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489B1 -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489B1
KR101822489B1 KR1020170097008A KR20170097008A KR101822489B1 KR 101822489 B1 KR101822489 B1 KR 101822489B1 KR 1020170097008 A KR1020170097008 A KR 1020170097008A KR 20170097008 A KR20170097008 A KR 20170097008A KR 101822489 B1 KR101822489 B1 KR 10182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rol unit
unit
intelligent control
cr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근
정지호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주)한국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한국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7009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의 정보수집수단과 유선 연결되는 유선통신부와; 유선통신부와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유선통신부와 유선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할 수 있는 영상부;를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관제장치 없이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정보를 볼 수 있으며,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관제유닛이며, 본 발명의 방범방재 시스템은 이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Intelligent-control-unit for crime-disaster prevention and crime-disaster prevention system utilizing intelligent-control-unit}
본 발명은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의 정보수집수단과 유선 연결되는 유선통신부와; 유선통신부와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함으로써,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관제유닛이며, 본 발명의 방범방재 시스템은 이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범방재 시스템이란, 방범과 방재를 위해 작동하는 각종 센서 및 카메라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 각종 센서 및 카메라로 획득한 정보를 활용하여 범죄행위나 재해의 조짐이 보일 시, 경보나 시각적 주의를 주어 범죄와 재해를 예방을 하며, 범죄가 자행될 경우, 저장된 카메라 영상 및 센서의 흔적으로 범죄자 검거 목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은 방범센서와 방범카메라와 방재센서 등이 설치된 위치정보와 융합되지 못하고, 해당 센서와 카메라의 위치 및 범위에 대한 직관적 표현이나 표시 없이 각각 작동하고 있어, 각각의 센서와 카메라 등이 설치된 위치와 작동범위를 숙지하지 못하면, 이 시스템을 통한 정확한 방범과 방재 활동이 이루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범방재 시스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그 예로, 국내특허등록 제934978호에서는,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공간의 일부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획득 장치; 상기 영상획득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영상 저장장치; 및 상기 공간에 상응하는 공간정보 및 상기 공간상에 위치한 상기 영상 획득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영상획득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공간정보 또는 상기 영상획득 장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획득 장치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장치에 디스플레이될 영상을 제어하고, 상기 공간정보 및 상기 영상획득 장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상기 영상획득 장치 간의 위상관계 또는 대응되는 공간의 위상관계를 파악하여 상기 공간 중 일부인 제1공간에 대응되는 제1영상 및 상기 제1공간에서 소정의 객체가 이동 가능한 제2공간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영상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공간정보를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다.
등록번호/일자 1009349780000 (2009.12.23)
그러나 국내특허등록 제934978호의 "공간정보를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및 이와 유사하게 특정 객체의 출현 및 움직임과 같은 특정 이벤트의 발생의 파악하는 방범방재 시스템의 경우, 분전반의 상태파악 및 관리 그리고 그 외의 침입이나 재해를 감지하는 센서와 연동 되지 않아, 카메라와 같은 영상획득 장치에서 감지되지 않거나 감지시점이 늦은 범죄나 재해를 예방 또는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공간정보를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및 이와 유사한 방범방재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영상획득 장치와 디스플레이하는 제어장치 사이에서 정보가 오가는 통신유닛의 경우, 영상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오가는 통신유닛으로서 작동할 뿐, 이 통신유닛 자체에서 연결된 장치의 이상정보를 파악하거나 보여주는 기능이 없어 최종적으로 정보를 받는 제어장치나 관제장치에 필히 영상획득 장치에서 획득한 정보 중 이상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 알려줄 컴퓨터와 같은 장치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영상획득 장치는 외부에서 공급받던 전원이 차단될 경우를 대비해서 무정전 전원장치를 구성하는데, 이 무정전 전원장치는 크고 무겁고 외관상 좋지 않아 사용이 꺼려지는 문제점이 있을뿐더러, 하나의 무정전 전원장치에 다수의 영상획득 장치가 연결되어 사용되기에 이 무정전 전원장치가 고장 날 경우 외부전원이 차단되면 다수개의 영상획득 장치가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의 정보수집수단 및 