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906A -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906A
KR20230039906A KR1020210122835A KR20210122835A KR20230039906A KR 20230039906 A KR20230039906 A KR 20230039906A KR 1020210122835 A KR1020210122835 A KR 1020210122835A KR 20210122835 A KR20210122835 A KR 20210122835A KR 20230039906 A KR20230039906 A KR 2023003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propionic acid
pharmaceutical composition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덕
윤복영
안선욱
최인실
Original Assignee
구주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주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주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906A/ko
Priority to PCT/KR2022/013751 priority patent/WO2023043207A1/ko
Publication of KR2023003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40Cyclodextr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제조 단계나 보관 단계에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의 손실 및 불순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stability comprising propionic acid and stabilizer}
본 발명은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는 통증과 염증 및 해열에 대한 치료로 널리 사용되는 약물로,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통풍, 두통, 치통, 생리통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고 있다. NSAID는 구조에 따라 살리실산, 아세트산, 프로피오닉산, 메페남산, 옥시캄 계열 등으로 구분된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에는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케토프로펜, 덱스케토프로펜, 플루비오프로펜, 옥사프로진, 록소프로펜, 펠루비프로펜 등이 포함된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현재 다양한 상품명으로 진통, 염증 및 발열 등의 치료를 위한 경구 투여용 제제로 시판되고 있다.
한편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빛 또는 열 등 주변 조건에 의해 디카복실화될 수 있고 유연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약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통상적으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의 디카복실화 반응은 서서히 진행되나, 액상 상태에서는 반응이 보다 빠르게 진행된다. 이에,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의 분해 및 유연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829705호
본 발명은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약학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고, 상기 안정화제는 메티오닌인 약학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5.6 중량부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5. 위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6. 위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형태인 약학 조성물.
7. 위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용인 약학 조성물.
8. 안정화제를 멸균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상기 안정화제가 용해된 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정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제조 단계나 보관 단계에서 활성성분인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의 손실 및 불순물의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가혹 또는 가속 조건에서 성상의 변화가 없고 유연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이 안정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장기간 저장 가능한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가속안정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4 내지 6의 가속안정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6 내지 11의 가혹안정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6과 비교예 2의 가혹안정성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성분인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의 분해 및 불순물 생성을 저해시켜 안정성이 개선된 조성물이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프로피오닉산 그룹을 포함하는 약물로 비스테로이드 소염제의 한 종류이며, 진통, 염증 및 발열 등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화학식 1의 구조의 프로피오닉산 그룹을 포함하며 이는 프로피온산 그룹으로도 명명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화학적 안정성이 낮아 빛, 열 또는 습도 등의 외부 환경에 의해 쉽게 분해될 수 있고, 분해로 인해 유연물질 등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정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활성성분인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불순물이 증가하는 것을 저해해 안정성이 개선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특정 안정화제는 약학 조성물 내에서 안정화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나프록센, 페노프로펜, 케토프로펜, 덱스케토프로펜, 플루비오프로펜, 옥사프로진, 록소프로펜, 펠루비프로펜, 펜부펜(Fenbufen), 베녹사프로펜(Benoxaprofen), 서프로펜(Suprofen), 피르프로펜(pirprofen), 인도프로펜(indoprofen), 티아프로펜산 (Tiaprofenic acid), 이부프록삼(ibuproxam), 플루녹사프로펜 (Flunoxaprofen), 알미노프로펜(Alminoprofen), 덱스케토프로펜(Dexketoprofen), 베다프로펜(Vedaprofen), 카프로펜(Carprofen), 테폭살린(Tepoxalin)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다.
안정화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안정화제는 조합되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메티오닌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는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5.6 중량부, 0.005 내지 5 중량부, 0.002 내지 5 중량부, 0.002 내지 4 중량부, 0.002 내지 3 중량부, 0.002 내지 2.1 중량부, 0.0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안정화제는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대비, 0.05 중량부 이상, 0.05 내지 10 중량부, 0.04 내지 5.6 중량부, 0.02 내지 2.1 중량부 또는 0.0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티오닌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100 중량부 대비 0.001 중량부 이상, 0.05 중량부 이상, 0.05 내지 10 중량부, 0.04 내지 5.6 중량부, 0.02 내지 2.1 중량부 또는 0.0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추가 안정화제 또는 가용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안정화제는 전술한 안정화제와 다른 종류의 안정화제를 의미한다.
