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108B1 - 스컴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컴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108B1
KR100841108B1 KR1020070045895A KR20070045895A KR100841108B1 KR 100841108 B1 KR100841108 B1 KR 100841108B1 KR 1020070045895 A KR1020070045895 A KR 1020070045895A KR 20070045895 A KR20070045895 A KR 20070045895A KR 100841108 B1 KR100841108 B1 KR 100841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ensor
circular
cov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경월
Original Assignee
김해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시시설관리공단 filed Critical 김해시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07004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5Volt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상층에 형성되는 스컴의 수위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스컴층의 두께만큼 스컴배풀의 덮개를 개방하여 스컴배풀 내로 스컴만을 수집할 수 있으며, 스컴제거작동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하수처리시간이 단축되는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는 각종 하수가 유입되고, 저면에 슬러지제거암이 구비되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시 스컴을 수집하는 고무패널이 설치되는 스컴수집수단과, 상기 원형침전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개폐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시 상기 고무패널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배풀과,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수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의 스컴층 수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3 센서와,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의 덮개 개방정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 3 센서 및 제 4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 아 상기 스컴배풀 덮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형침전지, 하수, 스컴, 센서, 스컴배풀

Description

스컴제거장치{APPARATUS FOR SCUM REMOV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가 설치된 원형침전지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가 설치된 원형침전지의 평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작동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컴수집수단 11 : 고무패널
12 : 이동바퀴 20 : 스컴배풀
21 : 덮개 22 : 배풀본체
23 : 배출관 23a : 수직관
23b : 수평관 24 : 종동축
25 : 제 1 스프로킷 26 : 구동모터
27 : 제 2 스프로킷 28 : 연결체인
29 : 구동축 30 : 제 1 센서
40 : 제 2 센서 50 : 제 3 센서
60 : 제 4 센서 70 : 제어부
80 : 스컴수집박스 100 : 원형침전지
110 : 레일 120 : 측벽
130 : 슬러지제거암 140 : 하수유입관
150 : 슬러지인발관 200 : 스컴
300 : 스컴층 400 : 유입하수층
본 발명은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상층에 형성되는 스컴의 수위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스컴층의 두께만큼 스컴배풀의 덮개를 개방하여 스컴배풀 내로 스컴만을 수집할 수 있으며, 스컴제거작동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하수처리시간이 단축되는 스컴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컴제거장치는 하수처리장이나 정수장의 침전지에 설치되어 오수의 상층에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스컴제거장치는 스컴호퍼의 높낮이가 조작핸들을 통해 수동으로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즉, 침전지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통해 스크류가 설치되고, 스크류의 상측에 조작핸들이 구비되며, 스크류의 하측에 스컴호퍼가 구비되어 조작핸들을 조절함에 따라 침전지 상에 부유하는 스컴컴이 스컴호퍼 내로 유입되어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는 작업자가 수시로 수위에 따라 조작핸들을 조절하여 스컴호퍼의 높낮이를 맞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수위가 변경될 경우 작업자가 이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되면 많은 양의 물이 스컴과 함께 배출되거나 스컴이 배출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상층에 형성되는 스컴의 수위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스컴층의 두께만큼 스컴배풀의 덮개를 개방하여 스컴배풀 내로 스컴만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한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컴제거작동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하수처리시간이 단축되도록 한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각종 하수가 유입되고, 저면에 슬러지제거암이 구비되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시 스컴을 수집하는 고무패널이 설치되는 스컴수집수단과, 상기 원형침전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개폐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시 상기 고무패널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배풀과,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수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와,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의 스컴층 수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와,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3 센서와,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제 4 센서와,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의 덮개 개방정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 3 센서 및 제 4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 덮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컴수집수단은, 일단은 상기 원형침전지의 저면에서 회전하는 상기 슬러지제거암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동일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타단의 