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408A -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408A
KR20230038408A KR1020227015687A KR20227015687A KR20230038408A KR 20230038408 A KR20230038408 A KR 20230038408A KR 1020227015687 A KR1020227015687 A KR 1020227015687A KR 20227015687 A KR20227015687 A KR 20227015687A KR 20230038408 A KR20230038408 A KR 20230038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test vessel
interior volume
fuel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지. 온더워터
Original Assignee
비더블유엑스티 뉴클리어 에너지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더블유엑스티 뉴클리어 에너지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더블유엑스티 뉴클리어 에너지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8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4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00Reactor types
    • G21C1/04Thermal reactors ; Epithermal reactors
    • G21C1/06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 G21C1/14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 G21C1/16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moderator and coolant being different or separated, e.g. sodium-graphite reactor, sodium-heavy water reactor or organic coolant-heavy water reactor
    • G21C1/18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moderator and coolant being different or separated, e.g. sodium-graphite reactor, sodium-heavy water reactor or organic coolant-heavy water reactor coolant being pressurised
    • G21C1/20Heterogeneous reactors, i.e. in which fuel and moderator are separated moderator being substantially not pressurised, e.g. swimming-pool reactor moderator and coolant being different or separated, e.g. sodium-graphite reactor, sodium-heavy water reactor or organic coolant-heavy water reactor coolant being pressurised moderator being liquid, e.g. pressure-tube react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4Detecting burst slugs
    • G21C17/044Detectors and metering devices for the detection of fission product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02Detection of leak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4Detecting burst slug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2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coolant or moderator
    • G21C17/04Detecting burst slugs
    • G21C17/042Devices for selective sampling, e.g. valves, shutters, rotatable selector valv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21C17/07Leak testing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2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the sensitive element being part of a fuel element or a fuel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연료공급 기계를 갖는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이며,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도구로서, 시험 도구는 연료공급 기계 및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 양자 모두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시험 도구, 및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용기로서, 시험 용기는 시험 도구의 내부 체적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은 시험 도구가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원자로로부터 1차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Description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그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2019년 10월 1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62/914,158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여기에 개시된 발명은 일반적으로 원자로(nuclear reactor)에서 연료 누설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수 감속 핵분열형 원자로(heavy water-moderated fission-type nuclear reactor)에서 연료 누설을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CANDU(CANada Deuterium Uranium) 원자로와 같은)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 내의 고장난 연료 다발로부터의 유체 누설을 검출하기 위한 공지된 시스템 및 방법은 비효율적이고, 시간 소모적이며, 고비용인 경향이 있다(예를 들어, 몇 개의 원자로가 지연된 중성자 시스템을 가지며, 그에 의해 각각의 배출구 단부 피팅이 작은 샘플 튜브를 가지며, 이 모두는 중성자 검출기가 각각의 샘플 튜브로부터의 핵분열 생성물의 존재를 측정하는 샘플링실 내에서 모인다).