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917A -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 Google Patents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917A
KR20230038917A KR1020210121594A KR20210121594A KR20230038917A KR 20230038917 A KR20230038917 A KR 20230038917A KR 1020210121594 A KR1020210121594 A KR 1020210121594A KR 20210121594 A KR20210121594 A KR 20210121594A KR 20230038917 A KR20230038917 A KR 20230038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sound control
volume
microphon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쿨카르니 애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8917A/ko
Publication of KR20230038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26Pre-filtering or post-filter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1/00Speech or voice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to produce another audible or non-audible signal, e.g. visual or tactile, in order to modify its quality or its intelligibility
    • G10L21/02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 G10L21/0316Speech enhancement, e.g. noise reduction or echo cancellation by changing the amplitude
    • G10L21/0324Details of processing therefor
    • G10L21/034Automatic adjustme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차량은 입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VR(Voice Recognition)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를 사용하여 볼륨 레벨을 조절할 때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사용자의 볼륨 레벨 조절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피드백 받은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를 측정하여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는 사운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GOLDEN AUDOI LOUDENESS LEVEL SETTING METHOD, VOLUME CONTROL METHOD OF SOUND CONTROL DEVICE, AND VEHICLE WHERE THOSE METHODES ARE APPLIED}
본 개시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 헤드 유닛에서 개별 소스의 사운드 레벨이 다르다. 헤드 유닛에는 AM, FM, SXM, Bluetooth 오디오, USB, 헤드 유닛 내부 저장소, Aux, 텔레매틱스 통화, 통합 음악 앱, Android Auto, CarPlay, VR 프롬프트, Navi 안내 프롬프트 등 여러 가지 미디어 소스가 있다. 모든 미디어 소스 각각은 고유한 사운드 레벨을 제공한다.
고유한 사운드 레벨들이 사용자의 제어 레벨에 따라 조정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미디어 소스를 변경할 때마다, 다른 음량 볼륨으로 사운드를 들어야하는 불편함을 겪는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사운드 시스템은 미디어 소스 각각에 대한 볼륨 레벨 설정을 제공하고 있다.
미디어 소스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 레벨에 따라 사운드 레벨이 제어되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을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차량은 입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VR(Voice Recognition)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를 사용하여 볼륨 레벨을 조절할 때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사용자의 볼륨 레벨 조절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피드백 받은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를 측정하여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는 사운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소스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사운드 소스에 대한 볼륨 레벨을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250-7300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레벨을 제곱평균제곱근(Root-Mean-Square, RMS), A-weighted RMS, 또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하려고 할 때,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listening mode)로 진입시키고, 상기 VR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취 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차량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VR(Voice Recognition)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은, 사용자의 볼륨 조절에 동기되어 상기 VR 마이크로폰이가 청취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VR 마이크로폰이가 입력되는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 제어장치에 피드백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조절 종료 시점에 동기되어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필터링한 조절 종료 시점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하여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은,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볼륨 조절 종료를 감지하면,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사운드 소스가 변경될 때, VR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사운드 제어장치의 불륨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필터링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소정의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에 매치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매치되지 않을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운드 소스에 대해서 볼륨 레벨 조절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륨 레벨 조절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클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운드 소스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작을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운드 소스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운드 소스가,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의 지시에 따라 볼륨 레벨을 조절하고, 최종 볼륨 레벨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은, 상기 판단 결과 매치될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소스에 무관하게 사용자의 제어 레벨에 따라 사운드 레벨이 제어되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을 제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사운드 소스의 볼륨이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VR 세션 중에 볼륨 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차량 스피커를 통해 제공되는 모든 음원에 대해 통일된 볼륨 레벨로 사운드를 제공한다. 