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500A -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500A
KR20230036500A KR1020210170251A KR20210170251A KR20230036500A KR 20230036500 A KR20230036500 A KR 20230036500A KR 1020210170251 A KR1020210170251 A KR 1020210170251A KR 20210170251 A KR20210170251 A KR 20210170251A KR 20230036500 A KR20230036500 A KR 20230036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coupling
shaft
wing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515B1 (ko
Inventor
윤홍석
Original Assignee
윤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석 filed Critical 윤홍석
Publication of KR20230036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축부재 분리용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는 중앙에 원형 관통홀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와,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자유롭게 구성함으로써, 여러 형태/크기의 축부재 및 다양한 환경에 있는 축부재를 분리할 수 있고, 일부 부품의 교체/수리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Adaptor Apparatus and Separating Apparatus of Shaft Member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기계식 풀러(Puller) 또는 유압식 풀러에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어댑터 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공장설비 등 여러 기계분아에서는 축(Shaft)에 부착되어 회전 운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베어링, 풀리, 허브 등과 같은 여러 축부재(Shaft Member)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축부재는 축에 압입되어 조립/사용되며, 축부재는 교체 등 위하여 축으로 분리될 필요가 있다.
축으로부터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기계식 풀러(Puller) 또는 유압식 풀러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축부재 분리장치는 축부재의 크기별로 고정된 형상 및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여러 종류/크기의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축부재 분리장치는 일반적으로 2개 또는 3개의 아암(Arm)의 선단을 축부재의 가장자리에 건 상태에서, 축에 축방향 힘을 가하여, 축부재를 당겨서 분리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는 중앙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관통홀을 가지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에 피벗 가능하게 고정되는 복수의 아암(arm)과, 축에 축방향 척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나사 관통홀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축부재 분리장치에서는 본체부의 나사 관통홀에 큰 힘이 가해지므로, 장시간 사용하거나 단단하게 고정된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본체부의 나사 관통홀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의 나사 관통홀에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나머지 부품들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축부재 분리장치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축부재 분리장치에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강한 내구성 및 부품 교체 용이성을 가지는 어댑터 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본체부와, 본체부에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2 이상의 날개부를 가지는 어댑터 장치와, 그러한 어댑터 장치를 포함하는 여러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축으로부터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어댑터 장치로서, 중앙에 원형 관통홀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와, 상기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날개부 각각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사각 기둥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제1체결홀과, 사각 기둥의 타측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사각 기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날개부 각각의 제1체결홀 개수는 2개 이상이며, 상기 제2체결홀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홀은 아암부재와 피벗 결합되는 링크부재의 일단을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날개부 각각의 제1체결홀 개수는 1개이며, 상기 날개부 각각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홀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고, 상기 제2체결홀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홀은 플랜지 풀러용 고정나사부가 결합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성과 같은 어댑터 장치와, 상기 원형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판상부재 중 하나의 외부 표면으로 방사상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너트의 중공 원통부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축의 일단과 맞닿고, 타단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다각형 기둥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축부재와, 일측이 상기 각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부재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크류 너트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케이싱으로부터 축 또는 플랜지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구성의 어댑터 장치와, 상기 원형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판상부재 중 하나의 외부 표면으로 방사상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너트와, 상기 스크류 너트의 중공 원통부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축의 일단과 맞닿고, 타단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다각형 기둥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축부재, 및 상기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홀에 고정되는 고정 나사부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에 사용되는 다목적 어댑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에 겸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도, 강한 내구성 및 부품 교체 용이성을 가지는 어댑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와, 본체부에 결합되어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2 이상의 날개부를 가지는 어댑터 장치와, 그러한 어댑터 장치를 포함하는 2가지 형태 이상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베어링, 풀리, 기어, 플랜지 등 다양한 형태/크기의 축부재를 축 또는 케이싱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의 일 형태인 기어 풀러(Gear Puller)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분리 장치용 어댑터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에서, 날개부의 개수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4는 어댑터 장치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및 스크류 너트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 중, 어댑터 장치, 스크류 너트 및 스크류 축부재가 결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가 축부재를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어댑터 장치를 포함하는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가 유압식 축분리 장치에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의 일 형태인 기어 풀러(Gear Puller)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과 같이, 소위 기어 풀러(Gear Puller)로 호칭되는 축부재 분리장치는 나사관통홀이 형성된 본체(11)과, 본체의 나사 관통홀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류 축(13)과, 분리할 축부재(30)의 플랜지에 걸릴 수 있는 일단부를 포함하는 아암(14)과, 본체와 아암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부재 분리장치에서는, 아암(14)을 전개하여 아암의 일측의 걸림부를 분리대상인 축부재(30)의 플랜지 외측에 건 다음, 렌치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 축(13)를 회전시킨다.
