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526A -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526A
KR20230040526A KR1020210123769A KR20210123769A KR20230040526A KR 20230040526 A KR20230040526 A KR 20230040526A KR 1020210123769 A KR1020210123769 A KR 1020210123769A KR 20210123769 A KR20210123769 A KR 20210123769A KR 20230040526 A KR20230040526 A KR 2023004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training
face
application
train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배
이건영
Original Assignee
(주)메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시 filed Critical (주)메시
Priority to KR1020210123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526A/ko
Publication of KR2023004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관리사 서버를 통신으로 연결하고, 관리사 서버에서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동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자가 원하는대로 운동운동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여 트레이닝 머신으로 전송하고, 트레이닝머신을 설정대로 구동하여 이용자에게 적합한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트레이닝 결과를 관리사 서버에 저장하여 다음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대 반영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Non-face-to-face fitness training operation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히 설명하면, 이용자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관리사 서버를 통신으로 연결하고, 관리사 서버에서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동의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자가 원하는대로 운동운동 종류와 강도를 설정하여 트레이닝 머신으로 전송하고, 트레이닝머신을 설정대로 구동하여 이용자에게 적합한 피트니스 트레이닝을 제공하고 트레이닝 결과를 관리사 서버에 저장하여 다음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대 반영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T(Personal Trainer) 트레이닝은 트레이너가 있는 피트니스 클럽에 등록하고 피트니스 클럽에서 전담 트레이너의 플랜에 따라 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PT 트레이닝은 트레이닝을 원하는 이용자가 등록한 피트니스 클럽에 비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고, 전담 트레이너와 밀접한 거리에서 대화를 계속하며 운동하게 되는대, 이때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전염성이 강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며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라 피트니스 클럽의 운영여부가 달라져 이용자들에게 불안과 불편함을 주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안전한 자택에서 운동하는 홈트레이닝의 개념이 대두되었고, 각종 홈트레이닝 기구들이 생산되고 시청하면서 운동이 가능한 트레이닝 영상들과 이를 위한 플랫폼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홈트레이닝은 개인의 상태를 분석하여 적합한 운동 종류와 강도를 정해 효과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PT 트레이닝보다 전문성과 효율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10-2196793호 (등록일: 2020년 12월 23일)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비대면 방식의 트레이닝 시스템은, 트레이너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의 모집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코칭 영상을 그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모집된 회원과의 온라인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수업 중 실시간으로 수신되어화면에 표시되는 회원 영상을 확인하며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너용 단말기, 회원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을 통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이 직접 트레이너를 선택하거나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하고,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코칭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회원 영상을 그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온라인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온라인 수업 중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피드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회원용 단말기 및, 트레이너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코칭 영상을 수신 및 저장하며 회원용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고, 회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회원 영상을 수신 및 저장하며 트레이너용 단말기에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인공지능을 통해 회원 영상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10-2032681호 (등록일: 2019년 10월 08일)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지도용 양균형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은, 운동 기구; 트레이너가 상기 운동 기구를 활용하여 운동하는 트레이닝 동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동영상 촬영 장치; 상기 제1동영상 촬영 장치에서 촬영한 트레이닝 동영상을 외부로 전송하는 트레이너 단말; 상기 트레이너 단말에서 전송된 동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동 참여자 단말; 운동 참여자가 자신이 운동하는 모습을 촬영한 운동 참여자 동영상을 촬영하는 제2동영상 촬영 장치; 및 상기 트레이너 단말과 운동 참여자 단말에서 각각 전송하는 각 동영상을 상기 운동 참여자 단말과 트레이너 단말 양균형으로 송출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운동 참여자는 실시간으로 송출되는 트레이닝 동영상을 보고 운동을 배우며, 상기 트레이너는 상기 트레이너 단말을 통해 수신한 상기 운동 참여자 동영상을 보고 지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은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이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거나 통화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트레이너가 트레이닝 이용자를 영상으로 보고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트레이너가 트레이닝 이용자의 운동 영상으로만 이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심박수 등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로 파악하여 트레이너에게 전달한다. 이는 맨몸 운동이나 디바이스를 착용해도 안전한 가벼운 운동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트레이닝 이용자들이 기구를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경우, 자세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중량에 대한 힘의 반응과 균형을 판단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무거운 물체를 이용하므로 부가적인 센서를 몸에 부착하고 트레이닝 하기엔 위험성이 따른다. 