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7275A -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 Google Patents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7275A
KR20230037275A KR1020210120410A KR20210120410A KR20230037275A KR 20230037275 A KR20230037275 A KR 20230037275A KR 1020210120410 A KR1020210120410 A KR 1020210120410A KR 20210120410 A KR20210120410 A KR 20210120410A KR 20230037275 A KR20230037275 A KR 20230037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tension
wir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635B1 (ko
Inventor
조형기
이충하
Original Assignee
조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기 filed Critical 조형기
Priority to KR102021012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635B1/ko
Publication of KR2023003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7Fencing provided with electric elements or components, e.g. fencing member or component, such as fence strands, post, panel or rail, provided with electric elements 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nc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함체부에 인가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장력 변화가 감지되거나 상기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A post-removable fence device that measures the change in tension}
본 발명은 장력 변화를 측정하는 펜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력변화를 감지하는 종례의 기술은, 일정 구역을 펜스 형태로 구성하고 침입을 탐지하기 위하여 장력 검출 센서와 와이어를 연결하는 구조적 특징을 토대로 하는 다양한 검지기술을 안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68호는 펜스를 구성함에 있어 기존의 펜스를 구성하는 지주 이외에,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독립된 지주를 이용하며, 일정 간격으로 강선 와이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함에 있어 와이어간 연결부를 모두 스프링을 이용하고, 이들 모든 와이어들은 연결 블록을 이용하여 수평으로 지주에 연결되어 하나의 검출부에서 장력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지주에 연결된 모든 강선 와이어가 마치 하나의 그물망으로 구성됨에 따라 어떠한 위치의 와이어에서도 발생하는 장력의 변화를 하나의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각 와이어의 연결부가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스프링의 피로수명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되어 장시간 경과 이후, 스프링의 복원력 상실 및 왜곡 현상으로 인해 최초 와이어에 걸린 장력 변화의 기준치가 변화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비록 스프링의 피로수명에 의한 왜곡이 없다 하더라도 장력검출시 스프링의 완충효과로 인하여 정확한 검출을 할 수 없다는 점과, 또한 장력 검출 센서로 연결되는 모든 와이어의 연결부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녹이 발생하는 등, 이 또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와이어에 발생되는 장력의 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력을 검출함에 있어 장력 검출을 위한 독립된 지주들을 별도로 필요로 함에 따라 실제 적용시 많은 설치공사 시간과 많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568호
본 발명은 펜스를 통과하려는 침입자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펜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함체부에 인가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장력 변화가 감지되거나 상기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지면에 고정된 기둥에 설치되는 착탈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함체부의 윗면에 지지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부의 윗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 상기 제2 부재에 대면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제2 부재에 인가된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함체부의 윗면에 설치되면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부재가 상기 함체부의 윗면으로부터 이탈되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제3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장력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거나, 상기 제2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거나, 상기 제3 감지부가 상기 제2 모드를 만족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별도의 장력 검출 지주를 이용하지 않고 기존의 지주에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제1 감지부를 이용하여 와이어의 길이와 연결 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일관성 있게 설정 장력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기둥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디딤판을 기능할 수 있는 함체부를 이용한 침입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당김 또는 끊어짐에 의해 알람 등의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기둥에 설치된 함체부가 발을 디딜 수 있는 디딤판으로 기능하는 역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체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설정값을 만족하면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므로, 함체부의 윗면을 발로 밟는 경우가 원천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침입자가 펜스 장치를 무력화하고자 하는 시도를 감지하고 알림 등의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로 인해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을 통해 침입이 불가능하다.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기둥을 타고 펜스를 넘어가려는 의도는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된 함체부로 인해 불가능하다.
기둥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함체부를 디디게 되면, 제2 감지부에 의해 이벤트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감지부를 인지하고 함체부를 회피해서 기둥을 타고 넘어가려는 시도가 예상될 수 있다.