스크류 축(13)의 선단이 축(20)에 맞닿게 되고, 그 상태에서 스크류 축을 회전시켜 축(20)에 척력을 제공하면, 아암의 걸림부에 걸린 축부재(30)에 하부 방향의 분리력이 인가되어 축부재(30)가 축(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분리대상이 되는 축부재(30)는 베어링, 풀리, 허브, 플랜지 등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고,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축부재 분리장치는 아암의 최대 전개 영역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크기의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른 크기를 가지는 복수개의 축부재 분리장치가 필요하다.
실제로, 자동차 수리센터 등에서는 8인치, 12인치, 18인치 등의 여러 크기의 축부재 분리장치(기어 풀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분리할 축부재의 크기에 맞는 축부재 분리장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도 1과 같은 축부재 분리장치의 경우, 스크류 축(13)에 회전력이 인가되면 본체(11)의 나사 관통홀과 스크류 축의 나사 결합에 큰 힘이 인가된다.
따라서, 축부재 분리장치를 장시간 사용하거나 강하게 결합된 축부재를 축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큰 힘이 인가되는 경우, 본체의 나사 관통홀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의 나사 관통홀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 축부재 분리장치의 나머지 구성요소인 스크류 축(13), 링크(12), 아암(14) 등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축부재 분리 장치 전체를 폐기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는 아암이 2개로 구성되므로, 큰 힘이 2개 아암의 걸림부에 집중됨으로써 아암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아암과 축부재가 2개 위치에서만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동작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아암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축부재 부근에 간섭이 있는 경우, 3개 아암의 걸림부를 축부재의 플랜지에 걸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크기의 축부재를 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다기능 어댑터 장치를 제안하며, 아래에서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축분리 장치용 어댑터 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의한 축분리 장치용 어댑터 장치(100)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110, 110')와, 일측이 본체부에 연결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120)와, 본체부와 날개부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 110')는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며, 각 판상부재의 중앙에는 제1직경의 원형 관통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 110')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 관통홀(112)에는, 여러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의 부품 중 하나 이상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날개부(120)는 사각기둥 형태를 가지며, 본체부에 포함된 2개의 판상부재 사이에 결합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의 2개의 상하 판상부재에는 다수의 결합홈(114)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날개부(120)에는 본체부(110, 110')의 결합홈(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방향으로 제1체결홀(122)이 형성된다.
즉, 날개부(120) 각각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본체부의 결합홈(1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사각 기둥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제1체결홀(122)과, 사각 기둥의 타측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사각 기둥의 타측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124)에는 축부재 분리장치의 링크부재(도 4의 1400) 또는 고정 나사부(도 7의 2400)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결합부재(130)는 각 날개부(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122)과 본체부의 결합홈(114)을 관통하여 날개부 각각을 본체부에 연결한다.
