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382A -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382A
KR20230039382A KR1020210122637A KR20210122637A KR20230039382A KR 20230039382 A KR20230039382 A KR 20230039382A KR 1020210122637 A KR1020210122637 A KR 1020210122637A KR 20210122637 A KR20210122637 A KR 20210122637A KR 20230039382 A KR20230039382 A KR 20230039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floating matter
floating
i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565B1 (ko
Inventor
최덕호
Original Assignee
(주)덕성산업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성산업기계 filed Critical (주)덕성산업기계
Priority to KR102021012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56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9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위의 높낮이 등 상황에 관계없이 부유물(스컴)을 제거 할 수 있고, 수처리 시설의 전영역을 자유롭고 능동적으로 주행하면서 부유물을 회수 제거하며 또한 부유물의 상태와 제거 작업 등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는, 수처리 시설에 부유하는 선체(10)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처리 시설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서 부유물을 감지하는 부유물 센서(20)와; 상기 선체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30)과; 상기 주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부유물 센서와 주행수단 및 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부유물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체를 상기 부유물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유물을 상기 선체의 회수공간에 회수한다.

Description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IoT-based robotic floats remover for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a method of removing floats from water treatment faciliti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영장이나 정수장 등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물(스컴)을 능동적으로 감지와 판단하고 부유물로 이동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식수 또는 생활용수로 사용되는 물은 상수도관을 통해 물탱크와 같은 일정크기의 저수조에 저장시켜 필요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데, 종래에는 일정용량의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가 외부 직사광에 노출되어 이에 저수된 물에는 많은 미생물의 생식이 촉진되어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과 부유물질이 함유됨에따라 이를 식수 또는 생활용수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여 식수로 사용하려고 하면 별도의 정수장치를 부착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에 근래에는 저수조 내부에 산화와 살균이 뛰어난 오존을 넣어 폭기시킴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었으나 이는 일정크기 이상의 용적을 가지는 저수조에 저장된 많은 물을 정제하려고 하면 많은 전력과 비용을 투입하여 발생되는 대량의 오존이 공급되어야 함으로서 사용을 하지 못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봄, 여름 등 계절이 바뀌면서 온도가 상승하게 됨으로서 저수조 내부에서 생,화학약품 처리시에 발생하는 각종 부유물들이 발효됨과 동시에 스컴(SCUM)이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스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이 수작업으로 제거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스컴을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열악한 관계로 각종 직업병을 안게 되고, 악취, 화학약품 등으로 인하여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정수장에서의 부유물(스컴) 제거의 필요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수장 침전지의 설치 목적은 수중의 현탁 물질을 제거시켜 다음 정수단계인 여과지의 오염부하를 경감시키는데 있다. 그리고 침전지는 물속에 들어 있는 현탁 입자를 침전 분리시키는 기능과 유량조절 기능 및 침전된 슬러지를 제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수돗물을 생산하는 정수처리과정에서 원수 중에 함유된 무기물이나 각종 유기화합물(humic물질, NOMs, 합성유기물질 등)이 PAC 등 응집약품 투입에 따라 플록을 형성하여 침전지에서 침전 제거되나, 일부 플록은 수면으로 부상하여 스컴을 형성한다.
발생 원인은 수중의 정수처리공정에서 발생된 기포(입자크기 10~100㎛)와 미세플록이 결합하여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기 때문이며 정수장의 응집, 침전지에 형성되는 다량의 스컴 발생의 주원인은 한강에서 발생한 조류가 플록과 결합되고 조류 중에는 세포자체에 기낭(공기주머니)을 갖고 수면으로 떠오르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도 있으므로 이를 방치할 경우 침전수질을 불량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으로 심한 혐오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제거해 주어야만 한다.
