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543A -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543A
KR20230039543A KR1020220111370A KR20220111370A KR20230039543A KR 20230039543 A KR20230039543 A KR 20230039543A KR 1020220111370 A KR1020220111370 A KR 1020220111370A KR 20220111370 A KR20220111370 A KR 20220111370A KR 20230039543 A KR20230039543 A KR 20230039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nent resin
component
image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PCT/KR2022/01323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43104A1/ko
Priority to JP2023528327A priority patent/JP2023549803A/ja
Priority to US18/036,077 priority patent/US20230394643A1/en
Priority to CN202280007279.9A priority patent/CN116507894A/zh
Priority to EP22870189.2A priority patent/EP4224150A1/en
Publication of KR2023003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5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36Means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the apply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46Measurement of colour; Colour measuring devices, e.g. colori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8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e.g. for remote ind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12Diffuse illumination, e.g. "sky"
    • G01N2021/8816Diffuse illumination, e.g. "sky" by using multiple sources, e.g. LE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58Flaw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실시간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Two-component resin automatic inspection device and two-component resin automatic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it and automatic two-component resin inspection method}
본 발명은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포함하는데,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캔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의 이차전지는 배터리 셀로 호칭될 수 있다.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만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대형 장치에 이용되는 경우, 용량 및 출력을 높이기 위해 많은 수의 배터리 셀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이 사용되거나, 그러한 배터리 모듈이 복수 개 연결된 배터리 팩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모듈이나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배터리 모듈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접착 소재(레진, 수지 조성물)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착 소재는 배터리 모듈 표면에 형성된 주입홀을 통해 배터리 모듈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소재는 구체적으로 주제 수지 및 경화제 등을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충진된 이액형 레진은, 전지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적절히 흡수하여 전지들의 급격한 온도 변화를 저지하면서, 외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이액형 레진의 열 방출 및 레진 경화성을 위해서, 이액형 레진을 이루는 물질인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 상태가 중요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액형 레진을 배터리 모듈로 주입하기 위한 레진 주액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레진 주액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레진 주입 장치(10)는, 주제 공급부(11), 경화제 공급부(12), 배합부(13), 주입부(14), 압력 센서(15)를 포함한다.
주제 공급부(11)는 주제를 배합부(13)로 공급하고, 경화제 공급부(12)는 경화제를 배합부(13)로 공급한다. 주제 공급부(11)와 경화제 공급부(12)는 각각 개별 밸브(V1, V2)를 통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부(13)로 공급한다.
배합부(13)는 믹서를 구비하며, 주제 공급부(11)와 경화제 공급부(12)를 통해 공급된 주제와 경화제를 믹싱하여 배합한다. 주입부(14)는 배합된 이액형 레진을 배터리 모듈로 주입한다.
압력 센서(15)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한다. 측정된 압력값으로부터 배합 과정에서의 정상/불량 여부를 확인한다. 이 후, 이액형 레진이 경화되면, 작업자는 육안으로 그 색상을 확인하여 정상/불량 여부를 확인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압력 센서(15)의 오염/고장 등의 원인으로 인해, 측정된 압력값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신속히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육안 판단시, 장시간 검사 또는 조명 불량 등의 업무 환경에 따라 오판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21-0063940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실시간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에 있어서, 이액형 레진의 배합 비율에 따른 색상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LED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부의 양측에 균등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머신 비전 카메라이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머신 비전 카메라에 구현된 이미지 프로세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은,
배터리 모듈로 이액형 레진을 주입하는 레진 주액 장치; 및, 상기 레진 주액 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진 주액 장치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레진 주액 장치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조명부,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은,
레진 주액 장치가,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하여 생성된 이액형 레진을 배터리 모듈로 주입하는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 카메라부가,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레진 이미지 획득단계; 및, 판정부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정상 여부 판정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레진 주액 장치의 압력 센서가,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압력값 획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 여부 판정단계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 여부 판정단계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주액 직후에 실시간 자동으로 판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량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레진 주액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내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를 아래에서 위를 바라 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판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의 배합 비율에 따른 색상 정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의 하우징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를 아래에서 위를 바라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는, 하우징(110), 조명부(120), 카메라부(130), 판정부(14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지지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외부의 빛을 차단하여, 조명부(120)에서 조사되는 조명이 일정한 밝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10)은 다면체 형상, 원기둥 형상 등 여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예시한다. 하우징(110)의 하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조명부(120)가 하우징(110)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B)에 일정한 밝기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고, 카메라부(130)가 배터리 모듈(B)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R)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배터리 모듈(B)은,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전방에 마련된 레진 주액 장치에 의해, 이액형 레진(R)이 주입된 상태이다. 작업장 설비 상황 등 선택에 따라 하우징(110)은 소정의 높이에서 지지대(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조명부(120)는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부로 광을 조사한다. 하우징(110) 하부로 일정한 밝기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면, 그 설치 위치는 무관하나,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LED가 하우징(110)의 상면 하부의 양측에 균등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부(120)는 광을 발광하는 수단이면 충분하며, LED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부(130)는 배터리 모듈(B)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R)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부(130)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무관하나,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12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 모듈(B)은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전방에 마련된 레진 주액 장치와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 수단(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이동되면서,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부(130)에 의해 획득된 레진 이미지는 판정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판정부(140)는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한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색상 정보는 HSV(Hue/Saturation/Value) 모델, RGB 모델, L*a*b* 모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HSV 모델은 색상(Hue), 채도(Saturation), 명도(Value)의 좌표에 의해 색상 정보가 특정되는데, 후술하는 RGB 모델과 비교하여 색상이 점진적으로 바뀌는 그라디언트를 구현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HSV를 사용하면 두 개의 파라미터를 고정하고 하나의 파라미터만 움직이는 방법으로 음영변화, 채도변화 표현이 용이하다. RGB 모델은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세 종류의 색에 의해 색상 정보가 특정되며, L*a*b* 모델은 명도를 나타내는 L*(Luminosity), 적색과 녹색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a*, 황색과 청색에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b*에 의해 색상 정보가 특정된다.