따라서 트레이닝의 종류, 중량과 횟수, 인터벌을 늘리거나 줄이는 등 적합한 운동 교정이나 트레이닝 메뉴를 생성하는대 어려움이 있고, 이용자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2196793호 (등록일: 2020년 12월 23일)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비대면 방식의 트레이닝 시스템" 한국특허등록 제10-2032681호 (등록일: 2019년 10월 08일)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지도용 양균형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트레이닝머신을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와 연결하고, 관리사 서버에서 이용자의 트레이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강도, 횟수를 설정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여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고, 트레이닝머신이 전송받은 운동프로그램대로 기동하면서, 이용자가 트레이닝머신에 가하는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이 정확히 이루어지고 있는지 판단하고, 정확하지 않다면 교정영상을 출력하며, 트레이닝 종료 이후 트레이닝 결과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고, 관리사 서버의 DB에 이용자의 트레이닝 데이터로 저장하여 다음 운동프로그램 생성에 활용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PT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사항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로 이용자 분석을 요청하는 단계; 관리자 서버에서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관리자 서버에서 트레이닝 머신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전송받은 운동결과를 해당 이용자 DB에 저장하는 단계;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가 관리자 서버로 로그인하고, 관리자 서버는 해당 이용자의 트레이닝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트레이너가 계획해주는 것과 같은 적합한 트레이닝을 비대면으로 제공하고, 트레이닝머신은 기존의 무게추를 사용하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들과 달리 엑추에이팅 전자 모터를 이용하여 안전하고, 중량 제어가 더 편리하며, 이동과 보관이 수월하며, 애플리케이션은 운동 데이터를 조회하고 트레이닝 플랜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비대면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트레이닝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의 이용자 데이터 분석을 통한 PT 모드 트레이닝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의 최초 PT 모드를 실행한 경우의 트레이닝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의 이용자가 원하는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개인 훈련 모드 트레이닝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의 이용자가 원하는대로 인터벌 설정이 포함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인터벌 모드 트레이닝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의 관리사 서버와 연결 없이 이용자가 원하는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비로그인 진행 트레이닝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의 트레이닝머신의 사시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의 트레이닝머신의 작동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시작 화면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가입하기 화면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가입하기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운동하기 메뉴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근력 테스트 모드 화면의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근력 테스트 모드 화면의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근력 테스트 모드 화면의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근력 테스트 모드 화면의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PT 모드 시작 화면의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PT 모드 운동프로그램 화면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PT 모드 운동프로그램 화면의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PT 모드 운동프로그램 화면의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운동 결과 화면의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인 훈련 모드 선택 화면의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개인 훈련 모드 설정 화면의 예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운동프로그램 화면의 예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운동프로그램 화면의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벌 모드 선택 화면의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인터벌 모드 설정 화면의 예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비로그인 진행 선택 화면의 예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관리하기 화면의 예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운동데이터 화면의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변경 화면의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의 구성의 블럭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 서버에 로그인하고, 관리자 서버의 DB에서 해당 계정의 이용자 운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트레이닝 메뉴를 생성하여 이를 트레이닝머신에 전송하여 이용자에게 적합한 웨이트 트레이닝을 제공한다.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너처럼 트레이닝 메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애플리케이션 메뉴에서 PT 모드라고 하는대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으로 관리자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PT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PT 모드 선택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로 PT 모드 요청이 전송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 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운동프로그램에 설정한대로 기동하여 운동이 시작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적절하다면 운동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이 종료되고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와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사 서버의 DB에 운동결과가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용자가 트레이닝머신을 처음 사용하거나 관리자 서버에 처음 가입하여 DB에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가 없다면, 최초 선택한 PT 모드에서 이용자의 근력 테스트를 실행하여 최초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트레이닝 메뉴를 생성하여 기동한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 서버에 가입하여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최초로 PT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으로 최초 PT 모드 선택을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근력 테스트 모드를 실행하고 근력 테스트 결과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단계; 근력 테스트 결과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근력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고 트레이닝 머신으로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운동프로그램에 설정한대로 기동하여 운동이 시작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적절하다면 운동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이 종료되고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와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사 서버의 DB에 운동결과가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용자가 관리자 서버의 트레이닝 메뉴의 제공 없이 운동하고 싶은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트레이닝 메뉴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이용자가 애플리케이션으로 원하는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여 트레이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리사 서버로 로그인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개인 훈련 모드를 선택하고 웨이트 트레이닝 종류, 중량, 횟수를 원하는대로 설정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운동프로그램에 설정한대로 기동하여 운동이 시작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적절하다면 운동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이 종료되고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와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사 서버의 DB에 운동결과가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용자가 일정 범위에서 중량을 변동하는 인터벌 웨이트 트레이닝을 원할 경우, 무게추를 번갈아가며 탈부착하던 기존의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들과 달리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터벌 모드를 선택하고 시작 중량과 변동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인터벌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행할 수 있다.