이러한 결합부재(130)는 볼트(132) 및 너트(134)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와 같은 어댑터 장치(100)를 이용하면, 본체부(110, 110')의 원형 관통홀(112) 및 날개부(120)에 아래에서 설명할 바와 같은 여러가지 부품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100)를 이용하면,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상황에 따라서 필요한 부품을 추가 장착하여 상황에 맞는 축부재 분리장치를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100)는 분리할 축부재의 크기/형태 또는 분리 환경에 따라서, 2개, 3개 또는 4개의 날개부(120)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각 날개부(120)는 2개 위치에서 본체부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형태일 수도 있고, 1개 위치에서만 본체부에 결합되어 결합위치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일 예로서, 날개부(120) 각각의 제1체결홀(122) 개수는 2개 이상이며, 상기 제2체결홀(124)은 날개부의 사각 기둥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하 방향은 축방향, 즉 상하 판상부재의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좌우 방향은 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 때, 제2체결홀(124)은 도 4와 같은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의 아암부재(1500)과 피벗 결합되는 링크부재(1400)의 일단을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다른 예로서, 날개부(120) 각각의 제1체결홀(122) 개수는 1개이어서 날개부 각각은 본체부(110, 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체결홀(12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이 때의 제2체결홀(124)은 날개부 사각 기둥의 상하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2체결홀은 도 7과 같은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플랜지 풀러)의 고정 나사부(2400)가 결합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에서, 어댑터 장치가 사용되는 축부재 분리장치의 형태에 따라서 날개부(120)와 본체부(110, 110')의 결합형태 및 날개부의 개수 등이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도 3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100)에서, 날개부(120)의 개수에 따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도 3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체부의 상하 판상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114)은 원주방향으로 90도의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결합홈(114_1), 제2결합홈(114_2), 제3결합홈(114_3) 및 제4결합홈(114_4)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114_1~4) 각각은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서브 결합홈(114', 114")을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총 2개 또는 4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2개 또는 4개의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축부재 부근의 간섭이 있어서 2개 위치에서만 축부재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총 2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2개, 예를 들면 제1결합홈(114_1) 및 제3결합홈(114_3) 또는 제2결합홈(114_2) 및 제4결합홈(114_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안정적인 축부재 분리가 필요한 경우 또는 큰 힘이 인가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서는, 총 4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모두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3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각 판상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은 제1결합홈(114_1)과, 제1결합홈으로부터 일측의 원주방향으로 60도만큼 이격되는 제2결합홈(114_2)과, 제1결합홈으로부터 양측의 원주방향으로 120도만큼 이격되는 제3결합홈(114_3) 및 제4결합홈(114_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b)의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각각은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서브 결합홈(114', 114")을 포함하며, 총 2개 또는 3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2개 또는 3개의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축부재 부근의 간섭이 있어서 2개 위치에서만 축부재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총 2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2개, 예를 들면 제2결합홈(114_2) 및 제4결합홈(114_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안정적인 축부재 분리가 필요한 경우 또는 큰 힘이 인가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서는, 총 3개의 날개부가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3개, 예를 들면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결합홈(114_1), 제3결합홈(114_3) 및 제4결합홈(114_4)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3의 (a)의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는 아암이 2개 또는 4개인 축부재 분리장치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의 (b)의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는 아암이 2개 또는 3개인 축부재 분리장치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에서는, 본체부에 형성되는 결합홈의 개수 및 배치 위치와, 그에 따른 날개부의 개수/위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태의 축부재 분리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구성의 어댑터 장치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및 스크류 너트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 중, 어댑터 장치, 스크류 너트 및 스크류 축부재가 결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는 도 2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어댑터 장치(100)와, 어댑터 장치의 본체부에 형성된 원형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크류 너트(1200)와, 스크류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축부재(1300)와, 어댑터 장치의 날개부(120)에 연결되는 링크부재(1400) 및 링크부재에 피벗 연결되어 분리대상인 축부재와 접속되는 아암부재(1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에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제1직경의 원형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110,110')와, 본체부의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114)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120)와,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122)과 결합홈을 관통하여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 너트(1200)는 어댑터 장치의 본체부에 형성된 원형 관통홀(112)에 삽입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원통부(1210)와, 상기 중공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판상부재 중 하나의 외부 표면으로 방사상 연장되는 플랜지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너트(1200)의 상기 플랜지부(1220)에는 어댑터 장치(100)의 결합부재(130)의 일단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홈부(1230)이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축부재(1300)는 스크류 너트(1200)의 중공 원통부(1210)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에는 분리대상인 축부재가 압입되어 있는 축의 일단과 맞닿는 선단부(1310)와, 타단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다각형 기둥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 축부재(1300)의 선단부(1310)는 별도로 제작되어 스크류 축부재의 선단에 나사 결합되거나 압입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1400)는 일측이 상기 각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124)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아암부재(1500)에 형성된 연결홈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 구체적으로, 링크부재(1400)는 날개부(120)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되며, 각 링크부재는 일측이 날개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아암부의 양측면에 연결되는 2개의 판상부와, 각 판상부를 날개부와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부재(1500)는 링크부재(1400)의 타측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이 분리대상인 축부재의 플랜지에 걸릴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즉, 각 아암부재(1500)는 길게 연장된 팔모양 부재로서 양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링크부재(14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이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각 아암부재(1500)는 링크부재(1400)를 통해서 어댑터 장치의 날개부와 연결되어 일정 각도로 전개 및 후퇴되는 피벗 동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의한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에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100)에서는, 각 날개부(120)가 본체부(110,110')에 대하여 고정/결합되어야 하며, 그를 위해서 각 날개부(120)의 제1체결홀(122) 개수는 2개 이상이다. 즉, 각 날개부(120)의 일측에는 본체부와의 고정을 위해서 2개 이상의 제1체결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날개부(120)의 타측에는 링크부재(1400)가 연결되기 위한 제2체결홀(124)가 형성되며, 이 때 제2체결홀은 날개부 사각 기둥의 좌우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가 축부재를 분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암부재(1500)의 일단에 이는 걸림부를 분리하고자 하는 축부재(30)의 플랜지 외측에 건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 축부재(1300)의 타측 다각형 기둥부(1320)를 회전한다.