하나의 예에서, 본 발명의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는, 이액형 레진의 배합 비율에 따른 색상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이액형 레진의 배합 비율에 따른 색상 정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 비율에 따라 색상 정보가 다르게 나타나는 바, 이액형 레진의 색상 정보를 통해, 역으로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주제와 경화제의 배합 비율 정보이고, y축은 색상 정보를 나타낸다. 여기서 배합 비율 정보가 "0%"인 것은, 최적의 배합 비율을 의미하고,"-5%"는 최적의 배합 비율에서, 경화제가 5% 적은 것을, 반대로 "5%"는 최적의 배합 비율에서, 경화제가 5% 많은 것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우선, 주제와 경화제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한 이액형 레진을 제조한 후, 카메라부(130)를 이용해, 해당 이액형 레진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그리고 레진 이미지로부터, HSV(Hue/Saturation/Value) 모델, RGB 모델, L*a*b* 모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색상 정보를 수치화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이액형 레이진의 배합 비율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이액형 레진을 제조하고, 각각의 배합 비율 별 이액형 레진들에 대해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이때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배합 비율에 대해 다수의 샘플을 제작해, 다수 샘플들의 색상 정보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대표값으로 정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샘플의 개수는 2개 이상 50개 이하, 5개 이상 50개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판정부(140)는 정상 상태의 이액형 레진의 레진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색상 정보 범위(이하, 정상 범위라 함)를 저장하고 있으며, 카메라부(130)에서 전송된 레진 이미지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 정보가 기저장된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물론, 추출된 색상 정보가 기저장된 정상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배합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정한다. 정상 범위는 결함이 없는 많은 수의 정상 상태 이액형 레진 이미지로부터 통계적으로 정해질 수 있다. 도 10의 데이터베이스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판정부는 판정 대상인 이액형 레진으로부터 추출한 색상 정보가, ±5%의 색상 정보(68.4 내지 64.1)의 범위 내이면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우레탄 수지는 색좌표 중 L*에 해당하는 명도를 기준으로 120 ~ 150 범위이면 정상, 벗어나면 불량으로 판정할 수도 있다.
한편, 카메라부(130)가 머신 비전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판정부(140)는 머신 비전 카메라에 구현된 이미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머신 비전 카메라는, 고성능 카메라, 이미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미지를 획득한 후, 획득한 이미지를 이미지 프로세서, 소프트웨어가 수행 작업의 목적에 맞게 영상 처리, 영상 분석 과정을 거쳐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판단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액형 레진으로는 상온 경화형 레진일 수 있다. 상온 경화형 레진이란, 상온에서의 경화 반응을 통해 소정의 접착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조성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주제 수지와 경화제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일 수 있다. 주제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 폴리올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경화제로는 주제 수지에 적합한 공지의 경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주제 수지가 실리콘 수지인 경우에는 경화제는 실록산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제 수지가 폴리올 수지인 경우에는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고, 주제 수지가 에폭시 수지인 경우에는 경화제는 아민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제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경우에는 경화제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이액형 레진은,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일 수 있다.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은 하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올 등을 포함하는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포함하는 경화제가 상온에서 반응하여 경화될 수 있다. 상기 경화 반응은, 예를 들어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DBTDL: dibutyltin diaurate)와 같은 촉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이액형 우레탄계 조성물은 주제 성분(폴리올)과 경화제 성분(이소시아네이트)의 물리적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의 반응물(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의 배합 비율에 따라, 이액형 레진의 색상 차이가 발생하는 점에서 착안하여,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이액형 레진의 이미지를 취득하고, 레진 이미지로부터 레진의 색상 정보를 얻어, 상기 판정부를 통해 주제 성분과 경화제 성분의 배합 비율 및 배합 상태의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액형 레진의 경화 전에 검사가 가능하여 대량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나의 예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모듈 케이스 및 배터리 셀을 포함한다. 배터리 셀은 상기 모듈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 셀은 모듈 케이스 내에 하나 이상 존재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셀이 모듈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모듈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의 수는 용도 등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모듈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는 배터리 셀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모듈 케이스는, 배터리 셀이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과 하부판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는, 상기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상부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 하부판 및 상부판은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모듈 케이스의 형태 및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용도나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되는 배터리 셀의 형태 및 개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이 도시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은, 레진 주액 장치(20),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 이동 수단(CB)을 포함한다.
