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681A -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681A
KR20230036681A KR1020210119494A KR20210119494A KR20230036681A KR 20230036681 A KR20230036681 A KR 20230036681A KR 1020210119494 A KR1020210119494 A KR 1020210119494A KR 20210119494 A KR20210119494 A KR 20210119494A KR 20230036681 A KR20230036681 A KR 20230036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ath
input signal
electric ran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254B1 (ko
Inventor
박덕근
임수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Priority to KR102021011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2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2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 F24C15/106Tops, e.g. hot plates; Rings electrically heated electric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센서에 의한 제1 입력신호와 복수의 보조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2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제1 입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입력신호의 발생경로를 판단하고, 판단된 발생경로가 사용자가 아닌 대상에 관하여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입력신호에 의한 전원입력명령을 무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입력신호의 발생경로와 같이 연속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ELECTRICRANGE FOR PREVENTING FIRE ACCIDENT BY POWER INPUT OF PETS}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에 따라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전기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반려동물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으로 전기레인지가 오작동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부재 중이라면, 이러한 오작동은 화재 사고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의 사망 사고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전기레인지의 다양한 센서에 대한 입력 여부에 따라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를 판단하여, 전기레인지의 오작동을 차단하려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센서입력 여부와 같이 단편적인 특성만으로 비정상적 전원입력인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임에도 불구하고 전기레인지가 여전히 오작동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켜서, 사용자가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센서; 상기 전원센서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보조센서; 및 상기 전원센서에 의한 제1 입력신호와 상기 복수의 보조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2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입력신호의 발생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발생경로가 사용자가 아닌 대상에 관하여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입력신호에 의한 전원입력명령을 무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입력신호의 발생경로와 같이 연속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대상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켜서, 사용자가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는, 상기 대상이 상기 전기레인지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경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대상의 수평이동경로를 고려하면, 비정상적 전원입력인지를 좀더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 전원입력인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보조센서 중 상기 전기레인지 상에서 수평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2이상의 보조센서에 의한 2이상의 상기 제2 입력신호가 순차 입력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이동경로를 판단한다.
이에 의하면, 대상의 수평이동경로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 전원입력인지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함께 발생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경로가 상기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이에 의하면, 대상의 비정상적 전원입력인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오디오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발생경로가 상기 대상에 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면, 대상을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으므로, 추후 비정상적 전원입력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켜서, 사용자가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전기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전기레인지가 발생경로와 오입력 경로 간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사용자에 의한 정상입력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전기레인지가 대상의 전원입력에 대응하여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레인지(1)는 업소 또는 가정 내 주방에 설치되어 취사를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서, 전기를 활용하여 조리기구(2)를 가열한다.
전기레인지(1)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6)를 갖는다. 본체(6)는 상면(21), 전면(22), 양 측면(23) 등을 포함하는 육면체의 프레임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6)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레인지(1)의 다른 구성을 지지한다.
본체(6)의 상면(21)의 제1 영역에는 조리기구(2)를 가열하는 복수의 화구(71, 72)가 배치된다. 각 화구(71, 72)는 발열전선의 발열로 조리기구(2)를 가열하는 하이라이트(highlight) 타입 또는 유도코일에 자기장을 유도하여 조리기구(2)를 가열하는 인덕션(induction)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 화구(71, 72)는 동일한 타입으로 마련되거나, 서로 다른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전기레인지(1)가 2개의 화구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나의 화구만을 갖거나, 세 개 이상의 화구를 가질 수도 있다.
각 화구(71, 72)는 제1 영역에 놓이는 조리기구(2)를 가열하여 조리기구(2) 내 음식물이 조리되도록 한다. 조리기구(2)는 냄비, 후라이팬 등과 같이 음식물 조리를 위한 다양한 취사도구를 포함한다.
본체(6)의 상면(21)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12)가 마련된다. 사용자입력부(12)는 상면(21)의 제2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복수의 화구(12, 13)가 마련된 제1 영역과 겹치지 않는다.