인터벌 웨이트 트레이닝을 위한 기능을 인터벌 모드라고 하며, 이를 실행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서 관리자 서버로 로그인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터벌 모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의 종류와 시작 중량 및 변동 범위를 설정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운동프로그램에 설정한대로 기동하여 운동이 시작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적절하다면 중량을 변동시키면서 운동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이 종료되고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와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고, 관리사 서버의 DB에 운동결과가 저장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통신 문제로 트레이닝머신과 관리자 서버의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운동한 기록을 남기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관리자 서버와 연결 없이 트레이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관리자 서버와 연결 없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으로 트레이닝머신을 기동하여 트레이닝을 실행한다. 이때 관리자 서버와의 연결이 없으므로 DB에 운동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로그인으로 진행하기를 선택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원하는 웨이트 트레이닝 종류, 중량, 횟수를 설정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이용자의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운동프로그램에 설정한대로 기동하여 운동이 시작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적절하다면 운동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이 종료되고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와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3 실시예에서 이용자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트레이닝 머신과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PC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2,3 실시예에서 운동프로그램은 복수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포함하는대 예를 들어 체스트 프레스, 스쿼드, 렛풀다운, 데드리프트와 같은 4개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후술할 트레이닝 머신의 운동바의 중량과 트레이닝머신이 카운팅해야할 숫자를 포함한다. 인터벌 모드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설정했다면 시작 중량과 중량 변동의 범위 설정값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2,3 실시예에서 운동프로그램은 선택한 웨이트 트레이닝의 올바른 시범 영상을 포함하는대 트레이닝머신에서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와 트레이닝머신이 운동프로그램에 설정한대로 기동하여 운동이 시작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여 적절하다면 운동프로그램에서 설정한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에서 올바른 시범 영상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또한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균형과 정도를 감지하여 이용자가 트레이닝을 부정확하게 실행한다고 판단하면 운동프로그램의 횟수 카운팅을 멈추고 지속적으로 부정확한 트레이닝이 반복되면 올바른 자세와 사용하는 근육을 자세히 설명하는 교정 영상을 출력한다.
상기 제 1,2,3 실시예에서 운동프로그램은 출력하는 영상에 음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트레이닝머신에서 카운팅시 남은 횟수나 카운팅 여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2,3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운동프로그램대로 기동하는 트레이닝머신을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프로그램에 포함된 중량, 횟수 설정을 변경하거나 운동을 중도에 일시정지하거나 중지하는 명령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며 트레이닝머신은 해당 명령을 전송받는 즉시 해당 명령대로 작동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관리사 서버에서 생성하는 운동프로그램은 해당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자의 운동 패턴을 학습하여 이용자에게 이상적인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학습형 AI 시뮬레이팅 방식으로 산출하거나 관리사의 전문 트레이너가 데이터를 보고 분석하여 직접 수치를 입력해주거나 전문 트레이너가 고안한 알고리즘에 따라 수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근력 테스트 모드는 운동프로그램에서 선택 가능한 복수의 웨이트 트레이닝 전부를 시행하며, 낮은 중량에서 높은 중량으로 점차 조절하여 현재 이용자가 트레이닝하기에 적절한 중량을 찾는다. 예를 들어 근력테스트 시작시 체스트 프레스를 9kg의 중량으로 3~5회 실시하여 완료할 경우, 2~3kg 정도씩 중량을 증가시키다가 미완료시 이전 중량을 최초 운동프로그램 중량으로 설정하고 다른 웨이트 트레이닝에도 동일한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근력 테스트는 이용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지 다시 실행하여 이용자 운동 데이터에 반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인터벌 모드는 이용자가 원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선택하고 시작 중량과 변동 범위를 결정한 인터벌 설정대로 트레이닝머신을 기동한다. 예를 들어, 시작 중량을 9kg으로 설정하고 변동 범위를 4kg으로 설정하면 1세트 9번의 카운트로 트레이닝하며, 9kg, 10kg, 11kg, 12kg, 13kg, 12kg, 11kg, 10kg, 9kg 으로 카운트 1회에 1kg씩 중량을 늘려나간 뒤 최대 중량에서 다시 1kg씩 줄여나가 원래 중량을 돌아온다.
