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953A -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953A
KR20230038953A KR1020210121682A KR20210121682A KR20230038953A KR 20230038953 A KR20230038953 A KR 20230038953A KR 1020210121682 A KR1020210121682 A KR 1020210121682A KR 20210121682 A KR20210121682 A KR 20210121682A KR 20230038953 A KR20230038953 A KR 20230038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agnification
virtual camera
imag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진용
신동엽
신승호
이상현
임국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953A/ko
Publication of KR2023003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Abstract

개시된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은,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SCREE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CAMERA}
본 발명은 가상카메라에 의한 화면을 처리하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메타버스 서비스, MMOPRG 서비스, FPS 게임 서비스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화면 제공 기술분야에서 가상카메라에 의한 화면확대 및 화면축소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가상카메라에 의한 화면확대 및 화면축소 기능의 예로서, 사용자의 아바타 등과 같은 캐릭터가 포함된 콘텐츠 화면을 제공할 때에 캐릭터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화에 대응하는 화면확대 및 화면축소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화면 인터페이스를 통한 핀치-아웃(pinch-out) 터치 제스처를 통해 화면확대를 요청할 수 있고, 핀치-인(pinch-in) 터치 제스처를 통해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캐릭터 후방에 멀리 이격된 위치에 가상카메라가 위치한다는 설정 하에 캐릭터의 뒷모습 전체가 포함된 콘텐츠 화면이 3인칭 관점으로 제공되는 상황에서 화면확대가 요청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화면확대 요청배율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캐릭터와 가상카메라의 이격거리가 조정되고, 화면확대가 최고 배율로 요청된 경우에는 가상카메라가 캐릭터의 뒤통수 부근에 위치한다는 설정 하에 콘텐츠 화면에 대한 확대 화면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처럼 캐릭터가 포함된 콘텐츠 화면을 3인칭 관점으로 제공하는 경우에는 가상카메라가 캐릭터의 뒤통수 부근에 위치한다는 설정 하에 제공되던 콘텐츠 화면이 최대 확대배율이고 더 이상의 확대가 지원되지 않았다. 가상카메라는 항상 캐릭터를 향하는 형태로 설정되기 때문에,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캐릭터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변경하면 가상카메라의 촬영 방향이 역전하여 캐릭터의 안면을 촬영하는 것으로 변경되기 때문이다.
한편, 3인칭 관점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화면의 최대 확대배율보다 더 높은 배율의 확대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별도의 인터페이스 및 가상카메라가 이용되기도 한다. 콘텐츠 화면을 3인칭 관점의 최대 확대배율로 제공하던 중에 기설정된 버튼 등을 통해 1인칭 관점의 확대 화면을 요청하는 경우 3인칭 관점의 콘텐츠 화면과 비교할 때에 화면 구성이 다른 1인층 관점의 콘텐츠 화면에 대한 영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1인칭 관점의 확대 영상을 추가적으로 제공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확대 영상이 3인칭 관점의 영상에서 1인칭 관점의 영상으로 변경되기에 심리스(seamless)하게 연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2819호, 등록일자 2020년 09월 01일.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에 대응하여 배율구간에 따라 가상카메라의 위치 또는 FOV(field of view)를 변화시켜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관점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은,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관점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는,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확대 또는 상기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화면확대 또는 상기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하며,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제 3 관점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에 대응하여 콘텐츠 화면을 제공함에 있어서, 배율구간별로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하거나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배율구간에서는 특정 캐릭터가 포함된 콘텐츠 화면을 3인칭 관점으로 제공하면서 요청배율의 높낮이에 맞춰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고, 제 2 배율구간에서는 특정 캐릭터가 포함되지 않은 콘텐츠 화면을 1인칭 관점으로 제공하면서 요청배율의 높낮이에 맞춰 가상카메라의 FOV를 변경해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배율구간에서 요청배율의 변경에 맞춰 제 2 배율구간으로 변경될 때에 동일한 영상창 내에서 심리스(seamless)하게 변화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확대배율에 따른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확대배율에 따라 가상카메라의 위치 또는 FOV가 변경되는 예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및 프로세서부(120)를 포함하고, 입력부(130), 통신부(140) 및 저장부(150)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창을 제공하고, 사용자 등이 가상카메라의 영상창에 대한 화면확대 및/또는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일체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한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 및/또는 터치버튼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2개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핀치-아웃 터치 제스처가 화면확대 요청으로 설정될 수 있고, 2개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핀치-인 터치 제스처가 화면축소 요청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핀치-아웃/핀치-인 드래그(drag)의 길이가 화면확대/화면축소의 요청배율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버튼은 터치시간 또는 터치회수에 따라 요청배율을 지정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터치버튼은 디스플레이부(110)가 아닌 입력부(130)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도 제공할 수 있는데,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화면확대의 요청배율 및/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서부(120)는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에 대한 화면확대의 요청배율 및/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가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핀치-아웃/핀치-인 드래그의 길이, 터치버튼의 터치시간 또는 터치회수, 입력부(130)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따라 화면확대의 요청배율 및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제 1 배율구간에서는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제 2 배율구간에서는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프로세서부(120)는 제 1 배율구간에서 요청배율에 따라 제 2 배율구간으로 변경될 때에 동일한 영상창 내에서 심리스하게 변화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제 1 배율구간에서 요청배율의 변화에 맞춰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가상의 직선상에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부(12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한 영상창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콘텐츠 내 특정 캐릭터의 시선 변화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영상창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특정 캐릭터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영상창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특정 캐릭터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입력부(130)는 각종 명령이나 정보 및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입력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30)는 물리적 키패드나 직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부(130)는 가상카메라의 영상창에 대한 화면확대 및/또는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는 물리적 인터페이스로서 터치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터치버튼의 터치시간 또는 터치회수에 따른 화면확대 요청 및/또는 화면축소 요청을 