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539A - 레퍼런스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 Google Patents

레퍼런스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539A
KR20230037539A KR1020237000453A KR20237000453A KR20230037539A KR 20230037539 A KR20230037539 A KR 20230037539A KR 1020237000453 A KR1020237000453 A KR 1020237000453A KR 20237000453 A KR20237000453 A KR 20237000453A KR 20230037539 A KR20230037539 A KR 20230037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delay
hardware group
reference devices
communication node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0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민 두안
알렉산드로스 마놀라코스
크리시나 키란 무카빌리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037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5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2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1/02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beacon 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1Calibration, monitoring or cor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1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using a radio-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40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7/4004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parts of a radar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of other parameters, e.g. DC offset, delay or propag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7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locating or positioning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6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determining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using measurement of signal travel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6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는 포지셔닝 절차 (예를 들어,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TDOA 등) 에 수반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능력들에 기초하여 포지셔닝 절차를 위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다른 양태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차이는 포지셔닝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들)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은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추정된다.

Description

레퍼런스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출원은 "BASE STATION HARDWARE GROUP DELAY CALIBRATION" 의 명칭으로 2020년 7월 13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3/051,206호, 및 "REFERENCE DEVICE HARDWARE GROUP DELAY CALIBRATION" 의 명칭으로 2021년 6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정규출원 제17/348,553호의 이익을 주장하고, 이들 양자 모두는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전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명백히 통합된다.
개시의 분야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하드웨어 그룹 지연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1 세대 아날로그 무선 전화 서비스 (1G), 2 세대 (2G) 디지털 무선 전화 서비스 (중간 2.5G 네트워크들을 포함함), 3 세대 (3G) 고속 데이터, 인터넷 가능 무선 서비스 및 4 세대 (4G) 서비스 (예를 들어, LTE 또는 WiMax) 를 포함하여, 다양한 세대들을 통해 발전해왔다. 셀룰러 및 개인 통신 서비스 (PCS) 시스템들을 포함하여, 현재 많은 상이한 타입들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이 사용되고 있다. 알려진 셀룰러 시스템들의 예들은 셀룰러 아날로그 어드밴스드 모바일 전화 시스템 (AMPS), 및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 (TDMA), TDMA 의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access) 변형 등에 기초한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뉴 라디오 (New Radio; NR) 로서 지칭되는, 5 세대 (5G) 무선 표준은 다른 개선들 중에서도, 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들, 더 많은 수들의 접속들, 및 우수한 커버리지를 가능하게 한다.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연합에 따른 5G 표준은, 사무실 층의 수십명의 작업자들에 대해 초 당 1 기가비트로, 수만 명의 사용자들의 각각에 대해 초 당 수십 메가비트의 데이터 레이트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대형 무선 전개들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수십만 개의 동시 접속들이 지원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5G 모바일 통신의 스펙트럼 효율은 현재 4G 표준에 비해 현저하게 강화되어야 한다. 더욱이, 현재 표준들에 비해 시그널링 효율들이 강화되어야 하고 레이턴스는 실질적으로 감소되어야 한다.
다음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관한 간략화된 개요를 제시한다. 따라서, 다음의 개요는 모든 고려된 양태들에 관한 광범위한 개관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하고, 다음의 개요가 모든 고려된 양태들에 관한 핵심적인 또는 결정적인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특정 양태와 연관된 범위를 기술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도 않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개요는 하기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선행하기 위해 간략화된 형태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메커니즘들에 관한 하나 이상의 양태들에 관련된 소정의 개념들을 제시하기 위한 유일한 목적을 갖는다.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방법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획득하는 단계는,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ound trip time;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differential)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double differential)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ime difference of arrival;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단계는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획득하는 단계는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은,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추정하는 단계는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 (differential) 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고;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획득하는 것은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고; 그리고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추정하는 것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방법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획득하는 것은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추정하는 것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일 양태에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통신 노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통신 노드로 하여금,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게 하고;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게 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또한, 통신 노드로 하여금,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게 하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획득하는 것은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통신 노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통신 노드로 하여금,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게 하고; 그리고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게 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추정하는 것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의 설명을 돕기 위해 제시되고 양태들의 예시를 위해 제공될 뿐 그 한정을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도 1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a 및 도 2b 는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들을 예시한다.
도 3 은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UE 를 예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무선 원격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을 위한 프레임 구조의 예를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사용하여 UE 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기법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과 UE 사이에 교환된 왕복 시간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과 UE 사이에 교환된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 은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 과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사이에 교환된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1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 (gNB)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 과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사이에 교환된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도 12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1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의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도 1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의 예시적인 방법을 예시한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예시 목적들로 제공된 다양한 예들로 지향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제공된다. 대안적인 양태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 없이 고안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개시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본 개시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거나 또는 생략될 것이다.
단어들 "예시적인" 및/또는 "예" 는 본 명세서에서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및/또는 "예" 로서 설명된 임의의 양태는 반드시 다른 양태들에 비해 유리하거나 또는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본 개시의 양태들" 은 본 개시의 모든 양태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당업자는 하기에 설명된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면, 하기 설명 전반에 걸쳐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부분적으로, 원하는 설계에 부분적으로, 대응하는 기술에 부분적으로 등에 의존하여,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양태들은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들 (ASIC들))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액션들의 시퀀스(들)는, 실행 시, 디바이스의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거나 또는 이를 명령할 대응하는 세트의 컴퓨터 명령들을 저장한 임의의 형태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이들 모두는 청구된 주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의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태들의 대응하는 형태는 예를 들어, 설명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사용자 장비" (UE) 및 "기지국" 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의 특정 무선 액세스 기술 (RAT) 에 특정적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UE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폰, 라우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추적 디바이스, 웨어러블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 안경, 증강 현실 (AR)/가상 현실 (VR) 헤드셋, 등), 차량 (예를 들어, 자동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 사물 인터넷 (IoT) 디비이스 등) 일 수도 있다. UE 는 이동식일 수도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들에) 정지식일 수도 있으며,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AN) 와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UE" 는 "액세스 단말기" 또는 "AT",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가입자 디바이스", "가입자 단말기", "가입자국", "사용자 단말기" 또는 UT, "모바일 단말기", "이동국", 또는 이들의 변형들로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지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UE들은 RAN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으며, 코어 네트워크를 통해 UE들은 인터넷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과 그리고 다른 UE들과 접속될 수 있다. 물론, 유선 액세스 네트워크들,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네트워크들 (예를 들어, IEEE 802.11 등에 기초함) 등을 통한 것과 같은, 코어 네트워크 및/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다른 메커니즘들이 또한 UE들에 대해 가능하다.
기지국은 전개되는 네트워크에 의존하여 UE들과 통신하는 여러 RAT들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으며, 대안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AP), 네트워크 노드, NodeB, 진화된 NodeB (eNB), 뉴 라디오 (NR) 노드 B (gNB 또는 gNodeB 로서 또한 지칭됨) 등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시스템들에서, 기지국은 순수 에지 노드 시그널링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는 한편, 다른 시스템들에서, 추가적인 제어 및/또는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UE들이 신호들을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 (UL) 채널 (예를 들어, 역방향 트래픽 채널, 역방향 제어 채널, 액세스 채널 등) 로 칭해진다. 기지국이 신호들을 UE들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 (DL) 또는 순방향 링크 채널 (예를 들어, 페이징 채널, 제어 채널, 브로드캐스트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 등) 로 칭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트래픽 채널 (TCH) 은 UL/역방향 또는 DL/순방향 트래픽 채널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용어 "기지국" 은 단일의 물리적 송신 포인트 또는 공동-위치될 (co-located) 수도 있거나 또는 공동-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 다중의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어 "기지국" 이 단일의 물리적 송신 포인트를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포인트는 기지국의 셀에 대응하는 기지국의 안테나일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 이 다중의 공동-위치된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은 기지국의 (예를 들어, 다중 입력 다중 출력 (MIMO) 시스템에서 또는 기지국이 빔포밍을 채용하는 경우와 같이) 안테나들의 어레이일 수도 있다. 용어 "기지국" 이 다중의 공동-위치되지 않은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을 지칭하는 경우,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은 분산 안테나 시스템 (DAS) (전송 매체를 통해 공통 소스에 접속된 공간적으로 분리된 안테나들의 네트워크) 또는 원격 무선 헤드 (remote radio head; RRH) (서빙 기지국에 접속된 원격 기지국) 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공동-위치되지 않은 물리적 송신 포인트들은 UE 로부터 측정 리포트를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및 이웃 기지국의 레퍼런스 RF 신호들을 UE 가 측정하고 있는 그 이웃 기지국일 수도 있다.
"RF 신호" 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주어진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송신기는 단일의 "RF 신호" 또는 다중의 "RF 신호들" 을 수신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신기는 다중경로 채널들을 통한 RF 신호들의 전파 특성들로 인해 각각의 송신된 RF 신호에 대응하는 다중의 "RF 신호들" 을 수신할 수도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상이한 경로들 상에서 동일한 송신된 RF 신호는 "다중경로" RF 신호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1 은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을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로서 또한 지칭될 수도 있음) 은 다양한 기지국들 (102) 및 다양한 UE들 (1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매크로 셀 기지국들 (고 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및/또는 소형 셀 기지국들 (저 전력 셀룰러 기지국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매크로 셀 기지국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LTE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eNB들,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이 5G 네트워크에 대응하는 gNB들, 또는 양자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고, 소형 셀 기지국들은 펨토셀들, 피코셀들, 마이크로셀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집합적으로 RAN 을 형성하고 백홀 링크들 (122) 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170) (예를 들어, 진화된 패킷 코어 (EPC) 또는 차세대 코어 (NGC)) 와,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170) 를 통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버들 (172) 에 인터페이스할 수도 있다. 다른 기능들에 더하여, 기지국들 (102) 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 무선 채널 암호화 및 복호화, 무결성 보호, 헤더 압축, 이동성 제어 기능들 (예를 들어, 핸드오버, 이중 접속성), 셀간 간섭 조정, 접속 설정 및 해제, 로드 밸런싱 (load balancing), NAS (non-access stratum) 메시지들을 위한 분산, NAS 노드 선택, 동기화, RAN 공유,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 (MBMS), 가입자 및 장비 추적, RAN 정보 관리 (RIM), 페이징, 포지셔닝, 및 경고 메시지들의 전달 중 하나 이상과 관련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유선 또는 무선일 수도 있는 백홀 링크들 (134) 을 통해 서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EPC/NGC 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은 UE들 (104)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의 각각은 개별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대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셀들은 각각의 커버리지 영역 (110) 에서 기지국 (102) 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셀" 은 (예를 들어, 캐리어 주파수, 컴포넌트 캐리어, 캐리어, 대역 등으로서 지칭되는 일부 주파수 리소스를 통해)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 논리적 통신 엔티티이고,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캐리어 주파수를 통해 동작하는 셀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자 (예를 들어, 물리 셀 식별자 (PCI), 가상 셀 식별자 (VCI)) 와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상이한 셀들은 상이한 타입들의 UE들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상이한 프로토콜 타입들 (예를 들어, 머신 타입 통신 (MTC), 협대역 IoT (NB-IoT), 강화된 모바일 브로드밴드 (eMBB) 등) 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용어 "셀" 은 또한, 캐리어 주파수가 검출되고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의 일부 부분 내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한, 기지국의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예를 들어, 섹터) 을 지칭할 수도 있다.
