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454A -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454A
KR20230036454A KR1020210119338A KR20210119338A KR20230036454A KR 20230036454 A KR20230036454 A KR 20230036454A KR 1020210119338 A KR1020210119338 A KR 1020210119338A KR 20210119338 A KR20210119338 A KR 20210119338A KR 20230036454 A KR20230036454 A KR 2023003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heating
water
film
silic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9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479B1 (ko
Inventor
한승훈
이지현
Original Assignee
119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19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119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9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4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5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323/00 - C08J2353/00
    • C08J2355/02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ABS]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펠릿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 냉각하고 권취하는 냉각권취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필름은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하여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ANTIBACTERIAL AND ANTIVIRAL FILM}
본 발명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하여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미생물 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다양한 방법으로 항균성을 부여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는데, 주로 유기계 항균제나, 은 이온(silver ion), 아연 이온 등과 같은 무기계 항균제 및 생물 추출물이나 키토산(chitosan) 등의 천연성분을 사용하는 천연계 항균제 등을 적용하였다.
유기계 항균제는 항균성이 강하다는 측면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용출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효과의 지속성이 낮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들로 이루어져 소비자의 안전성을 중시하는 최근의 경향에는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원료에 백탁현상을 유발하거나, 광택 등을 저하시켜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은 이온이나 아연 이온을 이용한 무기계 항균제는 비교적 안전성이 높고, 광범위 세균에 대하여 항균성을 발휘하므로, 다양한 형태의 각종 합성수지 제품에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무기계 항균제가 함유된 합성수지는 투명성 저하, 변색 및 열화 현상이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하며 제조 비용이 지나치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미분체 항균제를 알코올 등의 용매로 분산시키고, 성형품 표면에 분무, 도포하거나, 항균제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층으로 형성하는 등의 항균성 부여 방법이 제안되고 있지만 합성수지 성형품을 항균제로 표면코팅시킬 경우 성형품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거나, 시간이 경과하면 항균 성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 펠릿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혼합하면 항균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는 항균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654185호(2006.11.29.) 한국특허등록 제10-1007180호(2011.01.10.)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하여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 펠릿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냉각하고 권취하는 냉각권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합성수지 펠릿 100 중량부에 수용성 규산혼합물 0.1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합성수지 펠릿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SiO3, Na2SiO3 및 Na2SiO3·10H2O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규산염 광물을 가열하여 용융하는 가열용융단계, 상기 가열용융단계를 통해 용융된 규산염 광물을 숙성시켜 규산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에 정제수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혼합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가열용융단계는 규산염 광물을 1500 내지 2000℃의 온도로 10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숙성단계는 10 내지 2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혼합가열단계는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0 내지 1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500 내지 10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하여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FE-SEM으로 촬영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항균 효과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필름의 원적외선 방사 효과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펠릿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S101),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103), 상기 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05), 및 상기 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냉각하고 권취하는 