프로세서부(1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각종 명령이나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 및 데이터를 프로세서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40)는 미리 설정된 신호 패턴을 통한 화면확대 요청 및/또는 화면축소 요청을 수신하여 프로세서부(1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프로세서부(120)에 의한 각종 처리의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에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를 위한 운영체계가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의 프로세서부(120)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확대배율에 따른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의 예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화면 확대배율에 따라 가상카메라의 위치 또는 FOV가 변경되는 예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가 수행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화면확대 기능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겠으나 화면축소 기능은 화면확대 기능과 비교할 때에 대부분의 판단 및 처리 절차는 동일하지만 화면만 반대로 축소하는 것이기에, 화면확대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먼저,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가상카메라에 의한 콘텐츠 화면을 제공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도 3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은 화면(310)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301)의 시선 방향 및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가상카메라(401)가 캐릭터(301)의 후방에 특정 설정거리로 이격된 곳에 위치한다고 가정하고, 해당 가상카메라(401)에 의한 촬영 영상을 영상창(3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3의 (a)와 같이 화면(310) 내에는 복수의 개체(302, 303, 304)가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10)는 일체로 포함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 등이 가상카메라의 화면에 대한 화면확대 및/또는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터치스크린 상에 목시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표시될 수도 있고 목시적으로 식별 불가능하지만 사전에 설정 및 약속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10)는 프로세서부(120)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을 위한 전용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캐릭터를 포함하는 콘텐츠가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100)에서 구동 중인 특정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에 해당 응용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S210).
여기서, 프로세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 중인 화면에 대한 화면확대 요청 또는 화면축소 요청이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확대 요청 또는 화면축소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핀치-아웃 터치 제스처를 통해 화면확대를 요청하거나 2개의 터치 포인트를 이용한 핀치-인 터치 제스처를 통해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핀치-아웃/핀치-인 드래그의 길이가 화면확대/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일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되는 터치버튼의 터치시간 또는 터치회수를 조정하여 화면확대/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외에도, 화면확대 요청 및/또는 화면축소 요청은 입력부(130)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입력부(13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면확대 요청 및/또는 화면축소 요청이 입력되거나 이러한 요청이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S220).
아울러, 프로세서부(120)는 단계 S220에서 요청된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에 대한 요청배율을 파악하고,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부(120)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핀치-아웃/핀치-인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화면확대의 요청배율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제공하는 터치버튼의 터치시간의 길이 또는 터치회수에 따라 화면확대의 요청배율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할 수 있다(S230).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입력된 요청배율이 제 1 배율구간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가상카메라의 FOV를 고정한 상태로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릭터의 시선 방향 및 높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직선상에서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변화시켜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301)로부터 멀리 이격된 가상카메라(401)의 위치로부터 캐릭터(301)에 더 가까워진 위치에 가상카메라(402)가 존재하는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부(120)는 가상카메라의 FOV를 고정한 상태로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화면확대의 요청배율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만큼 변화시켜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을 생성한다(S240).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단계 S240에서 생성된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0)는 프로세서부(120)에 의해 단계 S240에서 생성된 화면을 출력하여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3의 (a)에 예시한 영상창(310)에 대한 제 1 배율구간의 화면확대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라면, 도 3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은 영상창(32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 (a)와 (b)를 비교하여 보면, 캐릭터(301)와 개체(302, 303, 304)의 크기가 소정의 요청배율만큼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S260).
그런데, 프로세서부(120)는 단계 S230에서 요청배율이 제 2 배율구간으로 파악된 경우에는 가상카메라를 특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릭터의 시선 방향 및 높이에 위치하는 가상의 직선상에서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특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상카메라의 FOV를 변화시켜서 변화시켜서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캐릭터(301)의 안면 바로 앞에 위치가 고정된 가상카메라(403)에 대한 영상을 FOV를 변화시켜 생성할 수 있다. 가상카메라(403)의 FOV가 D2에서 D1으로 변화되는 경우에 FOV가 D2일 때보다 D1일 때가 배율이 더 높은 확대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S250).
그리고, 프로세서부(120)는 단계 S250에서 생성된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10)는 프로세서부(120)에 의해 단계 S250에서 생성된 화면을 출력하여 화면확대 영상 또는 화면축소 영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도 3의 (c)에 예시한 영상창(330)에 대한 제 2 배율구간의 화면확대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라면, 도 3의 (d)에 예시한 바와 같은 영상창(34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의 (c)와 (d)를 비교하여 보면, 개체(303)의 크기가 소정의 요청배율만큼 확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c)와 (d)를 비교하여 보면, (c)의 영상창(330)은 총 3개의 개체(302, 303, 304)가 포함되어 있으나, (d)의 영상창(340)에는 FOV가 축소됨에 따라 총 1개의 개체(303)만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 즉, 나머지 개체(302, 304)가 가상카메라의 FOV를 벗어난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이다(S260).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에 대응하여 콘텐츠 화면을 제공함에 있어서, 배율구간별로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하거나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에 대응하여 콘텐츠 화면을 제공함에 있어서, 배율구간별로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하거나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타버스 서비스, MMOPRG 서비스, FPS 게임 서비스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화면 제공 기술분야에서 가상카메라에 의한 화면확대 및 화면축소 기능이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100: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
110: 디스플레이부
120: 프로세서부