이웃하는 매크로 셀 기지국 (102)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은 (예를 들어, 핸드오버 영역에서) 부분적으로 오버랩할 수도 있지만,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들 (110) 중 일부는 더 큰 지리적 커버리지 영역 (110) 에 의해 실질적으로 오버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하나 이상의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의 커버리지 영역 (110) 과 실질적으로 오버랩하는 커버리지 영역 (110') 을 가질 수도 있다. 소형 셀 및 매크로 셀 기지국들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는 이종 네트워크로 알려질 수도 있다. 이종 네트워크는 또한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으로 알려진 제한된 그룹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홈 eNB들 (HeNB들)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지국들 (102) 과 UE들 (104) 사이의 통신 링크들 (120) 은 UE (104) 로부터 기지국 (102) 으로의 UL (역방향 링크로서 또한 지칭됨) 송신들 및/또는 기지국 (102) 으로부터 UE (104) 로의 다운링크 (DL) (순방향 링크로서 또한 지칭됨) 송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공간 멀티플렉싱, 빔포밍, 및/또는 송신 다이버시티를 포함하는, MIMO 안테나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통신 링크들 (120) 은 하나 이상의 캐리어 주파수들을 통한 것일 수도 있다. 캐리어들의 할당은 DL 및 UL 에 대해 비대칭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L 에 대한 것보다 DL 에 대해 더 많거나 또는 더 적은 캐리어들이 할당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 (예를 들어, 5 GHz) 에서 통신 링크들 (154) 을 통해 WLAN 스테이션들 (STA들) (152) 과 통신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액세스 포인트 (AP) (15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통신할 때, WLAN STA들 (152) 및/또는 WLAN AP (150) 는 채널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통신하기 전에 클리어 채널 평가 (clear channel assessment; CCA) 를 수행할 수도 있다.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허가 및/또는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할 때,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LTE 또는 5G 기술을 채용하고 WLAN AP (150) 에 의해 사용된 바와 동일한 5 GHz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비허가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LTE/5G 를 채용하는 소형 셀 기지국 (102') 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커버리지를 부스팅하고/하거나 액세스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비허가 스펙트럼에서의 LTE 는 LTE-비허가 (LTE-U), 허가 보조 액세스 (licensed assisted access; LAA), 또는 MulteFire 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UE (182) 와 통신하는 mmW 주파수들 및/또는 근 (near) mmW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도 있는 밀리미터파 (mmW) 기지국 (18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EHF (extremely high frequency) 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의 RF 의 부분이다. EHF 는 30 GHz 내지 300 GHz 의 범위 및 1 밀리미터 내지 1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다. 이 대역에서의 무선파들은 밀리미터파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근 mmW 는 100 밀리미터의 파장을 갖는 3 GHz 의 주파수까지 아래로 확장될 수도 있다. SHF (super high frequency) 대역은 3 GHz 와 30 GHz 사이에서 확장하고, 또한, 센티미터파로서 지칭된다. mmW/근 mmW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들은 높은 경로 손실 및 상대적으로 짧은 범위를 갖는다. mmW 기지국 (180) 및 UE (182) 는 극도로 높은 경로 손실 및 짧은 범위를 보상하기 위해 mmW 통신 링크 (184) 를 통한 빔포밍 (송신 및/또는 수신) 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대안적인 구성들에서,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 (102) 은 또한 mmW 또는 근 mmW 및 빔포밍을 사용하여 송신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예시들은 단지 예들일 뿐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함이 인식될 것이다.
송신 빔포밍은 RF 신호를 특정 방향으로 포커싱하기 위한 기법이다. 전통적으로,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는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할 때, 신호를 모든 방향들로 (전방향으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송신 빔포밍으로, 네트워크 노드는 주어진 타겟 디바이스 (예를 들어, UE) 가 (송신 네트워크 노드에 대해) 어디에 위치되는지를 결정하고 그 특정 방향으로 더 강한 다운링크 RF 신호를 프로젝팅함으로써, 수신 디바이스(들)에 대해 (데이터 레이트의 관점에서) 더 빠르고 더 강한 RF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할 때 RF 신호의 방향성을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노드는 RF 신호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의 각각에서 RF 신호의 위상 및 상대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는 실제로 안테나들을 이동시키지 않고, 상이한 방향들로 포인팅하도록 "스티어링" 될 수 있는 RF 파들의 빔을 생성하는 안테나들의 어레이 ("페이징된 어레이" 또는 "안테나 어레이" 로서 지칭됨) 를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송신기로부터의 RF 전류는 올바른 위상 관계로 개별 안테나들에 피드되어 개별 안테나들로부터의 무선파들이 함께 가산되어, 원치않는 방향들에서의 방사를 억제하도록 소거하면서 원하는 방향에서의 방사를 증가시킨다.
송신 빔들은 의사-병치될 (quasi-collocated) 수도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노드의 송신 안테나들 그것들 자체가 물리적으로 병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한 파라미터들을 갖는 것으로 수신기 (예를 들어, UE) 에 나타남을 의미한다. NR 에는, 4 개의 타입들의 의사-병치 (quasi-collocation; QCL) 관계들이 있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타입의 QCL 관계는 제 2 빔 상의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에 관한 소정의 파라미터들이 소스 빔 상의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에 관한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A 인 경우, 수신기는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도플러 확산, 평균 지연, 및 지연 확산을 추정할 수 있다.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B 인 경우, 수신기는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및 도플러 확산을 추정할 수 있다.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C 인 경우, 수신기는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도플러 시프트 및 평균 지연을 추정할 수 있다.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가 QCL 타입 D 인 경우, 수신기는 소스 레퍼런스 RF 신호를 사용하여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된 제 2 레퍼런스 RF 신호의 공간 수신 파라미터를 추정할 수 있다.
수신 빔포밍에서, 수신기는 수신 빔을 사용하여 주어진 채널 상에서 검출된 RF 신호들을 증폭한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특정 방향에서의 안테나들의 어레이의 이득 설정을 증가시키고/시키거나 위상 설정을 조정하여, 그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을 증폭 (예를 들어, 그의 이득 레벨을 증가)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기가 소정의 방향으로 빔포밍한다고 할 때, 이는 그 방향에서의 빔 이득이 다른 방향들을 따른 빔 이득에 비해 높거나, 또는 그 방향에서의 빔 이득이 수신기에 이용가능한 모든 다른 수신 빔들의 그 방향에서의 빔 이득에 비해 가장 높은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그 방향으로부터 수신된 RF 신호들의 수신 신호 강도 (예를 들어,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레퍼런스 신호 수신 품질 (RSRQ), 신호-대-간섭-플러스-노이즈 비 (signal-to-interference-plus-noise ratio; SINR) 등) 가 더 강해진다.
수신 빔들은 공간적으로 관계가 있을 수도 있다. 공간적 관계는 제 2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송신 빔에 대한 파라미터들이 제 1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수신 빔에 관한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UE 는 기지국으로부터 레퍼런스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동기화 신호 블록 (SSB)) 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수신 빔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다음, UE 는 수신 빔의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그 기지국으로 업링크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 (SRS)) 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다운링크" 빔은 이를 형성하는 엔티티에 의존하여,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UE 로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다운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으면, 다운링크 빔은 송신 빔이다. 그러나, UE 가 다운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으면, 이는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빔이다. 유사하게 "업링크" 빔은 이를 형성하는 엔티티에 의존하여, 송신 빔 또는 수신 빔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업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으면, 이는 업링크 수신 빔이고, UE 가 업링크 빔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업링크 송신 빔이다.
5G 에서, 무선 노드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 (102/180), UE들 (104/182)) 이 동작하는 주파수 스펙트럼은 다중의 주파수 범위들, FR1 (450 내지 6000 MHz), FR2 (24250 내지 52600 MHz), FR3 (52600 MHz 초과), 및 FR4 (FR1 과 FR2 사이) 로 분할된다. 5G 와 같은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 캐리어 주파수들 중 하나는 "1 차 캐리어" 또는 "앵커 캐리어" 또는 "1 차 서빙 셀" 또는 "PCell" 로서 지칭되고, 나머지 캐리어 주파수들은 "2 차 캐리어들" 또는 "2 차 서빙 셀들" 또는 "SCell들" 로서 지칭된다. 캐리어 집성에서, 앵커 캐리어는 UE (104/182) 및 UE (104/182) 가 초기 무선 리소스 제어 (RRC) 접속 확립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RRC 접속 재확립 절차를 개시하는 셀에 의해 활용된 1 차 주파수 (예를 들어, FR1) 상에서 동작하는 캐리어이다. 1 차 캐리어는 모든 공통 및 UE-특정 제어 채널들을 반송한다. 2 차 캐리어는 UE (104) 와 앵커 캐리어 사이에 RRC 접속이 확립되면 구성될 수도 있고 추가적인 무선 리소스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는 제 2 주파수 (예를 들어, FR2) 상에서 동작하는 캐리어이다. 2 차 캐리어는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 및 신호들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1 차 업링크 및 다운링크 캐리어들 양자 모두가 통상적으로 UE-특정이기 때문에, UE-특정인 것들은 2 차 캐리어에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셀에서의 상이한 UE들 (104/182) 이 상이한 다운링크 1 차 캐리어들을 가질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업링크 1 차 캐리어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네트워크는 언제든 임의의 UE (104/182) 의 1 차 캐리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이한 캐리어들에 대한 로드를 밸런싱하기 위해 행해진다. "서빙 셀" (PCell 이든 SCell 이든) 은 일부 기지국이 통신하고 있는 캐리어 주파수/컴포넌트 캐리어에 대응하므로, 용어 "셀", "서빙 셀", "컴포넌트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전히 도 1 을 참조하면,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에 의해 활용된 주파수들 중 하나는 앵커 캐리어 (또는 "PCell") 일 수도 있고 매크로 셀 기지국들 (102) 및/또는 mmW 기지국 (180) 에 의해 활용된 다른 주파수들은 2 차 캐리어들 ("SCell들") 일 수도 있다. 다중의 캐리어들의 동시 송신 및/또는 수신은 UE (104/182) 가 그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 레이트들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멀티-캐리어 시스템에서 2 개의 20 MHz 집성된 캐리어들은 단일의 20 MHz 캐리어에 의해 달성된 것과 비교하여, 이론적으로 데이터 레이트의 2 배 증가 (즉, 40 MHz) 로 이어질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투-디바이스 (D2D) 피어-투-피어 (P2P) 링크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UE들 (190) 과 같은 하나 이상의 UE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의 예에서, UE (190) 는 (예를 들어, UE (190) 가 셀룰러 접속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는) 기지국들 (102) 중 하나에 접속된 UE들 (104) 중 하나와의 D2D P2P 링크 (192) 및 (UE (190) 가 WLAN-기반 인터넷 접속성을 간접적으로 획득할 수도 있는) WLAN AP (150) 에 접속된 WLAN STA (152) 와의 D2D P2P 링크 (194) 를 갖는다. 일 예에서, D2D P2P 링크들 (192 및 194) 은 LTE 다이렉트 (LTE-D), WiFi 다이렉트 (WiFi-D), Bluetooth® 등과 같은 임의의 잘 알려진 D2D RAT 로 지원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 은, 통신 링크 (120) 상으로 매크로 셀 기지국 (102) 과 및/또는 mmW 통신 링크 (184) 상으로 mmW 기지국 (180) 과 통신할 수도 있는 UE (16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매크로 셀 기지국 (102) 은 UE (164) 에 대해 PCell 및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mmW 기지국 (180) 은 UE (16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164) 는 UE (164) 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는 포지셔닝 컴포넌트 (16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에서 단 하나의 UE 만이 완전히 스태거링된 (fully staggered) SRS 컴포넌트 (166) 를 갖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도 1 의 UE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2a 는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 (20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NGC (210) ("5GC" 로서 또한 지칭됨) 는 코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하는 제어 평면 기능들 (214) (예를 들어, UE 등록, 인증, 네트워크 액세스, 게이트웨이 선택 등)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예를 들어, UE 게이트웨이 기능, 데이터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 IP 라우팅 등) 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NG-U) (213)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NG-C) (215) 는 gNB (222) 를 NGC (210) 에 그리고 구체적으로 제어 평면 기능들 (214) 및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에 접속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eNB (224) 는 또한 NGC (210) 에, NG-C (215) 를 통해 제어 평면 기능들 (214) 에 그리고 NG-U (213) 를 통해 사용자 평면 기능들 (212) 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eNB (224) 는 백홀 접속 (223) 을 통해 gNB (222)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 (220) 은 하나 이상의 gNB들 (222) 만을 가질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eNB들 (224) 및 gNB들 (222) 양자 모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gNB (222) 또는 eNB (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 (204)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것)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옵션의 양태는 UE들 (204) 에 대한 로케이션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NGC (210) 와 통신할 수도 있는 로케이션 서버 (2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케이션 서버 (230) 는 복수의 별개의 서버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들, 단일의 서버 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다중의 물리적 서버들에 걸쳐 확산된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등) 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단일의 서버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로케이션 서버 (230) 는 코어 네트워크, NGC (210) 를 통해, 및/또는 인터넷 (예시되지 않음) 을 통해 로케이션 서버 (23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 (20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로케이션 서버 (230) 는 코어 네트워크의 컴포넌트에 통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코어 네트워크 외부에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양태들에 따르면, 도 2b 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네트워크 구조 (250) 를 예시한다. 예를 들어, NGC (260) ("5GC" 로서 또한 지칭됨) 는 코어 네트워크 (즉, NGC (260)) 를 형성하기 위해 협력적으로 동작하는,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AMF)/사용자 평면 기능 (UPF) (264) 에 의해 제공되는 제어 평면 기능들, 및 세션 관리 기능 (SMF) (262) 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자 평면 기능들로서 기능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263) 및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265) 는 eNB (224) 를 NGC (260) 에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SMF (262) 및 AMF/UPF (264) 에 각각 접속한다. 추가적인 구성에서, gNB (222) 는 또한, AMF/UPF (264) 에 대한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 (265) 및 SMF (262) 에 대한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 (263) 를 통해 NGC (260) 에 접속될 수도 있다. 추가로, eNB (224) 는, NGC (260) 에 대한 gNB 직접 접속성으로 또는 그 접속성 없이, 백홀 접속 (223) 을 통해 gNB (222) 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일부 구성들에서, 뉴 RAN (220) 은 하나 이상의 gNB들 (222) 만을 가질 수도 있는 한편, 다른 구성들은 eNB들 (224) 및 gNB들 (222) 양자 모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gNB (222) 또는 eNB (224) 중 어느 하나는 UE들 (204)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UE들 중 임의의 것)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뉴 RAN (220) 의 기지국들은 N2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UPF (264) 의 AMF-측 및 N3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UPF (264) 의 UPF-측과 통신한다.