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원자로(100)에서, 각각의 연료 다발은 원자로의 기존의 연료공급 기계(106)에 의해 원자로(100)의 1차 유체 측 상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102)의 압력 튜브 내로 삽입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공급 기계(106)는 충전 기계(108) 및 수용 기계(109)를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복수의 연료 채널 압력 튜브의 대향 단부들 상에 배치되는 연료 채널 단부 피팅(103a, 103b)의 대응하는 세트와 각각 상호작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기계(108)는 원자로 코어(101)의 상류 측 상에 배치되고(1차 냉각재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화살표(107)) 원자로 코어를 통해서 유동한다는 것을 의미함), 대응하는 연료 채널 단부 피팅(103a)을 통해 각각의 연료 채널 압력 튜브(102)로 접근하는 반면, 수용 기계(109)는 원자로 코어(101)의 하류 측 상에 배치되고 대응하는 연료 채널 단부 피팅(103b)을 통해서 원하는 연료 채널 압력 튜브(102)로 접근한다. 그러나, 원자로의 다른 실시예에서, 충전 기계(108)는 원자로 코어(101)의 하류 측 상에 배치될 수 있는 반면, 수용 기계(109)는 원자로 코어(101)의 상류 측 상에 배치된다(줄여서, 원자로는 "유동을 갖는 연료" 또는 "유동에 대항하는 연료"로서 셋업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1차 유체 내의 가스상 핵분열 생성물의 존재는 하나 이상의 고장난 연료 다발이 있음을 나타낸다. 고장난 연료 다발의 위치를 결정하는 하나의 공지된 방법은 주 헤더로부터 1차 샘플을 흡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단지 2개의 헤더가 있고, 각각의 헤더는 연료 채널(102)의 그 지정된 절반으로부터 유동을 수용한다. 따라서, 헤더 중 하나에서의 가스상 핵분열 생성물의 검출은 고장난 다발의 위치를 122개 중 어느 하나로 좁힐 뿐이다. 다양한 CANDU 원자로가 상이한 개수의 연료 채널을 갖는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각각의 헤더와 연관된 연료 채널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에서, 1차 유체 유동은 입자가 연료 다발로부터 누설될 때에 존재하는 중성자에 대해 감시된다. 중성자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블리더 라인(bleeder line)이 각각의 개별 연료 채널(102)에 연결될 수 있고 연료 채널(102)의 외부로의 1차 유체 유동을 샘플링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연료 채널(102)로부터의 물은 검출기 매트릭스에서 종결되는 그 블리드 라인을 통해 샘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각각 지정된 블리더 라인을 갖는 연료 채널의 순전히 개수에 기초하여 복잡하고, 또한 매우 비싸다(일부 원자로 설계는 시스템을 생략하게 한다). 또한, 중성자 모니터링 블리드 라인 시스템으로 기존 원자로를 개장할 수 있는 능력은, 그 설치를 위해서 요구되는 과다한 중단 시간의 양을 기초로 제한된다. 마지막으로, 공급기 스캐닝은 연료 채널을 빠져나가는 물을 헤더 매니폴드 파이프 내로 수집하는 기존의 공급기 파이프의 네트워크를 통해 검출기를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스캐너의 위치를 공급기 파이프와 상관시킴으로써, 소스 위치가 종종 추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또한 매우 시간 소모적일 수 있고, 계획된 운전 정지에서와 같이 원자로가 셧다운된 때에만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인 연료 다발은 정상 작동 중에 대략 1년간 지속된다. 대부분의 연료 다발 고장은 연료 다발이 연료 다발의 유효 수명에 걸쳐 원자로 내의 높은 방사 영역으로부터 더 낮은 방사 영역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될 때에 일어난다. 원자로 채널을 따르는 플럭스는 2개의 단부에서 더 낮고, 그에 따라 시프트가 더 집중적인 중앙 영역의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채널 내의 연료의 시프트는 진행 중인 고장이 악화될 수 있는 인접한 채널들을 교란시킬 것이다. 연료 다발을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작동 온도의 변화는 연료 다발의 휘어짐과 팽창을 야기할 수 있고, 이는 잠재적인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온도 변화가 고장의 주 원인이 아니면, 그들은 이미 진행 중인 균열을 완성하는 스트레스 요인일 수 있다. 검출되지 않은 누출 속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허용할 수 없는 방출물을 축적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래 지속되어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하나 이상의 고장난 연료 다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을 때까지 원자로를 "감속(de-rate)"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원자로에 대한 감소된 작동 전력 제한은 증가된 작동 비용으로 이어지고, 원하는 원자로 전력 출력을 충족시킬 수 없게 된다. 