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8156A -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8156A
KR20230038156A KR1020230027764A KR20230027764A KR20230038156A KR 20230038156 A KR20230038156 A KR 20230038156A KR 1020230027764 A KR1020230027764 A KR 1020230027764A KR 20230027764 A KR20230027764 A KR 20230027764A KR 20230038156 A KR20230038156 A KR 2023003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joint
panel
joint member
slurr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3681B1 (ko
Inventor
임인식
김대영
박순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구조이엔지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구조이엔지,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구조이엔지
Publication of KR2023003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3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3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리월이 구조적으로 일체화가 가능하여 복수개의 판넬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슬러리월의 연결 시 이음부의 일체화를 통한 강도저하를 최소화하고, 이음부의 가로 및 세로방향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하며, 연결구조가 토압 및 지진력에 저항이 가능하도록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여 슬러리월에 대한 공기단축 및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A 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slurry wall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structural integration}
본 발명은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리월 시공에 따른 구조적 연속성으로 인해 슬러리월 연결부의 일체성을 확보함으로써 누수방지 및 견고한 연결이 가능하며 구조적 연속성으로 인한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공간은 먼저 굴착을 원하는 경계지역에 소정의 간격으로 철재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파일을 박은 후 그 내측을 굴착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지하공간의 형성하는데 있어 흙막이 벽으로 슬러리월(Slurry wall)을 적용하는 공법이 사용된다. 슬러리월은 굴착면의 붕괴를 막기 위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지하굴착공간을 형성한 후 그 내측에 철근골조 및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대도심지지나 대심도 지하 공간 공사 시 주로 적용되고 있다.
슬러리월(Slurry wall) 공법은 공법의 특성상 지반에서 월(wall)을 구성하는 판넬들 사이의 철근망이 분리되어 있어서 하나의 연결 구조체로 시공이 불가능하여 각각의 분리된 구조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기존의 슬러리월은 판넬들의 분리 시공으로 인하여 슬러리월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구조 벽체 간의 시공 이음부가 서로 단절됨으로 인해 구조적 불연속구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지반에서 지지하는 내력 벽체로서 충분히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대로 시공 시 콘크리트 구조물의 판넬들 간 시공 이음부는 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누수의 우려가 있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 연결부에 지수판을 별도로 설치해야 함에 따라, 추가시공에 따른 비용과 공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각각의 콘크리트 구조물 간의 연속성이 저하됨에 따라, 지진 등과 같은 진동에 취약하여 연결구조가 쉽게 파단 및 파괴되어 최근 강화된 건축물 내진설계 기준을 충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7484호 (2020.07.24. 공고)
본 발명은 슬러리월이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며, 슬러리월의 연결 시 이음부의 강도저하를 최소화하고, 이음부의 가로 및 세로방향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하며, 연결구조가 토압과 지진력에 충분히 견디는 구조적인 내진성능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파단 및 파괴가 쉽게 일어나지 않는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는, 프라이머리 지반에 설치되는 프라이머리 판넬;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세컨더리 지반에 설치되는 세컨더리 판넬;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과 세컨더리 판넬을 연결하는 이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 연결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의 단부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 및 상기 세컨더리 판넬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세컨더리 이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는,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의 단부에서 일부 노출되는 다각형 형상으로서, 상기 세컨더리 판넬 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한 이음 연결체; 상기 이음 연결체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의 내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일단부에 보강을 위한 확장 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 이음판; 및 상기 이음 연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가 통과하는 막음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는, 상기 이음 연결체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 배치되며, 양단부에 보강을 위한 확장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와 세컨더리 이음부재는,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과 세컨더리 판넬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되, 복수의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와 세컨더리 이음부재에 설치되어 너비 간격을 유지하는 제1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와 세컨더리 이음부재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되, 