스크류 축부재(1300)는 어댑터 장치에 삽입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120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스크류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 축부재가 축부재가 고정된 축(20)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스크류 축부재(1300)의 선단부(1310)가 축(20)의 일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크류 축부재를 추가적으로 더 회전시키면, 스크류 축부재에 가해지는 척력에 의하여 아암부재(1500)의 걸림부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그에 따라, 아암부재(1500)의 걸림부가 축(20)에 압입된 축부재(30)를 당기는 힘이 작용하고, 그에 따라 축부재(30)를 축(2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에서는 아암부재(1500)가 2개 구비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부재는 3개 또는 4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동작 방식은 동일하다.
이 때, 스크류 축부재(1300)의 회전시 그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너트(1200)는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어야 하며 회전하여서는 아니된다.
이를 위하여, 스크류 너트(1200)의 상기 플랜지부(1220)에는 어댑터 장치(100)의 결합부재(130)의 일단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홈부(1230)이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 장치(100)의 결합부재(130)를 구성하는 볼트(132)의 머리부분 또는 너트(134)가 스크류 너트(1200)의 플랜지부(1210)에 형성된 요홈부(1230) 내에 안착되어, 스크류 축부재가 회전하더라도 스크류 너트(1200)가 어댑터 장치(10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100)를 포함하는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를 이용하면, 필요에 따라 아암부재(1500)의 개수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환경에 있는 여러 형태/크기의 축부재를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에 필요한 부품(스크류 너트, 스크류 축부재, 선택된 개수의 날개부, 링크부재 및 아암부재)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일명, 풀러(Puller))를 구비할 필요없이 여러 형태/크기의 축부재 및 다양한 환경에 있는 축부재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에서는,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스크류 너트(1200)가 손상되는 경우, 스크류 너트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나머지 부품은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수리 및 교체에 필요한 비용 및 공정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도 7은 어댑터 장치(100)를 포함하는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8은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가 사용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는 도 2 내지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어댑터 장치(100)와, 어댑터 장치의 본체부에 형성된 원형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크류 너트(2200)와, 스크류 너트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는 스크류 축부재(2300)와, 어댑터 장치의 날개부(12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124)을 관통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축부재에 형성된 나사홀(도 8의 3120)에 고정되는 고정 나사부(2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에 포함되는 스크류 너트(2200)와 스크류 축부재(23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에 포함되는 스크류 너트(1200)와 스크류 축부재(1300)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에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제1직경의 원형 관통홀(112)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110,110')와, 본체부의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114)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120)와,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122)과 결합홈을 관통하여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에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100)에서는, 날개부(120) 각각의 제1체결홀(122) 개수는 1개이어서 날개부 각각은 본체부(110, 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체결홀(122)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즉, 도 7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에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100)는 120도 간격으로 결합되는 총 3개의 날개부(120)를 가지며, 각 날개부(120)는 1개의 제1체결홀(122)과 결합부재(볼트/너트)를 통해 본체부와 결합됨으로써, 각 날개부는 결합위치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만큼 선회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각 날개부의 타측에는 상하 방향(즉, 축방향)으로 다수의 제2체결홀(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나사부(2400)가 제2체결홀(124)을 관통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축부재에 형성된 나사홀(도 8의 31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에서는, 각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124)이 링크부재(14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고, 그에 따라 제2체결홀(124)이 사각 기둥의 좌우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반면,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에서는, 각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124)이 고정 나사부를 통하여 축부재 분리장치를 축부재에 바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제2체결홀(124)이 사각 기둥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기초로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의 동작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기계장치에서는 축(3200)이 케이싱(3100)에 길게 압입/고정되어 있고, 축의 일단에는 플랜지(3300)가 케이싱(3100)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과 같은 환경에서, 축(3200)을 케이싱(310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플랜지(3300)만을 축(32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도 1에 의한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와 도 4 내지 도 6에 의한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는 사용될 수 없다.