다발을 더 빨리 찾으려는 다른 이유는, 다발의 연장된 열화가 종종 원래 결함 원인을 감추고 연료 제조 또는 원자로 작동에 대한 예방 작용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핵분열형 원자로 내의 연료 누설을 적시에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료공급 기계를 갖는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이며,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도구로서, 시험 도구는 연료공급 기계 및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 양자 모두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시험 도구, 및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용기로서, 시험 용기는 시험 도구의 내부 체적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은 시험 도구가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원자로로부터 1차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연료 채널 및 연료공급 기계를 갖는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 내의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연료공급 기계 내에 시험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연료공급 기계를 연료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와 결합시키는 단계, 시험 용기를 대응하는 연료 채널 내에 삽입하는 단계, 1차 유체를 대응하는 연료 채널로부터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 내로 흡인하는 단계, 및 시험 용기를 연료 채널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예시하며,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사실상,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그 대신, 이들 실시예는 이러한 개시내용이 적용 가능한 법률적 요건을 만족시키도록, 제공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 및 대응하는 용기 관통부의 다양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 또는 연료 다발 취급 영역의 보조 또는 유지보수 포트와 같은 접근 포트를 통해 그 내에 시험 도구를 수용하는,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원자로의 충전 기계의 개략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관통 유동하는 1차 냉각재를 샘플링하기 위해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의 하류 단부 내로 삽입되는 도 2에 도시된 시험 도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시험 영역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자로의 보조 포트에 활성화된 시험 도구를 언로딩하는 충전 (또는 하류 단부 피팅으로부터의 수용 기계) 기계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잠재적으로 오염된 1차 유체에 대해 감시되는 활성화된 시험 도구의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참조 부호의 반복적인 사용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본 발명의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들 또는 요소들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제, 하나 이상의 예가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할 것이다. 각각의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제공된 것이고,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사실상,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본 발명을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일부로서 기술되거나 설명된 특징을 다른 실시예에서 이용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은, 원자로가 온-파워를 유지하는 동안, 즉 정상 동작 조건 하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동안, 그리고 연료 스트링이 방해 받지 않는 동안,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을 포함하는 CANDU 원자로 내에 연료 채널을 위치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시스템 및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시스템 및 과정은 또한, 원자로가 셧다운되었을 때 또는 운전 정지 중에 이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1차 유체의 샘플링을 개시하기 위해, 원자로의 연료공급 기계(106)의 수용 기계(109)는 원자로의 보조 포트(110)에 위치되어 로킹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원자로가 "유동을 갖는 연료" 또는 "유동에 대항하는 연료"인지가, 수용 기계 또는 충전 기계가 원자로(101)의 하류 측 상에 있는지를 결정할 것이다. 차폐 플러그 홈통(114)뿐만 아니라 보조 포트 연료 캐리어(112)가 설치된다. 빈 매거진 위치가 충전 기계(108)에서 이용 가능한 것을 보장한 후에, 보조 포트 차폐 플러그가 제거된다. 다음에, 내부에 배치된 시험 용기(122)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인 연료 다발과 유사한 크기의 시험 도구(120)가, 시험 도구(120)가 적절하게 배향되는 것을 보장하면서 홈통(114)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충전 기계(108)의 램은 일단 시험 용기(122)가 원하는 연료 채널에 있으면 시험 용기(122)를 활성화하도록 사용되는데,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시험 도구(120)의 원하는 단부가 원하는 경우 활성화를 위해 램(111)과 접촉할 수 있도록 램(111)에 인접하게 위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다음에, 충전 기계(108)의 충전 튜브/램(111)은 시험 도구(120) 상으로 결합되어 로킹된다. 