상기 제 1,2 실시예에서 관리사 서버를 운영하는 관리사는 이용자들에게 애플리케이션 구독료 혹은 연,월 회원권을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으며, 관리사와 트레이닝머신을 판매하는 판매사가 동일한 업체인 경우, 트레이닝머신 판매 가에 추가적으로 단기간의 애플리케이션 이용금액을 부가하거나 무료체험권을 패키지로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3 실시에에서 비로그인 진행시 애플리케이션에서 운동 결과를 출력하기 전에 애플리케이션에서 광고를 출력하는 것으로 광고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 있어서, 제 1,2,3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트레이닝머신, 관리자 서버로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이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트레이닝 머신과 연동되고,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 분석 혹은 근력 테스트 결과 분석을 통한 운동프로그램 생성을 요청하거나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운동프로그램을 단말기 화면으로 출력하며, 트레이닝 도중 운동프로그램의 중량, 횟수, 인터벌 설정(시작 중량과 변동 범위)을 조정하거나 운동 중지 명령을 트레이닝 머신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운동결과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트레이닝머신은 애리케이션과 연동되고, 관리사 서버와 연결되며, 관리사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운동프로그램을 전송받으면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측정하여 운동이 정확한 자세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감지하고, 정확하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카운팅을 실행하고, 지속적으로 부정확한 운동이 계속되면 교정영상을 재생하며, 운동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한다.
관리사 서버는 DB에 이용자별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운동프로그램 생성을 요청 받았을시, 저장해놓은 이용자 운동정보나 근력 테스트결과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트레이닝 머신에 전송하며,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운동결과를 전송받아 DB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자 데이터를 조회할 경우,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트레이닝머신은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추 대신 액추에이팅 전동 모터를 구동하여 전동 모터의 엑추에이팅 저항으로 운동바에 힘을 가하여 운동바의 중량을 생성한다. 또한 액추에이팅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운동바의 중량을 원하는 단위대로 변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로드셀로 운동바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여 이용자가 쓰고 있는 힘의 크기와 좌우 균형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용자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 가능하고,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으로 관리사 서버와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스피커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이 애플리케이션 및 트레이닝머신에서 실행되는 실제 모습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하고하기, 그냥하기, 로그인을 선택 가능하다.
최초로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 가입하고하기를 선택할 경우, 도9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입절차가 진행되는대 가입을 완료하고, 신체정보 입력을 완료하면 처음 화면으로 돌아가는대 여기서 가입한대로 로그인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그인하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하기, 운동하기로 구성된 홈 화면이 출력되고, 운동하기를 선택하면 다시 PT 모드, 개인훈련모드, 인터벌 모드를 선택하는 창이 출력된다.
여기서 PT 모드를 선택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되는대, 이용자 운동 데이터가 없을 경우,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력 테스트 모드로 넘어가고, 트레이닝머신의 디스플레이와 이용자 단말기 화면에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력 테스트 운동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카운팅이 진행된다. 근력 테스트가 완료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PT 모드 운동하기가 가능하고, 이를 실행할 경우,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서버에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대로 트레이닝이 진행된다. 마찬가지로 이용자 단말기 화면과 트레이닝머신의 디스플레이로 운동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카운팅이 진행된다. 운동프로그램대로 트레이닝이 완료되면 도 20과 같은 화면이 출력되고 그만하기를 선택하면 운동결과가 출력된다.