따라서, 정수장 등의 시설에는 부유물(스컴)을 제거하는 장치가 적용되어 있으며, 종래 스컴 제거 장치로 수동식 스컴 제거 장치는 수위가 낮을 경우 기능을 상실하고, 수위가 높을 경우 퇴수량이 과다한 단점이 있고, 헬리컬 스컴 제거 장치는 수위가 낮을 경우 기능을 상실하고, 설비에 이물이 협착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단점이 있으며, 부유식 태양광 스컴 제거 장치는 수면 파장에 대한 대응 불가하고, 수위가 낮을 경우 기능 상실하는 단점이 있고, 부력식 스컴 제거 장치는 배출용 자바라 이물질 협착 시 오작동이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37726호 등록특허 제10-084110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위의 높낮이 등 상황에 관계없이 부유물(스컴)을 제거 할 수 있고, 수처리 시설의 전영역을 자유롭고 능동적으로 주행하면서 부유물을 회수 제거하며 또한 부유물의 상태와 제거 작업 등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제어까지도 할 수 있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은, 수처리 시설에 부유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처리 시설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서 부유물을 감지하는 부유물 센서와; 상기 선체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부유물 센서와 주행수단 및 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부유물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체를 상기 부유물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유물을 상기 선체의 회수공간에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에 의하면, 부유물 제거기가 부력식으로 구성되어 수처리 시설의 수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때문에 수위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유물(스컴)의 제거가 가능하고 대형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수처리 시설의 전영역을 주행하면서 부유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 이익의 효과도 있으며 무인으로 구동하고 그 구동 상황을 원거리에서 확인하고 또한 필요시 제어도 할 수 있으므로 운용이 매우 용이하며 결국 수질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수장 등의 수처리 시설뿐만 아니라 수영장에서 수면에 부유하는 낙엽 등의 부유물을 제거하는 용도, 식품(우유, 맥주, 음료 등) 제조 공장에서의 부유물 제거 용도, 여름철 해수욕장 등에서의 먼 바다 위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감시 용도로도 확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를 포함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에 적용된 부유물 회수탱크와 선별수단을 보인 측면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는, 수처리 시설에 저장된 물 예를 들어 정수에 부유하는 선체(10), 선체(10)에 설치되는 부유물 센서(20)와 주행수단(30), 제어수단 및 전원부(40)를 포함한다.
1. 선체(10).
선체(10)는 선체 프레임(11) 및 부력탱크(12)로 구성된다.
선체 프레임(10)은 부유물(스컴)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부유물 회수탱크(13)(도 4에 도시됨)을 갖고 부유물 센서(20)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과 구조를 갖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며, 판재와 각재 등의 조합으로 구성되는데 선수는 앞쪽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유선형이 바람직하다.
부력탱크(12)는 선체(10)가 물에 부유할 수 있도록 부유재(공기 등)가 저장되는 탱크이며 선체 프레임(10)에 자유롭게 적용 가능하고, 도면에는 선체 프레임(10)의 좌우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부력탱크(12)는 상기 부유재를 보충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형의 개구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체(10)는 부유물을 부유물 회수탱크(13) 안으로 부유물이 유입되도록 유입부(14)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선체(10)가 정수를 따라 이동(전진)할 때 정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정수도 포함)이 유입부(14)를 통해 유입되도록 하며, 따라서, 유입부(14)는 부유물 회수탱크(11)와 외부를 통하게 하는 개방부의 구성으로 가능하다.
이 때, 많은 양의 부유물을 회수하기 위하여 유입부(14)는 안쪽 끝에서 바깥쪽 끝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바닥부(15)를 포함하며 즉, 입구쪽으로 가면서 통수면적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한편, 유입부(14)는 개폐형 게이트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폐형 게이트는 평상 시 유입부(14)를 폐쇄하고, 부유물 센서(20)의 감지 결과 부유물을 회수하는 경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유입부(14)를 개방한다. 상기 개폐형 게이트는 하단이 선체 프레임(11)에 힌지 연결되는 회동형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개방 시 수면에서 아래의 수중에 잠겨 수면 아래에 있는 부유물을 유입부(14)로 유도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개폐형 게이트는 부유물을 회수하지 않고 주행할 때 정수가 유입부(14)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막아 불필요한 펌프(17)의 가동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부유물 회수탱크(11)에는 부유물과 일부의 정수가 함께 유입되고 이 때, 부유물만 제거하기 위한 선별수단이 포함된다.
상기 선별수단은 유입부(14)를 통해 유입되는 부유물과 정수 혼합물을 부유물과 정수로 구분하기 위한 다공성의 필터(16), 필터(16)를 통과한 여액을 선체(10) 외부로 펌핑하여 배출하는 펌프(17) 및 배출관(18)을 포함한다.
필터(16)는 물은 통과하지만 부유물은 통과하지 못하는 구멍을 갖는 다공성 판재(망)이며, 부유물 회수탱크(11)에 체결구를 통해 설치된다.
