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967A -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967A
KR20230039967A KR1020210122968A KR20210122968A KR20230039967A KR 20230039967 A KR20230039967 A KR 20230039967A KR 1020210122968 A KR1020210122968 A KR 1020210122968A KR 20210122968 A KR20210122968 A KR 20210122968A KR 20230039967 A KR20230039967 A KR 202300399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ystem
energy storage
lifting
weight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우상균
이철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2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967A/ko
Publication of KR20230039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9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87Gravity or weight mo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3/00Measuring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or mechanical efficiency, in general
    • G01L3/02Rotary-transmission dynam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4Testing the effec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P3/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angular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friction clu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6Mechanical energy storage, e.g. flywheels or pressurised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11)의 인양 및 낙하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10); 상기 중량물(11)의 인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량물(11)의 낙하에 의해 발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 및 발전부(100); 상기 구동 및 발전부(100)에 연결된 와이어(20); 상기 중량물(11)이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와이어(20)에 연결된 중량물 결합부(30); 상기 중량물(11)의 인양 시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중량물(11)의 낙하 시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며, 인양과 낙하 시 단위기기에 가해지는 RPM과 토크를 측정하여 단위기기의 효율이 계산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이루어져 있으므로,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충방전효율)과 저장 시스템에 설치된 핵심기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규모에 따른 최적화 방법을 예측하고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Performanc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ravity Energy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원의 비중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전력공급의 불균질성을 완화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 기술의 일종으로, 잉여전력을 활용하여 중량체를 끌어올려 고공의 위치 에너지로 저장 후 하강시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관련하여,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은, 실시간으로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정보를 교환하며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시스템으로서,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전원과 결합하여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전기 요금이 싼 시간에 저장한 전기를 피크타임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대용량 전력 에너지 저장을 위해 개발중인 시스템 중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란, 충전을 위하여 중량물을 인양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시키고, 그 중량물을 낙하하면서 발전된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기존에 활용중인 기술로 양수발전이 있다. 양수발전은 육지에서 산과 강의 낙차를 이용하여 강의 물을 산 정상의 상류 저수지에 양수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방류하여 발전하는 수력발전식 저장 기술로 개발 입지에 한계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타워형, 산악형, 레일형 등 다양한 중력 이용 에너지저장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기존 타워형 중력 이용 에너지저장 기술은 건설용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블록 단위의 중량물을 인양 후, 전기가 필요할 때 하강시켜 발전하는 기술로서 다른 중력 이용 기술 대비 입지제약에 대한 장점을 가진다.
한편, 에너지 저장 시스템 성능은 충방전효율(RTE)에 의해 정해지는데, 이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방전 전력량과 충전 전력량과의 비율을 말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낮아서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충방전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은 변동성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증가에 따라 전력공급 안정화를 위한 대용량 에너지저장 설비가 필요하며, 대용량 에너지저장 기술 중 하나인 중력식 타워형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방식으로 대책 마련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외적으로 시험설비 및 실증설비를 구현한 곳이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1-0031001(2021.03.18.)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충방전효율)을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는, 중량물의 인양 및 낙하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량물의 낙하에 의해 발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 및 발전부; 상기 구동 및 발전부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중량물이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중량물 결합부; 상기 중량물의 인양 시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중량물의 낙하 시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며, 인양과 낙하 시 단위기기에 가해지는 RPM(Revolutions Per Minute)과 토크를 측정하여 단위기기의 효율이 계산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구동 및 발전부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면서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중량물을 인양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중량물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모터 클러치;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발전기 클러치; 상기 모터 클러치 및 발전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의 낙하가 완료되면 상기 중량물의 인양을 위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면서 상기 발전기 클러치가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중량물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중량물의 낙하를 위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면서 상기 발전기 클러치가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구동 및 발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고정 도르래 및 이동 도르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는, 하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고정 도르래 및 이동 도르래에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중량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도르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방법은 상기 구동 및 발전부에 의해 상기 중량물을 낙하 완료위치에서 인양 완료위치까지 인양하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 및 발전부에 의해 상기 중량물을 인양 완료위치에서 낙하 완료위치까지 낙하하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방전 전력량과 충전 전력량의 비율에 의해 충방전효율을 산출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력식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충방전효율)과 저장 시스템에 설치된 핵심기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규모에 따른 최적화 방법을 예측하고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구동부 및 발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도르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중량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수직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의 수평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방법의 개요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중량물(11)의 인양 및 낙하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10); 상기 중량물(11)의 인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량물(11)의 낙하에 의해 발전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 및 발전부(100); 상기 구동 및 발전부(100)에 연결된 와이어(20); 상기 중량물(11)이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와이어(20)에 연결된 중량물 결합부(30); 상기 중량물(11)의 인양 시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중량물(11)의 낙하 시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며, 인양과 낙하 시 단위기기에 가해지는 RPM(Revolutions Per Minute)과 토크를 측정하여 단위기기의 효율이 계산되는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10)은 중량물(11)의 인양 및 낙하를 지지하도록 강재에 의해 형성되며, 그 높이가 중량물(11)의 낙하에 의해 의미있는 충전 전력량이 발전될 정도의 높이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프레임(1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에는 시험시설(1)의 벽면에 프레임(10)을 고정하여 더욱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및 발전부(100)는, 도 3과 같이, 상기 와이어(20)가 권취되면서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2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 드럼(110); 상기 중량물(11)을 인양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20); 상기 중량물(11)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130);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한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모터 클러치(121); 상기 발전기(130)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발전기 클러치(131); 상기 모터 클러치(121) 및 발전기 클러치(131)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 드럼(110)은 상기 와이어(20)가 권취됨과 아울러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와이어(2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120)는 중량물(11)의 인양을 위하여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130)는 중량물(11)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에 의해 발전한다.