AMF 의 기능들은 등록 관리, 접속 관리, 도달가능성 관리, 이동성 관리, 합법적 인터셉션, UE (204) 와 SMF (262) 사이의 세션 관리 (SM)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SM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투명 프록시 서비스들, 액세스 인증 및 액세스 인가, UE (204) 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능 (SMSF) (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 (SMS)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및 보안 앵커 기능성 (SEAF) 을 포함한다. AMF 는 또한 인증 서버 기능 (AUSF) (도시되지 않음) 및 UE (204) 와 상호작용하고, UE (204) 인증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확립된 중간 키를 수신한다.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가입자 아이덴티티 모듈 (USIM) 에 기초한 인증의 경우에, AMF 는 AUSF 으로부터 보안 자료를 취출한다. AMF 의 기능들은 또한 보안 컨텍스트 관리 (SCM) 를 포함한다. SCM 은 액세스-네트워크 특정 키들을 도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를 SEAF 로부터 수신한다. AMF 의 기능성은 또한 규제 서비스들을 위한 로케이션 서비스들 관리, UE (204) 와 로케이션 관리 기능 (LMF) (270) 사이, 뿐만 아니라 뉴 RAN (220) 과 LMF (270) 사이의 로케이션 서비스들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 진화된 패킷 시스템 (EPS) 과 상호작동하기 위한 EPS 베어러 식별자 할당, 및 UE (204) 이동성 이벤트 통지를 포함한다. 또한, AMF 는 또한 비-3GPP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대한 기능성들을 지원한다.
UPF 의 기능들은 인트라-/인터-RAT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로서의 작용 (적용가능할 때), (도시되지 않는)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상호접속의 외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DU) 세션 포인트로서의 작용,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의 제공, 패킷 검사, 사용자 평면 정책 규칙 시행 (예를 들어, 게이팅, 재지향, 트래픽 스티어링), 합법적 인터셉션 (사용자 평면 수집), 트래픽 사용 리포팅, 사용자 평면에 대한 서비스 품질 (QoS) 핸들링 (예를 들어, UL/DL 레이트 시행, DL 에서 반사 QoS 마킹), UL 트래픽 검증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 (SDF) 대 QoS 플로우 맵핑), UL 및 DL 에서 전송 레벨 패킷 마킹, DL 패킷 버퍼링 및 DL 데이터 통지 트리거링, 및 소스 RAN 노드에 하나 이상의 "종료 마커들" 의 전송 및 포워딩을 포함한다.
SMF (262) 의 기능들은 세션 관리, UE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 사용자 평면 기능들의 선택 및 제어, 적절한 목적지로 트래픽을 라우팅하기 위한 UPF 에서의 트래픽 스티어링의 구성, QoS 및 정책 시행의 일부의 제어,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를 포함한다. SMF (262) 가 AMF/UPF (264) 의 AMF-측과 통신하는 인터페이스는 N11 인터페이스로서 지칭된다.
다른 옵션의 양태는 UE들 (204) 에 대한 로케이션 보조를 제공하기 위해 NGC (260) 와 통신할 수도 있는 LMF (27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LMF (270) 는 복수의 별개의 서버들 (예를 들어,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들, 단일의 서버 상의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다중의 물리적 서버들에 걸쳐 확산된 상이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등) 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단일의 서버에 각각 대응할 수도 있다. LMF (270) 는 코어 네트워크, NGC (260) 를 통해, 및/또는 인터넷 (예시되지 않음) 을 통해 LMF (270) 에 접속할 수 있는 UE들 (204) 에 대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파일 송신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UE (302)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음), 기지국 (304)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음), 및 네트워크 엔티티 (306) (로케이션 서버 (230) 및 LMF (270) 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능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하거나 또는 이를 구현할 수도 있음) 에 통합될 수도 있는 여러 샘플 컴포넌트들 (대응하는 블록들에 의해 표현됨) 을 예시한다. 이들 컴포넌트들은 상이한 구현들에서 (예를 들어, ASIC 에서, SoC (system-on-chip) 에서, 등등) 상이한 타입들의 장치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시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통신 시스템에서의 다른 장치들에 통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에서의 다른 장치들은 유사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 것들과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어진 장치는 그 컴포넌트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그 장치가 다중의 캐리어들 상에서 동작하고 및/또는 상이한 기술들을 통해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중의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UE (302) 및 기지국 (304) 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지정된 RAT 를 통해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들 (308 및 314) (및 장치 (304) 가 중계기인 경우 통신 디바이스 (320))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들 (308 및 314) 은 도 1 의 통신 링크 (120) 에 대응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링크 (360) 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308) 는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 을 송신 및 인코딩하기 위한 (송신기 (310)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럿들 등) 을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한 (수신기 (312)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314) 는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럿들 등) 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316)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 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318)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한다. 기지국 (304) 이 중계국이면, 각각의 통신 디바이스 (320) 는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파일럿들 등) 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322)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 및 신호들 (예를 들어, 메시지들, 표시들, 정보 등) 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324)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및 수신기는 일부 구현들에서 통합된 디바이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트랜시버" 로서 지칭되는 단일의 통신 디바이스의 송신기 회로 및 수신기 회로로서 구현됨) 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일부 구현들에서 별개의 송신기 디바이스 및 별개의 수신기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구현들에서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지국 (304) 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다중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들 중 하나) 는 또한, 다양한 측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NLM (network listen modul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엔티티 (306) (및 중계국이 아니면 기지국 (304)) 는 다른 노드들과 통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 (326 및 옵션으로 320) 에 의해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26) 는 (도 1 의 백홀 링크 (122) 에 대응할 수도 있는) 유선-기반 또는 무선 백홀 (370)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디바이스 (326) 는 유선-기반 또는 무선 신호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송신기 (328) 및 수신기 (330) 는 통합된 유닛일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은 예를 들어, 메시지들,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타입들의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 의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326) 는 송신기 (328) 및 수신기 (330)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송신기 (328) 및 수신기 (330) 는 통신 디바이스 (326) 내의 별개의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 (304) 이 중계국이 아니면, 통신 디바이스 (320) 는 유선-기반 또는 무선 백홀 (370)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306) 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326) 에서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 (320) 는 송신기 (322) 및 수신기 (324) 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장치들 (302, 304, 및 306) 은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파일 송신 동작들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는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UE (302) 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UE 동작들에 관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을 포함한다. 기지국 (304) 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 동작들에 관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엔티티 (306) 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네트워크 기능 동작들에 관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다른 프로세싱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싱 시스템 (336) 을 포함한다. 장치들 (302, 304, 및 306) 은 정보 (예를 들어, 예비된 리소스들, 임계치들, 파라미터들 등을 표시하는 정보) 를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 컴포넌트들 (338, 340, 및 342) (예를 들어, 메모리 디바이스를 각각 포함함) 을 각각 포함한다. 또한, UE (302) 는 사용자에게 표시들 (예를 들어, 가청 및/또는 시각적 표시들) 을 제공하기 위한 및/또는 (예를 들어, 키패드, 터치 스크린,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감지 디바이스의 사용자 액추에이션 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350) 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치들 (304 및 306) 은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을 더 상세히 참조하면, 다운링크에서, 네트워크 엔티티 (306) 로부터의 IP 패킷들이 프로세싱 시스템 (334) 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는 무선 리소스 제어 (RR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 (PDCP) 계층, 무선 링크 제어 (RLC) 계층, 및 매체 액세스 제어 (MAC) 계층에 대한 기능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마스터 정보 블록 (MIB), 시스템 정보 블록들 (SIB들)) 의 브로드캐스팅, RRC 접속 제어 (예를 들어, RRC 접속 페이징, RRC 접속 확립, RRC 접속 수정, 및 RRC 접속 해제), RAT 간 이동성, 및 UE 측정 리포팅을 위한 측정 구성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보안성 (암호화, 복호화,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및 핸드오버 지원 기능들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패킷 데이터 유닛들 (PDU들) 의 전송, ARQ 를 통한 에러 정정,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들 (SDU들) 의 연접 (concatenation), 세그먼트화, 및 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 (reordering) 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스케줄링 정보 리포팅,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송신기 (316) 및 수신기 (318)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1 기능성을 구현할 수도 있다. 물리 (PHY) 계층을 포함하는 계층-1 은 전송 채널들 상의 에러 검출, 전송 채널들의 순방향 에러 정정 (FEC) 코딩/디코딩, 인터리빙, 레이트 매칭, 물리 채널들 상으로의 맵핑, 물리 채널들의 변조/복조, 및 MIMO 안테나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316) 는 다양한 변조 방식들 (예를 들어, 바이너리 위상 시프트 키잉 (BPSK),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 (QPSK), M-위상 시프트 키잉 (M-PSK), M-직교 진폭 변조 (M-QAM)) 에 기초한 신호 콘스텔레이션들로의 맵핑을 핸들링한다. 그 다음, 코딩된 및 변조된 심볼들은 병렬 스트림들로 스플리팅될 수도 있다. 그 다음, 각각의 스트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OFDM) 서브캐리어에 맵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파일럿) 와 멀티플렉싱된 후, 역 고속 푸리에 변환 (IFFT) 을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반송하는 물리 채널을 생성할 수도 있다. OFDM 스트림은 다중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코딩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하기 위해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 추정치는 UE (302) 에 의해 송신된 채널 조건 피드백 및/또는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도출될 수도 있다. 그 다음,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상이한 안테나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송신기 (316) 는 송신을 위해 개별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E (302) 에서, 수신기 (312) 는 그 개별의 안테나(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 (312) 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332) 에 제공한다. 송신기 (310) 및 수신기 (312) 는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과 연관된 계층-1 기능성을 구현한다. 수신기 (312) 는 UE (302) 에 대해 정해진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해 정보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중의 공간 스트림들이 UE (302) 에 대해 정해지면, 이들은 단일의 OFDM 심볼 스트림으로 수신기 (312) 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그 다음, 수신기 (312) 는 고속 푸리에 변환 (FFT) 을 사용하여 OFDM 심볼 스트림을 시간 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캐리어에 대해 별도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레퍼런스 신호는, 기지국 (304) 에 의해 송신되는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콘스텔레이션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 및 복조된다. 이들 소프트 판정들은 채널 추정기에 의해 계산된 채널 추정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그 다음, 소프트 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기지국 (304) 에 의해 원래 송신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된다. 그 다음,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계층-3 및 계층-2 기능성을 구현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332) 에 제공된다.
