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790A -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790A
KR20230039790A KR1020210121397A KR20210121397A KR20230039790A KR 20230039790 A KR20230039790 A KR 20230039790A KR 1020210121397 A KR1020210121397 A KR 1020210121397A KR 20210121397 A KR20210121397 A KR 20210121397A KR 20230039790 A KR20230039790 A KR 20230039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steering angle
wheelset
railway vehicle
ax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400B1 (ko
Inventor
허현무
정종덕
권석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21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38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 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e.g. sliding axles, swinging ax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이 주행 중에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윤축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철도차량이 어떠한 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의 내측 및 외측 액슬 박스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센서와, 상기 변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하여 윤축의 조향각을 계산하는 조향각 분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위 측정 센서는 상기 대차의 전부 또는 후부 액슬 박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변위 브라켓과, 상기 대차의 후부 또는 전부 액슬 박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 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변위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센서 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measuring apparatus of steering angle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이 주행 중에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윤축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철도차량이 어떠한 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철도차량 곡선부 주행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과 윤축 간에는 공격각(angle of attack)이 존재하는데, 이 공격각은 차량의 원활한 곡선 주행에 악영향을 미쳐 곡선 주행시에 차륜의 플랜지와 레일 측면간의 마찰로 높은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차륜과 레일의 마모를 가속시키게 되고, 심할 경우에는 차륜과 레일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되어 열차가 탈선하는 대형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곡선부 주행시 곡률반경과의 원활한 적응을 도모하기 위한 윤축 능동조향(active steering)방법이 제시되었다.
그 일 예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윤축의 요방향 회전 토크를 부여하여 곡선과 수직방향(radial position,반지름방향)으로 위치하게 함으로써 공격각을 제거하는 윤축 레이디얼 포지션 (radial position) 제어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윤축 능동조향 방법의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2016742호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곡률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곡률 측정 센싱값에 기초하여, 능동 조향 구동기의 조향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조향 구동기 커맨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능동 조향 구동기로부터 기 생성되어 피드백 되는 조향 구동기 변위와 상기 조향 구동기 커맨드에 기초하여 상기 능동 조향 구동기에 제공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능동 조향 구동기의 변위에 기초하여 상기 능동 조향 구동기의 조향 구동력을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지정되는 조향 구동력을 기초로 상기 능동 조향 구동기를 구동하되, 상기 추정된 조향 구동력을 이용한 앞먹임 제어를 통해 능동 조향 구동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2016742호에 기재된 기술은 현재 주행중인 선로의 곡률은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조향 구동력을 통하여 곡선로에 대응되도록 윤축을 조향하여 곡선로를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현재 조절된 윤축의 조향각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6742호(2019.08.26.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철도차량의 대차에 설치되어 각 액슬 박스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신하여 철도차량의 곡선주행시 발생하는 윤축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곡선 구간 주행시 어떠한 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의 내측 및 외측 액슬 박스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센서와, 상기 변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하여 윤축의 조향각을 계산하는 조향각 분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변위 측정 센서는 상기 대차의 전부 또는 후부 액슬 박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변위 브라켓과, 상기 대차의 후부 또는 전부 액슬 박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 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변위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센서 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변위 브라켓은 상기 액슬 박스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액슬 박스 커버 볼트를 사용하여 액슬박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귄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권취부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권취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액슬 박스에 고정되는 제2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액슬 박스 커버 볼트를 사용하여 액슬박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향각 분석부는 상기 변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전후 액슬 박스 간의 내측 변위 및 외측 변위를 측정하고, 전후 액슬 박스간의 내측 변위, 외측 변위, 윤축의 길이(내측 외측 변위 측정 센서 간의 