관제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유선통신부; 유선통신부와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함으로써,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유선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할 수 있는 영상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상부는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시각적 표시를 해주며, 지능형관제유닛이 관제장치와 무선통신하는 보조무선통신부를 포함함으로써, 고장이나 범죄 또는 재해로 인해 유선통신 불량이더라도 통신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은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를 포함하는 정보수집수단; 정보수집수단과 유선 연결되는 지능형관제유닛; 지능형관제유닛과 유선 연결되어,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정보수집수단이 설치된 시설정보와 함께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하는 관제장치;를 포함하여,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지능형관제유닛에서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고, 관제장치에 이상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은 정보수집수단에서 다수개의 카메라기기를 포함하되, 각각의 카메라기기마다 보조베터리를 포함하며, 지능형관제유닛의 제어부는 카메라기기의 작동오류를 파악하며, 관제장치는 지능형관제유닛의 제어부에서 판단된 작동오류의 카메라기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리셋 또는 리부팅함으로써, 카메라기기의 작동오류를 리셋 또는 리부팅으로 해결하면서, 카메라기기의 외부전원이 차단될 경우 보조베터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제어부에서 유선통신부와 유선 연결된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의 이상정보를 판단하면 경보기부에서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지능형관제유닛 주변에서 경보를 들은 관리자가 빠르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뿐더러, 지능형관제유닛에서 이상정보를 파악 및 판단해줌으로써, 컴퓨터와 같은 관제장치가 구성될 필요없이 정보수집수단의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만 구성되어도 되는데, 지능형관제유닛에서 정보수집수단의 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영상부가 포함되면 별도의 관제장치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제어부에서 유선통신 불량을 판단하면 보조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통신함으로써, 고장이나 범죄 또는 재해로 인해 유선통신 불량이더라도 통신이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범방재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효과를 가진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이 방범방재 시스템의 카메라기기마다 외부전력이 차단될 경우 사용되는 보조베터리가 각각 구성됨으로써, 크고 무거운 종래의 무정전 전원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작고 가벼우면서 미관을 해치지 않을뿐더러, 종래의 무정전 전원장치가 고장 시, 연결된 다수 또는 전부의 카메라기기가 작동되지 못하는 점과 달리 본 발명은 각각의 카메라기기마다 구성된 보조베터리에 의해 보조베터리가 고장난 카메라기기만 작동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능형관제유닛의 제어부에서 카메라기기에서 작동오류을 파악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관제장치를 통해 작동오류의 카메라기기를 리셋 또는 리부팅할 수 있어 카메라기기의 작동오류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이상정보를 파악한 방범방재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유선통신 불량을 파악한 방범방재 시스템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른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의 사시도.
도 5 내지 8은 본 발명의 예시에 따라 관제장치의 방범방재 정보관리화면.
본 발명은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은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의 정보수집수단과 유선 연결되는 유선통신부와; 유선통신부와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함으로써,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지능형관제유닛이며, 본 발명의 방범방재 시스템은 이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을 설명하고 이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Intelligent Control Unit)(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통신부(110)와 제어부(120)와 경보기부(130)와 전원부(140)와 보조무선통신부(150)와 영상부(160)를 포함하며, 여기서 유선통신부(110)는 통신포트 구조로, 후술되는 정보수집수단(200)에 속한 분전반기기(210), 카메라기기(220), 기상관측기기(230), 화재감지기기(240), 재실감지기기(250), 중 적어도 두가지의 기기, 및 관제장치(300), 그리고 영상분석서버(400)와 유선 연결되어 통신한다.
이때, 유선통신부(110)는 알에스이삼이씨(RS232C) 또는 알에스사팔오씨(RS485C) 통신으로 정보수집수단(200) 및 관제장치(300)와 연결되되, 15 내지 20개 구성되는 알에스사팔오씨 통신포트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선통신부(110)는 스위치허브가 내장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유선통신부(110)와 유선 연결된 정보수집수단(200)의 각 기기에서 전달되는 이상정보를 파악하는데, 이 이상정보는 분전반기기(2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누전, 과전류, 과전압, 정전 등의 정보이며, 카메라기기(220)에서 촬영한 영상정보 또는 영상분석서버(400)에서 분석한 이상정보이며, 기상관측기기(230)에서 관측한 폭염, 폭풍, 폭우, 폭설, 지진, 미세먼지 농도 및 일기예보에서 전달받은 기상재해 정보이며, 화재감지기기(240)에서 감지한 화재 및 연기정보, 그리고 재실감지기기(250)에서 감지한 움직임의 정보이다.