UL 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은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재어셈블리, 복호화, 헤더 압축해제, 및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은 또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기지국 (304) 에 의한 DL 송신과 관련하여 설명된 기능성과 유사하게, 프로세싱 시스템 (332) 은 시스템 정보 (예를 들어, MIB, SIB들) 취득, RRC 접속들, 및 측정 리포팅과 연관된 RRC 계층 기능성; 헤더 압축/압축해제, 및 보안성 (암호화, 복호화, 무결성 보호, 무결성 검증) 과 연관된 PDCP 계층 기능성; 상위 계층 PDU들의 전송, ARQ 를 통한 에러 정정, RLC SDU들의 연접, 세그먼트화, 및 재어셈블리, RLC 데이터 PDU들의 재세그먼트화, 및 RLC 데이터 PDU들의 재순서화와 연관된 RLC 계층 기능성; 및 논리 채널들과 전송 채널들 사이의 맵핑, 전송 블록들 (TB들) 상으로의 MAC SDU들의 멀티플렉싱, TB들로부터의 MAC SDU들의 디멀티플렉싱, 스케줄링 정보 리포팅, HARQ 를 통한 에러 정정, 우선순위 핸들링, 및 논리 채널 우선순위화와 연관된 MAC 계층 기능성을 제공한다.
기지국 (304) 에 의해 송신된 피드백 또는 레퍼런스 신호로부터 채널 추정기에 의해 도출된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송신기 (310) 에 의해 사용될 수도 있다. 송신기 (310) 에 의해 생성된 공간 스트림들은 상이한 안테나(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송신기 (310) 는 송신을 위해 개별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캐리어를 변조할 수도 있다.
UL 송신은, UE (302) 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지국 (304) 에서 프로세싱된다. 수신기 (318) 는 그 개별의 안테나(들)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기 (318) 는 RF 캐리어 상으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프로세싱 시스템 (334) 에 제공한다.
UL 에서,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디멀티플렉싱, 패킷 재어셈블리, 복호화,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UE (302) 로부터의 IP 패킷들을 복원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으로부터의 IP 패킷들은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 (334) 은 또한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일 양태에서, 장치들 (302, 304, 및 306) 은 각각 포지셔닝 컴포넌트들 (344, 348 및 349)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포지셔닝 컴포넌트들 (344, 348 및 349) 의 기능성은 그것이 구현되고 있는 디바이스에 기초하여 상이할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포지셔닝 컴포넌트들 (344, 348 및 349) 은, 각각, 실행될 경우, 장치들 (302, 304, 및 306)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세싱 시스템들 (332, 334, 및 336) 의 일부이거나 또는 그에 커플링되는 하드웨어 회로들일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포지셔닝 컴포넌트들 (344, 348 및 349) 은, 각각, 프로세싱 시스템들 (332, 334, 및 336) 에 의해 실행될 경우, 장치들 (302, 304, 및 306) 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수행하게 하는 메모리 컴포넌트들 (338, 340, 및 342) 에 저장된 메모리 모듈들일 수도 있다.
편의상, 장치들 (302, 304 및/또는 306) 은 도 3 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예들에 따라 구성될 수도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예시된 블록들은 상이한 설계들에서 상이한 기능성을 가질 수도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장치들 (302, 304, 및 306) 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각각 데이터 버스들 (352, 354, 및 356) 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3 의 컴포넌트들은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도 3 의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ASIC들과 같은 하나 이상의 회로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각의 회로는 이러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 회로에 의해 사용된 실행가능 코드 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컴포넌트를 사용 및/또는 통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들 (308, 332, 338, 344, 및 350) 에 의해 표현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UE (302) 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컴포넌트(들)에 의해 (예를 들어,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및/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블록들 (314, 320, 334, 340, 및 348) 에 의해 표현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기지국 (304) 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컴포넌트(들)에 의해 (예를 들어,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및/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블록들 (326, 336, 342, 및 349) 에 의해 표현된 기능성의 일부 또는 전부는 네트워크 엔티티 (306) 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컴포넌트(들)에 의해 (예를 들어, 적절한 코드의 실행에 의해 및/또는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의 적절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간략화를 위해, 다양한 동작들, 액트들, 및/또는 기능들은 "UE 에 의해", "기지국에 의해", "포지셔닝 엔티티에 의해" 등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인식될 바와 같이, 그러한 동작들, 액트들, 및/또는 기능들은 실제로 프로세싱 시스템들 (332, 334, 336), 통신 디바이스들 (308, 314, 326), 포지셔닝 컴포넌트들 (344, 348, 및 349) 등과 같은, UE, 기지국, 포지셔닝 엔티티 등의 특정 컴포넌트들 또는 컴포넌트들의 조합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네트워크 노드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 및 UE들) 사이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들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 (400) 의 예를 예시한다. 하지만, 당업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임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레임 구조는, 임의의 수의 팩터들에 의존하여 상이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시간은 수평으로 (예를 들어, X 축 상에) 표현되고, 여기서 시간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증가하는 한편, 주파수는 수직으로 (예를 들어, Y 축 상에) 표현되고, 여기서 주파수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증가 (또는 감소) 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프레임 (410) (10 ms) 은 10 개의 동일하게 사이징된 서브프레임들 (420) (1 ms) 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 (420) 은 2 개의 연속적인 시간 슬롯들 (430) (0.5 ms) 을 포함한다.
리소스 그리드는 2 개의 시간 슬롯들 (430) 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시간 슬롯 (430) 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록들 (RB들) (440) ("물리 리소스 블록들" 또는 "PRB들" 로서 또한 지칭됨) 을 포함한다. LTE, 및 일부 경우들에서 NR 에 있어서, 리소스 블록 (440) 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12 개의 연속적인 서브캐리어들 (450), 그리고 각각의 OFDM 심볼 (460) 에서의 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에 대해, 시간 도메인에서 7 개의 연속적인 OFDM 심볼들 (460) 을 포함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하나의 OFDM 심볼 길이 및 주파수 도메인에서 하나의 서브캐리어의 리소스 (리소스 그리드의 블록으로서 표현됨) 는 리소스 엘리먼트 (RE) 로서 지칭된다. 이와 같이, 도 4 의 예에서, 리소스 블록 (440) 에는 84 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있다.
LTE, 및 일부 경우들에서 NR 은, 다운링크 상에서 OFDM 을 활용하고 업링크 상에서 단일-캐리어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 (SC-FDM) 을 활용한다. 그러나, LTE 와 달리, NR 은 업링크 상에서도 물론 OFDM 을 사용하는 옵션을 갖는다. OFDM 및 SC-FDM 은 시스템 대역폭을, 톤들, 빈들 등으로서 또한 통칭되는 다중의 (K) 직교 서브캐리어들 (450) 로 파티셔닝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450) 는 데이터로 변조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 으로 주파수 도메인에서 그리고 SC-FDM 로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인접한 서브캐리어들 (450) 사이의 간격은 고정될 수도 있고, 서브캐리어들 (450) 의 총 수 (K) 는 시스템 대역폭에 의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들 (450) 의 간격은 15 kHz 일 수도 있으며, 최소 리소스 할당 (리소스 블록) 은 12 개의 서브캐리어들 (450) (또는 180 kHz) 일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공칭 FFT 사이즈는 1.25, 2.5, 5, 10, 또는 20 메가헤르츠 (MHz) 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28, 256, 512, 1024, 또는 2048 과 동일할 수도 있다. 시스템 대역폭은 또한 서브대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브대역은 1.08 MHz (즉, 6 개의 리소스 블록들) 를 커버할 수도 있으며, 1.25, 2.5, 5, 10, 또는 20 MHz 의 시스템 대역폭에 대해 각각 1, 2, 4, 8, 또는 16 개의 서브대역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LTE 는 단일의 뉴머롤로지 (서브캐리어 간격, 심볼 길이 등) 를 지원한다. 대조적으로, NR 은 다중의 뉴머롤로지들을 지원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15 kHz, 30 kHz, 60 kHz, 120 kHz 및 204 kHz 이상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이용가능할 수도 있다. 하기에 제공된 표 1 은 상이한 NR 뉴머롤로지들에 대한 일부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열거한다.
Figure pct00001
도 4 를 계속 참조하면, R0 및 R1 로서 표시된 리소스 엘리먼트들 중 일부는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 (DL-RS) 를 포함한다. DL-RS 는 셀-특정 RS (CRS) (또한 때때로 공통 RS 로 칭함) 및 UE-특정 RS (UE-RS) 를 포함할 수도 있다. UE-RS 는, 오직 대응하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 (PDSCH) 이 맵핑되는 리소스 블록들 (440) 상에서만 송신된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의해 반송되는 비트들의 수는 변조 방식에 의존한다. 따라서, UE 가 수신하는 리소스 블록들 (440) 이 더 많고 변조 방식이 더 높을수록, UE 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가 더 높다.