하지만, 기둥의 폭보다 큰 길이 또는 폭을 갖는 함체부를 회피해서 기둥을 타고 넘어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더욱이 함체부는 사람이 통과하기 어려운 간격으로 형성된 와이어와 동일한 간격으로 기둥에 복수로 형성되므로, 함체부를 회피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따라서, 함체부의 제2 감지부를 인지하더라도 침입자는 기둥을 타고 넘어가는 도중에 함체부를 건들게 되고, 제2 감지부에 의해 이벤트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펜스 장치에 따르면, 침입자는 와이어를 통해서도 기둥을 통해서도 펜스를 통과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최후의 수단으로 펜스 장치를 무력화하려는 시도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를 피해 펜스 장치를 무력화시키기 위해서는 펜스 장치의 내부에 마련된 전기 회로에 이상을 유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함체부를 덮는 커버부를 개방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의 개방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로 인해 이벤트 신호가 생성되므로, 결국, 펜스 장치의 무력화 역시 불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펜스 장치에 따르면, 침입자는 어떠한 루트로도 이벤트 신호의 생성을 억제하면서 펜스를 넘을 수 없다.
침입자의 침입 시도를 원천적으로 봉쇄하거나 침입자의 침입을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펜스 장치는 침입이 방지될 필요가 있는 중요 시설의 경계선, 군사 경계선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둥, 와이어, 펜스 장치가 구비된 장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펜스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펜스 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4는 함체부에서 커버부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감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커버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펜스 장치가 적용된 철책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기둥(30), 와이어(10), 펜스 장치(100)가 구비된 장벽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펜스 장치(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펜스 장치(100)를 뒤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4는 함체부(180)에서 커버부(150)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제1 감지부(1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커버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펜스 장치(100)가 적용된 철책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펜스 장치(100)의 함체부(180)는 지면에 고정된 특정 기둥(30)에 설치될 수 있다. 기둥(30)에 대면되는 함체부(180)의 일면에는 기둥(30)에 착탈되는 착탈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착탈부(190)는 'U' 형상의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의 단부에는 나사산(191)이 형성될 수 있다.
고리의 단부는 기둥(30)에 대면되는 함체부(180)의 일면에 형성된 착탈 구멍(189)에 관통 설치될 수 있다 착탈 구멍(189)을 통과한 고리의 단부에는 착탈 볼트(193)가 체결될 수 있다. 고리는 기둥(30)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착탈 구멍(189)을 통과하고, 착탈 볼트(193)에 의해 조여지면 고리 및 함체부(180)는 기둥(3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착탈 구멍(189)은 기둥(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착탈 구멍(189)에 설치된 고리의 단부는 기둥(30)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둥(30)의 측면 굴곡 등에 상관없이 착탈부(190)는 기둥(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착탈부(190)의 해제로 인한 함체부(180)의 위치 변동은 제1 감지부(130)에서 감지되는 장력의 변화를 유발할 수 있다. 아래에 기술되는 생성부(101)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펜스 장치(100)가 특정 기둥(30)에 대하여 기둥(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각 펜스 장치(100)에는 기둥(30)에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의 와이어(10), 타측의 와이어(10) 중 적어도 하나가 팽팽하게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0)는 특정 기둥(30)에 설치된 함체부(180)로부터 다른 기둥(3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10)는 해당 다른 기둥(30)에 직접 연결되거나, 해당 다른 기둥(30)에 설치된 다른 펜스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함체부(180)에는 제1 감지부(130), 제2 감지부(230), 제3 감지부(330), 생성부(10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 제2 감지부(230), 제3 감지부(330), 생성부(101)는 기둥(30), 와이어(10)가 형성하는 장벽 또는 펜스를 침입자가 통과하려는 시도, 행위를 빈틈없이 감지할 수 있다. 펜스를 통과하려는 침입자의 다양한 시도를 무력화하기 위해 제1 감지부(130), 제2 감지부(230), 제3 감지부(330)는 상호 협력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는 와이어(1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에 따르면, 침입자가 좁은 틈을 형성하는 와이어(10)와 와이어(10) 사이의 간격을 벌리고자 할 때 변화하는 장력이 감지될 수 있다. 또는, 침입자가 와이어(10)가 끊을 때 변화하는 장력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감지부(130)는 와이어(10)가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당겨질 때의 장력 변화 또는 와이어(10)가 끊어질 때의 장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는 설정 형상을 갖는 두랄루민 재질의 틀, 틀 내부에 마련된 스트레인 게이지 등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두랄루민은 알루미늄-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두랄루민은 알루미늄을 주성분(95%)으로 하고 4%의 구리와 0.5%의 마그네슘 및 0.5%의 망가니즈를 함유할 수 있다.
