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172A -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 Google Patents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172A
KR20230040172A KR1020210123442A KR20210123442A KR20230040172A KR 20230040172 A KR20230040172 A KR 20230040172A KR 1020210123442 A KR1020210123442 A KR 1020210123442A KR 20210123442 A KR20210123442 A KR 20210123442A KR 20230040172 A KR20230040172 A KR 20230040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composition
culture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095B1 (ko
Inventor
지원재
김다솜
김삼웅
오세윤
강송이
신다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to KR102021012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09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SSD-9 균주는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균주로서, 수탁번호 KACC 92363P로 기탁되어 있으며, 우수한 항균 활성, 내산성, 담즙산 내성 및 뮤신 부착능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Novel Lactobacillus sp. strain isolated from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본 발명은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대장균, 살모넬라균, 세레우스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알비칸스 및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내산성 및 담즙산 내성을 나타내고, 뮤신에 대해 우수한 부착능을 나타낼 수 있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SSD-9 균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다양한 환경, 즉, 식물, 곤충, 토양, 물, 유제품, 발효물, 사일리지(silage), 동물의 위장관, 호흡기관 등에서 발견된다[George et al., 2018; Yu et al., 2020]. 이들의 광범위한 서식지는 다양한 스트레스 조건과 영양적 조건들을 유도하는데, 단백질분해효소(protease) 및 지방분해효소(lipase)의 특이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성, 식물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에 대한 내성, 위장관에서의 생존을 위한 담즙산 내성 등과 같은 특수성을 부여한다. 따라서 LAB는 발효식품, 음료, 사일리지 등의 3,500종 이상의 발효에 관여하여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Tamang et al., 2016].
자연계의 다양한 유산균들 중 산업적으로 유용한 유산균을 발굴하여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용한 유산균을 발굴하고 이를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식품에 적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장내 환경을 개선하거나 보호하여 궁극적으로는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용한 다양한 유산균들이 발굴 및 연구되었지만, 여전히 다른 유용한 유산균을 새롭게 발굴하여 이용가능한 유용 유산균의 풀(pool)을 늘리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보다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산균의 발굴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자연계 시료로부터 유용하고 우수한 특성, 특히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유산균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23226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연계의 시료로부터 발굴된 유용하고 우수한 특성을 갖는 새로운 유산균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산균의 특성을 활용한 물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탁번호 KACC 92363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SSD-9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Clavibacter michigan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항균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토마토 궤양병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균주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세레우스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알비칸스 및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며, 우수한 내산성 및 담즙산 내성을 나타내고, 뮤신에 대해 우수한 부착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항균 및 식물병 방제의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미생물 수탁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최소생장저해농도(MIC)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Clavibacter michiganensi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배양 온도에 따른 성장력을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성장 곡선(배양 온도 : 37℃)을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배양 시간에 따른(배양 온도 : 37℃) pH 변화를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배양 시간에 따른(배양 온도 : 37℃) 대장균(E. coli) 및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에 대한 MIC를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배양 시간에 따른(배양 온도 : 37℃) 탄수화물 이용 정도를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배양 시간에 따른(배양 온도 : 37℃) 젖산 생산능을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내산성을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내담즙성을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종 SS-9 균주의 뮤신 부착능을 살모넬라균(S. Typhimurium), 세레우스균(B. cereus) 및 표준 균주(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PBS, 인산 완충 염수(대조군).
본 발명의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SSD-9 균주는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오남리 팔현계곡의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의 꽃에서 분리되어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수탁번호 KACC 92363P로 기탁되어 있다(도 1).