일 양태에서, DL-RS 는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들 (PRS) 일 수도 있다. 기지국은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포지션 추정을 위해 측정 및 사용될 수도 있는, 도 4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프레임 구성들에 따라 PRS 신호들을 지원하는, 무선 프레임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들 (410)), 또는 다른 물리 계층 시그널링 시퀀스들을 송신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른 타입들의 무선 노드들 (예를 들어, 분산 안테나 시스템 (DAS), 원격 무선 헤드 (RRH), UE, AP 등) 이 또한 도 4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 PRS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RS 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집합은 "PRS 리소스" 로서 지칭된다.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집합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중의 PRB들에, 그리고 시간 도메인에서 슬롯 (430) 내의 N 개 (예를 들어, 1 개 이상) 의 연속적인 심볼(들) (460) 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주어진 OFDM 심볼 (460) 에서, PRS 리소스는 연속적인 PRB들을 점유한다. PRS 리소스는 적어도 다음의 파라미터들: PRS 리소스 식별자 (ID), 시퀀스 ID, 콤 (comb) 사이즈-N,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리소스 엘리먼트 오프셋, 시작 슬롯 및 시작 심볼, PRS 리소스 당 심볼들의 수 (즉, PRS 리소스의 지속기간), 및 QCL 정보 (예를 들어, 다른 DL 레퍼런스 신호들과의 QCL) 에 의해 설명된다. 현재, 하나의 안테나 포트가 지원된다. 콤 사이즈는 PRS 를 반송하는 각각의 심볼에서의 서브캐리어들의 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콤-4 의 콤 사이즈는 주어진 심볼의 매 4 번째 서브캐리어가 PRS 를 반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PRS 리소스 세트" 는 PRS 신호들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 PRS 리소스들의 세트이며, 여기서 각각의 PRS 리소스는 PRS 리소스 ID 를 갖는다. 또한, PRS 리소스 세트에서의 PRS 리소스들은 동일한 송신-수신 포인트 (TRP) 와 연관된다. PRS 리소스 세트에서의 PRS 리소스 ID 는 단일의 TRP (여기서 TRP 는 하나 이상의 빔들을 송신할 수도 있음) 로부터 송신된 단일의 빔과 연관된다. 즉, PRS 리소스 세트의 각각의 PRS 리소스는 상이한 빔 상에서 송신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PRS 리소스" 는 "빔" 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이것은 PRS 가 송신되는 TRP들 및 빔들이 UE 에 알려져 있는지 여부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음에 유의한다. "PRS 오케이전 (occasion)" 은 PRS 가 송신될 것으로 예상되는 주기적으로 반복된 시간 윈도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연속적인 슬롯들의 그룹) 의 하나의 인스턴스이다. PRS 오케이전은 또한 "PRS 포지셔닝 오케이전", "포지셔닝 오케이전", 또는 간단히 "오케이전" 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용어들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및 "PRS" 는 때때로 LTE 시스템들에서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 레퍼런스 신호들을 지칭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용어들 "포지셔닝 레퍼런스 신호" 및 "PRS" 는, LTE 또는 5G 에서의 PRS 신호들, 송신기 레퍼런스 신호들 (TRS), 셀-특정 레퍼런스 신호들 (CRS), 채널 상태 정보 레퍼런스 신호들 (CSI-RS), 1 차 동기화 신호들 (PSS), 2 차 동기화 신호들 (SSS), SSB 등과 같은,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포지셔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타입의 레퍼런스 신호를 지칭한다.
도 5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싱되는 예시적인 DL PRS들 (500) 을 예시한다. 도 5 에서, PRS 송신 빔들은 포지셔닝 세션 (TPRS) 동안 개별의 슬롯들/심볼들 상의 일련의 빔-특정 포지셔닝 오케이전들을 통해 셀 (또는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의해 송신된다. 이러한 PRS 송신 빔들은 UE 에서 PRS 수신 빔들로서 수신되고, 그 후 프로세싱된다 (예를 들어, 다양한 포지셔닝 측정들이 UE 에 의해 수행되며, 등등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600) 을 예시한다. 도 6 에서, eNB1, eNB2 및 eNB3 은 서로 동기화되어, TOA (예를 들어, TDOA) 측정들 (T1, T2 및 T3 으로 표시됨) 이 UE 에 대한 포지셔닝 추정치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중의 TDOA 측정들은 삼각 측량 (예를 들어, 4 개 이상의 셀들 또는 eNB들) 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TDOA-기반 포지셔닝 방식들에서, 네트워크 동기화 에러는 포지셔닝 정확도의 관점에서 주요 병목 현상이다.
셀 (또는 위성) 동기화를 요구하는 다른 포지셔닝 기법은 관측된 도달 시간 차이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OTDOA) 에 기초한다. OTDOA-기반 포지셔닝 방식의 일 예는 50-100 ns (예를 들어, 15 - 30 미터) 의 정확도로 제한되는 GPS 이다.
NR 에서는, 네트워크에 걸친 정확한 타이밍 동기화에 대한 요건이 없다. 대신, gNB들에 걸쳐 (예를 들어, OFDM 심볼들의 사이클릭 프리픽스 (CP) 지속기간 내에) 대략적인 (coarse) 시간 동기화를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RTT-기반 방법들은 일반적으로 대략적인 타이밍 동기화만을 요구하고, 이와 같이, NR 에서 선호되는 포지셔닝 방법이다.
네트워크-중심 RTT 추정에서, 서빙 기지국 (예를 들어, 기지국 (102)) 은 2 개 이상의 이웃 기지국들 (예를 들어, 적어도 3 개의 기지국들이 필요함) 및 서빙 셀들 상에서 RTT 측정 신호들 (예를 들어, PRS) 을 스캔/수신하도록 UE (예를 들어, UE (104)) 에 명령한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은 네트워크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 (230), LMF (270)) 에 의해 할당된 낮은 재사용 리소스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기지국에 의해 사용되는 리소스들) 상에서 RTT 측정 신호들을 송신한다. UE 는 (예를 들어, UE 에 의해 그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DL 신호로부터 도출된 바와 같은) UE 의 현재 다운링크 타이밍에 대한 각각의 RTT 측정 신호의 도달 시간 (수신 시간 (receive time), 수신 시간 (reception time), 수신의 시간 (time of reception), 또는 도달 시간 (ToA) 으로서 또한 지칭됨) 을 기록하고, (예를 들어, 그 서빙 기지국에 의해 명령될 때) 공통 또는 개별 RTT 응답 메시지 (예를 들어, SRS, UL-PRS) 를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에 송신하고, RTT 측정 신호의 ToA 와 각각의 RTT 응답 메시지의 페이로드 내의 RTT 응답 메시지의 송신 시간 사이의 차이 T Rx→Tx (예를 들어, 도 9 의 T Rx→Tx (91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RTT 응답 메시지는 기지국이 RTT 응답의 ToA 를 추론할 수 있는 레퍼런스 신호를 포함할 것이다. RTT 측정 신호의 송신 시간과 RTT 응답의 ToA 사이의 차이 T Tx→Rx (예를 들어, 도 9 의 T Tx→Rx (922)) 를 UE-리포팅된 차이 T Rx→Tx (예를 들어, 도 9 의 T Rx→Tx (912)) 와 비교함으로써, 기지국은 기지국과 UE 사이의 전파 시간을 추론할 수 있고, 그로부터 이 전파 시간 동안 광속을 가정함으로써 UE 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UE-중심 RTT 추정은, UE 가 UE 의 이웃의 다중의 기지국들에 의해 수신되는 업링크 RTT 측정 신호(들)를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에 의해 명령될 때) 송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네트워크-기반 방법과 유사하다. 각각의 관련된 기지국은, 기지국에서의 RTT 측정 신호의 ToA 와 RTT 응답 메시지 페이로드 내의 기지국으로부터의 RTT 응답 메시지의 송신 시간 사이의 시간 차이를 포함할 수도 있는 다운링크 RTT 응답 메시지로 응답한다.
네트워크-중심 및 UE-중심 절차들 양자 모두의 경우, RTT 계산을 수행하는 측 (네트워크 또는 UE) 은 통상적으로 (항상은 아니지만) 제 1 메시지(들) 또는 신호(들) (예를 들어, RTT 측정 신호(들)) 를 송신하는 한편, 다른 측은 제 1 메시지(들) 또는 신호(들)의 ToA 와 RTT 응답 메시지(들) 또는 신호(들)의 송신 시간 사이의 차이를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RTT 응답 메시지(들) 또는 신호(들)로 응답한다.
도 7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700) 을 예시한다. 도 7 의 예에서, UE (704)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음) 는 그의 포지션의 추정치를 계산하거나, 또는 그의 포지션의 추정치를 계산하기 위해 다른 엔티티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코어 네트워크 컴포넌트, 다른 UE, 로케이션 서버, 제 3 자 애플리케이션 등) 를 보조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UE (704) 는 RF 신호들 및 RF 신호들의 변조 및 정보 패킷들의 교환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복수의 기지국들 (702-1, 702-2, 및 702-3) (집합적으로, 기지국들 (702), 그리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음) 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교환된 RF 신호들로부터 상이한 타입들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 및 무선 통신 시스템 (700) 의 레이아웃 (즉, 기지국들의 로케이션들, 지오메트리 등) 을 활용하는 것에 의해, UE (704) 는 미리정의된 레퍼런스 좌표 시스템에서, 그의 포지션을 결정하거나, 또는 그의 포지션의 결정을 보조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704) 는 2 차원 좌표 시스템을 사용하여 그의 포지션을 특정할 수도 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또한, 가외의 차원이 요망되면 3 차원 좌표 시스템을 사용하여 포지션들을 결정하는 것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 7 은 하나의 UE (704) 및 3 개의 기지국들 (702) 을 예시하지만, 인식될 바와 같이, 더 많은 UE들 (704) 및 더 많은 기지국들 (702) 이 존재할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치들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들 (702) 은 UE (704) 가 그러한 레퍼런스 RF 신호들의 특성들을 측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그들의 커버리지 영역에서 UE들 (704) 에 레퍼런스 RF 신호들 (예를 들어, PRS, NRS, CRS, TRS, CSI-RS, PSS, SSS 등) 을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E (704) 는 적어도 3 개의 상이한 기지국들 (702) 에 의해 송신된 특정 레퍼런스 RF 신호들 (예를 들어, PRS, NRS, CRS, CSI-RS 등) 의 ToA 를 측정할 수도 있고, 이들 ToA들 (및 추가적인 정보) 을 다시 서빙 기지국 (702) 또는 다른 포지셔닝 엔티티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 (230), LMF (270)) 에 리포팅하기 위해 RTT 포지셔닝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704) 가 기지국 (702) 으로부터 레퍼런스 RF 신호들을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UE (704) 는 기지국 (702) 에 의해 지원되는 다중의 셀들 중 하나로부터 레퍼런스 RF 신호들을 측정할 수도 있다. UE (704) 가 기지국 (702) 에 의해 지원되는 셀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RF 신호들을 측정하는 경우, RTT 절차를 수행하기 위해 UE (704) 에 의해 측정된 적어도 2 개의 다른 레퍼런스 RF 신호들은 제 1 기지국 (702) 과 상이한 기지국들 (702) 에 의해 지원되는 셀로부터 온 것일 것이고 UE (704) 에서 양호한 또는 불량한 신호 강도를 가질 수도 있다.
