends and inside of the wall at regular intervals to install a vertical frame frame, and placing the cable tray horizontally on the vertical frame frame to install a horizontal frame frame. can

상기 수직 골조 틀 설치시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의 기초 철근과 케이블 트레이가 만나는 경우 용접으로 고정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When the vertical frame frame is installed, when the foundation reinforcing bars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and the cable tray meet, it can be fixed and finished by welding.

상기 수직 골조 틀을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 설치 간격은 건물의 하중과 벽체의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창문, 도어와 같은 개구부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cable tray installation interval forming the vertical frame fram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building and the length of the wall,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ize of openings such as windows and doors.

그리고 벽체의 구조적 보강을 위해 상기 수직 골조 틀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수평으로 보조 케이블 트레이를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uxiliary cable trays may be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cable trays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frame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of the wall.

또한, 창문 또는 도어와 같이 벽체 내에 개구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개구부의 좌우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직 골조 틀을 형성하고, 상하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 케이블 트레이를 연결하여 시공하여 개구부의 위치를 고려한 벽체 시공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an opening is formed in a wall such as a window or a door, a vertical frame fram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opening, and a horizontal cable tray is connected and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wall construction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opening. this is possible

도 2d는 케이블 트레이로 구성된 골조 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것을 도시한 사진도이다.Figure 2d is a photograph showing the arrangement of reinforcing bars in a frame frame composed of cable trays.

상기 케이블 트레이를 통해 벽체에 대응되는 골조 틀이 형성되면 상기 골조 틀 내에 철근을 배근한다.When a frame frame corresponding to the wall is formed through the cable tray, reinforcing bars are placed in the frame fram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는 수직 골조 틀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 바에 철근을 올려 수평근을 배근하고, 상기 수평근을 직교하는 수직을 배근하여 완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arranging the reinforcing bars may be completed by placing the reinforcing bars on the inner bar of the cable tray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frame, arranging horizontal bars, and placing vertical bars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bars.

케이블 트레이는 양 측의 메인 프레임 사이에 복수 개의 내부 바 가가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사다리 형상을 가진다.The cable tray has a ladder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inner bars are installed between main frames on both sides at regular intervals.

따라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세워져서 수직 골조 틀을 형성하면 복수 개의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내부 바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므로 상기 내부 바가 수평 기준을 잡아 주기 때문에 상기 내부 바 상에 철근을 올려놓는 것만으로 손쉽게 수평근을 배근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cable tray is erected to form a vertical frame, the inner bars of the plurality of cable trays are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so that the inner bars hold the horizontal standard, so that the horizontal bars are easily placed on the inner bars. can be assigned.

그리고 수평근을 수직으로 교차하는 수직근을 위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수직근을 배근할 수 있다.In addition, vertical muscles can be rearranged by locating and fixing vertical muscles that cross horizontal muscles vertically.

결국, 상기 케이블 트레이가 수직 및 수평의 기준을 잡아주기 때문에 초보자도 손쉽게 배근할 수 있다.After all, since the cable tray holds vertical and horizontal standards, even a novice can easily arrange the wires.

도 2e는 골조 틀 내에 설비를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사진도이다.Figure 2e is a photograph showing the installation of equipment in the frame frame.

철근 배근이 완료되면, 상기 골조 틀에 건축 설비를 설치한다. When the reinforcement is completed, construction equipment is installed on the frame frame.

여기서, 상기 설비는 벽체 내외에 설치되는 모든 설비를 의미하고, 전선, 배전판, 전기 시설과 같은 전기 설비와 상하수도, 오수관과 같은 건축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acilities refer to all facilitie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wall, and may include electrical facilities such as wires, distribution boards, and electrical facilities, and building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and sewage pipes and sewage pipes.

이어서, 상기 골조 틀 내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한다.Subsequently, a finish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도 2f는 골조 틀 내부에 내부 마감재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g는 골조 틀 외부에 외부 마감재를 시공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f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interior finish on the inside of the framing frame, and Figure 2g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exterior finish on the outside of the framing fram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조 틀 내외부를 마감하는 단계는 골조 틀 내부에 내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골조 틀 외부에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finish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may include attaching an internal finishing material to the inside of the frame frame and attaching an external finishing material to the outside of the frame frame.