본 발명의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가지며(도 2), 대장균, 살모넬라균, 세레우스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알비칸스 및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우수한 내산성 및 담즙산 내성을 나타낼 수 있고, 뮤신에 대해 우수한 부착능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 미생물은 섭취된 후 위장을 통과할 때 낮은 pH의 위산과 담즙산에 내성을 갖고 높은 비율로 생존하여 대장으로 이동하고 대장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유해 미생물과 경쟁하여 생존하는 등 대사산물의 기능성 뿐만 아니라 장내환경에서의 생존률이 중요한 판단기준이 된다. 본 발명의 균주는 상기와 같이 병원성 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낼 수 있고 낮은 pH와 높은 담즙산에 대한 우수한 생존률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내 부착능도 뛰어나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덕목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 유용할 것이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균주는 매우 우수한(표준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64에 비해서도 더욱 우수한) 내산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매우 우수한(표준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루스 KCTC 3164에 비해서도 더욱 우수한) 뮤신 부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는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어, 식물병 방제를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다.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는 식물(예를 들어 토마토)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으로, 이의 저해를 통해 관련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는 유산균, 특히 락토바실러스 속의 유산균을 배양하는데 사용하는 통상의 배양 방법에 따라 배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지로 MRS 배지를 사용하여 30 내지 40℃의 온도 조건으로 배양할 수 있다. 온도 조건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38℃로 한다. 이는 배양 온도를 달리하여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며, 약 37℃에서 최적의 생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조성물은 본 발명의 균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균주는 균체의 건조물, 예를 들어 동결건조물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균체의 건조물은 균체를 건조시켜 건조물, 예를 들어 동결건조분말의 형태로 제조하는 통상의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은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를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의 균체 동결건조분말을 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만이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포함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만이 유일한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포함되고, 다른 프로바이오틱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균주 이외에도 다른 프로바이오틱스가 함께 포함된다. 이때 다른 프로바이오틱스에는 다른 속의 프로바이오틱스, 같은 속이지만 다른 균주의 프로바이오틱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균주 이외에 첨가제, 예를 들어 완충제, 희석제, 부형제 등의 프로바이오틱스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균주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균체의 건조물, 예를 들어 동결건조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본 발명의 균주를 배양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액체배지에서 배양한 배양물에서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은 상기 배양액을 동결건조한 동결건조분말이다. 균체의 제거는 원심분리, 여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 균주의 배양물에는 이 밖에도 배양물을 추출 등의 방법으로 추가 가공한 물질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의 균체 동결건조분말을 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 배양액의 동결건조분말을 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만이 항균 물질로서(항균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만이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유일한 물질로서 포함되고, 다른 항균 물질은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도 다른 항균 물질이 함께 포함된다. 이때 다른 항균 물질에는 통상적인 항균성 화합물, 항균 활성을 갖는 다른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첨가제, 예를 들어 완충제, 희석제, 부형제 등의 항균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대장균, 살모넬라균, 세레우스균, 황색포도상구균, 칸디다 알비칸스 및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은 상기 미생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항균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균주 및 이의 배양물에 관한 사항은 위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항균용 조성물에서 언급한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의 균체 동결건조분말을 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 배양액의 동결건조분말을 0.001 내지 1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 묵, 죽, 라면이나 국수 등의 면류,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의 조미식품, 소스, 과자, 발효유나 치즈 등의 유가공품, 김치나 장아찌 등의 절임식품, 과실, 채소, 두유, 발효음료 등의 음료수와 같은 형태의 식품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가공품 형태의 식품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균주 및 이의 배양물에 관한 사항은 위에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및 항균용 조성물에서 언급한 사항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의 균체 동결건조분말을 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조성물 중 본 발명 균주 배양액의 동결건조분말을 0.01 내지 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만이 식물병 방제 활성 물질로서(식물병 유발 병원체에 대한 항균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중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만이 식물병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일한 물질로서 포함되고, 다른 식물병 방제 활성 물질은 포함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도 다른 식물병 방제 활성 물질이 함께 포함된다. 