또, 제어부(120)는 유선통신부(110)와 유선 연결된 관제장치(300)의 유선통신 불량을 파악하며, 후술되는 전원부(140)의 보조베터리(141)와 카메라기기(220)의 보조베터리(221) 불량 또는 충전상태를 파악한다.
그리고 경보기부(13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20)에서 판단한 정보수집수단(200)의 이상정보에 따라 각각 다른 경보음과 경보표시등을 발생하여 해당 경보음과 경고표시로 어떠한 이상정보가 발생하였는지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경보기부(130)는 제어부(120)에서 판단한 전원부(140)와 카메라기기(220)의 보조베터리(141)(221) 불량 또는 방전이나 1~15%의 충전량일 경우, 보조베터리(141)(221) 교체를 알리는 경보음 및 경보표시등을 발생한다.
그리고 전원부(140)는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로 종래의 에스엠피에스(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구성하여 220V의 외부전원을 12V로 변압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전원이 차단될 경우 사용되는 보조베터리(141)를 포함한다.
그리고 보조무선통신부(150)는 후술되는 관제장치(300) 및 보조관제장치(310)와 무선통신하되, 이 무선통신은 관제장치(300)가 유선 연결에 문제가 없을 시 무선통신을 하지 않다가 제어부(120)에서 유선통신 불량을 판단할 경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되어 유선통신 불량의 해당 기기 또는 관제장치와 무선통신한다.
그리고 영상부(16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 연결된 정보수집수단(200)에서 수집된 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스크린이며, 제어부(120)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시각적 표시를 해준다.
이때, 영상부(16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능형관제유닛(100)이 설치된 시설의 전경과 기상관측기기(230)에서 전달받은 기상정보 및 일기예보를 보여주며, "비상해제" 메뉴를 통해 제어부(120)에서 판단한 이상정보 경보를 해제할 수 있으며, "경계시작", "경계해제" 등의 메뉴로 정보수집수단(200) 중, 재실감지기기(250)와 같은 기기를 온/오프할 수 있다.
또,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장비등록"과 "설계도면"의 메뉴를 통해 정부수집수단(200)의 각 기기를 설치된 위치와 맞게 등록할 수 있으며, "경보이력"의 메뉴 통해 제어부(120)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의 이력을 살펴볼 수 있으며, "정비일지"의 메뉴를 통해 정보수집수단(200)의 각 기기들을 정비한 이력을 기록하고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베터리(141)의 충전상황, 각 실의 분전반기기(210)의 상황, 카메라기기(220)의 상황을 보여줄 수 있으며, 카메라기기(220)의 작동오류가 있을 시 사용자 선택에 의해 리셋 또는 리부팅 할 수 있다.
또,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가 일어난 건물을 시각적으로 표시를 해주며, 화재가 일어난 건물에 설치된 화재감지기기(240)에서 전달받은 온도, 습도, 연기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100)은 연결된 정부수집수단(200)의 각종 기기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해당 기기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고장이나 범죄 또는 재해로 인해 유선통신 불량이더라도 무선통신 되어 통신의 끊김이 없으며, 외부전원이 차단될 경우 보조베터리(141)가 사용되며, 이 보조베터리(141)의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정보수집수단(200)에서 전달받은 이상정보를 파악해주는 제어부(120), 정보수집수단(200)에서 전달받은 정보 및 이상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영상부(160), 그리고 이상정보를 경보하는 경보기부(130)가 한 유닛에 다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관제장치가 구성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이 있다.