제2 감지부(230)는 와이어(10)를 지지하는 함체부(180)에 인가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감지부(230)는 특정 기둥(30)에 설치된 함체부(180)의 윗면이 눌려지거나 가압될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감지부(230)는 침입자가 함체부(180)의 윗면을 손으로 잡아당기거나 함체부(180)의 윗면에 발을 디디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로 인해 기둥(30)과 기둥(30)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10)를 통과하기 어려워진 침입자는 기둥(30)을 넘어가려고 시도할 수 있다. 이때, 기둥(30)을 넘어가려는 침입자를 감지하거나, 기둥(30)을 넘어가는 도중 발을 디딜 수 잇는 디딤판으로 활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감지부(230)가 이용될 수 있다.
제2 감지부(230)로 인해, 침입자는 기둥(30)에 설치된 함체부(180)를 건들면 안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기둥(30)을 오를 때 함체부(180)를 회피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기둥(30)의 폭보다 큰 함체부(180) 복수개가 특정 기둥(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배열된 상황에서 함체부(180)를 건들지 않고 기둥(30)을 타고 올라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기둥(30)에 설치된 함체부(180)마다 와이어(10)가 연결될 수 있다. 함체부(180) 간의 간격에 의해 와이어(10)의 간격이 결정될 수 있다. 함체부(180) 간의 간격 및 와이어(10)의 간격은 사람이 통과할 수 없는 간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부(101)는 제1 감지부(130)에서 장력 변화가 설정값 이상 감지되거나, 제2 감지부(230)에서 압력 변화가 설정값 이상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 신호는 함체부(180) 내외부에 설비되거나 주변에 설비된 경보기를 동작시키는 알람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벤트 신호는 원거리에 마련된 관리 서버에 전송되고 표시될 수 있다. 관리 서버에 표시된 이벤트 신호를 통해 관리자는 와이어(10) 또는 기둥(30)을 타고 넘으려는 침입자의 존재를 인지하고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제1 감지부(130) 및 제2 감지부(230)로 인해, 어디로도 넘어갈 수 없게 된 침입자는 제1 감지부(130) 또는 제2 감지부(230)를 무력화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 해당 무력화 시도를 감지하기 위해 제3 감지부(330)가 이용될 수 있다.
제3 감지부(330)는 제1 감지부(130), 제2 감지부(230), 생성부(101) 중 적어도 하나가 함체부(180)의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3 감지부(330)는 제1 감지부(130), 제2 감지부(230), 생성부(101)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이 함체부(180)의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생성부(101)는 제3 감지부(330)에 의해 해당 개방이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 신호는 제1 감지부(130) 또는 제2 감지부(230) 기반의 이벤트 신호와 마찬가지로 경보기 또는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는 함체부(180)에 지지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는 가해지는 힘에 따라 저항이 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힘, 압력, 인장, 무게 등을 전기 저항의 변화로 전환하며 그 이후 이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외부의 힘이 정지하고 있는 물체에 가해지면 스트레스와 스트레인이 결과로 나타납니다. 스트레스는 물체의 내부 저항력으로 규정되고 스트레인은 물체에 발생되는 변위와 변형으로 규정될 수 있다.
기술적인 용어로써 스트레인(Strain)은 인장과 압축으로 이루어지며 양과 음의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트레인 게이지는 수축뿐만 아니라 확장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단부에 와이어(10)가 연결될 수 있다.