복수의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와 세컨더리 이음부재에 설치되어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제2 스페이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 연결체는, 상기 이음 연결체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막음 커버판의 상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막음 커버판은,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에 암수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음 연결체는 외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일자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 연결체의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이음 연결부에 의해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과 세컨더리 판넬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확장 단면 형상(130)은, 일자 단면의 양측에서 단면을 확장하는 한 쌍의 확장 면부(131) 및 한 쌍의 확장 면부(131)를 연결하는 평면부(132)를 포함하거나, 상기 보강 이음판(115)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평판부(130a)와, 평판부(130a) 외측 모서리에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경사면(13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 연결체(111)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페이스관(200)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스관(2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이음 연결체(111)의 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페이스관(200)은 이음 연결체(111)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로 일자 돌기(116)에 의해 이음 연결체(111) 외주면 상에서 이격되어 원형 격실(210)을 형성하고, 원형 격실(210)은 일자 돌기(116)에 의해 복수로 아치형 격실(211)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음 연결체(111)는 내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이너 돌기(1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돌기(117) 사이공간에 슬롯레일(118)이 형성되고,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확장 단면 형상(130)은 'T'형 브라켓(133)으로 형성되며, 상기 'T'형 브라켓(133)은 양단부가 슬롯레일(118)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T'형 브라켓(133)과 슬롯레일(118)의 삽입 위치에 따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연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의 너비 방향으로 한 쌍이 대향하게 배치된 상태로 중간부재(142)에 의해 연결되는 H빔 기둥(140)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일자 이음판(121)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고, 일자 이음판(121) 단부에 확장 단면 형상(130)이 구비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의 이음 연결체(111)는 원통관(111a)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2)는 원통관(111a) 외주면에 키홀(119) 형태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키홀(119)은 'T'형 확장 단면 형상(130)이 삽입되는 메인홀(119a)이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홀(119a) 하부에 형성되어 일자 이음판(121)의 삽입이 허용되면서 'T'형 확장 단면 형상(130)이 구속되는 멀티홀(119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자 이음판(121) 외주면에 복수의 걸림턱(1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2)은 키홀(119)의 메인홀(119a)을 통하여 이음 연결체(111) 내부로 진입이 허용되고, 일자 이음판(121)이 하향 이동하여 멀티홀(119b)에 삽입시, 걸림턱(112)이 멀티홀(119b)에 걸림 결속되어 일자 이음판(121)의 연결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은, 슬러리월(1)의 프라이머리 판넬(2)을 시공하기 위한 선행굴착구간(L1)을 굴착하는 선행굴착구간 시공단계(S10); 상기 선행굴착구간(L1)에 프라이머리 철근망(10)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를 시공하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 시공단계(S20);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의 이음 연결체(111) 개구부(112)를 폐쇄하면서 프라이머리 판넬(2) 경계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지수판(30)을 설치하는 지수판 시공단계(S30); 상기 지수판(30)과 선행굴착구간(L1) 단부 사이에 충진재(40)를 시공하여 지수판(30)을 위치고정하는 지수판 고정단계(S40); 상기 지수판(30)을 경계로 구획을 형성하는 선행굴착구간(L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라이머리 판넬(2)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리 판넬 시공단계(S50);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2)에 이어지는 세컨더리 판넬(3)을 시공하기 위한 연속굴착구간(L2)을 굴착하면서 지수판(30)을 제거하고, 연속굴착구간(L2)에 세컨더리 철근망(20)을 설치하며, 세컨더리 철근망(20)에 연결되는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에 결속되도록 시공하는 연속굴착구간 및 세컨더리 이음부재 시공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수판(30)은 일면에 이음 연결체(111)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는 기밀돌기(31)가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판넬(2)과 대응하는 일면에 양각성형틀(32)이 형성되어 프라이머리 판넬(2) 측면에 음각홈(2a)을 형성하며, 상기 음각홈(2a)은 세컨더리 판넬(3)을 시공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크가 유입되어, 세컨더리 판넬(3) 측면에 양각턱이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수판(30)은 프라이머리 판넬(2)과 대응하는 일면에 요철부(33)가 형성되고, 요철부(33)는 프라이머리 판넬(2) 측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여, 이어서 시공되는 세컨더리 판넬(3) 측면과 음양각 구조로 맞물려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슬러리월이 구조적으로 일체화가 가능하여 복수개의 판넬이 견고하게 결합되며, 슬러리월의 연결 시 이음부의 