Claims (6)

  1.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으로서,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FOV(field of view)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에 따라 상기 제 2 배율구간으로 변경될 때에 동일한 상기 영상창 내에서 심리스(seamless)하게 변화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의 변화에 맞춰 상기 가상카메라의 위치를 가상의 직선상에서 변화시키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콘텐츠 내 특정 캐릭터의 시선 변화에 따라 변화되고,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상기 특정 캐릭터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상기 특정 캐릭터가 포함되지 않은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5. 콘텐츠 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카메라에 의한 영상창의 화면확대 또는 화면축소를 요청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화면확대 또는 상기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부는,
    상기 화면확대 또는 상기 화면축소의 요청배율을 파악하며, 상기 파악된 요청배율과 기설정된 임계배율과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배율구간과 제 2 배율구간 중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위치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배율구간에서는 상기 가상카메라의 FOV 변경에 따라 변화되는 영상을 상기 영상창을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장치.
  6.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21682A 2021-09-13 2021-09-13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230038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82A KR20230038953A (ko) 2021-09-13 2021-09-13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82A KR20230038953A (ko) 2021-09-13 2021-09-13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53A true KR20230038953A (ko) 2023-03-21

Family

ID=8580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82A KR20230038953A (ko) 2021-09-13 2021-09-13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895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19B1 (ko) 2014-07-0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19B1 (ko) 2014-07-08 202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5869B2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478734B2 (en) Game control program,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device
US894735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operation i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pickup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711479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6043537A1 (ko) 시선에 의해 제어되는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제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5860835B2 (ja) タッチパネルを用いて車両画像表示の制御を行う方法およびその車両画像システム
US20120320047A1 (en)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stereoscopic shooting apparatus, dominant eye judging method and dominant eye judging program for use therein, and recording medium
US20150035746A1 (en) User Interface Device
EP42462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rtual prop in real environment image, and storage medium
JP2007172303A (ja) 情報入力システム
EP2824562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display lag of soft keyboard presses
JP2010205223A (ja) 仮想対象に対するジェスチャーに従う制御を行うシステム及び装置
US20160026244A1 (en) Gui device
US9207769B2 (e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JP5486721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16126687A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操作受付方法および操作受付プログラム
KR20230038953A (ko) 가상카메라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4191629A (ja) 表示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画面制御方法
JP201201455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CN111782053B (zh) 模型编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210229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97443A (ja) 入力システム、入力プログラム
KR101188871B1 (ko) 저시력인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550450B1 (ko) 휴대단말기의 줌 기능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018063521A (ja) 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