생성부(101)는 와이어(10)의 장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에 따라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의 단부에는 와이어(1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장력 조절부(110)의 일단부는 스트레인 게이지에 연결되고, 장력 조절부(110)의 타단부는 와이어(10)에 연결될 수 있다. 장력 조절부(110)는 와이어(10)와 함께 함체부(18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장력 조절부(110)를 덮는 조절 덮개(12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조절 덮개(120)는 함체부(180)에 나사 체결되고, 함체부(180)로부터 장력 조절부(110)를 향해 연장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조절 덮개(120)는 비, 눈으로부터 장력 조절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덮개(120)는 장력 조절부(110)에서 장력을 수동 조작할 수 있는 요소를 덮거나 가릴 수 있다. 조절 덮개(120)에 의해 덮여지거나 가려진 해당 요소는 침입자에 의해 조작되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함체부(180)에 마련된 장력 조절부(110)는 와이어(10)의 초기 장력을 세팅할 수 있다.
장력 조절부(110)에는 제1 감지부(130)에 연결되는 몸체(119), 몸체(119)의 제1 위치 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와이어(10)를 감거나 푸는 봉축(111), 봉축(111)에 설치된 제동 기어(113)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119)는 제1 감지부(130)를 관통하는 연결 볼트(118)를 통해 제1 감지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봉축(111)의 단부 또는 제동 기어(113)에는 봉축(111) 또는 제동 기어(113)를 회전시키는 노브가 장착 가능한 홈 또는 돌기 등의 장착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는 6각형의 너트 머리가 제동 기어(1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장력 조절부(110)에는 봉축(111)의 제1 위치 a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 b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걸림쇠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쇠에는 제2 위치 b로부터 제동 기어(113)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노즈(115)(nose), 제1 노즈(115)(nose)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노즈(117)(nose)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즈(115)는 탄성적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동 기어(113)의 이빨(114)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도 5에서 좌측에 표시된 장력 조절부(110)를 기준으로, 정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제1 노즈(115) 또는 제2 노즈(117)에는 제1 노즈(115)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56) 등의 탄성 수단(116)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노즈(117)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노즈(115)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동 기어(113)의 이빨(114) 사이에 끼워진 제1 노즈(115)를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빼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노즈(117)가 미조작되면, 제1 노즈(115)에 의해 봉축(111)은 정방향 회전은 허용되고 역방향 회전은 제한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봉축(111)의 정방향 회전은 와이어(10)가 봉축(111)에 감기는 회전 방향일 수 있다.
제1 감지부(130)에는 함체부(180)의 일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제1 와이어의 제1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일측 감지 수단(131), 함체부(180)의 타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 와이어의 제2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타측 감지 수단(132)이 각각 독립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부(130)에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 중 어느 하나만 연결되어도 제1 감지부(130)는 정상적으로 와이어(1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제1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모두 연결되어도 제1 감지부(130)는 정상적으로 와이어(1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생성부(101)는 제1 장력 변화 또는 제2 장력 변화가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부(180)의 일면에는 돌기 형상의 제1 회전축(181)과 제2 회전축(182)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 감지 수단(131)은 제1 회전축(18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함체부(180)에 설치될 수 있다.
타측 감지 수단(132)은 제2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함체부(180)에 설치될 수 있다.
지형 특성으로 인해, 특정 기둥(30)으로 인입되는 와이어(10)는 기둥(3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지 않고 기울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측 감지 수단(131) 또는 타측 감지 수단(132)은 와이어(10)의 인입 각도에 맞춰 회전될 수 있다.
함체부(180)는 윗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의 빈 수용 공간(188)에는 생성부(101), 각종 전기 회로, 도선이 수납될 수 있다. 전기 회로에는 이벤트 신호를 원거리의 관리 서버로 유무선 전송하는 통신부, 제1 감지부(130), 제2 감지부(230), 제3 감지부(330), 생성부(101)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함체부(180)의 개구된 윗면을 덮는 커버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150)에는 제2 감지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는 상기 함체부(18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50)의 일단으로부터, 제1 감지부(130)가 형성된 함체부(180)의 외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림판(153)이 마련될 수 있다.