일체화를 통한 강도저하를 최소화하고, 이음부의 가로 및 세로방향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누수를 완벽하게 방지하며, 연결구조가 토압 및 지진력에 저항이 가능하도록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하여 슬러리월에 대한 공기단축 및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평면도 및 철근망의 입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음 연결부의 평면도 및 입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음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스페이스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원형 격실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슬롯레일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H빔 기둥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일자 이음판이 복수로 분할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키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걸림턱과 멀티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확장 단면 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확장 단면 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c 및 도 11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확장 단면 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지수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평면도 및 철근망의 입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이음 연결부의 평면도 및 입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이음 연결부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스페이스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원형 격실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슬롯레일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H빔 기둥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일자 이음판이 복수로 분할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키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걸림턱과 멀티홀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확장 단면 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본 실시예에서 슬러리월(1)은 프라이머리 판넬(2, Primary plate), 및 세컨더리 판넬(3, Secondary plate)를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판넬(2)는 슬러리월(1)을 구성하는 주요 벽체이며, 세컨더리 판넬(3)는 프라이머리 판넬(2)들을 상호 연결하는 이음부에 해당하는 벽체이다. 프라이머리 판넬(2)와 세컨더리 판넬(3)가 설치되는 굴착 지반을 프라이머리 지반(4) 및 세컨더리 지반(5)으로 정하며, 프라이머리 지반(4)과 세컨더리 지반(5)에 설치되는 철근망은 프라이머리 철근망(10) 및 세컨더리 철근망(20)으로 정한다. 프라이머리 철근망(10) 및 세컨더리 철근망(20)은 각각 수직철근(11), 수평철근(12), 및 연장철근(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는, 슬러리월(1)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프라이머리 지반(4)에 설치되는 프라이머리 판넬(2), 프라이머리 판넬(2)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세컨더리 지반(5)에 설치되는 세컨더리 판넬(3), 및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을 연결하는 이음 연결부(100)를 포함한다.
이음 연결부(100)는, 프라이머리 판넬(2)의 단부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 및 세컨더리 판넬(3)의 단부에 연결되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를 포함한다.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암수 삽입 구조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배치된 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완전히 일체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는, 프라이머리 판넬(2)의 단부에서 일부 노출되는 다각형 형상이며 세컨더리 판넬(3) 측으로 개방된 개구부(112)를 구비한 이음 연결체(111), 및 이음 연결체(111)에서 프라이머리 판넬(2)의 내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일단부에 보강을 위한 확장 단면 형상(130)을 갖는 보강 이음판(115)을 포함한다.
이음 연결체(111)는 프라이머리 판넬(2)에 보강 이음판(115)이 매립됨으로써 프라이머리 판넬(2)의 측벽부에서 외부로 일부가 노출된 구조로 시공된다.
보강 이음판(115)은 이음 연결체(111)의 중앙부에서 일자판 형상으로 연장되어 이음 연결체(111)의 프라이머리 판넬(2)에 대한 매립구조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프라이머리 판넬(2)에서 이탈이 저지되기 위한 확장 단면 형상(130)이 단부에 마련된다.
프라이머리 판넬(2)에서 이음 연결체(111)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 이음판(115)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사이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배치된다.
이음 연결체(111)는 외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일자 돌기(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자 돌기(116)는 콘크리트에 견고하게 결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일자 돌기(116)에는 수밀을 위한 지수재가 포함될 수 있다.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일자 이음판(121), 및 이음 연결체(111)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며 세컨더리 이음부재(120)가 통과하는 막음 커버판(125)을 포함한다.
일자 이음판(121)은 막음 커버판(125)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막음 커버판(125)이 이음 연결체(111)에 슬라이드 결합됨으로써 이음 연결체(111)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일자 이음판(121)은 일자형상의 막대나 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이음 연결체(111)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 배치되며, 양단부에 보강을 위한 확장 단면 형상(130)을 갖는다. 일자 이음판(121)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콘크리트에서 이탈을 저지하기 위한 확장 단면 형상(130)이 마련된다.