충전 기계(108)의 충전 튜브/램(111)은 시험 도구(120)가 충전 기계의 매거진의 빈 위치에 보관되도록 인출된다. 충전 튜브/램(111)은 매거진 내의 시험 도구를 해제하고, 추가로 후퇴되고, 매거진이 다음 빈 위치로 회전하게 한다. 본 예에서, 최대 8개의 시험 도구(120)가 취해질 연료 채널 샘플의 개수에 따라 충전 기계(108)의 매거진 내로 로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매거진은 8개보다 적거나 많은 시험 도구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보조 포트 차폐 플러그가 교체되고 충전 기계(108)가 결합해제된 후, 충전 기계(108)는 시험될 원하는 연료 채널(102)로 이동된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충전 기계(108)는 목표 연료 채널(102)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대응하는 연료 채널 단부 피팅(103) 상으로 로킹된다(도 3a). 연료 채널 폐쇄부(130) 및 차폐 플러그(132)가 제거되어 매거진 위치에 보관된 후에, 매거진은 시험 도구 위치로 회전하고, 충전 튜브/램(111)은 시험 도구(120)와 결합되고, 시험 도구(120)는 연료 다발 캐리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료 채널(102) 내로 설치된다(도 3b). 다음에, 충전 기계(108)의 충전 튜브/램(111)은 목표 유체 채널(102)로부터 1차 유체의 샘플을 얻기 위해 시험 용기(122)를 활성화하는데 이용된다(도 3c). 1차 유체의 흡입은 램 및/또는 충전 튜브의 상대 이동에 의한 활성화 후에만 시작된다. 1차 액체는 그 다음에 내부 체적이 연료 채널 압력과 균등화될 때까지 진입된다. 더 낮은 압력은 사전 가압된 가스, 대기 공기 또는 진공일 수 있다. 일단 연료 채널과 균등화되면, 충전 튜브/램(111)의 해제 또는 상대 이동은 시험 용기(122)를 밀봉된 구성으로 복귀시킨다. 시험 용기(122) 샘플 체적은 내부 체적을 증가시키는 수단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예컨대, 수축 또는 압착된 벨로우즈/아코디언이 충전 튜브/램(111)의 상대 이동에 의해 또는 트리거를 해제하는 그 작용에 의해 채널 상태에 있을 때에 해제되거나 팽창되게 될 수 있다. 시험 용기(122) 샘플 체적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충전 튜브/램(111) 동작에 의해 증가되어 피스톤의 후퇴와 물의 흡입을 유발하는 스프링 피스톤의 트리거를 해제하고; 충전 튜브/램(111) 운동이 피스톤 연장부를 파지하고 주사기 유형 캐니스터 내로 물을 흡인하는 양 변위 수단에 의해 제공되고; 일단 밸브가 열리거나 멤브레인이 천공되면 액체가 위킹/흡수되는 다공성 매체. 시험 용기(122)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1차 유체 샘플을 얻은 후에 자체 밀봉된다. 샘플이 얻어진 상태에서, 충전 기계(108)의 충전 튜브/램(111)은 시험 도구(120) 및 대응하는 시험 용기(122)가 충전 기계(108)의 매거진 내의 원하는 위치에 보관되도록 후퇴된다(도 3d). 차폐 플러그(132) 및 채널 폐쇄부(130)의 설치 후에, 충전 기계(108)는 연료 채널 배출구 단부 피팅(103)으로부터 언도킹된다. 위의 단계는 원하는 개수의 1차 유체 샘플이 얻어질 때까지 각각의 목표 연료 채널(102)에서 반복되고, 충전 기계(108)의 매거진은 최대 8개의 시험 도구(120) 그리고 그 대응하는 시험 용기(122)를 보유할 수 있다(도 3e).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원하는 개수의 1차 유체 샘플이 취해진 후에, 충전 기계(108)는 보조 포트(110)로 복귀되고 포트에 로킹된다. 앞서와 같이, 보조 포트 연료 캐리어(112)는 보조 포트 차폐 플러그를 제거하기 이전에 차폐 플러그 홈통(114)과 함께 설치된다. 도구 캐리어(120)는 보조 툴링이 회수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홈통(114) 상으로 전진된다. 다음에, 각각의 이전에 활성화된 시험 용기(122)가 언로딩될 때까지 각각의 시험 용기(122)는 대응하는 시험 도구(120)로부터 제거된다. 추가의 샘플이 취해지면, 활성화되지 않은 빈 시험 용기(122a)가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시험 도구(120) 내로 로딩되고 충전 기계(108) 내로 로딩될 수 있다. 일단 언로딩 작동이 완료되면, 보조 포트 차폐 플러그가 설치되고 보조 포트 홈통(114)이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충전 기계(108)는 보조 포트(110)로부터 결합해제되며, 필요에 따라 연료공급 과정을 위한 추가 시험을 계속할 수 있다. 대응하는 시험 도구(120)로부터 제거된 후에, 활성화된 시험 용기(122)는 분석 시설로의 전달을 위해 이송 케이스(140) 내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된 시험 용기(122) 내의 1차 유체 샘플은 검출 장치(150)에 의한 분석을 위해 실험실로 이동된다. 1차 샘플은 현장 및 현장 외 시설 모두에서 분석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측정 장비가 허용되면, 샘플은 포트에 근접하여 분석될 수 있다. 분석 후에, 시험 용기(122)는 비워지고 추후 사용을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전술된 연료 누설 검출 시스템 및 방법은 공지된 시험 시스템 및 방법론에 비해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유체 시험의 제1 결과는 작동 시작 후 4 내지 6시간 내에 얻어질 수 있고, 최대 16개의 연료 채널이 하나의 연료 기계 트립에서 시험될 수 있다. 설명된 방법은, 본 CANDU 연료공급 기계에 대한 어떠한 변형도 없이, 그리고 배관 변형도 없이, 원자로가 최대 전력으로 온라인일 때 이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파괴적이다. 이전의 방법보다 더 빠르게 누설 위치를 결정하는 능력은 원자로의 최대 작동을 허용하고, 원자로 전력 생산 디레이팅(de-rating) 또는 정전의 위험을 줄인다.