UE (704) 의 포지션 (x, y) 을 결정하기 위해, UE (704) 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엔티티는 기지국 (702) 의 로케이션들을 알 필요가 있으며, 이는 레퍼런스 좌표 시스템에서 (xk, yk) 로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도 7 의 예에서 k=1, 2, 3 이다. 기지국들 (702) 중 하나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 또는 UE (704) 가 UE (704) 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경우, 관련된 기지국들 (702) 의 로케이션들은 네트워크 지오메트리의 지식을 갖는 로케이션 서버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 (230), LMF (270)) 에 의해 서빙 기지국 (702) 또는 UE (704) 에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로케이션 서버는 알려진 네트워크 지오메트리를 사용하여 UE (704) 의 포지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UE (704) 또는 개별의 기지국 (702) 중 어느 하나는 UE (704) 와 개별의 기지국 (702) 사이의 거리 (dK, 여기서 k=1, 2, 3) 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UE (704) 와 임의의 기지국 (702) 사이에 교환된 신호들의 RTT (710) 를 결정하는 것이 수행되고 거리 (dk) 로 변환될 수 있다. 하기에 추가로 논의되는 바와 같이, RTT 기법들은 시그널링 메시지 (예를 들어, 레퍼런스 RF 신호들) 를 전송하는 것과 응답을 수신하는 것 사이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들 방법들은 임의의 프로세싱 지연들을 제거하기 위해 교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일부 환경들에서, UE (704) 및 기지국들 (702) 에 대한 프로세싱 지연들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러한 가정은 실제로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
일단 각각의 거리 (dk) 가 결정되면, UE (704), 기지국 (702), 또는 로케이션 서버 (예를 들어, 로케이션 서버 (230), LMF (270)) 는 예를 들어 삼변 측량과 같은 다양한 알려진 지오메트릭 기법들을 사용하여 UE (704) 의 포지션 (x, y) 을 얻을 수 있다. 도 7 로부터, UE (704) 의 포지션은 이상적으로 3 개의 반원들의 공통 교차점에 놓여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반원은 반경 (dk) 및 중심 (xk, yk) 에 의해 정의되며, 여기서 k=1, 2, 3 이다.
일부 사례들에서, 추가적인 정보는 (예를 들어, 수평 평면에 또는 3 차원들에 있을 수도 있는) 직선 방향 또는 가능하게는 (예를 들어, 기지국 (702) 의 로케이션로부터 UE (704) 에 대한) 방향들의 범위를 정의하는 도달 각도 (AoA) 또는 출발 각도 (AoD) 의 형태로 획득될 수도 있다. 포인트 (x, y) 에 있는 또는 그 근처의 2 개의 방향들의 교차점은 UE (704) 에 대한 로케이션의 다른 추정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 (704) 에 대한) 포지션 추정치는 로케이션 추정치, 로케이션, 포지션, 포지션 픽스, 픽스 등과 같은 다른 명칭들로 지칭될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치는 측지적일 수도 있고 좌표들 (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가능하게는 고도) 을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도시적일 수도 있고 거리 주소, 우편 주소, 또는 로케이션의 일부 다른 구두 디스크립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치는 또한, 일부 다른 알려진 로케이션에 대해 정의되거나 또는 절대 용어들로 (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가능하게는 고도를 사용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포지션 추정치는 (예를 들어, 로케이션이 일부 특정된 또는 디폴트 레벨의 신뢰도로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 또는 볼륨을 포함함으로써) 예상된 에러 또는 불확실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800) 을 예시한다. 도 7 이 멀티-셀 RTT 포지셔닝 방식의 예를 도시하지만, 도 8 은 단일-셀 RTT 포지셔닝 방식의 예를 도시한다. 도 8 에서, RTT1 은 DL PRS 가 셀로부터 UE 로 송신되는 빔과 연관된 AoD1 와 함께 측정된다. 도 9 에 도시된 RTT1 및 AoD1 의 오버랩하는 영역은 연관된 UE 에 대한 대략적인 로케이션 추정치를 제공한다.
도 9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 (902)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 과 UE (904)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사이에 교환된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900) 이다. 도 9 의 예에서, 기지국 (902) 은 시간 T1 에 RTT 측정 신호 (910) (예를 들어, PRS, NRS, CRS, CSI-RS 등) 를 UE (904) 로 전송한다. RTT 측정 신호 (910) 는 기지국 (902) 으로부터 UE (904) 로 이동할 때 약간의 전파 지연 TProp 을 갖는다. 시간 T2 (UE (904) 에서의 RTT 측정 신호 (910) 의 ToA) 에, UE (904) 는 RTT 측정 신호 (910) 를 수신/측정한다. 일부 UE 프로세싱 시간 후, UE (904) 는 시간 T3 에 RTT 응답 신호 (920) 를 송신한다. 전파 지연 TProp 후, 기지국 (902) 은 시간 T4 (기지국 (902) 에서의 RTT 응답 신호 (920) 의 ToA) 에 UE (904) 로부터 RTT 응답 신호 (920) 를 수신/측정한다.
주어진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어, 기지국 (902)) 에 의해 송신된 레퍼런스 신호 (예를 들어, RTT 측정 신호 (910)) 의 ToA (예를 들어, T2) 를 식별하기 위해, 수신기 (예를 들어, UE (904)) 는 먼저 송신기가 레퍼런스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채널 상의 모든 리소스 엘리먼트들 (RE들) 을 공동으로 프로세싱하고,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 역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다. 수신된 레퍼런스 신호들의 시간 도메인으로의 변환은 채널 에너지 응답 (channel energy response; CER) 의 추정으로서 지칭된다. CER 은 시간에 따른 채널 상의 피크들을 나타내고, 따라서 가장 이른 "상당한 (significant)" 피크는 레퍼런스 신호의 ToA 에 대응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신기는 노이즈 관련 품질 임계치를 사용하여 스퓨리어스 (spurious) 로컬 피크들을 필터링함으로써, 채널 상의 상당한 피크들을 추정컨대 정확하게 식별할 것이다. 예를 들어, 수신기는 CER 의 중앙값보다 적어도 X dB 높고 채널 상의 메인 피크보다 최대 Y dB 낮은 CER 의 가장 이른 로컬 최대값인 ToA 추정치를 선택할 수도 있다. 수신기는 상이한 송신기들로부터의 각각의 레퍼런스 신호의 ToA 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송신기로부터의 각각의 레퍼런스 신호에 대한 CER 을 결정한다.
일부 설계들에서, RTT 응답 신호 (920) 는 시간 T3 과 시간 T2 사이의 차이 (즉, T Rx→Tx (912)) 를 명시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측정 및 시간 T4 와 시간 T1 사이의 차이 (즉, T Tx→Rx (922)) 를 사용하여, 기지국 (902) (또는 로케이션 서버 (230), LMF (270) 와 같은 다른 포지셔닝 엔티티) 은 UE (904) 까지의 거리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Figure pct00002
여기서, c 는 광속이다.
도 10 은 본 개시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 과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사이에 교환된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1000) 을 예시한다. 특히, 도 10 의 1002-1004 는 각각 gNB 및 UE 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Rx-Tx 차이들과 연관되는 프레임 지연의 부분들을 나타낸다.
지연 또는 에러의 추가적인 소스는 포지션 로케이션에 대한 UE 및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으로 인한 것이다. 도 11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기지국 (gNB)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지국들 중 임의의 것) 과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사이에 교환된 RTT 측정 신호들의 예시적인 타이밍들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 (1100) 을 예시한다. 도 11 은 어떤 점에서 도 9 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 11 에서, UE 및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 (이는 주로 UE 및 gNB 에서의 기저대역 (BB) 컴포넌트와 안테나 사이의 내부 하드웨어 지연들로 인한 것임) 은 1102-1108 (△Rx 및 △Tx 로 표시됨) 과 관련하여 도시된다. 인식될 바와 같이, Tx-측 및 Rx-측 경로-특정 또는 빔-특정 지연들 양자 모두는 RTT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
도 12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1200) 을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200) 은 도 6 의 무선 통신 시스템 (600) 과 유사하다. 그러나, 무선 통신 시스템 (1200) 은 개별의 TOA (예를 들어, TDOA) 측정들 (T1, T2 및 T3 으로 표시됨) 과 연관된 빔들을 더 묘사한다. 인식될 바와 같이, Rx-측 경로-특정 또는 빔-특정 지연들은 DL TDOA 측정에 영향을 미친다.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Tx-측 경로-특정 또는 빔-특정 지연들은 유사한 방식으로 UL TDOA 측정들에 영향을 미친다.
UE 에서의 포지셔닝 추정치들의 정밀도는 그룹-지연/타이밍 에러들이 얼마나 미세하게 유지될 수 있는지에 의해 제한된다. 예를 들어, △Rx 및 △Tx 에 대한 1 ns 에러는 정밀도에서 대략 2 피트 제한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 3GPP 표준들은 3m 미만 (Rel-16 의 경우) 및 1 m 미만 (Rel-17 의 경우 일반 상업용) 의 포지셔닝 정밀도를 목표로 하고 있다. UE 및/또는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의 지식은 그에 따라 로케이션 정확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RTT-기반 포지셔닝에서, RTT 는 UE 와 2 개의 gNB들 사이에서 추정될 수 있다. 그 다음, UE 에 대한 포지셔닝 추정치는 이들 2 개의 RTT들에 (예를 들어, 쌍곡선에) 맵핑되는 지리적 범위의 교차점으로 좁혀질 수 있다. 추가적인 gNB들에 대한 (또는 그러한 gNB들의 특정 TRP들에 대한) RTT들은 UE 에 대한 포지셔닝 추정치를 더 좁힐 (또는 정제할) 수 있다. 차동 RTT 는 2 개의 RTT 측정들 (또는 측정 범위들) 사이의 차이가 UE 에 대한 포지셔닝 추정치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지셔닝 방식이다.
일부 설계들에서, (예를 들어, UE, 기지국, 또는 서버/LMF 에서의) 포지셔닝 엔진은 RTT 측정들이 통상적인 RTT 또는 차동 RTT 를 사용하여 포지셔닝 추정치를 계산하는데 사용될지 여부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지셔닝 엔진이 하드웨어 그룹 지연들을 이미 고려한 것으로 알려진 RTT들을 수신하는 경우, 통상적인 RTT 포지셔닝이 (예를 들어, 도 6-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그렇지 않으면, 일부 설계들에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의 일부가 상쇄될 수 있도록 차동 RTT 가 수행된다. 포지셔닝 엔진이 네트워크-측 (예를 들어, gNB/LMU/eSMLC/LMF) 에서 구현되는 일부 설계들에서, UE 에서의 그룹 하드웨어 지연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UE 와 기지국 1 및 기지국 2 각각 사이의 이론적 Rx-Tx 지연 측정들의 예는 다음과 같으며:
Figure pct00003
여기서, w 는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표시한다.
인식될 바와 같이, 하드웨어 그룹 지연 (w) 이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양자 모두에 대해 동일하면, 하드웨어 그룹 지연 (w) 은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사이에 차분이 취해질 때 완전히 상쇄된다. 발생할 수도 있는 하나의 문제는 하드웨어 그룹 지연 (w) 이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오히려 다음과 같이 시간에 따라 변경된다는 것이며:
Figure pct00008
여기서, w(t 1 ) 및 w(t 2 ) 는 각각 시간들 (t1 그리고 t2) 을 반영한다.
이 경우에,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사이에 차분이 취해질 때 w(t 1 ) 와 w(t 2 ) 사이의 차분으로 인해 잔차 에러가 존재한다. 이 잔차 에러는 본 명세서에서 시간 드리프트로서 지칭되는 현상으로 인한 것이다. 일 예로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의 시간 드리프트는 습도,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 팩터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UE-측 하드웨어 그룹 지연 (예를 들어, 도 9 의 912, 도 11 의 1104-1108) 이 레퍼런스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함께 효과적으로 상쇄되지만, 잔차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이 지속되는, 차동 RTT 의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NB i 에 대한 잔차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은 GD,diff,gNB,i, 예를 들어, 다음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Figure pct00011
여기서, GDgNB,i 는 gNB i 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예를 들어, 도 11 의 1102 또는 1106) 이고, GDgNB_ref 는 레퍼런스 gNB 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이다. GDgNB_ref 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모든 RTT들에 걸쳐 공통이다.