상기의 확장 단면 형상(130)은, 도 3처럼 일자 단면의 양측에서 단면을 확장하는 한 쌍의 확장 면부(131) 및 한 쌍의 확장 면부(131)를 연결하는 평면부(132)를 포함하거나, 도 11a와 같이 상기 보강 이음판(115)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평판부(130a)와, 평판부(130a) 외측 모서리에 경사각으로 형성되는 경사면(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음 연결체(111)는 도 11a와 같이 호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도 11c와 같이 다이아 형상 또는 도 11d와 같이 일측부분이 개방된 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 연결체(111)의 단부에 마련되며 막음 커버판(125)의 상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5)를 포함한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이음 연결체(111)의 형상이 호형, 다이아 형상,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음 연결체(111)의 단부에 마련되며 막음 커버판(125)의 상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135)를 포함한다.
한편, 본원발명에서는 이음 연결체(111)의 형상이 호형, 다이아 형상,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목적과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막음 커버판(125)은, 슬라이드 결합부(135)에 암수 결합되는 슬라이더(136)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이음 연결체(111)와 막음 커버판(125)은 슬라이드 결합부(135)에 슬라이더(136)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결합된다.
이음 연결체(111)가 굴착된 프라이머리 지반(4)에 설치된 상태에서, 프라이머리 지반(4)에 대한 콘트리트 타설이 이루어진다.
한편 도 11b에서는 세컨더리 이음부재(120)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철근 이음부재(120a)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철근 이음부재(120a)는 단면이 원형 형상의 일자 철근부(121a)로 구성되고, 일자 철근부(121a)의 양측단부는 단면 형상이 상하로 긴 타원형의 압축단부(121b)로 형성되며, 양 끝단에는 확장 단면 형상(130)이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되되, 복수의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에 설치되어 너비 간격을 유지하는 제1 스페이서(141)를 더 포함된다.
이러한 제1 스페이서(141)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가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이 콘트리트 타설되어 형성되는 과정에서 너비 방향을 따라 쌍으로 배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제1 스페이서(141)는 각각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의 보강 이음판(115)과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일자 이음판(121)의 상부에서 암수 결합되는 암수 결합 구조를 갖게 된다. 암수 결합 구조는 일자판 형상이 삽입되는 "ㄷ"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되되, 복수의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에 설치되어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제2 스페이서(142)를 더 포함된다.
제2 스페이서(142)는 상하로 배치되는 보강 이음판(115)과 일자 이음판(121) 사이에 배치되며, 보강 이음판(115)들과 일자 이음판(121)들 사이의 상하 간격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보강 이음판(115)들과 일자 이음판(121)들 사이로는 타설되는 콘트리트가 채워진다.
상기의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GFRP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시공은, 프라이머리 지반(4)에 프라이머리 철근망(10)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가 설치된 후, 프라이머리 지반(4)에 대한 콘트리트 타설을 수행하여 프라이머리 판넬(2)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다른 프라이머리 판넬(2) 사이의 세컨더리 지반(5)을 굴착하여 세컨더리 철근망(20)을 설치하고,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에 연결 설치한다.