가림판(153)은 외측면에 형성된 제2 감지부(230)를 사이에 두고 함체부(180)의 외측면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림판(153)은 제2 감지부(230)를 덮거나 가리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가림판(153)은 커버부(1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커버부(150)를 함체부(180)에 결합하면, 함체부(180)의 개구된 윗면이 폐쇄되는 동시에 함체부(180)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 감지부(230)가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제3 감지부(330)는 함체부(180)의 윗면으로부터 커버부(150)가 이탈되거나, 함체부(180)의 외측면으로부터 가림판(153)이 멀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생성부(101)는 제3 감지부(330)에 의해, 함체부(180)의 윗면으로부터 커버부(150)가 이탈되거나, 함체부(180)의 외측면으로부터 가림판(153)이 멀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부(150)에 대면되는 함체부(180)의 일면에는 커버부(150)가 함체부(180)의 윗면을 덮을 때 커버부(150)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눌려지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버튼이 제3 감지부(330)에 해당될 수 있다.
버튼은 함체부(180)의 윗면으로부터 커버부(150)가 이탈되면 커버부(15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원복할 수 있다.
생성부(101)는 버튼이 원복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함체부(180)의 윗면을 덮는 커버부(150)에는 함체부(180)에 지지되고 함체부(180)의 윗면을 덮는 제1 부재(151), 제1 부재(151)를 사이에 두고 함체부(180)의 윗면 전체를 덮는 제2 부재(15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재(152)는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부재(151)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부재(152)에는 제1 부재(151)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157), 가드에 끼워지는 스프링(156)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57)에 대면되는 제1 부재(151)의 일면에는 가이드(157)가 통과하는 통과 구멍(154)이 마련될 수 있다. 통과 구멍(154)의 직경은 가이드(157)의 외경 이상이면서, 스프링(15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통과 구멍(154)을 통과한 가이드(157)의 단부에는 통과 구멍(154)보다 큰 외경의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재(152)는 제1 부재(151)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부재(152)에 대면되는 제1 부재(151)의 일면에는 압력 센서가 마련될 수 있다.
압력 센서에 대면되는 제2 부재(152)의 일면에는 압력 센서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155)가 형성될 수 있다.
생성부(101)는 제2 부재(152)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가압 돌기(155)가 압력 센서를 가압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감지부(330)에 해당되는 버튼은 제1 부재(151)에 의해 눌려지거나 제2 부재(152)에 의해 눌려질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에 대면되는 제1 부재(151)의 일면에는 버튼이 온전히 통과되는 바이패스 구멍(158)이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구멍(158)을 통과한 버튼은 제2 부재(152)에 대면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부(180)로부터 커버부(150)를 떼어내려는 침입자의 시도가 감지되는 동시에, 제1 부재(151)로부터 제2 부재(152)를 떼어내려는 시도가 추가로 감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이상에서 살펴본 펜스 장치(100)는 함체부(180), 제1 감지부(130), 제1 부재(151), 제2 부재(152), 제2 감지부(230), 제3 감지부(330), 생성부(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부(180)에는 지면에 고정된 기둥(30)에 설치되는 착탈부(190)가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감지부(130)는 함체부(180)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연결된 와이어(10)의 장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1 부재(151)는 통 형상의 함체부(180)의 윗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부재(152)는 제1 부재(151)를 사이에 두고 함체부(180)의 윗면을 덮으면서 제1 부재(15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감지부(230)는 제2 부재(152)에 대면되는 제1 부재(151)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2 부재(152)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제2 부재(152)에 인가된 압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3 감지부(330)는 제1 부재(151) 또는 제2 부재(152)가 함체부(180)의 윗면에 설치되면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제1 부재(151) 또는 제2 부재(152)가 함체부(180)의 윗면으로부터 이탈되면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생성부(101)는 제1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장력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거나, 제2 감지부(230)에서 감지된 압력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거나, 제3 감지부(330)가 제2 모드를 만족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부재(151)의 단부로부터 함체부(180)의 타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림판(153)이 마련될 수 있다.
가림판(153)은 함체부(18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감지부(230)를 사이에 두고 함체부(180)의 타측면에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펜스 장치(100)는 철책에 적용될 수 있다.
펜스 장치(100)에 연결된 와이어(10)는 철책의 철망(20)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철망(20)의 상단에는 윤형 철조망(70)이 마련될 수 있다.