상기 내부 마감재는 CRC 보드나 합판 자재와 같은 통상의 내부 마감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마감재를 CRC 보드로 부착할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일체화되기 때문에 석고보드로 내부 마감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감 공정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The internal finishing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conventional internal finishing material such as a CRC board or a plywood material. Here, when the internal finish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CRC board, since it is integrated after concrete is poured,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internal finishing work with the gypsum board, so the air of the finishing process can be shortened.

그리고 상기 외부 마감재는 스카이텍 단열재, EPS 단열재, 가등급 수성연질폼, 셀룰로오스 단열재와 같은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rnal finishing material may be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kytec heat insulating material, EPS heat insulating material, grade A water-based soft foam, and cellulose heat insulating material.

상기와 같이 골조 틀 내외부에 마감재가 부착되면, 상기 골조 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When the finish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as described above, concrete is poured inside the frame frame.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는 골조 틀 내외부를 보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crete pouring step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도 2g는 골조 틀 내외부 마감재에 반생홀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2i는 골조 틀 내외부 마감재에 보강재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2g shows that half-holes are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finishing materials of the frame frame, and Figure 2i shows that reinforcing materials are formed in the inner and outer finishing materials of the frame frame.

본 발명은 거푸집을 대체하여 케이블 트레이로 벽체를 이루는 골조 틀을 형성한 후 골조 틀 내외를 마감재로 마감한 후 골조 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해 마감재가 파손되거나 휨이나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forming a frame frame that forms a wall with a cable tray instead of a formwork,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is finished with a finishing material, and then concrete is poured inside the frame frame. etc. may occur.

따라서, 상기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의 구조를 보강하고 단단히 고정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and firmly fix the structure of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보다 구체적으로,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반생홀을 드릴 등의 공구를 통해 형성하고, 상기 외부면에 제 1 보강재를 부착한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half holes passing through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are formed using a tool such as a drill, and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상기 제 1 보강재는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 외면에 상하 방면으로 일정 간격마다 수평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reinforcing member may be horizontally fix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그리고 상기 제 1 보강재가 형성된 마감재 외면에 제 2 보강재를 상기 제 1 보강재와 직교하여 맞닿도록 배치한 후 반생을 반생홀에 관통시켜 상기 제 2 보강재를 단단히 고정한다. Then, after arranging a second reinforc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o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is formed so as to orthogonally contact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is firmly fixed by penetrating the half-saeng through the half-saeng hole.

상기 제 1 및 2 보강재는 목재, 합성수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막대 형상으로 단면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보강재는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금속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aterials may be made of wood,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may have a rod shape and have a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such as polygons, circles, ovals, etc., and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s may be made of metal pipes to increase fixing power.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여기서, 상기 제 1 보강재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보강재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상호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reinforc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member may be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disposed and fixed in opposite directions.

도 2j는 골조 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을 도시한 사진도이다.Figure 2j is a photograph showing that concrete is poured into a frame frame.

상기와 같이 골조 틀 내외부에 제 1 및 2 보강재가 고정 설치되면, 내벽, 외벽, 창틀 등을 콘크리트 타설에 부합하도록 보강작업을 마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materials are fixedly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frame frame, concrete is poured after finishing the reinforcing work so that the inner wall, the outer wall, the window frame, etc. conform to the concrete casting.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Claims (6)