다음, 앞서 설명한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100)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은 지능형관제유닛(100)과 정보수집수단(200)과 관제장치(300)와 영상분석서버(400)를 포함하는데, 정보수집수단(200)은 분전반기기(210), 카메라기기(220), 기상관측기기(230), 화재감지기기(240), 재실감지기기(250), 중 적어도 두가지의 기기를 포하며,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수집수단(200)의 각 기기는 전술한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영상부(120) 또는 후술되는 관제장치(300)에서 "장비등록"이란 메뉴를 통해 등록된다.
여기서 분전반기기(210)는 분전반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 전달하는데, 이때 전달되는 정보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기의 상태, 분전반의 알(R)상 사용전류량, 에스(S)상 사용전류량, 티(T)상 사용 전류량, 분전반 내부온도, 분전반의 정상인지 아닌지, 그리고 아크, 정전, 누전, 과전류, 전선과부하, 문열림이 발생했는지 또는, 히터 작동여부, 및 분전반기기(210)에 작용한 충격 및 진동의 정보이다.
그리고 카메라기기(220)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정보를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 정보전달하되, 외부전원차단을 대비해 다수의 카메라기기(220)들이 하나의 무정전 전원장치와 연결되지 않고, 카메라기기(220)마다 보조베터리(221)가 구성된다.
이때, 다수개의 카메라기기(220)는 광각 또는 초광각 렌즈의 카메라기기(220) 및 열화상 카메라기기(220)로 구성되는데, 초광각 렌즈의 카메라기기(220)로 구성될 경우, 넓은 화각에 의해 적은 수의 카메리기기(220)로 넓은 장소의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열화상 카메라기기(220)가 구성될 경우, 침입자가 있을 시, 침입자 신체의 열을 열화상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 시, 불의 열화상 영상을 감지하여, 종래의 화재감지기들 보다 빠르게 화재를 감지할 수있다.
또, 카메라기기(220)에서 작동오류가 발생 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관제장치(300)나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조작에 의해 작동오류의 카메라기기(220)를 리셋 또는 리부팅 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상관측기기(230)는 통상의 기상관측기와 같이 설치된 지점의 기상정보를 관측하고 기상청의 일기예보와 같은 외부의 정보도 획득하여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 전달하며, 전달되는 기상정보로는 날씨, 풍속, 풍향, 온도, 습도, 강수량, 강설량, 미세먼지 농도 및 폭우주의, 폭염주의, 폭설주의, 폭우주의, 태풍주의, 지진 등이다.
그리고 화재감지기기(240)는 통상의 화재감지기로 온도감지, 불꽃감지, 연기감지, 습도감지 및 차동식감지 등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 화재정보를 전달하며, 재실감지기기(250)는 적외선을 통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진동 감지 등으로 정해진 실내에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기로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 침입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관제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지능형관제유닛(100)을 통해 정보수집수단(200)의 각 기기에서 수집된 정보를 보여주고 제어하는 장치로, 관제센터와 같이 여러 지역에 설치된 지능형관제유닛(100)과 연결되어 여러개의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부터 전달된 여러지역의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좋으나, 하나 또는 적은 개수의 지능형관제유닛(100)과 연결된 관제장치(300)는 디스플레이장치로만 구성되어 지능형관제유닛(100)을 통해 전달받은 정보수집수단(200)의 정보를 보여주면서,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제어부(120)에서 판단한 이상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때, 관제장치(300)는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영상부(120)의 설명과 같이, 어느 하나의 지능형관제유닛(100), 그리고 이 지능형관제유닛(100)과 연결된 정보수집수단(200)이 설치된 시설의 정보(명칭, 위치정보, 전경도, 평면도 등)와 정부수집수단(200)으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보여주고, 화재나 침임 등의 재난 및 범죄가 감지될 때, 화면과 소리로 알려줄 뿐만 아니라 범죄 감지일 경우 경찰청에, 재난 감지일 경우 소방서에 정보를 자동전달할 수 있다.