즉, 도 1에 의한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와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에서는, 아암(부재)의 일단에 있는 걸림부를 분리대상인 축부재의 플랜지 외측에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도 8과 같은 환경에서는 그를 위한 공간이 없기 때문에 도 1에 의한 일반적인 축부재 분리장치와 제1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1000)를 사용할 수 없다.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는 이러한 환경에서 축(3200) 자체를 케이싱(310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플랜지(3300)를 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8과 같은 기계장비에서는, 케이싱(3100) 또는 그에 부착된 플랜지(3300)에는 다수의 나사홀(31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실시예에 의한 축부재 분리장치(2000)에 포함된 어댑터 장치(100)의 각 날개부를 선회시켜 날개부의 타측에 있는 제2체결홀(124) 중 하나를 플랜지(3300)에 있는 다수의 나사홀(3120) 중 하나와 정렬한다.
그 상태에서 고정나사부(2400)를 제2체결홀(124)에 관통시켜 플랜지(3300)에 있는 다수의 나사홀(3120)에 나사 결합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3개 이상의 날개부(120)가 플랜지(3300)에 있는 다수의 나사홀(3120)과 결합됨으로써, 어댑터 장치(100)가 플랜지(3300)과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스크류 축부재(2300)의 타측 다각형 기둥부를 회전한다.
스크류 축부재(2300)는 어댑터 장치에 삽입되어 있는 스크류 너트(220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하기 때문에, 스크류 축부재의 회전에 따라서 스크류 축부재가 축부재인 플랜지(3300)가 고정된 축(3200)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스크류 축부재(2300)의 선단부가 축(3200)의 일단에 접촉한 상태에서, 스크류 축부재를 추가적으로 더 회전시키면, 스크류 축부재에 가해지는 척력에 의하여 고정 나사부(2400)의 일단에 고정된 플랜지(3300)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그에 따라, 플랜지(3300)를 축(3200)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또한, 만일 플랜지(3300)가 케이싱(3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위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축(3200)가 케이싱으로부터 후방으로 밀려나 분리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스크류 축부재(2300)의 회전시 그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 너트(2200)는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어야 하며 회전하여서는 아니되므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크류 너트(2200)의 상기 플랜지부(2220)에는 어댑터 장치(100)의 결합부재(130)의 일단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홈부(2230)이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 및 축부재 분리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은 모두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합금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가 유압식 축분리 장치에 사용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도 4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100)가 기계식 축부재 분리장치를 위하여 사용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축부재 분리장치에서 분리력을 제공하는 부재로서의 스크류 부재 대신 유압식 장치(4300)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에 결합되는 스크류 너트(1200)에 유압식 장치(4300)가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압식 장치(4300)는 외부에 공급되는 유체에 의하여 내부에 있는 피스톤이 전후 이동하고, 그에 부착된 가압 축부재(431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나머지 링크부재, 아암부재 등은 그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동작방식과 유사하되, 스크류 축부재의 동작 대신 유압식 장치(4300)의 가압 축부재(4310)의 이동에 의하여 축부재를 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에 필요한 부품을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일명, 풀러(Puller))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형태/크기의 축부재 및 다양한 환경에 있는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축부재 분리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어댑터 장치(100)를 이용하면, 장시간 사용에 의하여 스크류 너트가 손상되는 경우, 스크류 너트만을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고 나머지 부품은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축부재 분리장치의 수리 및 교체에 필요한 비용 및 공정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어댑터 장치 110, 110' : 본체부
120 : 날개부 122 : 제1체결홀
124 : 제2체결홀 130 : 결합부재
1000, 2000 : 축부재 분리장치 1200, 2200 : 스크류 너트
1300, 2300 : 스크류 축부재 1400 : 링크부재
1500 : 아암부재 2400 : 고정 나사부

Claims (10)

  1. 축으로부터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어댑터 장치로서,
    중앙에 원형 관통홀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 및
    상기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각각은 사각 기둥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합홈에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사각 기둥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제1체결홀과, 사각 기둥의 타측에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의 제1체결홀 개수는 2개 이상이며, 상기 제2체결홀은 상기 사각기둥의 좌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홀은 축부재 분리장치의 아암부재와 피벗 결합되는 링크부재의 일단을 피벗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날개부의 제1체결홀 개수는 1개이며, 상기 날개부 각각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홀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고, 상기 제2체결홀은 상기 사각 기둥의 상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홀은 축부재 분리장치의 고정나사부가 결합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어댑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원주방향으로 90도의 각도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각각은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서브 결합홈을 포함하며, 총 2개 또는 4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2개 또는 4개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어댑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일측의 원주방향으로 60도만큼 이격되는 제2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으로부터 양측의 원주방향으로 120도만큼 이격되는 제3결합홈 및 제4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각각은 방사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서브 결합홈을 포함하며, 총 2개 또는 3개의 날개부가 상기 제1결합홈 내지 제4결합홈 중 선택되는 2개 또는 3개의 결합홈에 결합되는 어댑터 장치.