상기 모터 클러치(121)는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한 모터(120)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발전기 클러치(131)는 상기 발전기(130)에 대한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11)의 낙하가 완료되면 상기 중량물(11)의 인양을 위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121)가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한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면서 상기 발전기 클러치(131)가 상기 발전기(130)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하여 모터(120)의 구동력의 전달만이 이루어지고, 상기 발전기(130)에 대한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의 전달이 해제되므로, 모터(120)의 구동력이 전달된 와이어 드럼(110)에 의해 와이어(20)가 감김에 따라 이에 연결된 중량물(11)이 인양된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11)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중량물(11)의 낙하를 위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121)가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한 상기 모터(120)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면서 상기 발전기 클러치(131)가 상기 발전기(130)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와이어 드럼(110)에 대한 모터(120)의 구동력의 전달이 해제되고, 발전기(130)에 대한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의 전달이 허용되므로, 중량물(11)의 낙하에 의해 와이어(20)가 강제로 풀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와이어 드럼(110)의 구동력이 발전기(130)에 전달됨에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가 없다면, 중량물(11)의 인양 및 낙하의 반복을 위하여 모터(120), 발전기(130)를 번갈아 온, 오프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모터(120), 발전기(130)를 그대로 온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중량물(11)의 인양 및 낙하의 반복시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동 및 발전부(10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와이어(20)는 하단이 와이어 드럼(110)에 연결되고, 상단이 고정 도르래(40)와 이동 도르래(50)를 거쳐 중량물 결합부(30)에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고정 도르래(40) 및 이동 도르래(5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와이어(20)는 하단이 와이어 드럼(110)에 연결되고, 상단이 고정 도르래(40) 및 이동 도르래(50)에 연결됨과 아울러 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량물 결합부(30)는 상기 이동 도르래(5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중량물(11)을 인양하기 위해 모터(120)가 부담하는 힘을 1/2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인양시간은 2배 정도 늘어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중량물(11)은 도 5와 같이, 콘크리트 블록, 강재 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정확하고 안전한 시험을 위해서는 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물 결합부(3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중량물(11)이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하며, 와이어(20) 또는 이동 도르래(50)에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20) 또는 이동 도르래(50)의 후크에 연결되는 수직판(31)과 그 하부에 결합하는 수평판(32)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31)에는 상부 중앙에 상기 와이어(20) 또는 이동 도르래(50)의 후크에 연결되는 걸이홀(31a)이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수평판(32)과 결합되도록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돌출부(31b)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판(32)의 중앙에는 상기 수직판(31)의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31b)가 각각 결합되도록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결합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중량물(11)은 수평판(32) 위에 적층되어 지지되는데, 중량물(11)의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 및 수직판(31)의 관통공(34)을 관통하도록 결합핀(33)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경우, 더욱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험장치에 의한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방법은, 도 8과 같이, 상기 구동 및 발전부(100)에 의해 상기 중량물(11)을 낙하 완료위치에서 인양 완료위치까지 인양하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 및 발전부(100)에 의해 상기 중량물(11)을 인양 완료위치에서 낙하 완료위치까지 낙하하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방전 전력량과 충전 전력량의 비율에 의해 충방전효율을 산출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처럼, 본 발명은 중력식 에너지 저장 저장 시스템의 성능(충방전효율)과 저장 시스템에 설치된 핵심기기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측정하도록 하는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규모에 따른 최적화 방법을 예측하고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시험시설 10 : 프레임
11 : 중량물 20 : 와이어
30 : 중량물 결합부 31 : 수직판
31a : 걸이홀 31b : 돌출부
32 : 수평판 32a : 결합홈
33 : 결합핀 34 : 관통홀
40 : 고정 도르래 50 : 이동 도르래
100 : 구동 및 발전부 110 : 와이어 드럼
120 : 모터 121 : 모터 클러치
130 : 발전기 131 : 발전기 클러치

Claims (8)