거리)를 하기의 [수식1]에 대입하여 윤축의 조향각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δ : 윤축의 조향각, x1 : 내측 액슬 박스 간의 변위, x2 : 외측 엑슬 박스 간의 거리, L : 윤축 양단의 거리 ]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대차에 설치되어 각 액슬 박스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신하여 철도차량의 곡선주행시 발생하는 윤축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곡선 구간 주행시 어떠한 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곡선선로에서 윤축의 레디얼 포지션 제어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능동 조향 제어를 수행하는 흐름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가 적용된 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변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가 적용된 철도차량의 주행 중 실시간 측정한 조향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의 변위 브라켓이 설치된 액슬 박스의 확대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의 센서부재가 설치된 액슬 박스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가 적용된 대차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변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가 적용된 철도차량의 주행 중 실시간 측정한 조향각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의 변위 브라켓이 설치된 액슬 박스의 확대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의 센서부재가 설치된 액슬 박스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주행 중에 발생하는 윤축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9에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철도차량의 대차(100)에 설치되는 변위 측정 센서(200)와 상기 변위 측정 센서(200)로부터 수신한 센싱 정보를 통하여 윤축(110)의 조향각을 계산하는 조향각 분석부(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대차(100)의 전부 윤축(110)과 후부 윤축(110)의 양단부에 액슬 박스(120)가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변위 측정 센서(200)는 대차(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액슬 박스(120)와 외측에 위치하는 액슬 박스(120)에 각각 설치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이 주행 중에 상기 변위 측정 센서(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센싱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어 상기 조향각 분석부(300)에서 윤축(110)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변위 측정 센서(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차(100)의 전부 또는 후부 액슬 박스(120)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변위 브라켓(210)과 상기 대차(100)의 후부 또는 전부 액슬 박스(120)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 부재(220)와 일측 단부는 상기 변위 브라켓(21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센서 부재(220)와 연결되는 와이어(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 부재(220)는 상기 와이어(230)가 권취되도록 설치되는 권취부(222)와 상기 권취부(222)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30)가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철도차량이 주행 중에 곡선구간을 주행할 때, 윤축(120)의 조향각을 제어할 경우, 전후 액슬 박스(120)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경우 상기 권취부(222)를 통하여 와이어(230)가 권취되거나 풀려지게 됨으로써, 전후 액슬 박스(120) 간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부(222)에는 권취부(222)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엔코더(224)가 더 구비되어 와이어(230)가 권취되거나 풀려지는 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전후 액슬 박스(120) 간의 변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변위 브라켓(21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슬 박스(120)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212)과 와이어(230)가 결합되는 결합부(21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브라켓(212)은 액슬 박스(120)의 커버 볼트(122)에 의해 액슬 박스(120)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재(220)는 상기 액슬 박스(120)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브라켓(226)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브라켓(226)은 액슬 박스(120)의 커버 볼트(122)에 의해 액슬 박스(1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조향각 분석부(300)는 대차(1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각 차량이나 운전실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조향각 분석부(100)는 상기 변위 측정 센서(200)를 구성하는 엔코더(22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전후 액슬 박스(120) 간의 변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향각 분석부(300)는 전후 액슬 박스간(120)의 내측 변위, 전후 액슬 박스간(120)의 외측 변위 및 윤축(110)의 길이를 하기의 [수식1]에 대입하여 윤축의 조향각을 계산하게 된다.
[수식 1]
Figure pat00002
[δ : 윤축의 조향각, x1 : 내측 액슬 박스 간의 변위, x2 : 외측 엑슬 박스 간의 거리, L : 윤축 양단의 거리 ]
이때, 상기 액슬 박스(120)는 윤축(110)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슬 박스(120)에 상기 변위 측정 센서(200)가 설치되므로, 상기 윤축(110)의 길이는 내측 외측 변위 측정 센서(200) 간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가 된다.
또한, 상기 윤축(110) 양단의 거리는 상수로서 고정된 수치이므로 철도차량이 곡선로를 주행할 경우 내측 액슬 박스(120) 간의 변위와 외측 액슬 박스(120) 간의 변위만이 변하기 때문에 변위의 정보를 통하여 신속하게 조향각을 계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철도차량의 곡선주행시 발생하는 윤축(110)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곡선 구간 주행시 어떠한 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차량이 주행 중에 곡선 구간을 주행할 때, 윤축의 조향각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어 철도차량이 어떠한 상태로 곡선구간을 통과하고 있는 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0 : 대차 110 : 윤축
120 : 액슬 박스 200 : 변위 측정 센서
210 : 변위 브라켓 220 : 센서부재
300 : 조향각 분석부