펜스 장치(100)는 철망(20)을 지지하는 기둥(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와이어 20...철망
30...기둥 70...윤형 철조망
100...펜스 장치 101...생성부
110...장력 조절부 111...봉축
113...제동 기어 114...이빨
115...제1 노즈 116...탄성 수단
117...제2 노즈 118...연결 볼트
119...몸체 120...조절 덮개
130...제1 감지부 131...일측 감지 수단
132...타측 감지 수단 150...커버부
151...제1 부재 152...제2 부재
153...가림판 154...통과 구멍
155...가압 돌기 156...스프링
157...가이드 158...바이패스 구멍
180...함체부 181...제1 회전축
182...제2 회전축 188...수용 공간
189...착탈 구멍 190...착탈부
191...나사산 193...착탈 볼트
230...제2 감지부 330...제3 감지부

Claims (17)

  1.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함체부에 인가되는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장력 변화가 감지되거나 상기 압력 변화가 감지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펜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는 지면에 고정된 특정 기둥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특정 기둥에 설치된 상기 함체부로부터 다른 기둥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제1 감지부, 상기 제2 감지부, 상기 생성부는 상기 함체부에 마련되는 펜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간격마다 상기 함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특정 기둥에 설치된 함체부마다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제1 감지부는 와이어가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당겨질 때의 장력 변화 또는 상기 와이어가 끊어질 때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감지부는 침입자가 상기 특정 기둥에 설치된 함체부의 윗면에 발을 디딜 때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펜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3 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제3 감지부는 상기 제1 감지부, 상기 제2 감지부, 상기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함체부의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 감지부, 상기 제2 감지부, 상기 생성부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이 상기 함체부의 외부로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해 상기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에 지지되는 스트레인 게이지가 마련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단부에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함체부에 지지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의 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력 조절부의 일단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연결되고, 상기 장력 조절부의 타단부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펜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에는 상기 함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제1 와이어의 제1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일측 감지 수단, 상기 함체부의 타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 와이어의 제2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타측 감지 수단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1 장력 변화 또는 상기 제2 장력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일면에는 돌기 형상의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감지 수단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함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타측 감지 수단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함체부에 설치되는 펜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초기 장력을 세팅하는 장력 조절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력 조절부에는 상기 제1 감지부에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봉축, 상기 봉축에 설치된 제동 기어가 마련되며,
    상기 봉축의 단부 또는 상기 제동 기어에는 상기 봉축 또는 상기 제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노브가 장착 가능한 홈 또는 돌기 등의 장착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장력 조절부에는 상기 봉축의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걸림쇠가 마련되며,
    상기 걸림쇠에는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동 기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노즈(nose), 상기 제1 노즈(nose)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노즈(nose)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노즈는 탄성적으로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동 기어의 이빨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제2 노즈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노즈와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동 기어의 이빨 사이에 끼워진 상기 제1 노즈를 탄성력을 극복하고 강제로 빼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노즈가 미조작되면, 상기 제1 노즈에 의해 상기 봉축은 상기 정방향 회전은 허용되고 상기 역방향 회전은 제한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정방향 회전은 상기 와이어가 상기 봉축에 감기는 회전 방향인 펜스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는 윗면이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부의 개구된 윗면을 덮는 커버부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제2 감지부가 설치되는 펜스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함체부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외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림판이 마련되며,
    상기 가림판은 상기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감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부의 외측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펜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윗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이탈되거나, 상기 함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림판이 멀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제3 감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3 감지부에 의해 상기 함체부의 윗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이탈되거나, 상기 함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가림판이 멀어지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대면되는 상기 함체부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함체부의 윗면을 덮을 때 상기 커버부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눌려지는 버튼이 마련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함체부의 윗면으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이탈되면 상기 커버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원복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버튼이 원복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윗면을 덮는 커버부가 마련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함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함체부의 윗면을 덮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부의 윗면 전체를 덮는 제2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부재는 탄성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상기 제1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제2 부재에 대면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에는 압력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압력 센서에 대면되는 상기 제2 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압력 센서에 밀착되는 가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제2 부재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가압 돌기가 상기 압력 센서를 가압하면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의 일면에는 지면에 고정된 기둥에 착탈되는 착탈부가 형성되고,
    상기 착탈부의 해제로 인한 상기 함체부의 위치 변동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장력의 변화를 유발하며,
    상기 생성부는 상기 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펜스 장치.