이용자 운동 데이터가 있는 경우, 근력 테스트 없이 바로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리자 서버에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대로 트레이닝이 진행되며, 이후의 과정은 동일하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하기 화면에서 개인훈련모드를 선택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개인훈련모드를 시작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선택하고 원하는 중량과 원하는 횟수를 선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운동프로그램대로 도 23 내지 도 24와 같이, 이용자 단말기 화면과 트레이닝머신의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운동프로그램이 완료되면 다른 운동을 선택하여 마찬가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그만하기를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그만하기를 선택한 경우 트레이닝이 종료되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결과를 이용자 단말기 화면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벌을 선택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인터벌 트레이닝 모드를 실행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벌 모드를 선택하면 원하는 종류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선택하고 시작 중량과 변동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개인훈련모드와 동일하나 운동바의 중량이 설정한 변동 범위 만큼 늘어나거나 줄어든다는 차이점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로그인하거나 가입하지 않고 그냥하기를 선택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설명한 바와 같이 진행된다. 이는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에선 상술한 개인훈련모드와 유사하게 진행되는대, 도 22에 도시한대로 원하는 웨이트 트레이닝과 중량과 횟수를 설정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운동프로그램대로 도 23 내지 도 24와 같이, 이용자 단말기 화면과 트레이닝머신의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운동프로그램이 완료되면 다른 운동을 선택하여 마찬가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거나 그만하기를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그만하기를 선택한 경우 트레이닝이 종료되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동결과를 이용자 단말기 화면과 트레이닝머신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자 서버로 운동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하진 않는다.
도 23은 이용자 단말기로 출력되는 운동프로그램 화면이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의 영상이 출력되고 하단에 현재 운동프로그램의 중량과 중량을 변동시키는 위/아래를 표시한 화살표와 일시정지, 재생, 그만두기 버튼이 있다. 또한 횟수를 조정하는 버튼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운동프로그램이 출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도 11에 표시한 것과 같이, 화면 우측 상단에 관리하기 버튼과 홈 버튼이 활성화 되는대 홈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을 완료한 화면으로 돌아가고 운동하기와 관리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관리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홈 화면의 관리하기를 선택하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관리하기 메뉴로 이동하는대 여기서 운동데이터, 설정변경, 근력 테스트 다시하기를 선택할 수 있다.
운동 데이터 메뉴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늘의 운동량과 관리사 서버에서 제공하는 운동 데이터를 그래프로 조회하여 확인한다. 설정변경은 도 30과 같이, 로그인 정보, 프로필, 신체정보를 수정하거나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근력 테스트 다시하기는 상술한 제 1실시예서 설명한 근력 테스트 모드를 실행하여, 기존 운동 데이터에서 다시 실시한 근력 테스트 결과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 관리사 서버의 연동 및 연결로 비대면 트레이닝 서비스를 제공한다. 트레이닝머신의 엑추에이터 전동 모터의 구동 저항으로 무게추 없이 운동프로그램과 애플리케이션으로 중량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웨이트 트레이닝과 인터벌 웨이트 트레이닝이 가능하다. 또한 관리사 서버의 DB에 이용자의 운동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용자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으로 이용자에게 적합한 트레이닝 메뉴를 제공하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용자가 이를 열람하여 더 효과적인 웨이트 트레이닝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방법 및 시스템은 일반적인 트레이닝 기구 제조 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 있어서,
    이용자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PT 메뉴를 생성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관리사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PT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사항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로 운동프로그램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관리자 서버에서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관리자 서버에서 트레이닝 머신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전송받은 운동결과를 해당 이용자 DB에 저장하는 단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2.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 있어서,
    최초로 PT 모드를 실행하여 근력 테스트 결과 분석을 통해 PT 메뉴를 생성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관리사 서버에 가입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최초로 PT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사항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근력 테스트 모드를 실행하고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근력 테스트 결과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근력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닝머신으로 생성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전송받은 운동결과를 해당 이용자 DB에 저장하는 단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3.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 있어서,
    이용자가 선택한대로 개인 훈련 트레이닝 메뉴를 생성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관리사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개인 훈련 모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운동을 조합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전송받은 운동결과를 해당 이용자 DB에 저장하는 단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4.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 있어서,