Claims (5)

  1. 철도차량의 대차의 내측 및 외측 액슬 박스간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 측정 센서와,
    상기 변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통하여 윤축의 조향각을 계산하는 조향각 분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측정 센서는 상기 대차의 전부 또는 후부 액슬 박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변위 브라켓과,
    상기 대차의 후부 또는 전부 액슬 박스 중에서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센서 부재와,
    일측 단부는 상기 변위 브라켓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센서 부재와 연결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브라켓은 상기 액슬 박스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브라켓은 액슬 박스 커버 볼트를 사용하여 액슬박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부재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귄취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스프링과,
    상기 권취부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권취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액슬 박스에 고정되는 제2고정브라켓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고정브라켓은 액슬 박스 커버 볼트를 사용하여 액슬박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각 분석부는 상기 변위 측정 센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전후 액슬 박스 간의 내측 변위 및 외측 변위를 측정하고,
    전후 액슬 박스간의 내측 변위, 외측 변위, 윤축의 길이(내측 외측 변위 측정 센서 간의 거리)를 하기의 [수식1]에 대입하여 윤축의 조향각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수식 1]
    Figure pat00003

    [δ : 윤축의 조향각, x1 : 내측 액슬 박스 간의 변위, x2 : 외측 엑슬 박스 간의 거리, L : 윤축 양단의 거리 ]
KR1020210121397A 2021-09-13 2021-09-13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KR102581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97A KR102581400B1 (ko) 2021-09-13 2021-09-13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397A KR102581400B1 (ko) 2021-09-13 2021-09-13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790A true KR20230039790A (ko) 2023-03-22
KR102581400B1 KR102581400B1 (ko) 2023-09-25

Family

ID=8600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397A KR102581400B1 (ko) 2021-09-13 2021-09-13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0005A (ja) * 1997-11-26 1999-06-18 Tokyu Car Corp 軌道形状検出装置及び軌道曲率半径検出装置
KR20110073866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26137A (ko) * 2015-04-22 2016-11-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를 위한 곡률반경 센싱을 위한 센서 시스템
KR102016742B1 (ko) 2018-04-20 2019-10-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0005A (ja) * 1997-11-26 1999-06-18 Tokyu Car Corp 軌道形状検出装置及び軌道曲率半径検出装置
KR20110073866A (ko) * 2009-12-24 2011-06-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126137A (ko) * 2015-04-22 2016-11-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를 위한 곡률반경 센싱을 위한 센서 시스템
KR102016742B1 (ko) 2018-04-20 2019-10-2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400B1 (ko) 202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157B1 (ko)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JP5832442B2 (ja) レール車両の、少なくとも一つの輪軸を有している台車の状態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KR101262236B1 (ko) 타이어의 바퀴자국 영역에 작용하는 힘 계산방법 및 상기 힘 계산장치
US109338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ges in the longitudinal dynamic behavior of a railway vehicle
CN100460262C (zh) 用于引导车辆至目标地点的导向装置
CA2708574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movement of a self-guided vehicle
BR112019010611B1 (pt) Dispositivo de medição e método para registro de geometria de via férrea
KR20160126137A (ko)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를 위한 곡률반경 센싱을 위한 센서 시스템
JP2018179573A (ja) 鉄道車両の走行速度・位置検出方法及び停車時判定方法
KR102581400B1 (ko) 철도차량 윤축 조향각 측정 장치
JP6877306B2 (ja) 列車位置検出システム、自動列車制御システム、列車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列車障害物検知システム
JP2003240626A (ja) 輪重取得装置、輪重取得方法、鉄道車両、鉄道車両の保守方法、軌道の保守方法
US11529982B2 (en) Vehicle control system
JP4935469B2 (ja) 鉄道車両の走行異常検知方法及び装置
KR102016742B1 (ko)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 장치 및 방법
JP4921680B2 (ja) Abs装置もしくはアンチスキッド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のブレーキ・システム
US20220205202A1 (en) Route cleaning system
US118340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advance speed of a vehicle
JP4788955B2 (ja) 鉄道車両における操舵用アクチュエータの制御方法
JP2007015484A (ja) 連接式鉄道車両の台車操舵機構の異常検出方法及び装置
JP5662126B2 (ja) 荷重測定方法及び荷重測定装置
KR101785413B1 (ko) 관절대차형식 철도차량의 곡선구간 주행시 곡률반경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545963B1 (ko) 철도차량용 능동 조향 제어를 위한 곡률반경 추정용 상대변위 측정장치
JP2002510037A (ja) 車輪速度の補正値を決定する方法と装置
KR20180021350A (ko) 철도차량용 독립차륜 윤축의 궤도중심 추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