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9314A - 비데 - Google Patents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9314A
KR20230039314A KR1020210122478A KR20210122478A KR20230039314A KR 20230039314 A KR20230039314 A KR 20230039314A KR 1020210122478 A KR1020210122478 A KR 1020210122478A KR 20210122478 A KR20210122478 A KR 20210122478A KR 20230039314 A KR20230039314 A KR 2023003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tergent
main body
bide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전두열
한지원
임용균
진성월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9314A/ko
Priority to PCT/KR2022/012983 priority patent/WO2023043093A1/ko
Priority to CN202280062416.9A priority patent/CN117980571A/zh
Publication of KR2023003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유닛; 및 세정제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세정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일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판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데{BIDET}
본 발명은 비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좌변기에는 화장실을 쾌적하게 하고 위생을 위하여 비데가 설치될 수 있다. 비데는 사용자에게 조작될 수 있는 조작부, 조작부의 조작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에서 분사된 물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좌변기를 사용하고 물내림 작동을 한 후에도 변기 내부에 저장된 물은 배변시 잔존하는 이물질로 인하여 오염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 및 미생물은 냄새를 발생하고, 시각적으로 좋지 못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최근의 비데에는 세정제를 배출할 수 있는 세정장치가 탑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6116 "거품액 공급장치"(특허문헌 1)에는 홀더를 갖춘 본체부, 홀더에 착탈 가능하고 세정액을 수용한 세정액 탱크를 포함하는 거품액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는 세정액 탱크가 비데 본체 옆의 조작부에 장착되는 것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세정액 탱크가 비데 본체의 내부에서 다른 부품들과 간의 배치 상태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세정액 탱크는 조작부에 장착되어 비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므로, 미관상 좋지 못하고, 세정액 탱크가 이물질과 세균들로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출원인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40236 "비데"(특허문헌 2)에는 설치홀이 형성된 비데 본체와, 세정제를 수용하고 설치홀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비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는 단순히 비데의 본체에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것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비데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부품과 저장용기 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저장용기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 삽입시 데드스페이스 발생이 불가피하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저장용기가 비데 본체가 내에서 컴팩트하게 수용되지 못하므로, 비데의 부피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6116 (2018.07.05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40236 (2018.04.2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컴팩트하고, 다운사이징된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이물질과 세균들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형이 깔끔한 미관을 가지는 비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유닛; 및 세정제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세정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일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판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용기의 상기 일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일단면의 긴 변이 상기 기판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기판커버를 더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세정제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기판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세정제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구별되는 용기공간을 제공하는 용기수용부를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세정제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제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용기수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세정제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세정제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세정제배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용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세정제는 상기 세정제배출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정제배출부와 상기 용기토출부가 서로 결합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용기토출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토출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용기토출부를 폐쇄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배출부에는, 상기 세정제배출부와 상기 용기토출부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개폐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수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수용부에 수용된 잔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유닛; 및 세정제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세정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일단면의 일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판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비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세정제용기가 본체에 장착될 때, 기판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도록 될 수 있으므로, 비데의 본체가 컴팩트하고, 다운사이징될 수 있다.
또한, 세정제용기가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세정제용기는 이물질과 세균들로부터 오염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본체의 외형은 깔끔한 미관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데를 상측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데의 하측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비데를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비데를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비데(1)는 변기에 장착되어 변기를 세척하기 위해 세정제를 배출하거나, 사용자에게 필요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비데(1)는 본체(100), 기판유닛(200), 세정제용기(300) 및 푸시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기판유닛(200)과 푸시장치(400)를 지지할 수 있고, 세정제용기(3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세정제를 세정제용기(300)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출된 세정제는 세정액토출부를 통하여 변기의 도기 또는 사용자용 세정노즐을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본체(100)는 하우징(110), 프레임(120), 용기수용부(130), 세정제배출부(140) 및 잔수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프레임(120)과 결합하여 기판커버(220), 푸시장치(400), 전자소자, 전선 등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하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용기수용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20)은 하우징(110)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0)은 푸시장치(400) 및 기판커버(220)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세정제배출부(140) 및 잔수배출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더 참조하면, 용기수용부(130)는 세정제용기(300)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수용부(130)의 용기공간은 하우징(110)의 내부공간과 구별되어 세정제가 내부에 구비된 전자소자 등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수용부(130)는 하우징(110)의 외면으로부터 프레임(120)을 향해 하방으로 인입되어 용기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수용부(130)는 기판유닛(200)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정제배출부(140)는 세정제용기(300)에 수용된 세정제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용기수용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제배출부(140)는 세정제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제배출부(140)는 용기수용부(130)의 하측과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세정제배출부(140)는 세정제용기(300)가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될 경우, 세정제용기(300)의 용기토출부(3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제배출부(140)에 의해 세정제용기(300)로부터 토출된 세정제는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정제배출부(140)에는 세정제용기(300)의 후술할 개폐부(3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141)는 세정제배출부(14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세정제용기(300)가 삽입되었을 때 후술할 용기토출부(320) 내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141)는 세정제배출부(140)와 용기토출부(320)가 서로 결합되면, 개폐부(33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잔수배출부(150)는 용기수용부(130)에 잔수 또는 세정제가 유입될 경우, 용기수용부(130)의 잔수 또는 세정제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잔수배출부(150)는 용기수용부(130)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기판유닛(200)은 물 또는 세정제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유닛(200)은 세정제용기(300)가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될 경우, 세정제용기(300)와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기판유닛(200)은 인쇄회로기판(210) 및 기판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유닛(20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판유닛(20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210)의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본체(100)에 장착된 세정제용기(30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기판유닛(200)은 제1 기판유닛(201)과 제2 기판유닛(20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기판유닛(201)과 제2 기판유닛(202)은 서로 대향하는 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기판유닛(201)과 제2 기판유닛(202)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세정제용기(300) 및 용기수용부(130) 중 하나 이상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10)은 기판커버(220)에 커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210)은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된 세정제용기(300) 및 용기수용부(130) 중 하나 이상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210)은 일면이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된 세정제용기(300)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에는 전자소자와 전기케이블이 실장될 수 있다.