이때 다른 식물병 방제 활성 물질에는 통상적인 식물병 방제 활성 화합물, 식물병 방제 활성을 갖는 다른 미생물 또는 이의 배양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 이외에 첨가제, 예를 들어 완충제, 희석제, 부형제 등의 식물병 방제용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는 식물 궤양병, 특히 토마토 궤양병을 주로 유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 궤양병 방제용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토마토 궤양병 방제용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균주 분리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오남리 팔현계곡에 서식하는 쉬땅나무의 꽃 한 송이를 균주 분리를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시료를 500㎖ 멸균수로 3회 세척하고 물기가 제거된 시료에 20㎖ 멸균수를 첨가하여 막자사발에서 완전히 으깬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은 연속희석법으로 10-1 ~ 10-5으로 희석하였으며, 10-5 희석액 1㎖에서 200㎕씩을 분취하여 MRS 고체배지에 도말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호기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생성된 콜로니를 새로운 MRS 고체배지에 옮겨 희석식 계대법으로 순수배양하여 단일 균주 SSD-9를 확보하였다. 단일 균주로 확보된 SSD-9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양액을 1㎖씩 분취하여 13,500rpm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취하여 0.2㎛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후 -20℃에 보관하면서 다음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균주의 특성 평가
2-1. 실험 방법
2-1-1. 항균 활성 평가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microtiter plate) 방법을 사용하여 SSD-9 균주의 Escherichia coli ATCC 10536,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KCTC 12401, Bacillus cereus ATCC 11778,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Candida albicans KCTC 7122 및 식물병원성 Clavibacter michiganensis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분석을 위해 SSD-9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 30℃, 12 ~ 16시간(overnight, O/N) 전배양하고 배양 상등액을 항균 활성 평가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 미생물인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C. michiganensis는 5㎖ LB 액체배지에 1%로 접종하여 37℃에서 12 ~ 16시간(overnight, O/N) 전배양한 후 106 CFU/㎖로 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C. albicans는 5㎖ YM 액체배지에 1%로 접종하여 30℃에서 12 ~ 16시간(overnight, O/N) 전배양한 후 106 CFU/㎖로 조정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SSD-9 배양 상등액을 농도별로 첨가하고, 106 CFU/㎖로 조정한 각 실험 미생물의 전배양액을 50㎕ 첨가한 후, LB 또는 YM 배지로 200㎕로 조정하였다. 조성된 반응액을 37℃ 또는 30℃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6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실험 미생물의 성장률을 측정하였다. 이때 SSD-9 배양 상등액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을 함께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의 실험 미생물 성장률을 기준(100%)으로 최저생장저해농도(MIC)를 결정하였다.
2-1-2. 균주 동정
SSD-9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 서열을 토대로 NCBI BLAST를 수행하였다.
2-1-3. 성장 특성 분석
SSD-9 균주의 성장 특성을 표준 균주(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64)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표준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SSD-9 균주 및 표준 균주를 25, 30 및 37℃에서 5㎖로 24시간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고 600㎚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온도에서의 성장력을 비교하였다.
SSD-9 균주 및 표준 균주를 100㎖ 배지에 1/100로 접종하고, 37℃에서 배양하면서 6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였다. 샘플링된 시료의 600㎚ 흡광도를 측정하여 각 유산균의 성장도를 평가하였다. 각 샘플의 pH는 pH 미터기로 측정하였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DNS(3,5-dinitrosalicylic acid)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샘플링한 SSD-9 배양 상등액을 사용하여 상기 항목 '2-1-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 시간에 따른 E. coliS. aureus에 대한 MIC를 측정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HPLC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때 Aminex 87H 컬럼(300x10㎜, Bio-Rad, USA)을 이용한 Ultimate3000(Thermo Dionex, USA)을 사용하였고, RI(ERC, RefractoMAX520, Japan)로 UV 210㎚에서 검출하였으며, 이동상은 0.01N H2SO4를 사용하여 0.5㎖/분의 유속으로 30분간 수행하였다. 표준품으로 젖산나트륨염(lactic acid sodium salt, Fluka) 및 아세트산(acetic acid, JTB)을 사용하였다.
2-1-4. 내산성 및 내담즙성 분석
내산성 및 내담즙성 분석은 이전에 수행된 연구 방법에서 약간 수식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Ji et al, 2015; Mohd Yusof et al., 2020].
간략히 서술하면, 내산성 분석의 경우 9㎖ MRS 배지의 pH를 HCl로 pH 2.0 ~ 3.0으로 조정한 후, 12 ~ 16시간 배양된 1㎖의 균주 배양액을 첨가하고 37℃에서 0 ~ 48시간 동안 배양 후 생존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내담즙성 분석은 상기 내산성 분석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되, pH를 조절하는 대신 0.6 ~ 1.2%가 되도록 oxgall(Oxoid, Bstingstoke, UK)을 첨가하여 수행하였다.