  1. 중량물의 인양 및 낙하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중량물의 낙하에 의해 발전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 및 발전부;
    상기 구동 및 발전부에 연결된 와이어;
    상기 중량물이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중량물 결합부;
    상기 중량물의 인양 시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고, 상기 중량물의 낙하 시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며, 인양과 낙하 시 단위기기에 가해지는 RPM(Revolutions Per Minute)과 토크를 측정하여 단위기기의 효율이 계산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발전부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면서 정방향 회전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는 와이어 드럼;
    상기 중량물을 인양하도록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중량물의 낙하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모터 클러치;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거나 해제하는 발전기 클러치;
    상기 모터 클러치 및 발전기 클러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물의 낙하가 완료되면 상기 중량물의 인양을 위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면서 상기 발전기 클러치가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중량물의 인양이 완료되면 상기 중량물의 낙하를 위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가 상기 와이어 드럼에 대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의 전달을 해제하면서 상기 발전기 클러치가 상기 발전기에 대한 상기 와이어 드럼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동 및 발전부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는 고정 도르래 및 이동 도르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하단이 상기 와이어 드럼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고정 도르래 및 이동 도르래에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도르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의 실험장치에 의한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및 발전부에 의해 상기 중량물을 낙하 완료위치에서 인양 완료위치까지 인양하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그 인양에 소요되는 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구동 및 발전부에 의해 상기 중량물을 인양 완료위치에서 낙하 완료위치까지 낙하하면서 상기 측정부에 의해 그 낙하에 의해 발전되는 충전 전력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방전 전력량과 충전 전력량의 비율에 의해 충방전효율을 산출하고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방법.
KR1020210122968A 2021-09-15 2021-09-15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KR202300399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68A KR20230039967A (ko) 2021-09-15 2021-09-15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68A KR20230039967A (ko) 2021-09-15 2021-09-15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967A true KR20230039967A (ko) 2023-03-22

Family

ID=8600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68A KR20230039967A (ko) 2021-09-15 2021-09-15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9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01A (ko) 2010-12-24 2021-03-18 지 파워 플랜츠 디엠씨씨 중력 전기 발전소 기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1001A (ko) 2010-12-24 2021-03-18 지 파워 플랜츠 디엠씨씨 중력 전기 발전소 기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050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energy storage
US9957018B1 (en) System for wave amplifying, wave energy harnessing, and energy storage
US20150048622A1 (en) Device and method for green storage of recoverable electric energy with high overall efficiency
EP2961982B1 (en) Gravitational potential energy storage
CA2715601A1 (en) Wave power plant and transmission
CN101392723A (zh) 确定控制储量的方法和带有其控制单元的风力发电设备
JP5825700B2 (ja) ライザストリングのハイブリッド張力付与
CN203551302U (zh) 绞车全过程工作性能试验装置
JP2017530055A (ja) 風力タービン発電機のプラットフォームから機器部品を取り外す装置及び方法、並びにそのプラットフォーム上の燃料タンクを充填する方法
JP2016513776A (ja) 水中に設置されるエネルギー蓄積システム
KR20230039967A (ko) 중력 이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성능시험장치 및 그 시험방법
Morstyn et al. Gravitational energy storage with weights
US8872367B2 (en) Lifting system that generates electrical power
JPH06147097A (ja) 重力応用発電装置
JP2012060869A (ja) 重力式電気エネルギー蓄積装置
KR101396210B1 (ko) 전력저장장치
CN116867966A (zh) 质量件移位式能量存储及发电设备
CN216720923U (zh) 一种用于火力发电厂的峰谷调节储能装置
KR20230011800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5064787U (zh) 水利工程监测机构
CN102331326A (zh) 用于风力发电机叶片平衡称重的方法
CN114623058A (zh) 建筑用重力储能装置、系统
CN106759532B (zh) 自动提升测斜装置及方法
KR20230120858A (ko) 부하패턴 조절형 플러스에너지 건물을 위한 물리-화학-열 에너지 복합 저장 시스템
CN116639613A (zh) 一种恒张力收放绳智能自动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