기판커버(220)는 인쇄회로기판(210)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기판커버(220)는 프레임(120)에 지지되어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판커버(220)의 일면은 용기수용부(130) 및 이에 삽입된 세정제용기(300) 중 하나 이상에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인쇄회로기판(210)과 이를 커버하는 기판커버(220)가 용기수용부(130)와 세정제용기(300)에 나란하게 대향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인쇄회로기판(210) 및 기판커버(220) 중 어느 하나만이 용기수용부(130) 및 세정제용기(300) 중 하나 이상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정제용기(300)는 변기의 도기, 사용자용 세정노즐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다. 세정제용기(300)는 용기수용부(130)의 용기공간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세정제용기(300)가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비데(1)는 세정제용기(300)가 좌우방향 등으로 이동되어 본체(100)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세정제용기(300)는 기판유닛(20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제용기(300)는 기판유닛(200)에 대향하게 배치되도록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세정제용기(300)는 세정제를 배출하기 위해 세정제배출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제용기(30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각형'이란 수학적으로 엄밀한 의미의 사각형 뿐 아니라 어느 변이 엄밀한 직선이 아니거나 어느 꼭지점의 각도가 엄밀히 90도가 아니더라도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인식될 수 있는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처럼 세정제용기(300)를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면, 원형인 경우와 비교할 때 데드스페이스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한정된 공간에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는 비데 본체의 소형화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세정제용기(30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예를 들어, 일단면의 일 방향으로의 길이가 일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제용기(300)는 좌우방향으로의 길이(좌우폭)가 전후방향으로의 길이(전후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한 예시로, 세정제용기(300)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일단면의 긴 변이 기판유닛(20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세정제용기(300)는 용기부(310), 용기토출부(320) 및 개폐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310)는 세정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310)는 용기수용부(130)의 용기공간에 상하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용기토출부(320)는 용기부(310)에 수용된 세정제를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세정제용기(300)가 본체(100)에 삽입되었을 때 세정제배출부(140)와 결합될 수 있다. 용기토출부(320)는 용기부(310)가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될 때, 용기부(3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토출부(320)는 세정제를 세정제배출부(140)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용기토출부(320)와 세정제배출부(140)가 서로 결합되면, 세정제는 세정제배출부(140)로 유동될 수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개폐부(330)는 용기토출부(32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용기토출부(3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용기토출부(320)를 개방하기 위해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용기토출부(320)를 폐쇄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부(330)는 용기토출부(320)와 세정제배출부(140)가 서로 결합되면, 돌기(141)에 의해 접촉되어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푸시장치(400)는 세정제용기(300)가 용기수용부(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시장치(400)는 세정제용기(300)를 본체(100)의 외측으로 팝업시키는 팝업버튼을 포함하는 팝업장치일 수 있다. 푸시장치(400)는 세정제용기(300)가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될 때, 사용자가 세정제용기(300)를 누름으로써 하방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후, 푸시장치(400)는 세정제용기(30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용기수용부(130)에 삽입된 세정제용기(300)를 누름으로써 다시 눌려질 수 있다. 이러한 푸시장치(400)에 의해 세정제용기(3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세정제용기(300)의 적어도 일부는 용기수용부(1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푸시장치(400)에 의해 세정제용기(300)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세정제용기(300)와 세정제배출부(14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푸시장치(400)는 상측이 용기수용부(130)의 하측을 관통하도록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푸시장치(400)의 상측은 용기수용부(130)의 용기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데(1)의 세정제용기(300)가 용기수용부(130)에 수용되면, 세정제는 용기토출부(320)를 통해 세정제배출부(140)로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세정제용기(300)는 본체(100)에 장착될 때, 기판유닛(2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본체(100)가 작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수용부(130)의 용기공간과 본체(100)의 내부공간이 서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세정제 또는 잔수가 인쇄회로기판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비데 100: 본체
110: 하우징 120: 프레임
130: 용기수용부 140: 세정제배출부
141: 돌기 150: 잔수배출부
200: 기판유닛 201: 제1 기판유닛
202: 제2 기판유닛 210: 인쇄회로기판
220: 기판커버 300: 세정제용기
310: 용기부 320: 용기토출부
330: 개폐부 400: 푸시장치

Claims (11)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유닛; 및
    세정제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세정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일단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판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용기의 상기 일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일단면의 긴 변이 상기 기판유닛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비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유닛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커버하는 기판커버를 더 포함하는,