하측에는 원형침전지의 측벽 상측에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컴배풀은, 개방구가 형성되 는 배풀본체와, 상기 배풀본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풀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스컴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풀본체 상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풀본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에 제 1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종동축과, 상기 원형침전지의 중심부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축 상에 제 2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스프로킷 및 제 2 스프로킷 상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개폐시키는 연결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원형침전지의 외측벽에는 상기 배출관의 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스컴이 모아지는 스컴수집박스가 더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컴배풀의 덮개는,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되는 스컴층 수위와 유입하수층 수위간의 수위차와 동일한 높이만큼 개방되어 스컴이 유입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가 설치된 원형침전지의 측단면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가 설치된 원형침전지의 평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는 각종 하수가 유입되고, 저면에 슬러지제거암(130)이 구비되는 원형침전지(100)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스컴(200)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시 스컴(200)을 수집하는 고무패널(11)이 설치되는 스컴수집수단(10)과, 상기 원형침전지(100)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개폐가능한 덮개(21)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21)의 개방시 상기 고무패널(11)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200)이 유입되는 스컴배풀(20)과, 상기 스컴수집수단(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100)의 유입하수층(400) 수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30)와, 상기 스컴수집수단(1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100)의 스컴층(300) 수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30)와, 상기 원형침전지(100)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2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10)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3 센서(50)와, 상기 원형침전지(100)의 내측벽(120) 중 상기 스컴배풀(20)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10)의 통과를 감지하는 제 4 센서(60)와, 상기 스컴수집수단(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의 측정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20)의 덮개(21) 개방정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 3 센서(50) 및 제 4 센서 (6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20) 덮개(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컴수집수단(10)은 원형침전지(10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시 스컴(200)을 수집하는 고무패널(11)이 설치되는 것으로써, 원형침전지(100) 상측에서 회전함에 따라 그 하부에 설치되는 고무패널(11)에 의해 원형침전지(100)의 유입하수층(400) 상층에 부유하는 스컴(200)을 수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컴수집수단(10)의 일단은 원형침전지(100)의 유입하수층(400) 상측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원형침전지(100)의 저면에서 회전하는 슬러지제거암(130)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동일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원형침전지(100)의 중심부에는 슬러지제거암(130)과 스컴수집수단(10)을 회전시키기위한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또한, 그 하부에 설치되는 고무패널(11)은 유입하수층(400) 상층에 부유하는 스컴(200)을 수집하기 위해 일정부분 유입하수층(400)에 침수되도록 설치되며, 추후에 설명될 스컴배풀(20)의 상측으로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고무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일단이 슬러지제거암(130)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스컴수집수단(10)의 타단 하측에는 원형침전지(100)의 측벽(120) 상측에 구비되는 레일(110)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바퀴(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전술한 스컴수집수단(10)이 설치되는 원형침전지(100)의 상측에는 스컴배풀 (20)이 고정설치되는데, 이 스컴배풀(20)은 전술한 스컴수집수단(10)이 회전함에 따라 고무패널(11)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200)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원형침전지(100)는, 그 하부에 하수가 유입되는 하수유입관(140)이 구비되고, 원형침전지(100)의 저면에서 회전하는 슬러지제거암(130)이 회전함에 따라 중심부로 모아지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인발관(150)이 구비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형침전지(100)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스컴배풀(20)은 개방구가 형성되는 배풀본체(22)와, 배풀본체(22)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풀본체(22) 내부로 유입되는 스컴(200)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3)과, 이 배풀본체(22) 상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1)와, 이 덮개(21)와 일체로 형성되고 배풀본체(22)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에 제 1 스프로킷(25)이 구비되는 종동축(24)과, 원형침전지(100)의 중심부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축(29) 상에 제 2 스프로킷(27)이 구비되는 구동모터(26)와, 제 1 스프로킷(25) 및 제 2 스프로킷(27) 상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6)가 회전함에 따라 덮개(21)를 개폐시키는 연결체인(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배풀본체(22)는 내부가 