필터(16)는 부유물의 종류에 따라 메쉬 크기가 다른 다양한 제품으로 교체 가능하다.
펌프(17)는 필터(16) 아래쪽의 공간으로 낙하하여 저장되는 여액 안에 설치되는 수중 펌프이며 여액을 펌핑하여 배출관(18)을 통해 수처리 시설에 배출한다.
펌프(17)는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한 여액의 선별도 가능하지만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0)의 특성에 따라 여액의 수위를 근거로 하는 자동 제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유물 회수탱크(13) 안에 부유물로부터 선별된 여액의 수위(양)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바람직하게 고수위 센서, 저수위 센서)가 설치되며, 고수위 센서의 감지 시 펌프(17)가 온 제어되고 저수위 센서의 감지 시 펌프(17)가 오프 제어된다.
또한, 필터(16) 위에 부유물이 쌓이게 되면 여액의 선별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부유물 제거기(100)의 지속적인 사용을 위하여 부유물의 알림과 회수가 필요하다.
부유물의 회수 알림은 필터(16)에 쌓인 부유물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의 감지를 근거로 한다.
상기 센서는 필터(16)의 중량을 감지하는 로드셀, 필터(16)의 상부에 설치되며 필터(16)와의 거리 측정을 통해 부유물의 양을 감지하는 거리센서 등이 가능하다.
상기 알림은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 일정량의 부유물이 쌓인 것으로 확인되면 관리자나 서버에 신호를 출력한다.
부유물의 회수를 위한 부유물 배출수단은 펌프와 배출관으로 가능하다. 상기 펌프는 관리자의 조작을 통해 배출되고, 관리자는 주행수단(30)을 제어하여 부유물 제거기(100)를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배출관에 호스를 연결하여 부유물을 별도의 회수박스로 배출한다.
상기 센서의 감지 결과는 통신모듈(인터넷, 블루투스 등)을 통해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기나 서버에 전송된다.
상기 부유물 배출수단은 전술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처리 시설의 지상에 설치된 펌프와 연결되는 관로만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2. 부유물 센서(20).
부유물 센서(20)는 정수에 있는 부유물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 정수의 수면을 촬영하여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이다.
상기 카메라는 선체(10)의 앞쪽(선수쪽, 유입부(14)쪽)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정수의 수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수단에 전송(무선이나 유선)한다.
3. 주행수단(30).
주행수단(30)은 동력을 이용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는 모든 형태가 가능하고,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는 궤도형 수차로 구성되고, 선회를 위하여 독립적인 좌우측 주행수단(30)으로 구분된다. 물론, 선회를 위한 키가 더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주행수단(30)의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통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제품으로 구성되어 부유물 제거기(100)는 전진과 후진이 가능하다.
4.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은 부유물 센서(20)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는 부유물 회수 제어, 주행수단(30)의 주행 제어, 선별수단의 선별 제어가 있다.
부유물 회수 제어는 부유물 센서(20)인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부유물을 판단하고, 부유물로 판단한 경우 주행수단(30)을 제어하여 부유물 제거기(100)를 부유물쪽으로 이동시킨다.
주행수단(30)의 제어는 부유물 제거기(100)가 수처리 시설 안을 주행하도록 제어한다.
주행수단(30)은 로봇 청소기의 구동 방식과 동일하게 전원을 공급받는 중에 자유 주행이 가능하고, 제어수단은 근접 센서 등을 통해 선체(10)와 수처리 시설의 벽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거리가 일정 거리로 가까워지면 방향이 선회하도록 주행수단(30)을 제어할 수 있다.
선별수단의 제어는 전술한 것처럼, 여액의 양을 근거로 하여 펌프(17)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는 데이터 전송 및 원격 제어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설정된 일정 시간 단위로 수집 처리된 부유물(스컴)의 양에 대한 정보 전송
- 부유물 회수탱크를 비우기 위한 신호 구현
- 주행거리, 축전지 잔량 등의 정보 전송
-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정보 및 단위 면적 당 스컴 양에 대한 데이터 전송
- GPS 기능 구현으로 현재 위치 정보 전송
- IoT 기능 구현으로 센싱된 스컴의 양이 단위 면적당 일정 비율 이상일 경우 중앙 서버의 판단과 명령에 따라 자율적으로 스컴 제거
- 스마트 단말기(스마트폰 앱)을 통한 카메라 영상 감시 및 원격 제어 기능
- 각종 에러 신호 발생 시 알람 신호 발생 및 관리자에게 송신
5. 전원부(40).