냉각권취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는 합성수지 펠릿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로, 합성수지 펠릿 100 중량부에 수용성 규산혼합물 0.1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rpm의 속도로 3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합성수지 펠릿은 필름으로 성형될 수 있는 합성수지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필름의 물성을 고려했을 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필름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데, SiO3, Na2SiO3 및 Na2SiO3·10H2O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규산염 광물을 가열하여 용융하는 가열용융단계(S201), 상기 가열용융단계(S201)를 통해 용융된 규산염 광물을 숙성시켜 규산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숙성단계(S203), 및 상기 숙성단계(S203)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에 정제수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혼합가열단계(S205)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원료물질인 규산염 광물은 규산염으로 이루어진 광물로 규소와 산소가 주성분이며, 여기서 규소(Si, Silicon)는 인체에 필수적인 50여종 중에 가장 중요한 필수 미네랄로 자연 상태에서는 규소만이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이산화규소(SiO2) 상태로 존재하며 규소의 순도가 100%이면 수정이 되고, 그렇지 않으면 석영이 되며, 다른 광물이 많이 함유되면 규석(차돌)이 된다.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식용으로 사용이 부적합하므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규산염 광물은 결합과 배열상태에 따라 네소 규산염 광물, 소로 규산염 광물, 사이클로 규산염 광물, 이노 규산염 광물, 필로 규산염 광물, 텍토 규산염 광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규산염 광물로 감람석, 석류석, 지르콘, 홍주석, 겔레나이트, 홍렴석, 녹주석, 전기석, 단사휘석, 사방각섬석, 사문석, 카올리나이트, 정장석, 및 사장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규산염 광물은 하기 후술할 가열용융단계(S201) 또는 숙성단계(S203)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흐르는 물에 수차례 수세하여 준비할 수 있다. 또한, 볼 밀(Ball mill), 아크리션 밀(Attrition mill), 제트 밀(Jet mill), 회전밀(Rotary mill) 및 진동 밀(Vibration mil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장비로 분쇄하여 준비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가열용융단계(S201)는 규산염 광물을 1500 내지 2000℃의 온도로 10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규산염 광물을 용광로에서 1500 내지 2000℃, 바람직하게는 1600 내지 1700℃의 온도로 10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 시간 동안 가열하여 액체상태로 용융시키는 단계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가 1500℃ 미만이면, 규산염 광물이 유동성 및 점성을 갖는 액체상태로 용융되기 어려울 수 있고, 상기 가열온도가 2000℃를 초과하게 되면 과잉 온도 공급에 따른 상승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으며, 에너지 소비량만 증가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가열시간이 10시간 미만이면, 규산염 광물이 충분히 용융되기 어려울 수 있고, 가열시간이 20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필요 이상의 열처리 시간에 따른 상승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상기에 기재된 가열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단계(S203)는 10 내지 20일 동안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열용융단계(S201)를 통해 용융된 규산염 광물을 10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5일 동안 숙성시켜 규산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단계다.
이때, 상기 숙성시간이 10일 미만이면, 규산염 결정체의 수득이 어렵고, 상기 숙성시간이 20일을 초과하게 되면 입자크기가 규산염 결정체의 입자크기가 1.0 내지 4.0 나노미터로 비대하게 커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상기와 같은 숙성시간을 거치게 되면, 거의 기체상태의 물질로 이온화된 0.2 내지 0.6 나노미터의 입자크기를 나타내는 규산염 결정체가 수득된다.
상기 혼합가열단계(S205)는 상기 숙성단계(S203)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를 정제수와 혼합하고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숙성단계(S203)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0 내지 1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500 내지 10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 온도가 500℃ 미만이면 규산염 결정체가 용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가열온도가 1000℃를 초과하게 되면 규산염 결정체가 증발되어 규산염 결정체의 회수율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물에 대한 용해가 90% 이상을 나타낸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제조된 필름에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과 원적외선 방사성능이 미미하며,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필름의 투명도나 기계적 강도와 같은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수용액 상태의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건조시켜 분말상태로 전환한 후에 3 내지 4㎛로 분쇄한 후에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합성수지 펠릿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4 중량부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단계(S103)는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원료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45 내지 60℃의 온도에서 5 내지 7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건조단계(S103)를 통해 수분이 제거되면서, 합성수지 펠릿의 표면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도포되게 된다.