중공(中空)형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되 수집되는 스컴(200)이 유입될 개방구가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배풀본체(22) 내로 유입되는 스컴(200)이 배출되는 배출관(23)이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이때, 전술한 배출관(23)은 상단이 배풀본체(22)와 수직연결되는 다수의 수직관(23a)과, 이 수직관(23a)들과 연통되며 일단은 원형침전지(100)의 중심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추후에 설명될 스컴수집박스(80)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수평관(23b)으로 이루어져 상기 배풀본체(22)를 원형침전지(100) 상에 고정함과 동시에 스컴(200)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스컴수집박스(80)는 원형침전지(100)의 외측벽에 설치되는데, 이 스컴수집박스(80)는 배풀본체(22)와 연결되는 배출관(23)을 통해 유입되는 스컴(200)이 모아지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컴수집박스(80)에 모아진 스컴(200)은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별도의 제거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되어 스컴수집박스(80) 내에 스컴(200)이 일정량만큼 모아지게 되면 신속하게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배풀본체(22)의 개방구 내측에는 개폐가능한 덮개(21)가 설치되는데, 이 덮개(21)는 추후에 설명될 제어부(70)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통해 원형침전지(100) 유입하수층(400) 상층에 부유하는 스컴(200)의 두께만큼 개방되어 스컴수집수단(10)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200)을 배풀본체(22)의 개방구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덮개(21)와 일체로 형성되고 단부에 제 1 스프로킷(25)이 구비되는 종동축(24)은 전술한 구동모터(26)의 구동축(29) 상에 구비되는 제 2 스프로킷(27)과 연결체인(2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26)의 작동에 따라 그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스컴수집수단(10)의 일측에는 제 1 센서(30)가 설치되는데, 이 제 1 센서(30)는 원형침전지(100)의 유입하수층(400)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 1 센서(30)는 초음파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스컴수집수단(10)의 타측에는 제 2 센서(40)가 설치되는데, 이 제 2 센서(40)는 원형침전지(100)의 스컴층(300) 수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제 2 센서(40)는 전술한 제 1 센서(30)와 마찬가지로 초음파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원형침전지(100)의 내측벽 중 전술한 스컴배풀(20)의 전방에는 제 3 센서(50)가 설치되는데, 이 제 3 센서(50)는 원형침전지(100) 상측에서 회전하는 스컴수집수단(10)의 진입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센서(50)는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3 센서(50)가 스컴수집수단(10)의 진입을 감지하면 전술한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가 작동하여 유입하수층(400) 수위와 스컴층(300) 수위의 수위차를 측정하게 되며, 전술한 스컴배풀(20)의 구동모터(26)가 덮개(21)개방을 위한 작동을 준비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원형침전지(100)의 내측벽 중 전술한 스컴배풀(20)의 후방에는 제 4 센서(60)가 설치되는데, 이 제 4 센서(60)는 원형침전지(100) 상측에서 회전하는 스컴수집수단(10)의 통과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4 센서(60)는 전술한 제 3 센서(50)와 마찬가지로 초음파센서 또는 적외선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 4 센서(60)가 스컴수집수단(10)의 통과를 감 지하면 전술한 스컴배풀(20)의 구동모터(26)가 구동되어 개방되어 있던 스컴배풀(20)의 덮개(21)를 닫아 스컴배풀(20)의 개방구를 밀폐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스컴수집수단(10)의 상부에는 제어부(70)가 설치되는데, 이 제어부(70)는 전술한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의 측정신호를 수신받아 스컴배풀(20)의 덮개(21) 개방정도를 제어하고, 전술한 제 3 센서(50) 및 제 4 센서(6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스컴배풀(20) 덮개(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제어부(70)는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에서 측정하는 유입하수층(400) 수위와 스컴층(300) 수위의 수위차를 연산한 다음 구동모터(26)의 회전각을 계산하여 그 회전각만큼 구동모터(26)를 구동시켜 덮개(21)를 개방시킨다.
또한, 전술한 제어부(70)는 제 3 센서(50)가 원형침전지(100)의 상측에서 회전하는 스컴수집수단(10)의 진입을 감지하면, 이 신호를 수신받아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가 수위차를 연산하고, 스컴배풀(20)의 덮개(21)를 개방하기 위한 구동모터(26)의 구동을 준비시킨다.
또한, 전술한 제어부(70)는 제 4 센서(60)가 원형침전지(100) 상측에서 회전하는 스컴수집수단(10)의 통과를 감지하면, 이 신호를 수신받아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의 수위차 측정을 중단시키고, 스컴배풀(20)의 덮개(21)를 개방시킨 구동모터(26)의 회전각만큼 다시 구동모터(26)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덮개(21)를 밀폐시킨 다음, 다음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기본적으로 작업자의 조작이 불필요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수동전환버튼(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어 수동전환시 작업자가 직접 제어부(70)를 컨트롤 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어부(70)는 제 1 센서(30), 제 2 센서(40) 및 구동모터(26)과는 전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측정값과 구동신호를 송수신 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3 센서(50) 및 제 4 센서(60)의 경우 스컴수집수단(10)이 회전함에 따라 무선으로 감지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 1 센서(30) 내지 제 4 센서(60) 및 구동모터(26)가 모두 제어부(70)와 무선으로 측정값, 감지신호 및 구동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장치의 전체적인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형침전지(100)의 유입하수층(400) 상측에서 회전하는 스컴수집수단(10)이 제 3 센서(50) 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제 3 센서(50)가 제어부(70)로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70)에서는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를 작동시켜 유입하수층(400) 수위와 스컴층(300) 수위의 수위차를 측정함과 동시에 스컴배풀(20)의 구동모터(26)가 덮개(21)개방을 위한 작동을 준비하게 된다.