이 후에는, 세컨더리 지반(5)에 콘트리트를 타설하며,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이음 연결체(111)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이음 연결부(100)에 의해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을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이음 연결체(111)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페이스관(200)이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스관(2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이음 연결체(111)의 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를 종방향으로 시공함에 있어 조립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5에서, 상기 스페이스관(200)은 이음 연결체(111) 외주면에 삽입된 상태로 일자 돌기(116)에 의해 이음 연결체(111) 외주면 상에서 이격되어 원형 격실(210)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 격실(210)은 일자 돌기(116)에 의해 복수로 아치형 격실(211)로 분할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이음 연결체(111)와 스페이스관(200)이 서로 이격배치되어 이중관을 형성하면서 일자 돌기(116)에 의해 원형 격실(210)이 복수지점에서 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 상기 원형 격실(210)이 스페이스관(200) 내부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슬러리월을 시공한 후에 바닥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를 배출하는 유로로 이용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이음 연결체(111)는 내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이너 돌기(117)가 구비된다. 상기 이너 돌기(117)는 힘살 기능과 더불어 후술하는 슬롯레일(118)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너 돌기(117) 사이공간에 슬롯레일(118)이 형성되고,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확장 단면 형상(130)은 'T'형 브라켓(133)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T'형 브라켓(133)은 양단부가 슬롯레일(118)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T'형 브라켓(133)과 슬롯레일(118)의 삽입 위치에 따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연결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현장에서 다양한 지형에 적합하도록 구조 변경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도 7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는,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의 너비 방향으로 한 쌍이 대향하게 배치된 상태로 중간부재(142)에 의해 연결되는 H빔 기둥(140)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H빔 기둥(140) 단부에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를 형성하여 슬러리월 전체 내구성을 향상을 도모한다.
도 8에서,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120)의 일자 이음판(121)은 복수개로 분할 형성되고, 일자 이음판(121) 단부에 확장 단면 형상(130)이 구비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의 이음 연결체(111)는 원통관(111a)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112)는 도 9와 같이 원통관(111a) 외주면에 키홀(119) 형태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키홀(119)은 'T'형 확장 단면 형상(130)이 삽입되는 메인홀(119a)이 상부에 배치되고, 메인홀(119a) 하부에 형성되어 일자 이음판(121)의 삽입이 허용되면서 'T'형 확장 단면 형상(130)이 구속되는 멀티홀(119b)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T'형 확장 단면 형상(130)을 메인홀(119a)에 관통삽입한 후 중력방향으로 하향 이동되면, 일자 이음판(121)이 멀티홀(119b)에 삽입된 상태로 'T'형 확장 단면 형상(130)이 멀티홀(119b)에 걸린 상태로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와 세컨더리 이음부재(120)가 견고하게 결속된다.
도 10에서, 상기 일자 이음판(121) 외주면에 복수의 걸림턱(12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2)은 키홀(119)의 메인홀(119a)을 통하여 이음 연결체(111) 내부로 진입이 허용된다.
이에 상기 일자 이음판(121)을 메인홀(119a)을 통하여 소정의 깊이로 삽입한 후, 일자 이음판(121)이 하향 이동하여 멀티홀(119b)에 삽입시, 걸림턱(112)이 멀티홀(119b)에 걸림 결속되어 일자 이음판(121)의 연결 길이가 조절되고, 이로 인해 프라이머리 판넬(2)과 세컨더리 판넬(3) 간에 시공 간격이 조절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의 지수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은, 슬러리월(1)의 프라이머리 판넬(2)을 시공하기 위한 선행굴착구간(L1)을 굴착하는 선행굴착구간 시공단계(S10); 상기 선행굴착구간(L1)에 프라이머리 철근망(10)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를 시공하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 시공단계(S20);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의 이음 연결체(111) 개구부(112)를 폐쇄하면서 프라이머리 판넬(2) 경계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지수판(30)을 설치하는 지수판 시공단계(S30); 상기 지수판(30)과 선행굴착구간(L1) 단부 사이에 충진재(40)를 시공하여 지수판(30)을 위치고정하는 지수판 고정단계(S40); 상기 지수판(30)을 경계로 구획을 형성하는 선행굴착구간(L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라이머리 판넬(2)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리 판넬 시공단계(S50);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2)에 이어지는 세컨더리 판넬(3)을 시공하기 위한 연속굴착구간(L2)을 굴착하면서 지수판(30)을 제거하고, 연속굴착구간(L2)에 세컨더리 철근망(20)을 설치하며, 세컨더리 철근망(20)에 연결되는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에 결속되도록 시공하는 연속굴착구간 및 세컨더리 이음부재 시공단계(S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수판(30)은 일면에 이음 연결체(111)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는 기밀돌기(31)가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판넬(2)과 대응하는 일면에 양각성형틀(32)이 형성되어 프라이머리 판넬(2) 측면에 음각홈(2a)을 형성하며, 상기 음각홈(2a)은 세컨더리 판넬(3)을 시공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크가 유입되어, 세컨더리 판넬(3) 측면에 양각턱이 성형되도록 구비된다.