2-1-5. 뮤신 부착 능력 평가
돼지 위 type III 뮤신(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10㎎/㎖의 농도로 PBS(phosphate-buffered saline, pH 7.5)에 용해시켰다. 제조된 뮤신 용액을 사용하고, 이전 수행된 연구 방법을 약간 수식한 방법을 사용하였다[Radziwill-Bienkowska et al., 2016]. 간략히 서술하면, 1㎎/㎖ 뮤신을 마이크로티터 플레이트에 처리하여 37℃에서 30분 처리한 후, 4℃에서 16시간 방치하여 부착하였다. PBS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한 후 107 CFU/㎖의 시험대상 균주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시간 또는 37℃에서 24시간 반응하였다. 부착되지 않은 균주는 PBS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여 제거한 후, 100㎕ 0.1% crystal violet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반응한 후, PBS 완충액으로 3회 세척하였다. 100㎕ 30% 초산을 첨가하여 미생물에 부착된 crystal violet을 용출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뮤신 결합력을 평가하였다.
2-2. 실험 결과
2-2-1. 항균 활성 분석 결과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C. albicans에 대한 SSD-9 균주 배양 상등액의 MIC를 측정한 결과, 도 3에서와 같이 SSD-9 균주는 상기 실험 미생물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 michiganensis에 대한 항균 활성에 대해서도 분석한 결과, 도 4에서와 같이 SSD-9 균주 배양 상등액의 첨가에 의해 C. michiganensis의 성장이 유의적으로 저해되며, 이러한 성장 저해는 농도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2-2. 균주 동정 결과
SSD-9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Ezbiocloud를 이용하여 상동성을 검색한 결과, Lactobacillus 속의 균주들과 98.27 ~ 99.86%의 상동성을 보였다(표 1). 이를 토대로 SSD-9 균주는 Lactobacillus 속의 한 종으로 추정되며, 이에 따라 Lactobacillus sp. SSD-9로 명명하였다.
번호 균주명 상동성(%)
1 Lactobacillus argentoratensis DSM 16365 99.86
2 Lactobacillus plantarum ATCC 14917 99.86
3 Lactobacillus pentosus DSM 20314 99.79
4 Lactobacillus paraplantarum DSM 10667 99.59
5 Lactobacillus daowaiensis 203-3 98.96
6 Lactobacillus daoliensis 116-1A 98.95
7 Lactobacillus pingfangensis 382-1 98.94
8 Lactobacillus garii Fl11369 98.88
9 Lactobacillus nangangensis 381-7 98.88
10 Lactobacillus fabifermentans DSM 21115 98.85
2-2-3. 성장 특성 분석 결과
SSD-9 균주의 생육 최적 온도를 조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미생물을 배양하는 조건인 25, 30 및 37℃로 배양 온도를 설정하여 평가해 보았다. 이의 결과, SSD-9 균주 및 표준 균주(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 3164) 모두 37℃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SSD-9 균주가 표준 균주에 비교하여 각 온도에서 성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5).
생육 최적 온도 조사 결과와 마찬가지로 성장 곡선 관찰 결과에서도 SSD-9 균주는 표준 균주와 비교하여 성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6). 표준 균주는 정지기까지 최대 성장력이 낮은 것으로 보아 내산성이 낮은 것에 기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추정되었다.
성장에 따른 pH 변화는 성장 곡선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지만, SSD-9 균주는 pH 3.6까지 감소된 반면, 표준 균주는 pH 4.07까지 감소되는 경향성을 보였다(도 7).
배양 시간별 E. coli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은 SSD-9 균주가 표준 균주에 비교하여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8).
다른 한편으로, 표준 균주의 성장력 지연에 따라 탄수화물의 이용효율도 감소되는 경향성을 보였다(도 9).
SSD-9 균주는 성장 곡선에 유사하게 젖산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성을 보였고, 최종 16g/ℓ의 값을 보였다. 또한, 표준 균주는 성장 곡선과 유사한 양상을 보였고, 최종 9g/ℓ의 값을 보였다. 따라서 SSD-9 균주는 표준 균주에 비교하여 젖산 생산량이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도 10).