레진 주액 장치(2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종래의 레진 주액 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판정부(140)에서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하므로, 종래의 레진 주액 장치(10)에서 압력 센서(15)가 생략될 수 있다. 압력 센서(15)는 배합 과정에서의 정상/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중복된 기능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레진 주액 장치(20)의 제조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는 레진 주액 장치(20)의 후방에 설치된다.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는 배터리 모듈(B)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R)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고,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배터리 모듈(B)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R)의 불량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정한다. 이러한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므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레진 주액 장치(20)가 압력 센서(15)를 포함하는 경우,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판정부(140)는 추가적으로 압력 센서(15)에 의해 획득된 압력값을 기반으로 배합 과정에서의 정상/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판정부(140)는 반복 실험에 의한 통계적인 방법으로 결정된 정상 범위의 압력값 범위를 저장할 수 있다. 판정부(140)는 획득된 압력값이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물론, 압력값이 기저장된 정상 범위에 해당하지 않으면, 배합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정한다.
판정부(140)는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판정부(140)는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레진 주액 장치(20)의 압력 센서(15),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조명부(120), 카메라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오염/고장 등의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알람은 시각 수단, 청각 수단, 촉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알람 정보는 시각 수단, 청각 수단, 촉각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알람 정보를 인지한 작업자는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게 된다.
레진 주액 장치(20)와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 사이에는 이동 수단(CB)이 설치된다. 이동 수단(CB)은,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다. 물론, 레진 주액 장치(20)의 전방과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후방에도 이동 수단(CB)이 형성되어 이액형 레진 주입 작업의 전공정과 이액형 레진 검사 작업의 후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카메라부(130)의 촬영 시점에 대응하여, 이동 수단(CB)은 주기적으로 일시 정지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다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은,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S110), 레진 이미지 획득단계(S120), 정상 여부 판정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S110)에서, 레진 주액 장치(20)는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하여 생성된 이액형 레진을 배터리 모듈(B)의 공극 부분(원통형 이차전지들 사이의 공간)으로 이액형 레진(R)을 주입한다. 이액형 레진이 주입된 배터리 모듈(B)은,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된다.
레진 이미지 획득단계(S120)에서,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카메라부(130)는 배터리 모듈(B)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R)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한다.
정상 여부 판정단계(S130)에서,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판정부(140)는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명도값, 채도값, RGB값 등)를 기반으로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한다. 판정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전송된 레진 이미지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 정보가 기저장된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레진 주액 장치(20)가 압력 센서(15)를 구비한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은,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S210), 압력값 획득단계(S220), 레진 이미지 획득단계(S230), 정상 여부 판정단계(S240), 알람 정보 생성단계(S250)를 포함한다.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S210)에서, 레진 주액 장치(20)는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하여 생성된 이액형 레진을 배터리 모듈(B)의 공극 부분(원통형 이차전지들 사이의 공간)으로 이액형 레진(R)을 주입한다. 이액형 레진이 주입된 배터리 모듈(B)은, 이동 수단에 의해 이동되어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된다.
압력값 획득단계(S220)에서, 레진 주액 장치(20)의 압력 센서(15)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여 획득한다. 측정된 압력값은 판정부(1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진 주액 장치(20)는 압력값 전송을 위한 통신 모듈이 탑재될 수 있다.
레진 이미지 획득단계(S230)에서,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카메라부(130)는 배터리 모듈(B)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R)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한다.