    이용자가 원하는 운동과 시작 중량과 변동 범위를 조합하여 인터벌 트레이닝 메뉴를 생성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관리사 서버에 로그인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인터벌 트레이닝 모드를 선택하고, 원하는 운동과 시작 중량과 변동 범위를 설정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고 중량을 변동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관리사 서버와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관리사 서버에서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전송받은 운동결과를 해당 이용자 DB에 저장하는 단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5.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 있어서,
    관리사 서버와의 통신 없이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의 연동만으로 원하는 트레이닝 메뉴를 생성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로그인 진행을 선택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과 트레이닝머신을 연동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원하는 운동을 조합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운동프로그램을 트레이닝머신으로 전송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애플리케이션으로 운동결과를 전송하는 단계;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에서 단말기 화면으로 운동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머신에서 디스플레이에 운동프로그램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트레이닝머신의 디스플레이로 운동프로그램에 포함된 정확한 운동자세 안내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을 분석하여 이용자가 정확히 운동했다면 운동프로그램 설정치 만큼 카운팅하는 단계;에서 트레이닝머신이 이용자의 힘의 양과 균형이 지속적으로 부정확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로 운동프로그램에 포함된 교정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프로그램은 복수의 웨이트 트레이닝과 중량 설정, 횟수 설정이 조합된 것이고, 추가적으로 인터벌 설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중량 설정과 횟수 설정, 인터벌 설정, 운동 중지 명령을 운동 도중 애플리케이션에서 조작하여, 트레이닝머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프로그램의 중량 설정과 횟수 설정은 관리사 서버 DB의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사 서버의 학습형 AI 시뮬레이팅 방식으로 도출되거나 관리사 서버의 전문 트레이너가 직접 입력하거나 전문 트레이너가 설계한 알고리즘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9.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서비스에서 있어서,
    이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트레이닝머신과 연동되고, 이용자 운동 데이터 분석 혹은 근력 테스트 결과 분석을 통한 운동프로그램 생성을 요청하거나 이용자가 원하는 대로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운동프로그램을 단말기 화면에 출력하고, 운동 도중 운동프로그램의 중량, 횟수, 인터벌 설정을 조정하거나 운동 중지 명령을 트레이닝머신에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운동결과를 조회하는 것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되고, 관리사 서버와 연결되며, 관리사 서버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운동프로그램을 전송받으면 운동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측정하여 운동이 정확한 자세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감지하고, 정확하다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카운팅을 실행하고, 지속적으로 부정확한 운동이 계속되면 교정영상을 재생하며, 운동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운동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애플리케이션과 관리사 서버로 전송하는 트레이닝머신;
    DB에 이용자별 운동정보를 저장하고, 운동프로그램 생성을 요청 받았을시, 저장해놓은 이용자 운동정보나 근력 테스트결과를 분석하여 운동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트레이닝 머신에 전송하며, 트레이닝머신으로부터 운동결과를 전송받아 DB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자 데이터를 조회할 경우, D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관리사 서버;로 구성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닝머신은 무게추 대신 액추에이터 모터저항을 이용하여 중량을 조절하며, 복수의 로드셀로 이용자의 힘의 크기와 균형을 감지하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용자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되고, 유선 혹은 무선 인터넷으로 관리사 서버와 연결되며, 디스플레이 패널과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시스템
KR1020210123769A 2021-09-16 2021-09-16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40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69A KR20230040526A (ko) 2021-09-16 2021-09-16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769A KR20230040526A (ko) 2021-09-16 2021-09-16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526A true KR20230040526A (ko) 2023-03-23

Family

ID=8579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769A KR20230040526A (ko) 2021-09-16 2021-09-16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40526A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2391B2 (en) 2019-03-11 2023-09-12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pedal crank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81B1 (ko) 2019-06-25 2019-11-11 (주) 앤앤컴퍼니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지도용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102196793B1 (ko) 2020-09-10 2020-12-30 이영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비대면 방식의 트레이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681B1 (ko) 2019-06-25 2019-11-11 (주) 앤앤컴퍼니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지도용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KR102196793B1 (ko) 2020-09-10 2020-12-30 이영규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비대면 방식의 트레이닝 시스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2391B2 (en) 2019-03-11 2023-09-12 Rom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pedal crank
US11801423B2 (en) 2019-05-10 2023-10-31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US11957960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11957956B2 (en) 2019-05-10 2024-04-16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and exercise