추가 안정화제는 약학 조성물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충분하며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가 안정화제는 페놀산, 소르브산(sorbic acid), 소듐설파이트(sodium sulfite), 소듐비설파이트(sodium bisulfite), 소듐 메타비설파이트(sodium metabisulfite), 시스테인(cysteine), 아세틸시스테인(Acetylcysteine), 소듐티오설페이트(sodium thiosulfate),
이산화황(sulphur dioxide),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소듐니트라이트,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 아스코르비팔미테이트, 알파-티오글리세롤, 에리소르브산, 시스테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토코페롤, 비타민 E 및 그 유도체, 토코페롤아세테이트,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ated hydroxytoluene), 대두 레시틴, 소듐 티오글리콜레이트, 프로필갈레이트(propyl gallate), 요산, 멜라토닌, 티오우레아, 트립토판(tryptophan), 글루타치온(Glutathione), 머캅토프로피오닐글라이신(Mercaptopropionylglycine), 리포익산(Lipoic acid), 및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안정화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나트륨(EDTA Na) 일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안정화제는 약물의 즉각적인 안정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즉각적이지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안정화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용화제는 아르기닌, 메글루민, 라이신, 히스티딘, 산화마그네슘, 초산나트륨 및 구연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가용화제는 L-아르기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액상 형태(즉 액상 제제) 또는 고체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액상 형태일 때 안정성이 더 낮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이 액상 형태인 경우 특정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나타나는 안정성 개선 효과가 보다 우수하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액상 형태의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주사용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제화될 수 있다. 약학적 제제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고,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주사용액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특정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액상 형태 또는 고형의 약학 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주사용 약학 제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제제는 특정 안정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이 분해되거나 불순물(예컨대 유연물질)의 생성이 저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화제 및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멸균수에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멸균수에 용해시키는 단계에서 가용화제 또는 안정화제를 더 첨가할 수있다. 이 때, 안정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순서는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용해시킨 후 pH를 7.0 내지 8.5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안정화제를 멸균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상기 안정화제가 용해된 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및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안정화제를 용해시키기 전에 상기 멸균수에 가용화제를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용해시킨 후 pH를 7.0 내지 8.5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H를 조절하는 단계는 pH를 7.0 내지 8.5, 7.1 내지 8.4, 7.2 내지 8.3, 7.3 내지 8.2, 7.4 내지 8.1, 7.5 내지 8.0, 7.6 내지 7.9, 7.7 내지 7.9, 또는 7.8 내지 7.9로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1.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제조
아래의 표 1과 같은 다양한 조성으로 이부프로펜을 포함하는 샘플을 제조하였다(단위: mg). 먼저, 주사용 멸균 정제수를 제조 용기에 넣은 후, 각각 소정 함량의 가용화제와 등장화제와 안정화제를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완전히 용해시켜 주사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주사제 용액에 적정량의 이부프로펜을 추가하여 완전히 녹인 후 표선을 맞추었다. 그 후 주사제 용액의 pH를 측정하고, pH 조절제를 적당량 추가하여 pH가 7.8~7.9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pH가 조절된 주사제를 0.2μm filter로 여과한 후, 주사제 용기에 충전하고 고무마개를 끼운 후 알루미늄 캡으로 캡핑(capping)하였다. 주사제 조제/충전/캡핑 과정에서 공기를 질소로 치환하여 용존 산소를 최소화하였다.