이때,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를 통해 유입하수층(400) 수위와 스컴층(300) 수위차가 제어부(70)를 통해 연산되면, 그 값에 따라 구동모터(26)의 회전 각이 설정되고, 구동모터(26)가 회전하여 연산된 수위차와 동일한 높이만큼 스컴배풀(20)의 덮개(21)가 개방된다.
그런 다음, 회전하는 스컴수집수단(10)의 고무패널(11)이 회전력에 의해 덮개(21)가 개방된 스컴배풀(20)의 개방구 내로 스컴(200)을 수집하여 밀어넣게 되고, 수집된 스컴(200)은 배출관(23)을 통해 스컴수집박스(80)로 모아지게 되며, 유입하수층(400) 수위와 스컴층(300) 수위의 수위차 만큼만 스컴배풀(20)의 덮개(21)가 개방됨에 따라 유입하수가 포함되지 않은 순수한 스컴(200)만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스컴배풀(20)을 통과한 스컴수집수단(10)이 제 4 센서(60)를 통과하게 되면, 이를 감지한 제 4 센서(60)가 제어부(70)로 감지신호를 송출하고, 제어부(70)에서는 제 1 센서(30) 및 제 2 센서(40)의 작동을 중단함과 동시에 스컴배풀(20)의 덮개(21)를 개방시킨 구동모터(26)의 회전각만큼 다시 구동모터(26)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켜 덮개(21)를 밀폐시킨 다음, 다음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컴제거장치는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상층에 형성되는 스컴의 수위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스컴층의 두께만큼 스컴배풀의 덮개를 개방하여 스컴배풀 내로 스컴만을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스컴제거작동이 전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의 관리가 필요없 어 작업효율이 증대되며 하수처리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각종 하수가 유입되고, 저면에 슬러지제거암(130)이 구비되는 원형침전지에 설치되어 부유하는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회전시 스컴을 수집하는 고무패널이 설치되는 스컴수집수단;
    상기 원형침전지의 상측에 고정설치되고, 개폐가능한 덮개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시 상기 고무패널에 의해 수집되는 스컴이 유입되는 스컴배풀;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의 유입하수층 수위를 측정하는 제 1 센서;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원형침전지의 스컴층 수위를 측정하는 제 2 센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진입을 감지하는 제 3 센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내측벽 중 상기 스컴배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통과를 감지하는 제 4 센서; 및
    상기 스컴수집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센서 및 제 2 센서의 측정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의 덮개 개방정도를 제어하고, 상기 제 3 센서 및 제 4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컴배풀 덮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컴수집수단은, 일단은 상기 원형침전지의 저면에서 회전하는 상기 슬러지제거암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동일회전축 상에 설치되고, 타단의 하측에는 원형침전지의 측벽 상측에 구비되는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바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컴배풀은, 개방구가 형성되는 배풀본체와, 상기 배풀본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배풀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스컴을 배출시키는 배출관과, 상기 배풀본체 상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풀본체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에 제 1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종동축과, 상기 원형침전지의 중심부 일측에 고정설치되고 구동축 상에 제 2 스프로킷이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 1 스프로킷 및 제 2 스프로킷 상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덮개를 개폐시키는 연결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형침전지의 외측벽에는 상기 배출관의 단부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스컴이 모아지는 스컴수집박스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배풀의 덮개는,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되는 스컴층 수위와 유입하수층 수위간의 수위차와 동일한 높이만큼 개방되어 스컴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컴제거장치.