    비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고,
    상기 세정제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일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비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복수 개의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이격공간에 배치되는,
    비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하 방향으로 삽입되는,
    비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기판유닛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세정제용기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구별되는 용기공간을 제공하는 용기수용부를 포함하는,
    비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세정제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제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용기수용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세정제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세정제를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세정제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세정제배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용기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부에 수용된 상기 세정제는 상기 세정제배출부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세정제배출부와 상기 용기토출부가 서로 결합되는,
    비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기 용기토출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토출부를 개방하기 위해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상기 용기토출부를 폐쇄하기 위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배출부에는,
    상기 세정제배출부와 상기 용기토출부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개폐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돌기가 형성되는,
    비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용기수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용기수용부에 수용된 잔수를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비데.
  1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전자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유닛; 및
    세정제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세정제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정제용기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일단면의 일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판유닛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비데.
KR1020210122478A 2021-09-14 2021-09-14 비데 KR20230039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78A KR20230039314A (ko) 2021-09-14 2021-09-14 비데
PCT/KR2022/012983 WO2023043093A1 (ko) 2021-09-14 2022-08-30 비데
CN202280062416.9A CN117980571A (zh) 2021-09-14 2022-08-30 智能马桶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478A KR20230039314A (ko) 2021-09-14 2021-09-14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9314A true KR20230039314A (ko) 2023-03-21

Family

ID=8560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478A KR20230039314A (ko) 2021-09-14 2021-09-14 비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039314A (ko)
CN (1) CN117980571A (ko)
WO (1) WO202304309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236A (ko) 2016-10-12 2018-04-2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KR20180076116A (ko) 2016-12-27 2018-07-05 코웨이 주식회사 거품액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5997B2 (en) * 2008-02-23 2012-01-17 Robert Marion Harris Modular cartridge based liquid dispenser system for toilets and bidets
TW201704600A (zh) * 2015-06-25 2017-02-01 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衛生洗淨裝置
AU2016334488A1 (en) * 2015-10-09 2018-04-19 As Ip Holdco, Llc Self-cleaning toilet assembly and system
KR102626643B1 (ko) * 2016-12-28 2024-01-19 코웨이 주식회사 도기세정장치
IL271139B (en) * 2017-06-04 2022-07-01 Killer Whale L T D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cleaning toil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236A (ko) 2016-10-12 2018-04-20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KR20180076116A (ko) 2016-12-27 2018-07-05 코웨이 주식회사 거품액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80571A (zh) 2024-05-03
WO2023043093A1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9065B2 (en) Toilet
KR20230039314A (ko) 비데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00077253A (ko) 좌변기용 비데
KR20100047082A (ko) 좌변기용 비데
JP4893555B2 (ja) 洗面化粧台
JP4835559B2 (ja) 洗面化粧台
WO2002001011A1 (en) Foldaway water-closet with cleaning, hygienizing and drying means
KR20160080129A (ko) 비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3659623B2 (ja) タンクレス便器
KR200291545Y1 (ko) 미용제 공급장치
CN216075400U (zh) 便器
JP5129538B2 (ja) 洗面化粧台
JP7321670B2 (ja) 便座および便器装置
JP2009089730A (ja) 洗面化粧台
KR20100052972A (ko) 좌변기용 비데
JP2002212995A (ja) トイレ洗浄装置
WO2007008032A1 (en) Vegetable washing machine
JP2006230888A (ja) 便座
JP2005168849A (ja) 浴室設備
JPS6326226Y2 (ko)
CN115217203A (zh) 卫生清洗装置
JP2022041181A (ja) 衛生洗浄装置およびトイレ装置
KR20230053372A (ko) 비데
KR200355414Y1 (ko) 미세 틈새크리닝 기능을 갖는 국부세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