레퍼런스 gNB 와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했지만, 다른 설계들에서, 알려진 로케이션과 연관된 임의의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최근 포지셔닝 픽스 등을 갖는 레퍼런스 UE) 는 다양한 포지셔닝 방식들 (예를 들어,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TDOA 등) 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시스템들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는 RSRP 와 같은 신호 품질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그러나, 양호한 신호 품질을 갖는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가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의 관점에서 반드시 최상의 선택은 아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이에 의해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 (예를 들어,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TDOA 등) 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gNB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선택으로 지향된다. 그러한 양태들은 UE들에 대한 개선된 포지셔닝 추정치 정밀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술적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1300) 를 예시한다. 프로세스 (1300) 는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프로세스 (1300) 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는 UE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UE들 중 임의의 것, 이를 테면 UE (302)) 이다. 다른 설계들에서, 프로세스 (1300) 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는 BS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BS들 또는 gNB들 중 임의의 것, 이를 테면 BS (304), 이는 통합된 LMF 를 포함할 수도 있음) 이다. 다른 설계들에서, 프로세스 (1300) 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엔티티, 이를 테면 네트워크 엔티티 (306) (예를 들어, LMF) 이다. 더욱이, 프로세스 (1300) 는 일부 양태들에서 RTT (예를 들어, 차동 RTT) 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일부 설계들에서, 도 13 의 프로세스 (1300) 는 또한 다른 타입들의 RTT (예를 들어, 이중 차동 RTT, 여기서 제 1 차동 RTT 는 타겟 UE 와 2 개의 레퍼런스 노드들 사이에서 측정되고, 제 2 차동 RTT 는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2 개의 레퍼런스 노드들 사이에서 측정된다) 또는 비-RTT 포지셔닝 기법들, 이를 테면 DL 또는 UL TDOA 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1310 에서, 통신 노드 (예를 들어, 수신기 (312), 수신기 (318), 수신기 (324), 수신기 (330), 프로세싱 시스템 (334), 메모리 컴포넌트 (340) 등) 는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gNB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한다. 일 예에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할 수도 있고, 포지셔닝 절차 (예를 들어, 전통적인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TDOA 등) 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다른 예에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LMF 등) 에 대응할 수도 있고, 포지셔닝 절차 (예를 들어, 전통적인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TDOA 등) 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1320 에서, 통신 노드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 (332), 프로세싱 시스템 (334), 프로세싱 시스템 (336) 등) 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가 그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T1, +T1] ns 의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로서 리포팅하는 것을 가정한다. 일부 설계들에서, 1320 에서의 통신 노드는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로서, 포지셔닝 절차 (예를 들어, 전통적인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TDOA 등) 에 대한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 (예를 들어, 또는 T1 의 가장 작은 값) 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1320 의 선택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UE 사이의 RSRP 측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높은 RSRP 측정은 레퍼런스 디바이스 선택의 관점에서 개별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더 유리하게 가중화할 수도 있다).
1330 에서, 통신 노드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 (332), 프로세싱 시스템 (334), 프로세싱 시스템 (336), 컴포넌트들 (344/348/349 등)) 는 (예를 들어, 상기 식 5 에서와 같이)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 (GDgNB_ref) 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예를 들어, 포지셔닝) 측정들을 결정 (예를 들어, 교정) 한다.
도 13 을 참조하면, 일부 설계들에서, 통신 노드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할 수도 있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UE-기반 포지셔닝을 위해, UE 는 요청들을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BS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에 송신할 수도 있고,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그 후 그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을 LMF 에 리포팅하고, LMF 는 차례로 이 정보를 다시 UE 에 전파한다. 다른 설계들에서,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을 위해, LMF 는 요청들을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BS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에 송신할 수도 있고,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그 후 그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을 LMF 에 리포팅한다.
도 13 을 참조하면, 일부 설계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BS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예를 들어, 일부 설계들에서, 각각의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UE) 는 연관된 타임스탬프, 대역, 포지셔닝 주파수 계층, UE ID, 및/또는 또는 TRP ID 의 표시와 함께 그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또는 교정 에러) 을 리포팅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또는 교정 에러) 은 상이한 대역들에 대해 상이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소정의 파라미터들은 포지셔닝 주파수 계층 (예를 들어, 중심 주파수) 에 대해 그룹화되거나 또는 공통일 수도 있고, 이 경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또는 교정 에러) 은 포지셔닝 주파수 계층에 특정적일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상이한 빔들은 상이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또는 교정 에러) 과 연관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UE/TRP 는 다중의 안테나 패널들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또는 교정 에러) 은 특정 UE ID 또는 TRP 에 특정적일 수도 있다.
도 13 을 참조하면, 일부 설계들에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BS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다. 이 경우에, 블록 (1310) 에서, 통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BS 또는 레퍼런스 UE) 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 (예를 들어, 타임스탬프 등) 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13 을 참조하면, 일부 설계들에서, 블록 (1310) 에서, 통신 노드는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BS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이 드물게 변경되면, 차동 리포팅이 리포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식 5 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gNB-특정 예에서, 잔차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 (GD,diff,gNB,i) 은 UE 포지셔닝의 정밀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팩터이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이에 의해, 잔차 레퍼런스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예를 들어, gNB-특정 예에서, GD,diff,gNB,i) 이 UE 에 대한 포지션 추정 절차 동안 상쇄될 수 있도록 잔차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하드웨어 그룹 지연 (예를 들어, gNB-특정 예에서, GD,diff,gNB,i) 의 추정으로 지향된다. 그러한 양태들은 UE들에 대한 개선된 포지셔닝 추정치 정밀도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술적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4 는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1400) 를 예시한다. 프로세스 (1400) 는 통신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프로세스 (1400) 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는 BS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BS들 또는 gNB들 중 임의의 것, 이를 테면 BS (304), 이는 통합된 LMF 를 포함할 수도 있음) 이다. 다른 설계들에서, 프로세스 (1400) 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엔티티, 이를 테면 네트워크 엔티티 (306) (예를 들어, LMF) 이다. 더욱이, 프로세스 (1400) 는 일부 양태들에서 RTT (예를 들어, 차동 RTT) 와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일부 설계들에서, 도 14 의 프로세스 (1400) 는 또한 다른 타입들의 RTT (예를 들어, 이중 차동 RTT, 여기서 제 1 차동 RTT 는 타겟 UE 와 2 개의 레퍼런스 노드들 사이에서 측정되고, 제 2 차동 RTT 는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2 개의 레퍼런스 노드들 사이에서 측정된다) 또는 비-RTT 포지셔닝 기법들, 이를 테면 DL 또는 UL TDOA 에 적용가능할 수도 있다.
1410 에서, 통신 노드 (예를 들어, 수신기 (318), 수신기 (324), 포지셔닝 컴포넌트 (348 또는 349), 수신기 (330) 등) 는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한다. 일부 설계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포지셔닝을 위한 레퍼런스 신호들이 UE 와 BS 사이 대신에 2 개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BS들 또는 gBN들 또는 레퍼런스 UE들) 사이에 교환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9 또는 도 11 과 유사하게 RTT 측정 (예를 들어, 전통적인 RTT, 차동 RTT, 이중 차동 RTT 등) 과 연관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들에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UL 또는 DL TDOA 측정과 연관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은 PRS들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옵션이다. 일부 설계들에서,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은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gNB들 및/또는 레퍼런스 UE들) 사이의 직접 LOS 를 갖는 OTA 신호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1420 에서, 통신 노드 (예를 들어, 프로세싱 시스템 (334 또는 336), 포지셔닝 컴포넌트 (348 또는 349) 등) 는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일 예에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는 (예를 들어, 레퍼런스 UE들의 최근 포지셔닝 픽스들 또는 기지국 알마낙으로부터 획득되는 등의)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에 대한 알려진 로케이션들에 기초하여 미리구성되거나 또는 미리결정될 수도 있다.
도 14 를 참조하면, 일부 설계들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기지국들 또는 레퍼런스 UE들) 중 하나에 대응한다. 다른 설계들에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 (예를 들어, LMF) 에 대응한다.
도 14 를 참조하면, gNB-특정 예에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기지국 (gNB_ref) 에 대응할 수도 있고, 1420 에서의 추정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은 레퍼런스 기지국 (gNB_ref) 과 제 2 기지국 (gNB_i) 사이의 잔차 gNB 하드웨어 그룹 지연 (GD,diff,gNB,i), 예를 들어, 다음에 대응할 수도 있으며:
Figure pct00012
여기서, RTTi 는 제 1 및 제 2 기지국들 (예를 들어, gNB_ref 와 gNB_i) 사이의 추정된 거리이고, GD,diff,gNB,i 는 gNB_ref 와 gNB_i 사이의 전체 그룹 지연 에러이고, Distance_i 는 제 1 및 제 2 기지국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 (예를 들어, 기지국 알마낙에 기초하여 획득됨) 이다.
일 예에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 (레퍼런스 gNB) 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gNB_i) 사이의 RTT 측정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Figure pct00013
레퍼런스 gNB 는 T_1 에, gNB_i 에 포지셔닝을 위한 제 1 레퍼런스 신호 (RS-P_1) 를 송신한다,
Figure pct00014
T_2 에서의 레퍼런스 gNB 로부터의 RS-P 의 수신 후, gNB_i 는 T_3 에, 포지셔닝을 위한 제 2 레퍼런스 신호 (RS-P_2) 를 송신한다,
Figure pct00015
gNB_i 는 Rx-Tx 시간 차이 (T_3 - T_2) 를 네트워크 (예를 들어, LMF, 레퍼런스 gNB 등) 에 리포팅한다,
Figure pct00016
T_4 에서의 gNB_i 로부터의 RS-P_2 의 수신 후, 레퍼런스 gNB 는 Rx-Tx 시간 차이 (T_4-T_1) 를 네트워크 (예를 들어, LMF) 에 리포팅한다,
Figure pct00017
네트워크 (예를 들어, LMF) 는 RTT (RTTi) 를 T_4 - T_1 - T_3 + T_2 로 도출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디바이스(들)는 대안적으로 gNB들 대신에 레퍼런스 UE(들)에 대응할 수도 있다. 또한, RTT-특정 예가 위에서 제공되지만, 다른 설계들에서, 포지셔닝 절차는 TDOA 와 같은 비-RTT 일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도 14 의 프로세스 (1400) 는 지정된 레퍼런스 디바이스 (예를 들어, gNB 또는 레퍼런스 UE) 와 복수의 다른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특정 UE 에 대한,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와 같은 포지셔닝 절차와 연관된 각각의 다른 gNB 또는 레퍼런스 UE) 사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들에서, 도 14 의 프로세스 (1400) 는 지정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LOS 접속을 갖는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에 대해서만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들에서, 도 14 의 프로세스 (1400) 는 포지셔닝 절차에 기초하여 이벤트-트리거링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위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이한 특징들이 예들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개시의 이러한 방식은, 예시적인 조항들이 각각의 조항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는 것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갖는다는 의도로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의 다양한 양태들은 개시된 개별 예시적인 조항의 모든 특징들보다 더 적은 특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음의 조항들은 그 설명에 통합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여기서, 각각의 조항은 그 자체로 별도의 예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종속 조항은 다른 조항들 중 하나와의 특정 조합을 조항들에서 참조할 수 있지만, 그 종속 조항의 양태(들)는 특정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적인 조항들은 또한 종속 조항 양태(들)와 임의의 다른 종속 조항 또는 독립 조항의 청구물의 조합 또는 임의의 특징과 다른 종속 및 독립 조항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들은, 특정 조합이 의도되지 않는 것 (예를 들어, 엘리먼트를 절연체 및 전도체 양자 모두로서 정의하는 것과 같은 모순적인 양태들) 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거나 또는 명시적으로 표현되지 않는 한, 이들 조합들을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더욱이, 조항의 양태들은, 그 조항이 독립 조항에 직접 종속되지 않더라도, 임의의 다른 독립 조항에 포함될 수 있음이 또한 의도된다.