마이크로폰은 VR(Voice Recognition)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현재 차량의 사운드 시스템에서는 미디어 소스마다 볼륨 레벨이 다르다. 모든 미디어 소스에는 기본 볼륨 수준이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는 특정 미디어 소스가 조정될 때마다 볼륨 레벨을 조정해야 한다. 모든 미디어 소스 각각에 대해서 사용자가 조정한 볼륨 레벨은 개별적으로 헤드 유닛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특정 미디어 소스로 다시 전환할 때 헤드 유닛 소프트웨어에 의해 저장된 볼륨 레벨이 적용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사운드 소스(10), VR 마이크로폰(20), 사운드 제어장치(30), 스피커(40), 및 볼륨 손잡이(volume knob)(50)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볼륨 손잡이(50)를 조절하여 현재 재생되는 사운드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VR 마이크로폰(20)은 음성 인식에 사용될 수 있고, 입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VR 마이크로폰(20)의 출력인 오디오 신호는 사운드 제어장치(3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스피커(40)는 입력되는 사운드 소스의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제어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레벨 신호에 따른 볼륨으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소스(10)는 볼륨 레벨에 따라 사운드 신호를 스피커(40)로 출력한다. 사운드 소스(10)는 사운드 제어장치(30)의 제어에 따라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운드 소스(10)는 미디어 소스, 비미디어 소스 등을 포함한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모든 사운드 소스 각각의 재생 중에 VR 마이크로폰(20)을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50)를 사용하여 볼륨 레벨을 조절할 때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50)를 사용하여 볼륨 레벨을 조절할 때 해당 볼륨 레벨은 사용자가 듣고 싶어하는 볼륨 레벨로 간주된다. 이하,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50)를 조절하여 선택한 볼륨 레벨을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golden audio loudness level)이라 한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스피커(4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소스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사운드 소스에 대한 볼륨 레벨을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로 제어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피드백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밴드 패스 필터링 한다. 이때, 특정 주파수 대역은 250-7300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음성 신호 주파수가 집중되는 주파수 대역은 250~7300Hz인 점에 기초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장치(30)는 250-7300Hz 대역의 신호를 밴드 패스 필터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250-7500Hz 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 집중되는 차량 소음이 차단되어 사운드 제어장치(30)에 피드백될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표준 오디오 기술을 사용하여 피드백 받은 오디오 신호의 음량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은 제곱평균제곱근(Root-Mean-Square, RMS), A-weighted RMS, 또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일 수 있다.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하려고 할 때, 음성 인식을 위한 VR 마이크로폰(20)은 항상 청취 모드(listening mode)이다. VR 마이크로폰(20)은 청취 모드에서 차량에서 들리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캡처한다. 차량에 있는 다른 모든 마이크로폰도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하려고 할 때, VR 마이크로폰(20)와 같이 차량에서 들리는 오디오 신호의 레벨을 캡처할 수 있다. VR 마이크로폰(20)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드 마이크로폰은 차량의 오디오 입력 장치의 일부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운드 소스가 변경될 때마다 VR 마이크로폰(20)은 청취 모드에 진입하여, 차량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오디오 신호를 사운드 제어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피드백 받은 오디오 신호의 레벨이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과 동일하도록 현재 재생 중인 사운드 소스에 대한 볼륨 레벨 조정을 수행한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고 일정 기간 동안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이그니션(ignition) 주기들 동안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사운드 소스에 대해 볼륨 손잡이를 조정하여 볼륨 레벨을 조정하면, 사운드 제어장치(30)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새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를 조정하지 않는 하,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소정의 초기 오디오 레벨을 지정하는 초기 값을 저장하고 있다(S0). 예를 들어, 차량(1)이 제작될 때 초기 오디오 레벨이 사운드 제어장치(30)에 저장될 수 있다. 스피커(40)는 사운드 제어장치(3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제어 신호(ACS)에 따라 지정되는 오디오 레벨에 따른 볼륨으로 사운드를 출력한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사용자의 볼륨 조절을 감지하면, VR 마이크로폰(20)을 청취 모드로 진입시킨다(S1). 예를 들어,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인에이블 레벨의 청취 모드 명령 신호(LMC)를 VR 마이크로폰(20)로 전송할 수 있다.