도 15에서, 상기 지수판(30)은 프라이머리 판넬(2)과 대응하는 일면에 요철부(33)가 형성되고, 요철부(33)는 프라이머리 판넬(2) 측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여, 이어서 시공되는 세컨더리 판넬(3) 측면과 음양각 구조로 맞물려 성형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시공후 판넬간에 일체성이 견고하게 유지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1: 슬러리월 2: 프라이머리 판넬
3: 세컨더리 판넬 4: 프라이머리 지반
5: 세컨더리 지반 10: 프라이머리 철근망
11: 수직근 12: 수평근
15: 연장 철근 20: 세컨더리 철근망
100: 이음 연결부 110: 프라이머리 이음부재
111: 이음 연결체 112: 개구부
115: 보강 이음판 116: 일자 돌기
120: 세컨더리 이음부재 121: 일자 이음판
125: 막음 커버판 130: 확장 단면 형상
131: 확장 면부 132: 평면부
135: 슬라이드 결합부 136: 슬라이더
141: 제1 스페이서 142: 제2 스페이서

Claims (3)

  1. 프라이머리 지반에 설치되는 프라이머리 판넬;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세컨더리 지반에 설치되는 세컨더리 판넬;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과 세컨더리 판넬을 연결하는 이음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음 연결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의 단부에 연결되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 및 상기 세컨더리 판넬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세컨더리 이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는,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의 단부에서 일부 노출되는 다각형 형상으로서, 상기 세컨더리 판넬 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한 이음 연결체; 상기 이음 연결체에서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의 내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일단부에 보강을 위한 확장 단면 형상을 갖는 보강 이음판; 및 상기 이음 연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며,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가 통과하는 막음 커버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음 연결체는, 상기 이음 연결체의 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막음 커버판의 상하 슬라이드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막음 커버판은, 상기 슬라이드 결합부에 암수 결합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 연결체는 외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일자 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음 연결체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페이스관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스관은 상하 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이음 연결체의 상,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세컨더리 이음부재는, 상기 이음 연결체의 내부로 일부가 삽입 배치되며, 양단부에 보강을 위한 확장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은,
    슬러리월(1)의 프라이머리 판넬(2)을 시공하기 위한 선행굴착구간(L1)을 굴착하는 선행굴착구간 시공단계(S10);
    상기 선행굴착구간(L1)에 프라이머리 철근망(10)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를 시공하는 프라이머리 이음부재 시공단계(S20);
    상기 프라이머리 이음부재의 이음 연결체 개구부를 폐쇄하면서 프라이머리 판넬 경계 차단벽을 형성하도록 지수판을 설치하는 지수판 시공단계(S30);
    상기 지수판(30)과 선행굴착구간(L1) 단부 사이에 충진재(40)를 시공하여 지수판(30)을 위치고정하는 지수판 고정단계(S40);
    상기 지수판(30)을 경계로 구획을 형성하는 선행굴착구간(L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라이머리 판넬(2)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리 판넬 시공단계(S50); 및
    상기 프라이머리 판넬(2)에 이어지는 세컨더리 판넬(3)을 시공하기 위한 연속굴착구간(L2)을 굴착하면서 지수판(30)을 제거하고, 연속굴착구간(L2)에 세컨더리 철근망(20)을 설치하며, 세컨더리 철근망(20)에 연결되는 세컨더리 이음부재(120)를 프라이머리 이음부재(110)에 결속되도록 시공하는 연속굴착구간 및 세컨더리 이음부재 시공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30)은
    일면에 이음 연결체(111)의 개구부(112)를 폐쇄하는 기밀돌기(31)가 형성되고, 프라이머리 판넬(2)과 대응하는 일면에 양각성형틀(32)이 형성되어 프라이머리 판넬(2) 측면에 음각홈(2a)을 형성하며,
    음각홈(2a)은 세컨더리 판넬(3)을 시공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세컨터리 판넬(3) 측면에 양각턱이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판(30)은
    프라이머리 판넬(2)과 대응하는 일면에 요철부(33)가 형성되고,
    요철부(33)는 프라이머리 판넬(2) 측면을 요철면으로 형성하여 후속 시공되는 센컨터리 판넬(3) 측면과 음양각 구조로 맞물려 성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KR1020230027764A 2021-02-05 2023-03-02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KR102553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6772 2021-02-05