본체(6)의 상면(21)에는 전원센서(14)가 배치된다. 전원센서(14)는 각 화구(71, 72)의 가열을 위한 전원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전원입력에 대응하는 제1 입력신호를 출력한다. 전원센서(14)는 각 화구(71, 72)에 대응하는 제1 전원센서(141)와 제2 전원센서(142)를 포함하여, 각 화구(71, 72) 별로 전원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체(6)의 상면(21)에는 조절센서(15)가 배치된다. 조절센서(15)는 각 화구(71, 72)에 대한 온도, 타이머 등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전원센서(14)와 조절센서(15)는 사용자입력부(12)가 마련된 상면(21)의 제2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센서(14)의 주변에는 복수의 보조센서(16)가 배치된다. 복수의 보조센서(16)는 각 화구(71, 72)가 마련된 제1 영역 및 사용자입력부(12)가 마련된 제2 영역과 겹치지 않는 상면(21)의 제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보조센서(16)는 제3 영역에 수평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거나, 격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면(21)의 테두리를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보조센서(16)의 배치 형태는 설계 방법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므로, 상면(2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적층 시에는 2이상의 단으로 적층될 수도 있다. 복수의 보조센서(16)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를 출력한다.
전기레인지(1)는 제어부(도 2의 9)를 포함한다. 제어부(9)는 전원센서(14)에 의한 제1 입력신호와 복수의 보조센서(16)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2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제1 입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의 발생경로(도 3의 24)를 판단한다.
제어부(9)는 판단된 발생경로(24)가 사용자(도 4의 10)가 아닌 대상(4)에 관하여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도 3의 50)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입력신호에 의한 전원입력명령을 무시한다. 여기서 대상(4)은 사용자가 아닌 고양이, 강아지 등과 같은 반려동물을 포함한다.
제어부(9)가 입력신호의 발생경로(24)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된 발생경로(24)가 오입력 경로(50)에 대응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도 3과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신호의 발생경로(24)와 같이 연속적인 특성을 고려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에 대한 판단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으로 판단되면, 전기레인지(1)가 작동하지 않도록 하여, 혹시 모를 화재 사고와 사망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레인지(1)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전기레인지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전기레인지(1)의 각 구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전기레인지(1)는 인터페이스부(7)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7)는 서버(3), 복수의 외부장치(5) 등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인터페이스부(7)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양한 장치와 연결한다.
인터페이스부(7)는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HDMI 포트, DisplayPort, DVI 포트, 썬더볼트, 컴포지트 (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 (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 (super video), SCART 등과 같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USB 포트 등과 같은 범용 데이터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광 전송규격에 따라 광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또는 포트 등을 포함한다.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이더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규격에 따른 커넥터 또는 포트를 포함한다. 일 예로, 유선 인터페이스부는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등으로 구현된다.
인터페이스부(7)는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전기레인지(1)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된다. 일 예로,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통신방식으로 NFC, 블루투스, 블루투스, LE, RF (radio frequency), 지그비 (zigbee), 와이파이 (Wi-Fi), UWB (ultra-wideband) 등의 무선통신을 사용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이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1대 1 다이렉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등으로 구현된다.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3), 복수의 외부장치(5) 등과 무선 통신함으로써, 이들과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한다.
전기레인지(1)는 통신부(11)를 포함한다. 통신부(11)는 통신 회로를 포함하며, 서버(3), 복수의 외부장치(5) 등과 연결되어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전송한다. 통신부(11)는 설계 방법에 따라 유선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하며, 유선 인터페이스부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기레인지(1)는 사용자입력부(12)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2)는 전기레인지(1)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의 구성이 가능하다. 일 예로, 사용자입력부(12)는 전기레인지(1)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점화레버, 버튼부, 터치패드, 터치센서, 디스플레이(18)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등을 포함한다.
전기레인지(1)는 센서부(13)를 포함한다. 센서부(13)는 전원센서(14), 조절센서(15), 보조센서(16) 등을 포함한다. 전원센서(14), 조절센서(15), 보조센서(16) 등은 터치, 접촉, 누름, 압력 등을 감지하는 접촉센서, 터치센서, 위치센서, 충격센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원센서(14)는 각 화구(71, 72)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조절센서(15)도 각 화구(71, 72)의 온도, 타이머 설정 등을 위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설계 방법에 따라 전원센서(14)와 조절센서(15)는 사용자입력부(12)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조센서(16)는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설계 방법에 따라 상면(21) 상에서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상면(21)에 대한 이격과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센서(16)는 적외선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보조센서(16)는 상면(21)의 전반에 격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면(21)의 좌우 테두리를 따라 상호 마주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거나, 상면(21)에 적층될 수도 있다.