VR 마이크로폰(20)은 청취 모드로 진입하여 입력되는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 제어장치(30)에 피드백한다(S2).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사용자의 볼륨 조절 종료를 감지하면, VR 마이크로폰(20)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한다(S3). 이하, 사용자의 볼륨 조절이 종료된 시점을 조절 종료 시점이라 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조절 종료 시점에 동기되어 디스에이블 레벨의 청취 모드 명령 신호(LMC)를 VR 마이크로폰(2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조절 종료 시점에 동기되어 VR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250~7300Hz)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한다(S4). VR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는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밴드 패스 필터링을 통해 노이즈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필터링한 조절 종료 시점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한다(S5). 예를 들어, 사운드 제어장치(30)는 RMS, A-weighted RMS, 또는 S/N을 이용하여 라우드니스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S5 단계에서 측정한 라우드니스를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로 저장할 수 있다(S6).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에 따라 사운드 소스의 불륨이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변경된 사운드 소스의 볼륨이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운드 소스는 미디어 소스로 FM, AM, SXM, USB, BT Audio, Aux, 하드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에 따라 스피커(40)는 변경 전 사운드 소스의 사운드를 출력하고 있다. 이때, 사운드 소스가 변경된다.
그러면,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을 청취 모드로 진입시킨다(S7).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250~7300Hz)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한다(S8).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필터링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한다(S9).
사운드 제어장치(30)는 S9단계에서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에 매치되는지 판단한다(S10).
S10 판단 결과 매치되지 않을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변경된 사운드 소스에 대해서 볼륨 레벨 조절을 지시한다(S11). 예를 들어, S9단계에서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클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변경된 사운드 소스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할 수 있다. S9단계에서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작을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변경된 사운드 소스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증가시킬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변경된 사운드 소스는 지시에 따라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단계 S11 이후, 다시 S8 단계부터 반복한다.
S10 판단 결과 매치될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한다(S12).
변경된 사운드 소스는 위 단계들(S9-S11)을 통해 볼륨 레벨을 조절하고, 최종 볼륨 레벨을 저장한다(S13). 변경된 사운드 소스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이 변경되지 않는 한, 저장된 볼륨 레벨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에 도시된 사운드 소스의 볼륨 레벨 조절 방법은 미디어 소스가 아닌 TTS(Text To Speech), 차량의 경적 소리(beep), 전화기의 벨 소리(ring) 및 다이얼 톤(dial tone) 등과 같은 비미디어 소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제어장치(30)로부터 볼륨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지시를 수신하고 볼륨 레벨을 조절하는 주체는 미디어 소스가 대신 각 소스를 생성하는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VR 세션 중에 볼륨 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VR 세션(session)이 시작하고, 저장되어 있는 볼륨이 설정된다.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을 청취 모드로 진입시킨다(S20).
VR TTS가 차량(1)의 스피커(40)로부터 플레이되고 있다(S21).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250~7300Hz)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한다(S22).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필터링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한다(S23).
사운드 제어장치(30)는 S23단계에서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에 매치되는지 판단한다(S24).
S24 판단 결과 매치되지 않을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TTS를 제공하는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볼륨 레벨 조절을 지시한다(S25). 예를 들어, S16단계에서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클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해당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할 수 있다. S16단계에서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작을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해당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증가시킬 것을 지시할 수 있다. 변경된 미디어 소스는 지시에 따라 볼륨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단계 S25 이후, 다시 S23 단계부터 반복한다.
S24 판단 결과 매치될 때, 사운드 제어장치(30)는 VR 마이크로폰(20)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한다(S26).
해당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위 단계들(S23-S25)를 통해 볼륨 레벨을 조절하고, 최종 볼륨 레벨을 저장한다. 해당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이 변경되지 않는 한, 저장된 볼륨 레벨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VR 마이크로폰(20)은 사용자의 명령을 위해 청취 모드일 수 있다(S27).
이후, VR 마이크로폰(20)의 정상적인 VR 세션 조작이 수행될 수 있다(S28).