  16. 지면에 고정된 기둥에 설치되는 착탈부가 일측면에 형성된 함체부;
    상기 함체부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연결된 와이어의 장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상기 함체부의 윗면에 지지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부의 윗면을 덮으면서 상기 제1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부재;
    상기 제2 부재에 대면되는 상기 제1 부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제2 부재에 인가된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함체부의 윗면에 설치되면 제1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부재 또는 상기 제2 부재가 상기 함체부의 윗면으로부터 이탈되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제3 감지부;
    상기 제1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장력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거나, 상기 제2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 변화가 설정값을 만족하거나, 상기 제3 감지부가 상기 제2 모드를 만족하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는 펜스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단부로부터 상기 함체부의 타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림판이 마련되고,
    상기 가림판은 상기 함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2 감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함체부의 타측면에 대면하게 배치되는 펜스 장치.
KR1020210120410A 2021-09-09 2021-09-09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KR102638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10A KR102638635B1 (ko) 2021-09-09 2021-09-09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410A KR102638635B1 (ko) 2021-09-09 2021-09-09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275A true KR20230037275A (ko) 2023-03-16
KR102638635B1 KR102638635B1 (ko) 2024-02-20

Family

ID=8598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410A KR102638635B1 (ko) 2021-09-09 2021-09-09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6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701A (ja) *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犯センサー
KR100862623B1 (ko) * 2007-09-14 2008-10-09 (주)조은시스템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외곽울타리 보안 장치 및 이를이용한 외곽울타리
KR101020568B1 (ko) 2009-09-09 2011-03-09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장력감지식 보안시스템
CN213710637U (zh) * 2020-09-27 2021-07-16 吉林省全向科技有限公司 一种周界报警光缆栅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8701A (ja) *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犯センサー
KR100862623B1 (ko) * 2007-09-14 2008-10-09 (주)조은시스템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외곽울타리 보안 장치 및 이를이용한 외곽울타리
KR101020568B1 (ko) 2009-09-09 2011-03-09 수원대학교산학협력단 장력감지식 보안시스템
CN213710637U (zh) * 2020-09-27 2021-07-16 吉林省全向科技有限公司 一种周界报警光缆栅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635B1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1822B2 (en) Sensing assembly for article to be monitored
JP2021533393A (ja) 水文地質学的リスク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0713930B2 (en) Evacuation guidance system and evacuation guidance method
US20120138883A1 (en) Taut Wire Fence System
KR101483293B1 (ko)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GB2427056A (en) Security device with mechanical and electrical tethers
EP1125265A1 (en) Intrusion detection fence with trip wires and common actuator
KR20230037275A (ko) 지주 탈부착형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펜스 장치
US20120176243A1 (en) Cable, sheath, and systems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CN213710637U (zh) 一种周界报警光缆栅栏
KR101643815B1 (ko) 힘 감지기반 스마트 방충망 장치를 이용한 위험감지 시스템 및 위험감지방법
KR101303141B1 (ko) 잠금장치
US10858857B2 (en) Anti-climbing device
US10535238B2 (en) Barbed tape and security sensor assembly
EP4012678A1 (en) Security system
KR20230049457A (ko) 장력 변화 측정 방식의 중앙형 펜스 장치
JP3128260U (ja) 侵入防止警戒バリアーシステム
CN210806939U (zh) 一种内置烟雾报警装置的电机接线盒结构
KR101822489B1 (ko)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101745510B1 (ko) 교량 투신 감지 시스템
JP2006048416A (ja) 監視装置
TW201601124A (zh) 指示裝置及公共急救設備
CN220398773U (zh) 一种新型张力围栏传感桩及周界入侵报警系统
KR102623469B1 (ko) 에너지 하베스팅을 이용한 센서하우징의 분리여부 감지 및 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