2-2-4. 내산성 및 내담즙성 분석 결과
48시간 배양에 따른 내산성 분석결과, SSD-9 균주는 0, 12, 18시간에서 pH 2.0에 내산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볼 때, 내산성은 대수증식기 말기에서 정지기 초기에 왕성하게 유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SSD-9 균주의 배양 0시간의 pH 2.0에서 내산성이 발생한 것은 전배양 시간이 18시간으로 한정되는 것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표준 균주는 전배양 시간에 따라 pH 2.0에서 전혀 생존 균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표준 균주는 사람 분변으로 분리된 균주이지만, 내산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SSD-9 균주는 사람 장내에서 분리된 표준 균주 보다 내산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1).
SSD-9 균주의 담즙산 내성은 처리된 모든 oxgall 농도에서 표준 균주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최종 농도 1.2%에서도 생존률의 변화는 없었다. SSD-9 균주가 장내 담즙의 농도인 0.3%보다 훨씬 높은 1.2% oxgall의 농도에서 높은 생존률을 보인 내담즙성 결과를 토대로, SSD-9 균주는 소장을 통과할 때 담즙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도 12).
2-2-5. 뮤신 부착 능력 평가
뮤신 부착능 평가 결과, SSD-9 균주는 비교 균주로 사용된 S. Typhimurium과 B. cereus 보다 약 6배 정도 부착능이 높았으며, 표준 균주와 비교하여 약 2배 정도 부착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13).
국립농업과학원 미생물은행 KACC92363P 20210812
<11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120> Novel Lactobacillus sp. strain isolated from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130> ALP21019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06 <212> DNA <213> Unknown <220> <223> Lactobacillus sp. SSD-9 <400> 1 ctgctcagga cgaacgctgg cggcgtgcct aatacatgca agtcgaacga actctggtat 60 tgattggtgc ttgcatcatg atttacattt gagtgagtgg cgaactggtg agtaacacgt 120 gggaaacctg cccagaagcg ggggataaca cctggaaaca gatgctaata ccgcataaca 180 acttggaccg catggtccga gcttgaaaga tggcttcggc tatcactttt ggatggtccc 240 gcggcgtatt agctagatgg tggggtaacg gctcaccatg gcaatgatac gtagccgacc 300 tgagagggta atcggccaca ttgggactga gacacggccc aaactcctac gggaggcagc 360 agtagggaat cttccacaat ggacgaaagt ctgatggagc aacgccgcgt gagtgaagaa 420 gggtttcggc tcgtaaaact ctgttgttaa agaagaacat atctgagagt aactgttcag 480 gtattgacgg tatttaacca gaaagccacg gctaactacg tgccagcagc cgcggtaata 540 cgtaggtggc aagcgttgtc cggatttatt gggcgtaaag cgagcgcagg cggtttttta 600 agtctgatgt cgaaagcctt cggctcaacc gaagaagtgc atcggaaact gggaaacttg 660 agtgcagaag aggacagtgg aactccatgt gtagcggtga aatgcgtaga tatatggaag 720 aacaccagtg gcgaaggcgg ctgtctggtc tgtaactgac gctgaggctc gaaagtatgg 780 gtagcaaaca ggattagata ccctggtagt ccataccgta aacgatgaat gctaagtgtt 840 ggagggtttc cgcccttcag tgctgcagct aacgcattaa gcattccgcc tggggagtac 900 ggccgcaagg ctgaaactca aaggaattga cgggggcccg cacaagcggt ggagcatgtg 960 gtttaattcg aagctacgcg aagaacctta ccaggtcttg acatactatg caaatctaag 1020 agattagacg ttcccttcgg ggacatggat acaggtggtg catggttgtc gtcagctcgt 1080 gtcgtgagat gttgggttaa gtcccgcaac gagcgcaacc cttattatca gttgccagca 1140 ttaagttggg cactctggtg agactgccgg tgacaaaccg gaggaaggtg gggatgacgt 1200 caaatcatca tgccccttat gacctgggct acacacgtgc tacaatggat ggtacaacga 1260 gttgcgaact cgcgagagta agctaatctc ttaaagccat tctcagttcg gattgtaggc 1320 tgcaactcgc ctacatgaag tcggaatcgc tagtaatcgc ggatcagcat gccgggggga 1380 atacgttccc gggccttgta cacaccgccc gtcacaccat gagagtttgt aacacccaaa 1440 gtcggtgggg taacctttta ggaaccagcc gcctaaggtg ggacagatga ttagggtgaa 1500 gtcgta 1506

Claims (7)

  1. 수탁번호 KACC 92363P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종(Lactobacillus sp.) SSD-9 균주.