전기레인지(1)는 출력부(17)를 포함한다. 출력부(17)는 디스플레이(18) 또는 오디오출력부(19)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18)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디스플레이(18)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을 포함한다. 오디오출력부(19)는 오디오신호에 기초하여 다양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출력부(19)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로 구현된다.
이상의 통신부(11), 사용자입력부(12), 센서부(13), 출력부(17) 등은 인터페이스부(7)와 별도의 구성으로 기재되었으나, 설계 방법에 따라 인터페이스부(7)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레인지(1)는 저장부(8)를 포함한다. 저장부(8)는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8)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비휘발성 속성의 스토리지(storage)를 포함한다. 스토리지는 플래시메모리 (flash-memory), HDD (hard-disc drive), SSD (solid-state drive), ROM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8)는 제어부(9)에 의해 처리되기 위한 데이터 등이 로드 되며,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보존할 수 없는 휘발성 속성의 메모리를 포함한다. 메모리는 버퍼 (buffer),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을 포함한다.
전기레인지(1)는 제어부(9)를 포함한다. 제어부(9)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9)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체가 SOC로 구현된다. 일 예로,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설계 방법에 따라, 전기레인지(1)는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전기레인지(1)는 제어부(9)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는 전기레인지(1)의 설치 편의성 등을 위해 배터리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버(3)와 복수의 외부장치(5)에 대해 설명한다. 서버(3)는 서버통신부(31)를 갖는다. 서버통신부(3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레인지(1), 복수의 외부장치(5) 등과 통신한다. 서버통신부(31)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기레인지(1)의 통신부(11)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서버(3)는 각 구성을 제어하는 서버제어부(32)를 포함한다. 서버제어부(32)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서버제어부(3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기레인지(1)의 제어부(9)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전기레인지(1), 복수의 외부장치(5) 등이 IoT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서버(3)는 이들을 관리하는 IoT서버, 홈서버, 오피스서버, 라우터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장치(5)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기레인지(1), 서버(3) 등과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외부장치(5)는 전기레인지(1)와 함께 IoT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외부장치(5)는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대상(4)과 관련된 사용자의 소유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외부장치(5)는 병원, 소방서 등과 같은 외부기관의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장치(5)의 구성은 도 2의 전기레인지(1)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전기레인지(1)의 구성 이외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도 인터페이스부, 저장부,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전기레인지가 발생경로와 오입력 경로 간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는 일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사용자에 의한 정상입력 경로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기레인지(1)의 제2 화구(72)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고양이가 상면(21)의 우측 하단부로 진입하여, 제2 전원센서(142)를 향하여 -Y축방향으로 걸어가다가, 제2 전원센서(142)를 터치한 상황을 가정한다.
복수의 보조센서(16)가 상면(21)에 수평으로 이격 배치된 경우, 고양이가 -Y축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인접한 2이상의 보조센서(16)를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따라, 2이상의 보조센서(16)에 2이상의 제2 입력신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9)는 고양이의 터치에 의해 입력된 2이상의 제2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상면(21)의 우측 하단부로부터 제2 전원센서(142)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된 이동경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경로(64)와는 차이가 있다. 이동경로(64)는 사용자(10)에 의한 정상입력 경로(60)로서, 상면(51)으로부터 상방의 이격된 위치에서 제2 전원센서(142)를 향하여 -Z축방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한다.