구분(mg)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이부프로펜 100 100 100 100 100 100 100
L-아르기닌 78 78 78 78 78 78 78

안정화제
EDTA Na 수화물 0.1 0.1 0.1 0.1 0.1 0.1 0.1
β-사이클로덱스트린 0 0.16 0 0 0 0 0
HP-β-CD 0 0 400 0 0 0 0
TPGS 0 0 0 0.2 0 0 0
BHA 0 0 0 0 0.2 0 0
아스코르브산 0 0 0 0 0 10 0
메티오닌 0 0 0 0 0 0 0.63
2. 가속보관 조건에서의 안정성 시험
위 1.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 제조에서 제조한 주사제 샘플을 아래의 가속보관 조건 하에서 3개월간 보관하였고, 가속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 가속보관 안정성 시험조건 -
(1) 온도 및 습도: 가속보관조건(40℃±2℃, 75% 상대습도)
(2) 샘플포장형태: 무색 투명 바이얼
(3) 보관기간: 제조일로부터 3개월 경과된 시점까지
보관을 시작한 후 1, 2, 3개월의 시점에서 주사제 샘플을 추출하여 이부프로펜이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용액을 검액으로 하여 USP 원료항의 이부프로펜 유연물질 시험법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주사제 내의 유연물질의 생성 정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2,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 조건>
검출기 : 자외선 흡광광도계(검출파장 : 254 nm)
컬 럼 : 4.6 × 250 ㎜, C18, 5um
컬럼온도 : 실온
유 속 : 2.0 mL/min
주입량 : 5 uL
이동상 : 클로로아세트산 4.0g을 물 400mL에 녹인 다음 수산화암모늄으로 pH3.0으로 조정한 액과 아세토니트릴 600mL를 혼합한 액
구분(%)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최초 0.005 0.005 0.003 0.002 0.00002 0.039 0.0004
1개월 0.039 0.037 0.019 0.011 0.005 0.053 0.003
2개월 0.056 0.056 0.030 0.014 0.012 0.054 0.004
3개월 0.090 0.072 0.043 0.016 0.016 0.058 0.005
가속보관 조건에서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들은 유연물질을 적게 생성하였다. 특히, 실시예 2 및 3은 비교예 1에 비해 가속보관 조건에서 3개월 경과 시 유연물질의 생성 정도가 약 50% 이상 낮았다 (표 2 및 도 1 참조). 또한, 실시예 4 및 6은 비교예 1에 비해 가속보관 조건에서 3개월 경과 시 유연물질의 생성 정도가 약 70% 이상 낮았다 (표 2 및 도 2 참조). 이를 통해 HP-betadex와 토코페롤 또는 그 유도체, BHA 및 메티오닌이 이부프로펜에서 기인하는 유연물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안정화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 시험
위 2. 가속보관 조건에서의 안정성 시험 결과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메티오닌을 사용하여 안정화제의 농도에 따른 이부프로펜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먼저, 안정화제의 농도 변화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아래의 표 3과 같은 다양한 조성으로 이부프로펜을 포함하는 샘플을 제조하였다(단위: mg).
구분(mg)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이부프로펜 100 100 100 100 100 100
L-아르기닌 78 78 78 78 78 78
EDTA Na 수화물 0.1 0 0.1 0.1 0.1 0.1
메티오닌 0.63 0.63 0.42 0.01 0.9 1.8
아래의 가혹조건에서 보관을 시작하고 1주, 2주에 시험 샘플들을 추출하여 이부프로펜이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용액을 검액으로 하여 USP 원료항의 이부프로펜 유연물질 시험법으로 위 2. 가속보관 조건에서의 안정성 시험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주사제 내의 유연물질의 생성 정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4, 도 3에 나타내었다.
- 가혹보관 안정성 시험조건 -
(1) 온도 및 습도 : 가혹보관조건 (50℃± 2℃, 75% 상대습도)
(2) 샘플포장형태 : 무색 투명한 바이얼
(3) 시험시점 : 제조일로부터 1, 2 주간 경과된 시점까지
구분(%)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최초 0.0004 0.002 0.0004 0.0037 0.001 0.0008
1주 0.005 0.005 0.008 0.011 0.002 0.001
2주 0.01 0.008 0.014 0.017 0.003 0.002
메티오닌이 0.02 내지 1.8 중량부로 첨가되는 경우 가혹 조건에서 2주 경과 시 유연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4 및 도 3 참조).
4. 시판 제품과 안정성 비교 시험
이부프로펜 주사제로 시판되고 있는 제품(비교예 2, 칼도롤)과 실시예 6의 안정성을 비교하는 시험을 수행하였다.