  2. 제1항의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3.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용 조성물은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세레우스균(Bacillus ce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및 클라비박터 미시가넨시스(Clavibacter michigan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 대한 항균용인, 항균용 조성물.
  5.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6.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은 토마토 궤양병인,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0210123442A 2021-09-15 2021-09-15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KR102567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42A KR102567095B1 (ko) 2021-09-15 2021-09-15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442A KR102567095B1 (ko) 2021-09-15 2021-09-15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172A true KR20230040172A (ko) 2023-03-22
KR102567095B1 KR102567095B1 (ko) 2023-08-16

Family

ID=86005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442A KR102567095B1 (ko) 2021-09-15 2021-09-15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0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843A (ko) * 2007-10-30 2007-11-13 박세준 바실루스 속 에스제피미생물
KR100923226B1 (ko) 2008-01-14 2009-10-27 (주)이엘티사이언스 항균효과가 강화된 사료첨가용 유산균제제 와 그 제조방법
KR20130088816A (ko) * 2013-07-18 2013-08-08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KR20130088817A (ko) * 2013-07-18 2013-08-08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KR20150084516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가축들의 장내 미생물 변화와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신바이오틱스 가축사료 첨가제
KR20190044484A (ko) * 2017-10-20 2019-04-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843A (ko) * 2007-10-30 2007-11-13 박세준 바실루스 속 에스제피미생물
KR100923226B1 (ko) 2008-01-14 2009-10-27 (주)이엘티사이언스 항균효과가 강화된 사료첨가용 유산균제제 와 그 제조방법
KR20130088816A (ko) * 2013-07-18 2013-08-08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KR20130088817A (ko) * 2013-07-18 2013-08-08 (주) 피엘바이오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생균제 용도
KR20150084516A (ko) * 2014-01-14 2015-07-22 주식회사 이지바이오 가축들의 장내 미생물 변화와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신바이오틱스 가축사료 첨가제
KR20190044484A (ko) * 2017-10-20 2019-04-3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식물의 생물 또는 비생물적 스트레스 저항성을 증진시키는 바실러스 시아멘시스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095B1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arti et al. In vitro studies on probio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Lactobacillus brevis strain LAP2 isolated from Hentak, a fermented fish product of North-East India
Fracchia et al. A Lactobacillus-derived biosurfactant inhibits biofilm formation of human pathogenic Candida albicans biofilm producers
Vasiee et al. Diversity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horreh, a traditional Iranian fermented food
Thapa et al. Microbial diversity in ngari, hentak and tungtap, fermented fish products of North-East India
KR100911115B1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arsanaki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fresh vegetables
KR101869221B1 (ko) 신규한 와이셀라 시바리아 균주 및 이의 용도
Ilango et al. Functional characterization and microencapsulation of probiotic bacteria from koozh
KR102001994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rcm102736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080109585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내염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식물성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98272B1 (ko) 김치에서 분리되고 항균물질생성 및 면역활성 효능을 가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
US20150201662A1 (en) Health supplement food containing pediococcus acidilactici j9,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60057855A (ko) 김치에서 분리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u et al. Evaluation of the Probiotic Potential of ssp. WDS-7 Isol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Fermented Buffalo Milk
KR102424594B1 (ko) 항염 활성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okbl-l.fe 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0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1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01992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srcm102607 균주 및 이의 용도
Bhattacharya et al. Study of Physical and Cultural Parameters on the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hoi et al.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mojavensis KJS-3 for industrial applications
KR102567095B1 (ko) 쉬땅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락토바실러스 종 균주
JP7197204B2 (ja) 新規のpediococcus pentosaceus ab160011菌株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Lata et al.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Y196 AND Y197 ISOLATED FROM RICE CHHANG-A FERMENTED BEVERAGE OF LAHAUL SPITI
Ogunremi et al. Occurrence of amylolytic and/or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in Ogi and Fufu
KR101373224B1 (ko) 폴리아민을 생산하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aml 15균주 및 그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7092B1 (ko) 동백나무에서 분리된 신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균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