구현 예들이 다음의 넘버링된 조항들에서 설명된다:
조항 1.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는 단계;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2. 조항 1 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3. 조항 1 내지 조항 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획득하는 단계는,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4. 조항 1 내지 조항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조항 5. 조항 4 의 방법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6. 조항 4 내지 조항 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7. 조항 4 내지 조항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8. 조항 7 의 방법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9. 조항 4 내지 조항 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10. 조항 1 내지 조항 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조항 11. 조항 1 내지 조항 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조항 12. 조항 11 의 방법에 있어서, 선택하는 단계는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조항 13. 조항 1 내지 조항 1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선택하는 단계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조항 14. 조항 11 내지 조항 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조항 15. 조항 1 내지 조항 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조항 16. 조항 1 내지 조항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조항 17. 조항 1 내지 조항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획득하는 단계는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조항 18.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항 19. 조항 18 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20. 조항 18 내지 조항 19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조항 21. 조항 18 내지 조항 2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조항 22. 조항 18 내지 조항 2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조항 23. 조항 22 의 방법에 있어서, 추정하는 단계는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조항 24. 통신 노드로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고;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25. 조항 24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26. 조항 24 내지 조항 2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를 통해,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항 27. 조항 24 내지 조항 26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조항 28. 조항 27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29. 조항 27 내지 조항 28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30. 조항 27 내지 조항 29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31. 조항 30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32. 조항 27 내지 조항 31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33. 조항 24 내지 조항 32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조항 34. 조항 24 내지 조항 33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조항 35. 조항 34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조항 36. 조항 24 내지 조항 3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조항 37. 조항 34 내지 조항 36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조항 38. 조항 24 내지 조항 37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조항 39. 조항 24 내지 조항 38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조항 40. 조항 24 내지 조항 39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획득하는 것은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조항 41. 통신 노드로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고; 그리고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조항 42. 조항 41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43. 조항 41 내지 조항 42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조항 44. 조항 41 내지 조항 43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조항 45. 조항 41 내지 조항 44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조항 46. 조항 45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추정하는 것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조항 47. 통신 노드로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기 위한 수단;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조항 48. 조항 47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49. 조항 47 내지 조항 48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항 50. 조항 47 내지 조항 49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조항 51. 조항 50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52. 조항 50 내지 조항 51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53. 조항 50 내지 조항 52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54. 조항 53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55. 조항 50 내지 조항 54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56. 조항 47 내지 조항 5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조항 57. 조항 47 내지 조항 56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조항 58. 조항 57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조항 59. 조항 47 내지 조항 58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조항 60. 조항 57 내지 조항 59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조항 61. 조항 47 내지 조항 60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조항 62. 조항 47 내지 조항 61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조항 63. 조항 47 내지 조항 62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획득하는 것은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조항 64. 통신 노드로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 및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조항 65. 조항 64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66. 조항 64 내지 조항 65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조항 67. 조항 64 내지 조항 66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조항 68. 조항 64 내지 조항 67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조항 69. 조항 68 의 통신 노드에 있어서, 추정하는 것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조항 70.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통신 노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통신 노드로 하여금,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게 하고;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게 한다.
조항 71. 조항 70 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72. 조항 70 내지 조항 71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명령들은 또한, 통신 노드로 하여금,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게 하고, 획득하는 것은,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조항 73. 조항 70 내지 조항 72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된다.
조항 74. 조항 73 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UE 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75. 조항 73 내지 조항 74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이다.
조항 76. 조항 73 내지 조항 75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77. 조항 76 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78. 조항 73 내지 조항 77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한다.
조항 79. 조항 70 내지 조항 78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조항 80. 조항 70 내지 조항 79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한다.
조항 81. 조항 80 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선택하는 것은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조항 82. 조항 70 내지 조항 81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선택하는 것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조항 83. 조항 80 내지 조항 82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한다.
조항 84. 조항 70 내지 조항 83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이다.
조항 85. 조항 70 내지 조항 84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획득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한다.
조항 86. 조항 70 내지 조항 85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획득하는 것은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한다.
조항 87.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들은, 통신 노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통신 노드로 하여금,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게 하고; 그리고 (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 및 (ii)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게 한다.
조항 88. 조항 87 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조항 89. 조항 87 내지 조항 88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통신 노드는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한다.
조항 90. 조항 87 내지 조항 89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된다.
조항 91. 조항 87 내지 조항 90 중 어느 하나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된다.
조항 92. 조항 91 의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추정하는 것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한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분명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상기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을 야기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양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서,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이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기 (예를 들어, UE) 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양태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되면, 기능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자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수록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불린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학 디스크,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고,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한편,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들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상기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함 없이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명세서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더욱이, 본 개시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그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UE 에 대응하고,
    상기 포지셔닝 절차는 UE-기반 포지셔닝 절차인,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노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상기 포지셔닝 절차는 네트워크-기반 포지셔닝 절차인,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절차는 왕복 시간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절차는 차동 (differential) RTT 포지셔닝 절차 또는 이중 차동 (double differential) RTT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절차는 도달 시간 차이 (TDOA)-기반 포지셔닝 절차에 대응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임의의 UE 포지셔닝 절차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에 대한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은 개별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를 표시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가장 좁은 하드웨어 그룹 지연 에러 범위와 연관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로서 선택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 및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2 차 기준들은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장비 (UE) 사이의 레퍼런스 신호 수신 전력 (RSRP) 측정들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인,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시변적이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의 시변 함수를 모델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이전에 수신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와 관련되는 차동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 정보의 수신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8.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는 단계; 및
    (i)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기 추정된 거리, 및 (ii)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은 왕복 시간 (RTT) 측정 또는 도달 시간 차이 (TDOA) 측정과 연관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는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연관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그룹 지연과 상기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의 상기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사이의 차분 (differential) 에 대응하는 잔차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는, 통신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
  24. 통신 노드로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들에 적어도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에서 레퍼런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그리고
    선택된 상기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연관된 레퍼런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값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의 각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노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은 사용자 장비 (UE) 에 대한 포지셔닝 절차와 관련하여 수행되는, 통신 노드.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능력은 주파수-도메인 리소스들의 특정 세트, 빔들의 특정 세트, 특정 송신 수신 포인트 (TRP) 에 특정적인, 통신 노드.
  28. 통신 노드로서,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에 통신가능하게 커플링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 1 레퍼런스 디바이스와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 사이의 포지셔닝을 위한 하나 이상의 레퍼런스 신호들의 하나 이상의 타이밍 측정들에 기초하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추정된 거리를 획득하고; 그리고
    (i)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상기 추정된 거리, 및 (ii)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사이의 알려진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하드웨어 그룹 지연을 추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노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적어도 하나의 레퍼런스 사용자 장비 (U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통신 노드.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 중 하나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 노드는 상기 제 1 및 제 2 레퍼런스 디바이스들과 별개의 네트워크 엔티티에 대응하는, 통신 노드.
KR1020237000453A 2020-07-13 2021-06-16 레퍼런스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KR202300375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063051206P 2020-07-13 2020-07-13
US63/051,206 2020-07-13
US17/348,553 US20220015051A1 (en) 2020-07-13 2021-06-15 Reference device hardware group delay calibration
US17/348,553 2021-06-15
PCT/US2021/037596 WO2022015455A2 (en) 2020-07-13 2021-06-16 Reference device hardware group delay calib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539A true KR20230037539A (ko) 2023-03-16

Family

ID=7917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0453A KR20230037539A (ko) 2020-07-13 2021-06-16 레퍼런스 디바이스 하드웨어 그룹 지연 교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15051A1 (ko)
EP (1) EP4179800A2 (ko)
KR (1) KR20230037539A (ko)
CN (1) CN116076038A (ko)
BR (1) BR112022026936A2 (ko)
WO (1) WO20220154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5013A1 (en) * 2021-01-13 2022-07-21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device hardware group delay calibration
US20240012130A1 (en) * 2021-01-14 2024-01-11 Qualcomm Incorporated Double-differential round trip time measurement
CN116528345A (zh) * 2022-01-21 2023-08-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定时校准的方法、装置及通信设备
EP4312057A1 (en) * 2022-07-26 2024-01-31 Nokia Technologies Oy Time of arrival method for ue positioning in distributed ran system architecture
CN116667913B (zh) * 2023-07-31 2023-09-29 河北北斗天汇科技有限公司 超远距离北斗卫星导航信号转发方法、转发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9844B1 (en) * 1998-09-02 2003-03-04 Anritsu Company Vector network measurement system
DE19951525C2 (de) * 1999-10-26 2002-01-24 Siemens Ag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r elektronisch phasengesteuerten Gruppenantenne in Funk-Kommunikationssystemen
EP1770409B1 (en) * 2005-09-28 2015-03-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Time-of-flight-ranging system and method for calibrating such a system
GB2482278A (en) * 2010-04-13 2012-02-01 St Microelectronics Res & Dev Image sensor analogue to digital conversion (ADC) with ramp signal delay compensation
CN103609161B (zh) * 2011-04-13 2018-04-2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减少基于模式的测量的复杂性
US8897813B2 (en) * 2012-02-03 2014-11-25 Andrew Llc LTE user equipment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US20150195674A1 (en) * 2014-01-07 2015-07-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estimating delay difference between receive processing chains of a device using crowd sourcing
US10571326B2 (en) * 2015-08-07 2020-02-25 Extron Company System for sensing substance levels in a storage unit
US10470156B2 (en) * 2016-06-03 2019-11-05 Loc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arse and fine time of flight estimates for precise radio frequency localization in the presence of multiple communication paths
AR109751A1 (es) * 2016-09-30 2019-01-23 Ericsson Telefon Ab L M Retardo adaptativo de ajuste de temporización
US11304169B2 (en) * 2018-12-19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Differential round trip time based positioning
US10802104B2 (en) * 2018-12-26 2020-10-13 Locix,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anging and triangulation to determine locations of wireless sensor nodes based on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s between the nodes and various RF-enabled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76038A (zh) 2023-05-05
BR112022026936A2 (pt) 2023-01-24
WO2022015455A2 (en) 2022-01-20
WO2022015455A3 (en) 2022-02-24
US20220015051A1 (en) 2022-01-13
EP4179800A2 (en)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66794B (zh) 用于定位的探测参考信号(srs)资源和资源集配置
US11129127B2 (en) Network calibration with round-trip-time (RTT)-based positioning procedures
US20210099832A1 (en) Low-tier user equipment positioning with premium user equipment assistance
US11490354B2 (en) Round-trip-time (RTT)-based positioning with listening nodes
US20220038927A1 (en) Measurement period formulation for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rstd) measurements
US11576139B2 (en) Time drif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iming group delays
US20220015051A1 (en) Reference device hardware group delay calibration
US11582629B2 (en) Determination of an active bandwidth part transition during a positioning session
US11444734B2 (en) Beam-specific group delay / frequency lookup table signaling for high-precision multi-round-trip-time
KR20230022852A (ko) 낮은 레이턴시 다운링크 트래픽을 멀티플렉싱하기 위한 포지셔닝 최적화들
US20210194765A1 (en) Constraints on a source reference signal for quasi-collocation timing reference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KR20230087460A (ko) 포지셔닝을 위한 시간-각도 확률 분포들
US20230247671A1 (en)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to random access channel occasion (ro) mapping
CN116097858A (zh) 在互易交叉链路干扰测量资源上的往返时间测量规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