제어부(9)는 식별된 수평 이동경로를 제1 입력신호와 제2 입력신호의 발생경로(24)로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9)는 상면(21)의 좌측 하단부, 좌측 상단부, 우측 상단부 등으로부터 제2 전원센서(142)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직선, 대각선, 곡선 등을 포함하는 이동경로를 식별하고, 이를 제1 입력신호와 제2 입력신호의 발생경로(24)로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9)는 판단된 발생경로(24)가 오입력 경로(50)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 오입력 경로(50)는 상면(21)에 대응하는 가상 상면(51) 상에서 고양이가 이동 가능한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는 고양이의 고유한 종(種)특성에 따라 다른 반려동물과 다를 수 있다.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는 가상 상면(51)의 좌측 하단부, 우측 하단부, 좌측 상단부, 우측 상단부 등으로부터 가상 제2 전원센서(182)에 이르는 직선, 대각선, 곡선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가상의 수평이동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는 각 가상 전원센서(181, 182) 별로 분류되어 마련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9)는 제2 전원센서(182)에 대한 제1 입력신호가 있으면, 각 가상 전원센서(181, 182) 별로 마련된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 중에서 제2 가상 전원센서(182)에 대응하는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만을 식별하고, 판단된 발생경로(24)가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발생경로(24)와 오입력 경로(50) 간의 대응 여부는, 경로 간의 방향, 거리, 속도,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팩터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양자가 간에 반드시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9)는 복수의 팩터 간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양 경로의 형태 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문턱값 이상인 경우, 양 경로가 대응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외에, 제어부(9)는 다양한 방법으로 양 경로 간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복수의 팩터 중 소정 개수 이상이 유사하면, 양 경로가 대응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발생경로(24)가 오입력 경로(50)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9)는 제2 전원센서(142)의 제1 입력신호에 의한 전원입력명령을 무시한다. 즉, 제어부(9)는 제2 전원센서(142)에 대한 전원입력이 사용자가 아닌 고양이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으로 판단하고, 전기레인지(1)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전원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9)는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복수의 수평이동경로(54)에 관한 오입력 경로(50)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판단의 정확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한 전기레인지(1)의 사용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입력 경로(50)는 저장부(8)에 저장된 것이거나, 서버(3) 또는 복수의 외부장치(5)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오입력 경로(50)가 서버(3) 또는 복수의 외부장치(5)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9)는 발생경로(24)와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서버(3) 또는 복수의 외부장치(5)로부터 오입력 경로(50)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오입력 경로(50)에 관한 정보를 상황에 따라 직접 저장하지 않아도 되므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9)는 제1 입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ts) 내에 함께 발생된 경우, 발생경로(24)와 오입력 경로(50) 간의 대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간 범위(ts)는 대상(4)의 종특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시간 범위(ts)는 우측 하단부로부터 제2 전원센서(142)까지의 거리와 고양이의 평균 걸음 속도 또는 달리기 속도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간 범위(ts)가 10초로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10초는 고양이의 종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것일 수 있다. 제어부(9)는 보조센서(16)의 제2 입력신호가 발생한 시간(tb)으로부터 제2 전원센서(142)의 제1 입력신호가 발생한 시간(ta)까지가 10초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제2 입력신호가 발생한 시간(tb)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 중 가장 먼저 발생된 제2 입력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만일 10초 이내라면, 제어부(9)는 발생경로(24)와 오입력 경로(50) 간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고, 대응 여부에 따라, 예컨대, 고양이가 상면(21)으로 진입하여 걸어가면서 보조센서(16)와 제2 전원센서(142)를 터치한 것으로 보고, 제2 전원센서(142)에 대한 전원입력이 비정상적인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10초 이내가 아니라면, 예컨대, 조리 준비 과정에서 사용자(10)나 조리기구(2)에 의해 제2 입력신호가 발생하고, 10초 이후에 사용자(10)가 조리기구(2)의 가열을 위해 제2 전원센서(142)를 터치한 경우로 보고, 제어부(9)는 발생경로(24)와 오입력 경로(50) 간의 대응 여부를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입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 간의 발생 시간에 관한 연관성을 고려하여, 발생경로(24)와 오입력(50) 간의 판단이 필요한 사안인지를 가려낼 수 있으므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에 대한 판단 정확성과 신속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기레인지가 대상의 전원입력에 대응하여 후속 조치를 수행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제어부(9)는 전원센서(14)에 대한 전원입력, 예컨대, 제2 전원센서(142)에 대한 전원입력이 대상(4)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으로 판단되면, 비정상적 전원입력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오디오(43)를 출력하도록 오디오출력부(19)를 제어한다. 기 설정된 오디오(43)는 대상(4)이 청취 가능한 오디오특성을 가지며, 대상(4)이 선호하지 않는 오디오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기 설정된 오디오(43)는 고양이가 청취 가능한 주파수 대역을 가지며, 고양이가 싫어하는 천적 관계의 동물의 울음소리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4)을 신속하게 퇴치할 수 있으므로, 추후 비정상적 전원입력을 예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9)는 대상(4)에 의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외부장치(5)로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장치(5)는 사용자(10)의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10)의 스마트폰은 전기레인지(1)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4)이 전기레인지(1) 위에 존재한다거나, 대상(4)에 의해 비정상적인 전원입력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정보(45)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9)는 다양한 알림 정보, 경고 정보 등을 전송하여 스마트폰으로 하여금 다양한 알림 정보, 경고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10)의 조치를 신속하게 유도할 수 있으므로, 추후 비정상적 전원입력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전기레인지