  7. 축으로부터 축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중앙에 원형 관통홀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와, 상기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
    상기 원형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판상부재 중 하나의 외부 표면으로 방사상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너트;
    상기 스크류 너트의 중공 원통부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축의 일단과 맞닿고, 타단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다각형 기둥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축부재;
    일측이 상기 각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의 타측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부재;
    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홈부가 배치되는 축부재 분리장치.
  9. 케이싱으로부터 축 또는 플랜지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중앙에 원형 관통홀이 형성되며, 축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판상부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기 2개의 판상부재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2개 이상의 날개부와, 상기 각 날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체결홀과 상기 결합홈을 관통하여 상기 날개부 각각을 상기 본체부에 연결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어댑터 장치; 및
    상기 원형 관통홀에 삽입되고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 원통부와, 상기 중공 원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판상부재 중 하나의 외부 표면으로 방사상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너트;
    상기 스크류 너트의 중공 원통부에 나사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축의 일단과 맞닿고, 타단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다각형 기둥부를 포함하는 스크류 축부재; 및
    상기 날개부의 타측에 형성된 제2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플랜지에 형성된 나사홀에 고정되는 고정 나사부;
    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너트의 상기 플랜지부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단에 맞물려 상기 스크류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요홈부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KR1020210170251A 2021-09-07 2021-12-01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KR102589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19268 2021-09-07
KR1020210119268 2021-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500A true KR20230036500A (ko) 2023-03-14
KR102589515B1 KR102589515B1 (ko) 2023-10-17

Family

ID=8550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251A KR102589515B1 (ko) 2021-09-07 2021-12-01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5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26A (ko) * 1998-11-27 1999-02-25 윤홍석 다양한 크기의 축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멀티풀러
US20120036689A1 (en) * 2010-08-10 2012-02-16 Sjoesten Thomas Device for pressing on a double clut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626A (ko) * 1998-11-27 1999-02-25 윤홍석 다양한 크기의 축부재를 제거할 수 있는 멀티풀러
US20120036689A1 (en) * 2010-08-10 2012-02-16 Sjoesten Thomas Device for pressing on a double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515B1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7308B (zh) 机器人的平衡器的维护用夹具
RU24143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ъе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деталей
KR20110120832A (ko) 휨 최소화를 위한 볼트 및 너트의 요철 형상
US10619676B2 (en) Coupling and method for fixing the same
JP6770865B2 (ja) 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ロータリジョイント、骨組構築キット及びロータリジョイントを備えた骨組
US9027441B2 (en) Spherical gear
JP2016523721A (ja) 仮組付け装置
KR20230036500A (ko) 어댑터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축부재 분리장치
KR101444151B1 (ko) 시험용 가변피치 프로펠러
CN210567360U (zh) 一种用于设备盲区观察器的固定组件
CN107053255B (zh) 用于维修重型装备的夹具组件
US20180037311A1 (en) Locking mechanis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CN210273319U (zh) 一种带电可视化安装r销工具
KR102287861B1 (ko) 스마트스틱용 멀티 렌치 헤드
CN106826171B (zh) 插销式防逃逸球头入位装置及其使用方法
CN116117734A (zh) 安装/拆卸用于端对端组装两个框架元件的连接销的装置
CN110439915B (zh) 一种传动轴
CN111999172B (zh) 用于铆钉复合加载试验的试验夹具、装置及方法
CN110562440B (zh) 一种三自由度飞行员操纵装置
CN208012025U (zh) 用于风叶的风叶支撑组件、风道组件及空调器
CN115164853B (zh) 一种基于市政工程测绘的激光测绘装置及操作方法
CN111872660B (zh) 一种用于分体式涡轮转子锁紧片的拆装装置
CN215635220U (zh) 球阀组件及壳管换热器
CN113327474B (zh) 翻转定位锁紧装置、空间站用科学实验柜及快速翻转方法
CN214648991U (zh) 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