전원부(40)는 부유물 센서(20), 주행수단(30), 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며, 부유물 제거기(100)가 넓은 수처리 시설을 자유롭게 주행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외부에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는 것보다 자가 발전식 전원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자가 발전식 전원부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최적이며, 선체(10)의 상판 위에 수직의 지지대를 통해 설치되는 솔라패널. 상기 솔라패널에서 발전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에 축전한 후 공급하는 축전지 등으로 구성된다.
전원부(40)는 관리자가 직접 조작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함께 구성되고 또한 원거리의 관리자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은 부유물 제거기(100)의 활동(주행, 부유물 제거, 여액 배출)을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활동의 정보를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아울러,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스마트 단말기(리모콘)와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서버는 상기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를 이용한 수철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정치.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0)를 인양하여 수처리 시설에 저장된 정수 위에 정치한다.
2. 주행.
전원부(40)를 온 제어하면 부유물 센서(20), 주행수단(30), 제어수단이 온 가동한다.
주행수단(30)을 통해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0)는 수처리 시설을 주행하게 되며, 수처리 시설의 벽면에 근접되는 경우 주행 방향이 선회 제어(좌측 또는 우측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또는 현재 무인 주행 기술의 적용을 통해 좌측과 우측이 결정될 수 있다)된다.
3. 부유물 촬영.
부유물 센서(20)인 카메라는 정수의 수면을 촬영하여 그 영상을 제어수단에 제공한다.
4. 부유물 회수.
제어수단은 부유물 촬영 공정에서 제공된 영상을 프로그램(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부유물을 판단한다.
그 영상에서 부유물을 확인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수단은 주행수단(30)을 제어하여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0)의 유입부(14)가 부유물을 향하도록 하고 부유물을 향해 이동시킨다.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0)가 부유물을 통과할 때 유입부(14) 안으로 부유물이 유입되어 부유물 회수탱크(13)에 회수된다.
5. 부유물 선별.
전 공정에 따르면 부유물과 일부의 정수가 함께 혼합된 상태로 부유물 회수탱크(13)에 유입되며, 이 혼합물은 선별수단인 필터(16)를 통해 선별되고, 즉, 정수는 필터(16)를 통과하여 하부에 저장되며 부유물은 필터(16) 위에 남게 된다.
6. 여액 배출.
필터(16) 아래에 일정량의 여액이 집수되면 펌프(17)가 가동하여 여액을 수처리 시설로 배출한다.
6. 부유물 배출.
필터(16)에 일정량의 부유물이 쌓이면 알림이 출력되고, 관리자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100)를 수처리 시설의 한쪽에 준비한 스테이션으로 복귀시키고 배출수단을 통해 부유물을 부유물 회수탱크(13)의 외부로 배출한다.
10 : 선체, 11 : 선체 프레임,
12 : 부력탱크, 13 : 부유물 회수탱크
14 : 유입부, 15 : 바닥부
16 : 필터, 17 : 펌프
18 : 배출관,
20 : 부유물 센서, 30 : 주행수단
40 : 전원부,

Claims (10)

  1. 수처리 시설에 부유하는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처리 시설에 저장된 물의 수면에서 부유물을 감지하는 부유물 센서와;
    상기 선체를 이동시키는 주행수단과;
    상기 주행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부유물 센서와 주행수단 및 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부유물 센서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하여 상기 주행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선체를 상기 부유물이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유물을 상기 선체의 회수공간에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센서는 상기 수처리 시설의 수면을 촬영하는 카메라이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하여 부유물을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선체에 회수된 부유물을 선별하는 선별수단을 포함하여 부유물은 상기 선체에 회수하고 여액은 상기 수처리 시설에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체는 둘레부에 부유물 유입부가 포함되며, 상기 부유물 유입부는 선체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가면서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부유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태양광 발전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의 활동을 화면으로 보여주고 상기 주행수단을 원격 제어하는 스마트 단말기와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에 의해 남은 부유물의 양을 감지하여 일정량 이상의 부유물이 회수되면 관리자 또는 서버에 알려주는 알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선별수단에 의해 남은 부유물을 펌핑하여 상기 수처리 시설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