2: 조리기구
3: 서버
4: 대상
5: 외부장치
7: 인터페이스부
8: 저장부
9: 제어부
10: 사용자

Claims (5)

  1. 전기레인지에 있어서,
    전원센서;
    상기 전원센서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보조센서; 및
    상기 전원센서에 의한 제1 입력신호와 상기 복수의 보조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제2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제1 입력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입력신호의 발생경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발생경로가 사용자가 아닌 대상에 관하여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입력신호에 의한 전원입력명령을 무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는, 상기 대상이 상기 전기레인지 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는 수평이동경로를 포함하는 전기레인지.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보조센서 중 상기 전기레인지 상에서 수평으로 상호 이격 배치된 2이상의 보조센서에 의한 2이상의 상기 제2 입력신호가 순차 입력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수평이동경로를 판단하는 전기레인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입력신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입력신호가 기 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함께 발생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경로가 상기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전기레인지.
  5. 제1 항에 있어서,
    오디오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된 발생경로가 상기 대상에 관하여 상기 기 설정된 오입력 경로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상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상기 오디오출력부를 제어하는 전기레인지.
KR1020210119494A 2021-09-08 2021-09-08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KR102591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94A KR102591254B1 (ko) 2021-09-08 2021-09-08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494A KR102591254B1 (ko) 2021-09-08 2021-09-08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681A true KR20230036681A (ko) 2023-03-15
KR102591254B1 KR102591254B1 (ko) 2023-10-20

Family

ID=8564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494A KR102591254B1 (ko) 2021-09-08 2021-09-08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56B1 (ko) * 2023-06-30 2024-04-04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6789A (ja) * 2005-07-14 2007-02-01 Nichiwa Denki Kk 電磁調理器
KR20100085455A (ko) * 2009-01-20 2010-07-2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6789A (ja) * 2005-07-14 2007-02-01 Nichiwa Denki Kk 電磁調理器
KR20100085455A (ko) * 2009-01-20 2010-07-29 동양매직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56B1 (ko) * 2023-06-30 2024-04-04 주식회사 다인그룹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254B1 (ko) 2023-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573B1 (ko) 쿡탑, 레인지 후드 및 그들의 제어 방법
US11644198B2 (en) Terminal, cooking appliance communicating therewith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US9715823B2 (en) Remote control device
KR102591254B1 (ko) 반려동물의 전원입력에 의한 화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레인지
US20140251980A1 (en) Electromagnetic induction heater with increased heating range
US10191536B2 (en) Method of operating a control system and control system therefore
JP2017534038A (ja) 電子レンジ及び電子レンジの制御方法
JP2010108612A (ja) 誘導加熱調理器
EP4088549A1 (en) Inductive cooktop system with display interface
US11144153B2 (en) User interface with acoustic proximity and position sensing arrangements
US20150167987A1 (en) Cooking appliance, controller of a cooking appliance, and router in wired communication with a controller of a cooking appliance
US20220151436A1 (en) Cooking assemblies and methods of operation based on a detected cooking oil
US11536458B2 (en) User engagement system and methods for adjusting a cooking recipe based on an identified utensil
JP6579936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US9497378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cooking equipment
KR20200100452A (ko) 요리의 수분량 조절이 가능한 전자 조리 기기
JP6579947B2 (ja) 加熱調理システム
CN110754959A (zh) 智能锅具及其控制方法、智能灶具、电子设备
JP2022524201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オンオフの制御方法
KR2020003401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통합 리모콘 시스템
CN203506352U (zh) 一种油炸电饭煲
JP2019016322A (ja) 調理支援装置
KR101926734B1 (ko) 감지장치 및 감지장치를 통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
KR102605804B1 (ko) 이미지 인식에 기반하는 전원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기레인지
JP2011021845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