콘크리트 기초매트를 타설하는 단계와;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에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에 건축 설비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외부를 마감하는 단계와;
상기 골조 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placing a concrete foundation mat;
Establishing a frame frame with a cable tray on a concrete foundation mat;
arranging reinforcing bars in the frame frame and installing construction equipment in the frame frame;
clos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frame fra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에 케이블 트레이로 골조 틀을 세우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기초매트 상의 벽체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이드 라인 상에 규격에 맞는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되, 벽체의 양단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하여 수직 골조 틀을 설치하고, 상기 수직 골조 틀 상에 수평으로 케이블 트레이를 배치하여 수평 골조 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building a frame frame with a cable tray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Forming a guide line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wall on the concrete foundation mat;
Install a cable tray that meets the standard on the guide line, install cable trays at both ends and inside of the wall at regular intervals to install a vertical frame frame, and place the cable tray horizontally on the vertical frame frame to construct a horizontal frame A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a frame.
제 2항에 있어서,
벽체의 구조적 보강을 위해 상기 수직 골조 틀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수평으로 보조 케이블 트레이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2,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rranging auxiliary cable trays horizontally between the cable trays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frame for structural reinforcement of the wal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을 배근하는 단계는
수직 골조 틀을 이루는 케이블 트레이의 내부 바에 철근을 올려 수평근을 배근하고, 상기 수평근을 직교하는 수직을 배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rranging the rebar is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ment is placed on the inner bar of the cable tray constituting the vertical frame frame,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placed,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arrang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틀 내외부를 마감하는 단계는
골조 틀 내부에 내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와 골조 틀 외부에 외부 마감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마감재는 단열재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마감재는 CRC 보드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일체화되기 때문에 별도의 석고보드로 내부 마감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마감 공정의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inish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including attaching an internal finish to the inside of the framing frame and attaching an external finish to the outside of the framing frame;
The external finish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od of the finishing process can be shortened because the internal finishing material is composed of a CRC board and integrated after concrete pouring, so there is no need to perform internal finishing work with a separate gypsum bo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 틀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이전에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반생홀을 형성하고, 내부 마감재 외부면에 제 1 보강재를 부착하고;
상기 제 1 보강재가 형성된 마감재 외면에 제 2 보강재를 상기 제 1 보강재와 직교하여 맞닿도록 배치한 후 반생을 반생홀에 관통시켜 상기 제 2 보강재를 단단히 고정하여 상기 골조 틀 내외부에 부착된 마감재의 구조를 보강하고 단단히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콘크리트 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Prior to the step of curing by pouring concrete in the frame
Forming a plurality of half holes penetrating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and attaching a first reinforcing materi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finishing material;
The structure of the finishing material attached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frame frame by arranging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nishing material on which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is formed so as to orthogonally contact the first reinforcing material, and then passing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through the half-saeng hole to firmly fix the second reinforcing material.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inforcing and firmly fixing.
KR1020210123948A 2021-09-16 2021-09-16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KR202300406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48A KR20230040602A (en) 2021-09-16 2021-09-16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948A KR20230040602A (en) 2021-09-16 2021-09-16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602A true KR20230040602A (en) 2023-03-23

Family

ID=8579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948A KR20230040602A (en) 2021-09-16 2021-09-16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602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702A (en) Build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AU727062B2 (en) Pre-cast concrete panels for construction of a building
CA2515662A1 (en) Pre-cast concrete wall with truss ledge
US20100058687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US20060260238A1 (en) Refinement to the construction systems for structures in reinforced concrete or some other material of high-precision intergral modular forms
KR101903628B1 (en) Precast Double Wall Structure with Enhanced Seismic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9399867B2 (en) Concrete panel corner connection
KR20230040602A (en)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US3566572A (en) Prefabricated wall structure
KR101399778B1 (en) Manufacture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body for concrete house
KR20190052638A (en) Beam-reinforced deck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RU2225921C1 (en) Reinforced concrete wall formed with the use of form remained into wall
IT201600123688A1 (en) Ground fixing system for building walls
CA2639339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 multi-storey building using prefabricated modular panels
JP2004352458A (en) Method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shaft structure
CN112609867A (en) Prefabricated shear wall cavity with three-dimensional efficient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node configuration
RU2781969C1 (en) Reinforced concrete volumetric block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113718941B (en) Assembled balcony structure of prefabricated building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KR20220133052A (en)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simultaneous pouring of multi-story walls and slab mortar of a building
JPH0996036A (en) Structure of wall material or floor material for construction
JP2012241311A (en) Half-precast beam, method of manufacturing half-precast beam, and method of constructing skeleton of building structure
JP7199439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JP7141096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2096548B1 (en)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apparatus and automatic concrete form lift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