  9. 수처리 시설의 담수지에 청구항 1에 의한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를 정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수처리 시설을 주행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의 부유물 센서를 통해 상기 수처리 시설에 담수된 물의 수면에서 부유물을 감지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를 통해 부유물을 확인한 경우 상기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의 유입부가 부유물을 향하도록 하고 부유물을 향해 이동시켜 부유물이 상기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의 회수공간에 회수되도록 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를 통해 회수되는 부유물을 물과 선별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선별한 물을 상기 수처리 시설의 담수된 물로 배출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지능형 부유물 제거기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KR1020210122637A 2021-09-14 2021-09-14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KR102642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37A KR102642565B1 (ko) 2021-09-14 2021-09-14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637A KR102642565B1 (ko) 2021-09-14 2021-09-14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82A true KR20230039382A (ko) 2023-03-21
KR102642565B1 KR102642565B1 (ko) 2024-02-29

Family

ID=8580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637A KR102642565B1 (ko) 2021-09-14 2021-09-14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5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426A (ja) * 1997-09-19 1999-04-06 World Chemical:Kk 液体回収装置
KR200437726Y1 (ko) 2007-01-29 2007-12-21 문일성 원형침전지의 고효율 스컴제거장치
KR100841108B1 (ko) 2007-05-11 2008-07-17 김해시시설관리공단 스컴제거장치
KR20200075696A (ko) * 2018-12-18 2020-06-26 차태영 녹조 제거장치
CN112897765A (zh) * 2021-01-14 2021-06-04 江苏济冠通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化移动式蓝藻收集处置成套装置
KR102272151B1 (ko) * 2020-11-12 2021-07-02 씨엠스코 주식회사 녹조 유도 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0426A (ja) * 1997-09-19 1999-04-06 World Chemical:Kk 液体回収装置
KR200437726Y1 (ko) 2007-01-29 2007-12-21 문일성 원형침전지의 고효율 스컴제거장치
KR100841108B1 (ko) 2007-05-11 2008-07-17 김해시시설관리공단 스컴제거장치
KR20200075696A (ko) * 2018-12-18 2020-06-26 차태영 녹조 제거장치
KR102272151B1 (ko) * 2020-11-12 2021-07-02 씨엠스코 주식회사 녹조 유도 정화장치
CN112897765A (zh) * 2021-01-14 2021-06-04 江苏济冠通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化移动式蓝藻收集处置成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565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6793B2 (ja) フローティングレイク内で水を処理するためのフローティングレイクシステム及び方法
CN106801445B (zh) 基于物联网技术的河道自动清理船及其方法
WO2010046960A1 (ja) コンテナ型浄水処理装置
CN209992483U (zh) 一种河道清理及水质在线监测的双体式可下潜无人船
CN104030522B (zh) 三元复合驱油田采油废水深度处理装置
KR20090040048A (ko) 무동력으로 초기 우수 분리가 가능한 우수 집수 장치
KR102418093B1 (ko) 녹조 및 부유물 회수장치
CN108264187B (zh) 一种节能环保的水污染固体废物处理与利用设备
CN102942264B (zh) 一种车载应急饮水生产装置
KR101608197B1 (ko) 건축 지붕의 빗물 재활용 시스템
KR101779591B1 (ko) 복합적 수처리 기반의 재활용 시스템
US9422181B1 (en) Vehicle wash water reclaim system
KR102642565B1 (ko)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CN208120845U (zh) 海水精华液浓缩装置及海水循环净化系统
CN203833770U (zh) 三元复合驱油田采油废水深度处理装置
JP4027884B2 (ja) 自然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浄水製造システム及び浄水の製造方法
CN111470697B (zh) 一种治理河道水污染的净化清理装置
KR102272151B1 (ko) 녹조 유도 정화장치
CN203486983U (zh) 含油污水处理装置
CN209873756U (zh) 一种水体漂浮污染物遥控回收装置
JP3779634B2 (ja) 長繊維ろ過装置
CN202898106U (zh) 一种无反冲洗自流式好氧池泥水分离装置
CN210103636U (zh) 一种含硅废水回收装置
CN112081082A (zh) 一种抽取水面漂浮垃圾的装置
CN108640331B (zh) 一种制罐废水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