또, 관제장치(300)는 여러 지능형관제유닛(100)과 연결되어 관리할 경우, 관제장치(300)화면에 각각의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정보(설치된 장소의 명칭, 설치된 위치 등)를 표시하여 선택시 해당 지능형관제유닛(100)이 관리하는 정보를 보고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보조관제장치(310)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 보조관제장치(310)는 휴대가능하면서 무선통신 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스마트폰이나 테블릿피씨 및 노트북 등과 같은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보조관제장치(310)는 관제장치(300) 및 지능형관제유닛(100)과 무선통신 되어 관제장치(300)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열람하고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분석서버(400)는, 병렬구조의 씨피유(CPU) 또는 병렬구조의 지피유(GPU)로 구성된 서버로,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유선통신부(110)와 관제장치(300)와 유선 연결되어, 지능형관제유닛(100) 통해 전달된 카메라기기(220)의 영상정보를 분석, 또는 카메라기기(220)의 영상정보와 그 외의 정보수집수단(200)의 기기의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영상정보에서 이상정보가 있을 시, 분석된 이상정보를 관제장치(300)나 지능형관제유닛(100)의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여기서, 영상분석서버(400)는 병렬구조의 지피유를 구성하고, 지능형관제유닛(100)으로부터 정보수집수단(200)의 정보를 전달만 받고, 영상분석서버(400)에서 분석된 이상정보를 관제장치(300)로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영상분석서버(400)는 병렬구조의 씨피유나 지피유로 광각 또는 초광각 렌즈의 카메라기기(220) 및 열화상 카메라기기(220)에서 전달된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저장하되, 초광각 렌즈의 카메라기기(220)에서 전달받은 영상을 분석할 경우, 초광각 렌즈에 의해 굴절된 영상정보를 보정하면서 분석하여 침입, 도난, 파손, 화재 등의 이상정보를 알아낸다.
또, 영상분석서버(400)는 카메라기기(220)의 영상정보와 그 외의 정보수집수단(200)의 기기의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할 수 있는데, 일 예로, 열화상 카메라기기(220)의 영상정보 중, 특정부위의 온도가 기상관측기기(230)에서 전달받은 온도보다 30 내지 39℃ 높을 경우 화재주의에 해당하는 이상정보로 분석하고, 40℃ 이상으로 높을 경우 화재에 해당하는 이상정보로 분석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은 방범방재 지능형관제유닛의 특징과 같이 정보수집수단(200)의 이상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통신의 끊김이 없고, 보조베터리(141) 교체시기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조관제장치(310)에 의해 무선통신 가능한 장소에서는 정보수집수단(200)의 기기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0: 지능형관제유닛 110: 유선통신부 120: 제어부
130: 경보기부 140: 전원부 141,221: 보조베터리
150: 보조무선통신부 160: 영상부 200: 정보수집수단
210: 분전반기기 220: 카메라기기 230: 기상관측기기
240: 화재감지기기 250: 재실감지기기 300: 관제장치
310: 보조관제장치 400: 영상분석서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분전반기기, 카메라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 중 적어도 두가지의 기기를 포함하는 정보수집수단과, 관제장치와 유선 연결되는 유선통신부;
    유선통신부와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며, 유선통신부와 관제장치의 유선통신 불량을 파악하는 제어부;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기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유선통신부와 유선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에서 판단한 이상정보에 따라 시각적 표시하는 영상부;
    관제장치와 무선통신하는 보조무선통신부;를 하나의 유닛에 포함하여,
    보조무선통신부는 제어부에서 유선통신 불량을 판단할 경우에만 관제장치와 무선통신함으로써,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각 기기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여 해당 기기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의 정보와 이상정보를 화면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이나 범죄 또는 재해로 인해 관제장치와 유선통신 불량이더라도 무선통신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4. 삭제
  5. 분전반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 중 적어도 한가지의 기기와, 다수개의 카메라기기를 포함하고, 다수개의 카메라기기는 각각의 카메라기기마다 보조베터리를 포함하는 정보수집수단;
    상기 정보수집수단과 유선 연결되고,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고, 판단된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는 청구항 3항의 지능형관제유닛;
    이 지능형관제유닛과 유선 연결되어,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정보수집수단이 설치된 시설정보와 함께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하는 관제장치;를 포함하되,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지능형관제유닛에서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고, 관제장치는 화면으로 이상정보를 보여주며,