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의 조기 검출은 또한 연료 누설의 수명에 걸쳐 부식이 덜 발생했기 때문에 연료 누설의 잠재적인 원인을 더 식별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은 연료 채널 내의 연료 다발이 시험 공정 중에 조작되지 않고 조기 연료공급(새로운 유입/완전히 활용되지 않음)이 공급기 헤더 모니터 스타일로부터의 검출에 있어서 연역적 시프트를 일으키는 수단으로서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연료의 물리적 교란을 일으키지 않는다. 현재의 방법은 하나의 채널의 다발을 상이한 플럭스/온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해 그 부근의 연료 다발 온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연료의 선택적 시프트 후에 누설 속도 지표의 변화를 검토하는 연역적 논리를 사용한다. 시프트 부근의 누설 다발은 누설 핵분열 생성물의 그 방출을 상승 또는 저하시킬 것이다. 누설을 포함하는 채널을 추정하기 위해 다수의 푸시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하나의 채널 또는 채널의 구역이 짧은 기간 내에 '과다-연료공급될(over-fueled)' 수 없는데, 이는 하나의 지역 내의 신선한 연료의 축적이 주위 채널 또는 원자로 구역 내에서 과다한 전력을 생성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은 종종 새로운 다발이 붕괴되기에 충분한 시간만큼 분리된 배치(batch)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 방법의 주요 이유는 다발의 체류 시간을 연장시키고, 해제된 방출물을 증가시키고, 결함이 악화될 위험이 있으며, 원자로가 디레이팅(de-rating)될 위험이 있다. 특히, 전술된 시스템은 기존 CANDU 연료공급 기계 및 시스템과 통합된 시험 도구 및 시험 용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설명된 시스템은 그에 대한 변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임의의 CANDU 원자로 사이트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전술되었지만, 다양한 수정과 변경이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원자로에서, 보조 포트는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새로운 연료 기계/포트를 통해 진입하고 사용후 연료 포트를 통해 빠져나가는 도구 경로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후 연료 베이 내의 사용후 연료 포트는 캐니스터를 회수하고 이송을 위해 플라스킹될 때까지 이들을 차폐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부 원자로에서는, 연료공급 기계 툴링 또는 유지보수 포트가, 보조 포트가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새로운 연료 포트 및 사용후 연료 터널 경로는 사용후 연료 베이로부터 캐니스터 및 도구를 회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단 캐니스터가 회수되면, 바람직한 실시예는 캐니스터를 플라스킹(flasking)하고 그것을 기존의 중성자 검출기로 이동시킬 것이다. 대안적으로, 운송을 피하기 위해 보조 포트에서/상에서 또는 사용후 연료 베이 근처에서 로컬 검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빈 캐니스터를 갖는 도구의 재설정은 캐니스터를, 제시되고 FM으로 복귀되는 도구에서 교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는 개장 도구 및 캐니스터의 스톡 파일이 수중에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개장 및 현지 또는 오프사이트로 반환. 측정된 캐니스터는 그 내용물이 현장에 존재하거나 오프사이트에 제공된 중수 회수/세척 경로로 반환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및 사상 내의 그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1)

  1. 연료공급 기계를 갖는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이며,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도구로서, 시험 도구는 연료공급 기계 및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 양자 모두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시험 도구; 및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용기로서, 시험 용기는 시험 도구의 내부 체적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고,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은 시험 도구가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 내에 배치될 때 원자로로부터 1차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시험 용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시험 용기는 초기에 1차 유체의 압력보다 더 낮은 압력에 있는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을 통해서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 내로 1차 유체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연료공급 기계는, 1차 유체가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에 수용되게 시험 용기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되는 램을 더 포함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연료공급 기계의 램은 원자로의 대응하는 연료 채널로부터 시험 도구를 삽입 및 인출하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시험 용기는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 내로 1차 냉각재를 흡인하도록 구성되는 벨로우즈 및 피스톤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연료공급 기계는 수용 기계 및 충전 기계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시스템.