KR1020070045895A 2007-05-11 2007-05-11 스컴제거장치 KR100841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895A KR100841108B1 (ko) 2007-05-11 2007-05-11 스컴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895A KR100841108B1 (ko) 2007-05-11 2007-05-11 스컴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108B1 true KR100841108B1 (ko) 2008-07-17

Family

ID=3982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895A KR100841108B1 (ko) 2007-05-11 2007-05-11 스컴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1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942B1 (ko) * 2008-10-02 2011-08-05 (주)태화종합기술공사 스컴 감시제어수단을 가진 원형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제거기
KR101073856B1 (ko) 2009-06-09 2011-10-14 주식회사 성진기계 수처리용 원형 슬러지 수집기의 스컴 제거장치
KR101425815B1 (ko) 2013-07-26 2014-08-05 (주)누리제어시스템 부유물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600946B1 (ko) * 2015-06-23 2016-03-08 주식회사 청호엔텍 고도처리형 원형 침전지
KR101712146B1 (ko) * 2016-10-28 2017-03-03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유동구조물 회피 기능을 탑재한 초음파 센서 보호장치
CN112812939A (zh) * 2021-01-09 2021-05-18 西平金汇海蓝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互联网的沼气技术的研发装置
KR20230039382A (ko) 2021-09-14 2023-03-21 (주)덕성산업기계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96U (ja) * 1991-08-12 1993-03-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円形槽沈殿池のスカム除去装置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JP2002320965A (ja) * 2001-04-27 2002-11-05 Masaki Hakozaki スカム排出装置の水位検知装置
KR200363036Y1 (ko) * 2004-06-25 2004-09-23 이기곤 파이프 스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96U (ja) * 1991-08-12 1993-03-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円形槽沈殿池のスカム除去装置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JP2002320965A (ja) * 2001-04-27 2002-11-05 Masaki Hakozaki スカム排出装置の水位検知装置
KR200363036Y1 (ko) * 2004-06-25 2004-09-23 이기곤 파이프 스컴 제거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942B1 (ko) * 2008-10-02 2011-08-05 (주)태화종합기술공사 스컴 감시제어수단을 가진 원형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제거기
KR101073856B1 (ko) 2009-06-09 2011-10-14 주식회사 성진기계 수처리용 원형 슬러지 수집기의 스컴 제거장치
KR101425815B1 (ko) 2013-07-26 2014-08-05 (주)누리제어시스템 부유물 제거 장치 및 방법
KR101600946B1 (ko) * 2015-06-23 2016-03-08 주식회사 청호엔텍 고도처리형 원형 침전지
KR101712146B1 (ko) * 2016-10-28 2017-03-03 웨스글로벌 주식회사 유동구조물 회피 기능을 탑재한 초음파 센서 보호장치
CN112812939A (zh) * 2021-01-09 2021-05-18 西平金汇海蓝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利用互联网的沼气技术的研发装置
KR20230039382A (ko) 2021-09-14 2023-03-21 (주)덕성산업기계 수처리 시설용 IoT 기반 로봇형 부유물 제거기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시설의 부유물 제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108B1 (ko) 스컴제거장치
KR100798080B1 (ko)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된 원형 침전지
CN101424657B (zh) pH自动连续检测装置
KR101675781B1 (ko) 초기 우수 분리장치
CN109629659A (zh) 一种市政排水管道清淤装置及清淤工艺
KR100868453B1 (ko) 슬러지 수집조의 슬러지 확인장치
CN105386508A (zh) 一种新型初雨水力自动控制弃流井
KR20180099032A (ko) 비점오염원 자동 채수장치
KR101053942B1 (ko) 스컴 감시제어수단을 가진 원형침전지의 슬러지 및 스컴제거기
CN208603756U (zh) 一种生活污水处理系统的气浮机
CN109534519A (zh) 污水生化处理池
CN111983164B (zh) 一种监理用污水分析考核系统
CN208096923U (zh) 一种多功能床用集便箱
CN208667316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100484528B1 (ko) 협잡물 및 모래 처리장치
CN220899615U (zh) 一种沉淀池浮渣清理装置
CN111547988A (zh) 一种淤泥处理系统
CN220695948U (zh) 二沉池泥位预警装置
CN117138424B (zh) 一种水污染联动式防堵塞过滤装置
CN114477563B (zh) 水利工程用过滤装置
CN213091318U (zh) 一种机械式水样均化装置
CN215726103U (zh) 一种小区径流的泥沙在线监测装置
CN209102556U (zh) 一种铁矿粉细度湿法测定装置
CN109107236A (zh) 一种高铁锰矿井水深度处理装置
CN215065479U (zh) 一种新型废水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