    지능형관제유닛의 제어부에서 카메라기기의 작동오류를 파악하며, 관제장치는 지능형관제유닛의 제어부에서 판단된 작동오류의 카메라기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리셋 또는 리부팅함으로써,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카메라기기의 작동오류를 리셋 또는 리부팅으로 해결하면서, 카메라기기의 외부전원이 차단될 경우 보조베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6. 삭제
  7. 분전반기기, 기상관측기기, 화재감지기기, 재실감지기기, 중 적어도 한가지의 기기와, 다수개의 카메라기기를 포함하되, 다수개의 카메라기기는 광각 또는 초광각 렌즈의 카메라기기, 열화상 카메라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는 정보수집수단;
    상기 정보수집수단과 유선 연결되고, 정보수집수단의 이상정보를 파악하고, 판단된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는 청구항 3항의 지능형관제유닛;
    이 지능형관제유닛과 유선 연결되어,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정보수집수단이 설치된 시설정보와 함께 화면으로 보여주고 제어하는 관제장치;
    휴대가 가능하고 지능형관제유닛 또는 관제장치와 무선통신 되고 정보수집수단에서 수집된 정보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보조관제장치;
    지능형관제유닛과 관제장치와 유선 연결되고 지피유(GPU)가 병렬로 구성되어 지능형관제유닛을 통해 전달된 카메라기기의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이상정보를 관제장치 또는 지능형관제유닛으로 전달하는 영상분석서버;를 포함함으로써,
    병렬의 지피유로 다수개의 카메라기기에서 전달된 영상정보를 분석하며, 연결된 정보수집수단에서 이상정보가 전달되면, 지능형관제유닛에서 이상정보에 따른 경보를 발생하고, 관제장치는 화면으로 이상정보를 보여주며, 휴대 가능한 보조관제장치를 통해 무선통신 가능한 장소에서 정보수집수단의 기기에서 수집되는 방범방재의 정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1020170097008A 2017-07-31 2017-07-31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10182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08A KR101822489B1 (ko) 2017-07-31 2017-07-31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008A KR101822489B1 (ko) 2017-07-31 2017-07-31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489B1 true KR101822489B1 (ko) 2018-01-26

Family

ID=6102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008A KR101822489B1 (ko) 2017-07-31 2017-07-31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4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37B1 (ko) 2020-03-09 2020-07-08 (주)지인테크 적응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22B1 (ko) 2012-03-07 2013-05-15 박정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원격 점검용 인터페이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0422B1 (ko) 2012-03-07 2013-05-15 박정길 통합 관제 시스템의 원격 점검용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437B1 (ko) 2020-03-09 2020-07-08 (주)지인테크 적응형 영상 감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1444B1 (ko) Cctv 모니터링 시스템
CA2814366C (en) System and method of post event/alarm analysis in cctv and integrated security systems
US20090121861A1 (en) Detecting, deterring security system
KR102290963B1 (ko) 스마트 안전관리 지주 장치
KR102135619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산불화재 감시 및 시설물 자율 점검 시스템
US20140293049A1 (en) Fire Detection and Surveillance System
KR20070029760A (ko) 감시 장치
EP2678842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CN101587630A (zh) 可过滤误报警的智能视频监控系统
US9633534B2 (en) Dual-detector capacity intrusi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ation thereof
CN105279878A (zh) 无线视频防盗自动报警系统及其方法
US20050103506A1 (en) Fire protection method
KR20100103061A (ko) 가로등을 기반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관리 시스템
KR101729985B1 (ko) 영상정보를 이용해 다수의 터널통합방재장치를 통합 관리하는 터널 통합 방재 방송 시스템
KR101326707B1 (ko) 방범 및 차량번호인식 일체형 카메라 시스템
KR101822489B1 (ko) 방범방재용 지능형관제유닛 및 지능형관제유닛을 활용한 방범방재 시스템
KR101138212B1 (ko) 영상인식 및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56832A (zh) 基于图像型火灾探测器报警系统
KR100719505B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KR20220036672A (ko) 데이터 기반의 3d 시각화가 가능한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411295Y1 (ko) 터널 방재 관리시스템
CN113643508B (zh) 防灾紧急通道监控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5976564A (zh) 一种多功能远程监控系统
KR20120139179A (ko) 산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211180641U (zh) 一种工厂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