아래의 가혹조건에서 보관을 시작하고 1주, 2주, 4주째에 샘플들을 추출하여 이부프로펜이 일정한 농도가 되도록 조절한 용액을 검액으로 하여 USP 원료항의 이부프로펜 유연물질 시험법으로 위 2. 가속보관 조건에서의 안정성 시험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조건으로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주사제 내의 유연물질의 생성 정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5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 가혹보관 안정성 시험조건 -
(1) 온도 및 습도: 가혹보관조건 (50℃± 2℃, 75% 상대습도)
(2) 샘플포장형태: 무색 투명한 바이얼
(3) 시험시점: 제조일로부터 1, 2, 4 주간 경과된 시점까지
구분(%) 비교예2 실시예6
최초 0.053 0.0004
1주 0.106 0.006
2주 0.137 0.013
4주 0.168 0.038
시판 제품인 비교예 2에 비해 실시예가 가혹 조건에서 유연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5 및 도 4 참조).
위 실험결과들을 통해 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 TPGS, BHA, 아스코르브산, 메티오닌 등의 특정 안정화제가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인 이부프로펜으로부터 유연물질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인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은 이부프로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고, 상기 안정화제는 메티오닌인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0.001 내지 5.6 중량부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제는 상기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8 중량부로 포함되는 약학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액상 형태인 약학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사용인 약학 조성물.
  8. 안정화제를 멸균수에 용해시키는 단계; 및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을 상기 안정화제가 용해된 용액에 첨가하여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안정화제는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β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hydroxypropyl β-cyclodextrin, HP-β-CD), 토코페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석시네이트(tocopherol polyethylene glycol 1000-succinate, TPGS),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 BHA),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SA), 메티오닌(methionin, MET), 시스테인, 트립토판, 멜라토닌,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및 티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22835A 2021-09-15 2021-09-15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230039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35A KR20230039906A (ko) 2021-09-15 2021-09-15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CT/KR2022/013751 WO2023043207A1 (ko) 2021-09-15 2022-09-15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835A KR20230039906A (ko) 2021-09-15 2021-09-15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906A true KR20230039906A (ko) 2023-03-22

Family

ID=86005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835A KR20230039906A (ko) 2021-09-15 2021-09-15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90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705B1 (ko) 2016-09-21 2018-02-19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안정성이 향상된 주사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705B1 (ko) 2016-09-21 2018-02-19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안정성이 향상된 주사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90523T3 (es) Preparación de pemetrexed estabilizada
EP2925325B1 (en) A stabilized pemetrexed formulation
JP5160786B2 (ja) 医薬組成物及びレボドパ及びカルビドパの使用方法
HU226117B1 (en) Stable liquid paracetamol compositions
US9050307B2 (en)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levothyroxine solution
RU2519764C1 (ru) Стабильная готовая к применению композиция парацетамола для инъекций
JP2020125359A (ja) ペメトレキセドまたはその薬剤学的に許容可能な塩を含有する安定化された薬学組成物
JP2006111614A (ja) 安定化された注射用水溶液製剤
JP2019502751A5 (ko)
KR101924786B1 (ko) 이부프로펜의 주사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210251931A1 (en) Levothyroxine liquid formulations
KR20230039906A (ko)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계열 약물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JP2019019075A (ja) ペメトレキセド含有液状医薬組成物
US20210059967A1 (en) Liquid parenteral compositions of levothyroxine
KR20230039908A (ko) 안정성이 향상된 프로피오닉산 약학 조성물
CN111840215A (zh) 一种氟比洛芬注射液与容器的组合
ES2709651T3 (es) Solución básica de ácido alfa lipoico y sus usos
JP2010047482A (ja) エダラボン注射液
JP2005298452A (ja) アズレン誘導体含有の水性液剤の安定化法
US20240033215A1 (en) Injectable formulation with enhanced stability containing dexibuprofen and arginin and their medicine vessel for injection
KR102427941B1 (ko) 이부프로펜 및 아르기닌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개선된 주사용 제제
WO2021221101A1 (ja) シラスタチンを含有する液体製剤及び医薬製品
US11752097B2 (en) N-acetylcysteine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9155315A (ja) 注射剤
US20030026852A1 (en) Molecular iod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