상기 성형단계(S105)는 상기 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건조단계(S103)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출기로 압출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압출기에 구비된 호퍼를 통해 혼합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에, 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실린더와 스크류 및 다이가 구비된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용성규산염이 상기에 기재된 것과 같이 분말상태로 전환한 후에 3 내지 4㎛로 분쇄한 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압출기로 압출하는 방법 외에,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성형하는 과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냉각권취단계(S107)는 상기 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냉각하고 권취하는 단계로, 상기 성형단계(S105)를 통해 제조된 필름 성형물을 공기 냉각하여 40 내지 60℃로 냉각한 후 회전롤러로 통과시켜 두께 등을 조절하고 권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냉각권취단계에서 냉각온도가 40℃ 미만이면 상기 회전롤러를 통해 두께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며, 상기 냉각온도가 60℃를 초과하게 되면 회전롤러에 성형물이 달라붙거나, 권취시 필름간에 융착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제조
규산염 광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용광로에서 1650℃의 온도로 13시간 동안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용융된 규산염 광물을 13일 동안 숙성시켜 규산염 결정체를 수득하고,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 100 중량부를 정제수 10000 중량부와 혼합한 후에 8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액상형태의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FE-SEM으로 촬영하여 아래 도 3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아래 도 3 내지 4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구형의 규소입자가 무질서하게 분포된 비정질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용융된 규산염을 8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용융된 규산염을 5 시간 동안 숙성시켜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규산염 결정체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에 가열하지 않고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혼합물의 항균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은 페이퍼디스크 확산법(Paper disk diffusion assay)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주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를 각각 희석하여 106 CFU/mL로 맞추고, 희석된 시험균주들을 MHA 플레이트에 각각 100μL씩 접종한 후 멸균한 면봉을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멸균한 집게로 페이퍼 디스크 (paper disk, 8 mm)를 플레이트에 올려놓고 제조예 1 및 비교에 1 내지 3의 수용성 규산(Na2SiO3·10H2O)을 50 μL씩 흡수시킨 후 37 ℃로 설정된 인큐베이터에서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시험항목 시험결과
초기농도 24시간 후 농도 세균감소율(%)
대장균에 의한
항균시험
대조군 424 2863 -
제조예 1 424 1 99.8
비교예 1 424 187 44.1
비교예 2 424 205 48.3
비교예 3 424 221 52.1
녹농균에 의한
항균시험
대조군 437 2957 -
제조예 1 437 1 99.8
비교예 1 437 177 40.5
비교예 2 437 196 44.8
비교예 3 437 214 48.9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펠릿 100 중량부에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혼합물 0.4 중량부를 혼합하고 100rpm의 속도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52℃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도포된 합성수지 펠릿을 제조한 후에, 압출기에 구비된 호퍼를 통해 혼합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에, 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실린더와 스크류 및 다이가 구비된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하고, 압출된 성형물을 공기 냉각시킨 후 회전롤러로 통과시켜 두께를 0.01 밀리미터로 조절한 후에 권취하여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합성수지(폴리에틸렌) 펠릿을 압출기에 구비된 호퍼를 통해 혼합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 후에, 수분이 제거된 혼합물을 실린더와 스크류 및 다이가 구비된 압출기를 통해 용융압출하고, 압출된 성형물을 공기 냉각시킨 후 회전롤러로 통과시켜 두께를 0.01 밀리미터로 조절한 후에 권취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과 상기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필름의 항균성을 측정하여 아래 도 5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은 제조된 필름으로 크림빵을 포장하고 상온에서 21일 경과 후에 곰팡이 발생여부를 촬영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아래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필름으로 포장된 식품은 21일이 경과하더라도 곰팡이가 발생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한국원적외선현회의 의뢰하여 아래 도 6에 시험성적서로 나타내었다.
{단, 원적외선 방사효과는 제조된 필름을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로 나타내었으며, KFIA-FI-1005의 시험방법을 이용하되, 37℃의 온도에서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 대비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은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은 수용성 규산혼합물이 함유되어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사효과가 우수하여 세균이나 곰팡이의 증식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변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을 제공한다.