  7. 복수의 연료 채널 및 연료공급 기계를 포함하는 중수 감속 핵분열 원자로 내의 연료 누설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연료공급 기계 내에 시험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연료공급 기계를 연료 채널 중 대응하는 하나와 결합시키는 단계;
    시험 용기를 대응하는 연료 채널 내에 삽입하는 단계;
    1차 유체를 대응하는 연료 채널로부터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 내로 흡인하는 단계; 및
    시험 용기를 연료 채널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내부 체적을 형성하는 시험 도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연료공급 기계 내에 시험 용기를 배치하기 전에 시험 도구의 내부 체적 내에 시험 용기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시험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는 핵분열 원자로 내에 1차 냉각재의 압력보다 더 낮은 압력에 있는 내부 체적을 갖는 시험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연료 채널 내에 시험 용기를 삽입할 때 전력 생산을 위한 정상 작동 조건에서 핵분열 원자로를 작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1차 유체를 시험 용기의 내부 체적 내로 흡인하는 단계는 시험 용기 내에 배치된 벨로우즈 및 피스톤 중 하나의 후퇴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7015687A 2019-10-11 2020-10-08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KR202300384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14158P 2019-10-11 2019-10-11
US62/914,158 2019-10-11
PCT/IB2020/000976 WO2021069974A2 (en) 2019-10-11 2020-10-08 Defective fuel bundle lo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408A true KR20230038408A (ko) 2023-03-20

Family

ID=7543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5687A KR20230038408A (ko) 2019-10-11 2020-10-08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424043B2 (ko)
KR (1) KR20230038408A (ko)
CN (1) CN114945995A (ko)
AR (1) AR120186A1 (ko)
CA (1) CA3154098A1 (ko)
RO (1) RO137132A2 (ko)
WO (1) WO20210699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408A (ko) 2019-10-11 2023-03-20 비더블유엑스티 뉴클리어 에너지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0532A (en) * 1958-05-13 1962-12-25 Gen Electric Nuclear fuel element leak detector
FR1228343A (fr) * 1959-03-13 1960-08-29 Cie Ind Des Telephones Dispositif pour la mesure de la températeure à l'intérieur des réacteurs nucléaires
GB1156342A (en) * 1965-11-12 1969-06-25 Atomic Energy Authority Uk Testing for Fuel Element Sheathing Failures in Nuclear Reactors
US3762993A (en) * 1971-06-24 1973-10-02 Transfer Systems Apparatus for detecting reactor fuel tube failures
US3801441A (en) 1971-10-12 1974-04-02 Transfer Systems Failed nuclear reactor fuel detection apparatus
US3940311A (en) 1972-01-21 1976-02-2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Nuclear reactor internals construction and failed fuel rod detection system
US3878040A (en) * 1973-09-20 1975-04-15 Combustion Eng Failed fuel detector
US4034599A (en) * 1975-06-18 1977-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Device for locating defective fuel
US4332639A (en) * 1979-02-21 1982-06-01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Failed element detection and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e in a nuclear reactor
DE3337084A1 (de) * 1983-10-12 1985-04-25 Brown Boveri Reaktor GmbH, 6800 Mannheim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uffinden defekter brennstabhuellrohre wassergekuehlter kernreaktoren
US4650637A (en) * 1984-02-14 1987-03-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leaking fuel rod in an assembly containing many rods
DE4302330C1 (de) * 1993-01-28 1994-06-23 Bbc Reaktor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chirmung der von den Sonden der Innenkerninstrumentierung eines wassergekühlten Kernreaktors ausgehenden Strahlung