US11904207B2 (en) 2019-05-10 2024-02-20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US11951359B2 (en) 2019-05-10 2024-04-09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US11833393B2 (en) 2019-05-15 2023-12-05 Rehab2Fi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xercise machine to improve completion of an exercise
US11896540B2 (en) 2019-06-24 2024-02-13 Rehab2Fi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exercise protocol for osteogenesis and/or muscular hypertrophy
US11923057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monitor user characteristics during a telemedicine session
US11955220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and telemedicine for invasive surgical treatment to determine a cardiac treatment plan that uses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15815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and generic risk factors to improve cardiovascular health such that the need for additional cardiac interventions is mitigated
US11942205B2 (en) 2019-10-03 2024-03-26 Rom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using virtual avatars associated with medical professionals during exercise sessions
US1195522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ML to generate treatment plans to stimulate preferred angiogenesis
US11955222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ased on advanced metrics of actual performance of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medical procedure eligibility in order to ascertain survivability rates and measures of quality-of-life criteria
US11915816B2 (en) 2019-10-03 2024-02-2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in a telemedical environment to predict user disease states
US11923065B2 (en) 2019-10-03 2024-03-05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detect abnormal heart rhythms of a user performing a treatment plan with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55223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to provide an enhanced user interface presenting data pertaining to cardiac health, bariatric health, pulmonary health, and/or cardio-oncologic health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preventative actions
US11950861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Telemedicine for orthopedic treatment
US11955218B2 (en) 2019-10-03 2024-04-09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telemedicine-enabled rehabilitative hardware and for encouraging rehabilitative compliance through patient-based virtual shared sessions with patient-enabled mutual encouragement across simulated social networks
US11887717B2 (en) 2019-10-03 2024-01-30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achine learning and telemedicine to perform pulmonary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61603B2 (en) 2019-10-03 2024-04-16 Rom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I ML and telemedicine to perform bariatric rehabilitation via an electromechanical machine
US11978559B2 (en) 2019-10-03 2024-05-07 Rom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enabled identification of a user infection
US11826613B2 (en) 2019-10-21 2023-11-28 Rom Technologies, Inc. Persuasive motivation for orthopedic trea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40526A (ko) 비대면 피트니스 트레이닝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11360655B2 (en) System and method of non-linear probabilistic forecasting to foster amplified collective intelligence of networked human groups
US6746371B1 (en) Managing fitness activity across diverse exercise machines utilizing a portable computer system
US69212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knowledge assessment and learning incorporating feedbacks
US20080051256A1 (en) Exercise device with on board personal trainer
US20130066449A1 (en) Athlete training system
US20130330693A1 (en) Interactive Cognitive Recognition Sports Training System and Methods
KR101931724B1 (ko)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JP2007500547A (ja) パフォーマンス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40330576A1 (en) Mobile Platform Designed For Hosting Brain Rehabilitation Therapy And Cognitive Enhancement Sessions
KR102145692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피트니스 회원 관리시스템
US202202580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fitness training and tracking devices
US119412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collaborative forecasting
CA2425166C (en) Method and system for knowledge assessment and learning
KR20120084509A (ko) 서로 다른 종류의 운동 또는 운동 기구를 이용하는 다참여자 운동 게임 방법 및 시스템
CN109411050A (zh) 运动处方执行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90051728A (ko) 헬스 프로그램의 제공 방법
KR20160059802A (ko) 스마트 피트니스 시스템
KR20210123012A (ko) 대화형 개인 맞춤 필라테스 트레이닝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30049596A1 (en) Training system
KR20200119990A (ko) 개인 맞춤형 근력 운동 가이드 ui를 제공하는 운동 지원 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TWI687252B (zh) 網路教學訓練系統及其教學訓練方法
CN112675518A (zh) 一种智能健身房系统和健身数据处理方法
US20230298725A1 (en) Breathing exercise device
JP7388789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