S101 ; 원료혼합단계
S103 ; 건조단계
S105 ; 성형단계
S107 ; 냉각권취단계
S201 ; 가열용융단계
S203 ; 숙성단계
S205 ; 혼합가열단계

Claims (8)

  1. 합성수지 펠릿에 수용성 규산혼합물을 혼합하는 원료혼합단계;
    상기 원료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필름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 및
    상기 성형단계를 통해 제조된 성형물을 냉각하고 권취하는 냉각권취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혼합단계는 합성수지 펠릿 100 중량부에 수용성 규산혼합물 0.1 내지 1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펠릿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SiO3, Na2SiO3 및 Na2SiO3·10H2O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규산혼합물은 균산염 광물을 가열하여 용융하는 가열용융단계;
    상기 가열용융단계를 통해 용융된 규산염 광물을 숙성시켜 규산염 결정체를 수득하는 숙성단계; 및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에 정제수를 혼합하고 가열하는 혼합가열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융단계는 규산염 광물을 1500 내지 2000℃의 온도로 10 내지 20시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10 내지 20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열단계는 상기 숙성단계를 통해 수득된 규산염 결정체 100 중량부에 정제수 5000 내지 15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500 내지 10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119338A 2021-09-07 2021-09-07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64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38A KR102642479B1 (ko) 2021-09-07 2021-09-07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9338A KR102642479B1 (ko) 2021-09-07 2021-09-07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454A true KR20230036454A (ko) 2023-03-14
KR102642479B1 KR102642479B1 (ko) 2024-02-29

Family

ID=8550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9338A KR102642479B1 (ko) 2021-09-07 2021-09-07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47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185B1 (ko) 2004-11-08 2006-12-06 (주)월드팬시 무독성 마이크로 은나노 항균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07180B1 (ko) 2009-11-16 2011-01-18 이재춘 무기성 항균제가 표면에 부착된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7590A (ko) * 2013-11-20 2015-05-28 한국식품연구원 항균성 투명필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 투명필름용 조성물
KR101968198B1 (ko) * 2018-07-24 2019-04-12 주식회사 디엘피 수용성 미네랄을 이용한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14437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비씨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함하는 수처리제 및 사료첨가제
KR102228207B1 (ko) * 2020-07-28 2021-03-17 주식회사 스마트 도광판용 항균 필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185B1 (ko) 2004-11-08 2006-12-06 (주)월드팬시 무독성 마이크로 은나노 항균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07180B1 (ko) 2009-11-16 2011-01-18 이재춘 무기성 항균제가 표면에 부착된 항균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7590A (ko) * 2013-11-20 2015-05-28 한국식품연구원 항균성 투명필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항균성 투명필름용 조성물
KR20190114437A (ko) * 2018-03-30 2019-10-10 주식회사 엘비씨 수용성 규산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규산염을 포함하는 수처리제 및 사료첨가제
KR101968198B1 (ko) * 2018-07-24 2019-04-12 주식회사 디엘피 수용성 미네랄을 이용한 항균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8207B1 (ko) * 2020-07-28 2021-03-17 주식회사 스마트 도광판용 항균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479B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46499B (zh) 一种双向拉伸透气膜
US8753657B2 (en)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derived from a masterbatch, antibacterial fiber, antibacterial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antibacterial resin composition derived from a master batch
WO2022021908A1 (zh) 一种纳米抗菌防污桌椅塑料颗粒及制备方法
CN110256747A (zh) 一种抗菌塑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206420A (zh) 一种非银粉状固溶体抗菌剂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90089665A (ko) 무기 항균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무기 항균제
CN106146990A (zh) 一种具有缓释性能的抗菌食品包装材料及其制作方法
EP4079696A1 (en) Antimicrobial glass composition and antimicrobial glass powder preparation method using same
KR100939633B1 (ko) 금속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균기능을 가지면서 색오염이없는 인조손톱의 제조방법
KR20230036454A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성 필름의 제조 방법
CN109705424B (zh) 一种双向拉伸聚乙烯抗菌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187044B1 (ko) 항균 나노구리 담체를 이용한 항균 인조 대리석의 제조방법
CN1257932C (zh) 抗菌薄膜及其双向拉伸工艺
CN113402855B (zh) 抗菌吸嘴及其制备方法以及具有该吸嘴的电子雾化装置
KR100271328B1 (ko) 압출성형용 폴리에스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용기의제조 방법
KR101756911B1 (ko) 견운모함유 쉬쓰/코어형 복합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000038362A (ko) 항균 또는 항곰팡이성 합성수지제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698982A (zh) 智能调温非织造布、智能调温涂料以及智能调温一次性卫生用品
KR20160031843A (ko) 항균성 세라믹 코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102460950B1 (ko)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이 우수한 위생 도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10412B (zh) 一种快速降解的抗菌塑料薄膜及其制备方法
KR102590818B1 (ko) 비용출성 항균 유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항균 유리 분말 제조 방법
WO2023277582A1 (ko) 항균성을 가지는 폴리락트산 파우더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성 기재
KR20230036452A (ko) 다기능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21149A (ko) 나노실버 항균도자기제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실버 항균도자기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