US6345082B1 (en) 1999-06-03 2002-02-05 Thomas A. Galioto Fuel assembly mechanical flow restri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failure in situ of nuclear fuel rods in a fuel assembly during reactor shutdown
KR100701623B1 (ko) * 2004-03-05 2007-03-30 이정윤 원자력 발전소의 운전 정지시 핵연료를 방출하기 위한장치 및 그 방법
KR100647809B1 (ko) * 2004-04-24 2006-11-23 한국원자력연구소 중성자 재조사 시험을 위한 캡슐 조립 장치
DE102004054461B3 (de) * 2004-11-11 2006-01-12 Framatome Anp Gmbh Verfahren zum Prüfen von Brennelementen eines Siedewasserreaktors auf Dichtheit ihrer Brennstäbe
US9721684B2 (en) * 2013-01-18 2017-08-01 Candu Ener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 leaking fuel channel in a nuclear reactor
DE102014118623B3 (de) * 2014-12-15 2016-04-28 Arev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r Dichtheitsprüfung an Brennstabkapseln
DE102015102732A1 (de) * 2015-02-25 2016-08-25 Areva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rüfung eines Brennstabes eines Brennelements
CN109690300B (zh) * 2016-06-09 2022-06-03 凤凰有限责任公司 用于进行核燃料棒的有源扫描的系统和方法
DE102017114835B3 (de) * 2017-07-04 2018-10-31 Framatome Gmbh Analysevorrichtung zum Nachweis von Spaltprodukten durch Messung einer Radioaktivität und Analysesystem
KR20230038408A (ko) 2019-10-11 2023-03-20 비더블유엑스티 뉴클리어 에너지 캐나다 인코포레이티드 결함이 있는 연료 다발 위치확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120186A1 (es) 2022-02-02
WO2021069974A3 (en) 2021-06-17
US20220392654A1 (en) 2022-12-08
CA3154098A1 (en) 2021-04-15
US11783955B2 (en) 2023-10-10
US11424043B2 (en) 2022-08-23
US20210343433A1 (en) 2021-11-04
WO2021069974A2 (en) 2021-04-15
CN114945995A (zh) 2022-08-26
RO137132A2 (r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89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k detection
JP4313970B2 (ja) 原子炉の燃料要素の検査方法及び装置
US3878040A (en) Failed fuel detector
US11783955B2 (en) Defective fuel bundle location system
US10319484B1 (en) Method for imaging a nuclear reactor
US442789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spent fuel assemblies
JP2010078459A (ja) 熱交換器の伝熱管破損検出装置及び方法
KR102372548B1 (ko) 방사능의 측정에 의해 핵분열 생성물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 장치
JP4063895B2 (ja) 燃料集合体内の欠陥燃料棒を検出するシステム
JPS6025756B2 (ja) 破損燃料検出方法
JP4909278B2 (ja) 沸騰水形原子炉の燃料集合体における燃料棒の漏れ検査方法
RU2297680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оболочек твэ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558513B1 (ko) 가스순환에 의한 관류식 증기발생기의 누설검사장치
JP3691970B2 (ja) 破損燃料集合体の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140942B2 (ko)
JPS5827477B2 (ja) 製造中に原子炉用燃料棒が加圧されているかどうか決定する方法
Palaniappan et al. Mass spectrometer helium leak testing of large volume pipelines and pressure vessels of a nuclear power plant
KR100597726B1 (ko) 냉각재 유속보정인자를 적용한 결함연료 판별비 결정방법
Zverev et al. Monitoring of Technical Condition of the Core in the BN-1200 Advanced Commercial Sodium-Cooled Reactor
Soenen Experience Gained with the In-Pile Sodium Loop for Fast Neutron Irradiation After the First Run in the BR-2 Reactor
JPS5823910B2 (ja) 放射能濃度測定装置
JP2000235096A (ja) 燃料破損検出用試料水採水方法と装置および燃料破損検出方法
Osborne Device for locating defective fuel
ORLOV et al. THE BOR-60 LOOP-CHANNEL DESIGN FOR TESTING THE BREST REACTOR FUEL
Truant et al. Documentation and post-irradiation examination of Canadian nuclear fu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