정상 여부 판정단계(S240)에서,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판정부(140)는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명도값, 채도값, RGB값 등)를 기반으로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한다. 판정부(140)는 카메라부(130)에서 전송된 레진 이미지에서 색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색상 정보가 기저장된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판정부(140)는 압력값 획득단계(S220)에서 획득된 압력값으로부터 배합 과정에서의 정상/불량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판정부(140)는 획득된 압력값이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판정부(140)는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면,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판정부(140)는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레진 주액 장치(20)의 압력 센서(15),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100)의 조명부(120), 카메라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오염/고장 등의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25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판정부(140)일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20 : 레진 주입 장치 100 :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110 : 하우징 120 : 조명부
130 : 카메라부 140 : 판정부
B : 배터리 모듈 R : 이액형 레진

Claims (12)

  1.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액형 레진의 배합 비율에 따른 색상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LED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하부의 양측에 균등하게 설치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머신 비전 카메라이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머신 비전 카메라에 구현된 이미지 프로세서인,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5. 배터리 모듈로 이액형 레진을 주입하는 레진 주액 장치; 및,
    상기 레진 주액 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는,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로 광을 조사하는 조명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
    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진 주액 장치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진 주액 장치는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압력 센서, 상기 조명부, 상기 카메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9. 레진 주액 장치가, 주제와 경화제를 배합하여 생성된 이액형 레진을 배터리 모듈로 주입하는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
    카메라부가,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을 촬영하여 레진 이미지를 획득하는 레진 이미지 획득단계; 및,
    판정부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배터리 모듈에 주입된 이액형 레진의 정상 여부를 판정하는 정상 여부 판정단계;
    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액형 레진 주입단계 이후에,
    상기 레진 주액 장치의 압력 센서가, 주제와 경화제 공급 과정에서 생기는 밸브 내의 압력값을 측정하여 획득하는 압력값 획득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상 여부 판정단계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면, 상기 이액형 레진의 배합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정상 여부 판정단계는,
    상기 압력값을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와 상기 레진 이미지의 색상 정보를 기반으로 판정된 정상 여부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KR1020220111370A 2021-09-14 2022-09-02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KR20230039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238 WO2023043104A1 (ko) 2021-09-14 2022-09-05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JP2023528327A JP2023549803A (ja) 2021-09-14 2022-09-05 2液型レジン自動検査装置およびそれを含む2液型レジン自動検査システムおよび2液型レジン自動検査方法
US18/036,077 US20230394643A1 (en) 2021-09-14 2022-09-05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device,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and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method
CN202280007279.9A CN116507894A (zh) 2021-09-14 2022-09-05 双组分树脂自动检测装置、包括其的双组分树脂自动检测系统以及双组分树脂自动检测方法
EP22870189.2A EP4224150A1 (en) 2021-09-14 2022-09-05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device,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and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2600 2021-09-14
KR1020210122600 2021-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543A true KR20230039543A (ko) 2023-03-21

Family

ID=8580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370A KR20230039543A (ko) 2021-09-14 2022-09-02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954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940A (ko)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940A (ko) 2019-11-25 2021-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u et al. An electrochemical modeling of lithium-ion battery nail penetration
US9564761B2 (en) Conformable wearable battery with removable command module
CA2778480A1 (en) Patches for battery-interfacing devic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832226A (zh) 基于性能测试的报告生成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介质
CN105025141B (zh) 终端用电量测试方法及其装置
US10641832B2 (en) Battery pack unit testing method and testing apparatus
DE102012024886A1 (de) Boundary Scan-Kette für gestapelten Speicher
CN108318826A (zh) 一种新能源电池测试系统、装置及方法
EP4106077A1 (en) Battery cell exterior inspection system
García et al. Influenc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battery thermal runaway process of different chemistries: Thermodynamic and optical assessment
KR101943612B1 (ko) 2차 전지 보호회로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6022413A (zh) 物品定位存取方法
KR20230039543A (ko)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시스템 및 이액형 레진 자동 검사 방법
Hagemeister et al. Lean Cell Finalization in Lithium‐Ion Battery Production: Determining the Required Electrolyte Wetting Degree to Begin the Formation
CN104154970B (zh) 用于物位测量设备的维护模块和自动化维护方法
EP4224150A1 (en)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device,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system comprising same, and automatic two-component type resin inspection method
CN111750788A (zh) 一种电芯极耳检测装置及其方法
US201901992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mechanical tolerance of photovoltaic module
CN116507894A (zh) 双组分树脂自动检测装置、包括其的双组分树脂自动检测系统以及双组分树脂自动检测方法
TWI824687B (zh) 具有平行測試胞元之自動化測試設備及測試受測裝置的方法
KR101943617B1 (ko) 릴레이 방식을 이용한 2차 전지 보호회로 검사방법
CN110031745B (zh) 用于光学收发器校准和测试的方法和装置
CN105199953B (zh) 一种具有双重锁紧的dna测序反应装置
CN112838284B (zh) 一种动力电池全温场标定系统及标定方法
CN211043577U (zh) 半导体芯片的老化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