이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 소스로 인한 볼륨 레벨이 조절되어 하나의 레벨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한 번의 볼륨 조절을 통해 통일된 스피커의 볼륨 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환경이 제공된다. 오디오 신호 레벨이 측정되고 참조되어 볼륨 레벨이 조정되므로, 도로 상황, 비, 바람 등으로 인한 차량 소음 레벨이 보상될 수 있다. 현재 차량에 구비된 하드웨어 인프라로 충분하므로 추가 하드웨어 수정이 필요하지 않다. 프로그래밍을 통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차량 유형, 크기, 실내 음향 등에 관계없이 다양한 차종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볼륨 레벨을 자체 튜닝하므로, 많은 오디오 튜닝이 필요하지 않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차량
10: 사운드 소스
20: VR 마이크로폰
30: 사운드 제어장치
40: 스피커
50: 볼륨 손잡이

Claims (11)

  1. 입력되는 소리를 감지하여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VR(Voice Recognition) 마이크로폰; 및
    사용자가 볼륨 손잡이를 사용하여 볼륨 레벨을 조절할 때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피드백 받고, 상기 사용자의 볼륨 레벨 조절이 종료된 시점에 상기 피드백 받은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를 측정하여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는 사운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소스가 변경된 경우, 변경된 사운드 소스에 대한 볼륨 레벨을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로 제어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대역은 250-7300Hz 대역을 포함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는,
    상기 필터링된 오디오 신호의 음량 레벨을 제곱평균제곱근(Root-Mean-Square, RMS), A-weighted RMS, 또는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로 측정하여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을 설정하는, 차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는,
    상기 사용자가 볼륨을 조절하려고 할 때,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listening mode)로 진입시키고,
    상기 VR 마이크로폰은 상기 청취 모드에 진입하여, 상기 차량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6. VR(Voice Recognition)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볼륨 조절에 동기되어 상기 VR 마이크로폰이가 청취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VR 마이크로폰이가 입력되는 사운드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사운드 제어장치에 피드백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조절 종료 시점에 동기되어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필터링한 조절 종료 시점의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하여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볼륨 조절 종료를 감지하면,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8. 사운드 소스가 변경될 때, VR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사운드 제어장치의 불륨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로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VR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특정 주파수 대역으로 밴드 패스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필터링한 오디오 신호에 대해서 라우드니스(loudeness)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소정의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에 매치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매치되지 않을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운드 소스에 대해서 볼륨 레벨 조절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제어장치의 불륨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륨 레벨 조절을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클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운드 소스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감소시킬 것을 지시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라우드니스가 상기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보다 작을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사운드 소스에 볼륨 레벨을 소정 크기만큼 증가시킬 것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제어장치의 불륨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소스가, 상기 사운드 제어 장치의 지시에 따라 볼륨 레벨을 조절하고, 최종 볼륨 레벨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제어장치의 불륨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매치될 때, 상기 사운드 제어장치가 상기 VR 마이크로폰을 청취 모드에서 벗어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운드 제어장치의 불륨 제어 방법.


KR1020210121594A 2021-09-13 2021-09-13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KR20230038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94A KR20230038917A (ko) 2021-09-13 2021-09-13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594A KR20230038917A (ko) 2021-09-13 2021-09-13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917A true KR20230038917A (ko) 2023-03-21

Family

ID=8580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594A KR20230038917A (ko) 2021-09-13 2021-09-13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89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09684B2 (ja) 状況に応じた音声チューニング
US9531338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9508335B2 (en) Active noise control and customized audio system
US7756280B2 (en) Audio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volume
AU2006202798B2 (en) Hearing aid and an appropriate method for its adjustment
JP2013501969A (ja) 方法、システム及び機器
KR940002167B1 (ko) 잔향음 부가수단을 구비한 음향효과장치
US10510361B2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that outputs, among sounds surrounding user, sound to be provided to user
US11070914B2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US20070078544A1 (en) Sound output system and method
JP2004320582A (ja) 車載用割込信号出力装置
JPH09186540A (ja) 騒音感応自動音量調整装置
US7409066B2 (en) Method of adjusting filter parameters and an associated playback system
KR20200033617A (ko) 차량용 음성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38917A (ko) 골든 오디오 라우드니스 레벨 설정 방법, 사운드 제어장치의 볼륨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차량
JP4271550B2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及び音声信号出力処理方法
US68921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dynamic range of a digital-to-analog conver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070078545A1 (en) Sound output system and method
JPH11308062A (ja) 音声出力装置の音量自動調整装置
JPH0548475A (ja) スケルチ回路
KR20040042768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3037650A (ja) 携帯電話機
JPH06311585A (ja) オーディオ装置の自動調整システム及び自動調整方法
JP4635479B2 (ja) 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WO2018025398A1 (ja) 通信機器、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音声出力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