KR1020210016772 2021-02-05
KR1020210047967A KR102510481B1 (ko) 2021-02-05 2021-04-13 슬러리월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67A Division KR102510481B1 (ko) 2021-02-05 2021-04-13 슬러리월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8156A true KR20230038156A (ko) 2023-03-17
KR102553681B1 KR102553681B1 (ko) 2023-07-10

Family

ID=828039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67A KR102510481B1 (ko) 2021-02-05 2021-04-13 슬러리월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KR1020230027764A KR102553681B1 (ko) 2021-02-05 2023-03-02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967A KR102510481B1 (ko) 2021-02-05 2021-04-13 슬러리월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104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841A (ja) * 1993-09-28 1995-04-04 Kajima Corp 地下連続壁の継手
JPH07197451A (ja) * 1993-12-28 1995-08-01 Kumagai Gumi Co Ltd 地中連続壁の止水継手
JPH11310918A (ja) * 1998-04-30 1999-11-09 Shimizu Corp 地中連続壁の継手構造
US6052963A (en) * 1996-04-19 2000-04-25 Compagnie Du Sol Continuously reinforced diaphragm wall, method of construction and formwork therefor
KR102137484B1 (ko) 2020-02-18 2020-07-24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슬러리 월의 내진 구조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0841A (ja) * 1993-09-28 1995-04-04 Kajima Corp 地下連続壁の継手
JPH07197451A (ja) * 1993-12-28 1995-08-01 Kumagai Gumi Co Ltd 地中連続壁の止水継手
US6052963A (en) * 1996-04-19 2000-04-25 Compagnie Du Sol Continuously reinforced diaphragm wall, method of construction and formwork therefor
JPH11310918A (ja) * 1998-04-30 1999-11-09 Shimizu Corp 地中連続壁の継手構造
KR102137484B1 (ko) 2020-02-18 2020-07-24 (주)네오크로스구조엔지니어링 슬러리 월의 내진 구조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223A (ko) 2022-08-12
KR102510481B1 (ko) 2023-03-16
KR102553681B1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774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KR1008629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널말뚝 시공방법
KR101705719B1 (ko) 내진성이 향상된 지중벽체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KR20160006924A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220012525A (ko)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JP6207949B2 (ja) 擁壁構造
KR100694633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단위 판넬간 연결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20210090101A (ko) 타설 막음장치 및 연장 철근을 이용한 연속구조형 슬러리월 시공구조와 방법, 및 그 시공 장치
KR101190739B1 (ko)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KR20120119570A (ko) 가변형 간이 흙막이 구조
KR20190057208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KR100758504B1 (ko) 지하 연속벽 시공방법 및 톱니형 합벽 지하 연속벽 구조
KR102553681B1 (ko) 구조적 일체화가 가능한 슬러리월 연결구조를 이용한 슬러리월 시공방법
KR102490872B1 (ko) 강봉 억지말뚝의 인장력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및 시공방법
KR102083822B1 (ko) 일체형 연결체를 이용한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482690B1 (ko) 거푸집 일체화 pc 패널을 이용한 하부기초 시공방법
KR102252011B1 (ko) 이종강종으로 이루어진 합성 엄지말뚝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KR20190037416A (ko) 옹벽용 부벽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립식 옹벽
JPH06193049A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連続地下壁
KR101032476B1 (ko) 강봉을 이용한 블럭식 암버럭 옹벽
KR102633929B1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2638704B1 (ko) 지하공간 구조물 벽체를 위한 강재 지중연속벽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