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6174A -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6174A
KR20230036174A KR1020210118713A KR20210118713A KR20230036174A KR 20230036174 A KR20230036174 A KR 20230036174A KR 1020210118713 A KR1020210118713 A KR 1020210118713A KR 20210118713 A KR20210118713 A KR 20210118713A KR 20230036174 A KR20230036174 A KR 20230036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use
house
container
time
repl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김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우 filed Critical 김종우
Priority to KR102021011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6174A/ko
Publication of KR20230036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6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하우스 거주자가 수시로 편리하게 이동하여 개인 주택과 같이 쾌적하고 다양한 거주환경을 선 택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Structures for efficient loading of containers}
본 발명은 컨테이너하우스 거주자가 수시로 편리하게 이동하여 개인 주택과 같이 쾌적하고 다양한 거주환경을 선택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건축 물은 컨테이너하우스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컨테이너용 승강설비’를 갖추고 컨테이너하우스가 건축물 안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하우스 설치공간’을 둔 건축물 평면구조 그리고 컨테이너하우스에 두기 어려웠던 화장실 및 주방 등의 설비를 두고 혹한, 혹서, 강우 등의 자연환경에 열악한 컨테이너하우스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채광과 환풍이 용이한 외벽과 각 주호로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사람용 승강설비와 계단 그리고 각 주호의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출입시설을 둔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에 관한 것이다.
생략
주택과 아파트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은 대부분의 거주공간은 땅에 고정이 되어있어 다른 곳으로 거주공간을 이동하려면 기존의 거주공간은 그대로 두고 거주공간내의 소지품을 챙겨 새로운 거주공간으로 이동시켜야하는 불편 함이 있었다.
위와 같은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캠핑카 또는 컨테이너하우스를 개발하였으나 캠핑카와 컨테이너하우스는 이 동성은 편리하지만 화장실, 주방 등과 같은 편의시설 부족과 혹한, 혹서, 강우 등의 자연환경으로부터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도시 내 캠핑카와 컨테이너하우스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캠핑카와 컨테이너하우스가 접근할 수 있는 도로와 빈터 등의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토지이용이 집약된 곳에서 캠핑카와 컨테이너하우스를 설치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쾌적한 거주 환경을 제공받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현대 도시인들은 정원이 있는 단독주택과 같이 쾌적한 거주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구 그리고 특징적이고 개성있는 다양한 거주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구가 있으나 경제적인 여건 그리고 이동의 불편함 때문에 욕구를 충 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당에 예쁜 꽃들로 채워진 정원이 있는, 마당에 수영장이 있는, 마당에 운동기구가 있는, 마당에 놀 이터가 있는 등의 거주자의 다양한 욕구에 맞추어 수시로 주거를 선택하여 살 수 있도록 하고, 싸고, 쾌적하고, 편리하고 도시의 편익을 누리며, 프라이버시가 보호되는 그런 거주 공간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 내 수시로 이동이 편리하고,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고, 값싸고, 프라이버시가 보호되고, 다양 한 거주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거주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수개의 층을 둔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를 구성하고 각 층의 인공대지에 컨테이너 하우스가 용이하게 이동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와 상기 컨테이너하우스가 상기 인공대지의 각 주호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컨테이너하우스 설치공간을 확보하고, 컨테이너하우스에 두 기 힘들었던 화장실과 주방 설비를 상기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에 갖추고, 각 주호로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도 록 사람용 승강설비와 계단 그리고 각 주호로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시설을 두어 경제적이고 쾌적하고 이동이 편리한 건축물을 만드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마당이 있는 개인 주택처럼 거주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꾸며진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에 수시로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한 컨테이너하우스를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서 컨테이너하우스의 단점인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 그리고 수직 고층화된 건축물의 장점인 공간의 효율성과 프라이버시 보호와 수시로 이동하여 다양한 거주환경 을 선택할 수 있는 거주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제1도는 기존 단독주택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제3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6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7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제2도의 A-A' 단면도이다.
제8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제2도의 A-A' 단면도이다.
제9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 명하기 위한 제2도의 A-A' 단면도이다.
제10도는 발명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에서 컨테이너하우스의 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도의 B-B'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거주자의 소지품이 집약된 컨테이너하우스가 건축물처럼 수직 고층화된 각 층, 각 주호의 인공대지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하우스가 상기 ‘컨테 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서 빠져나와 상기 각 층, 각 주호의 인공대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하우스 설치 공간’ 그리고 상기 인공대지에 컨테이너하우스에 두기 힘들었던 화장실과 주방 그리고 상기 인공대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외벽 그리고 상기 인공대지의 각 층, 각 주호로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 사람용 승강설비와 계단 그리고 각 주호로의 출입을 관리하는 출입시설로 구성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을 도면과 함께 자세한 설명을 하면 다음 과 같다.
제1도는 기존 개인 주택 일례의 배치도로서 기존 개인주택은 실내 공간 이외에 외부공간으로 정원을 가지고 있 어 쾌적하고 개성 있는 거주환경을 만들 수 있어 도시민들의 동경의 대상이였다.
그러나 상기 개인 주택은 넓은 땅을 필요로 해서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프라이버시를 보호와 주택 관 리 그리고 혹한, 혹서, 강우 등의 기후변화에 취약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현대인은 바쁜 일상과 거주자의 신상변화 등으로 거주지의 잦은 이동 많아지고 있으며, 다양하고 개성 있 는 공간에서 살고 싶은 욕구가 증가되고 있으나 도시에서 개인 주택과 같이 넓은 마당을 갖는 집을 구하기도 힘 들 뿐만 아니라 그 비용도 만만치 않으며, 잦은 이동을 하기위해서는 거주자의 소지품을 수시로 이삿짐 싸 듯챙겨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많았다
그리고 소수의 사람들은 자유로운 삶을 위하여 캠핑카를 이용하여 쾌적하고 편리한 곳으로 수시로 이동하며 생 활하고 있으나 캠핑카는 외부 자연환경으로 충분한 안식처가 될 수 없으며 생활공간이 협소하여 생활의 불편함이 많았다.
잦은 이동에 짐을 꾸리지 않으려면 집을 통째로 옮기면 되겠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므로, 이동이 용이한 컨 테이너하우스를 거주자의 소지품을 담은 생활공간이라면 이삿짐을 쌀 필요 없이 컨테이너하우스만 옮기면 될 것 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도시민의 요구사항인 개성 있는 거주 공간, 쾌적한 거주 환경, 이동의 편리성, 프라이버시 보 호, 관리의 편리성, 경제성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에 거주자의 소지품을 담아둔 컨테이 너하우스가 수시로 상기 인공대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 개인 주택의 장점과 캠핑카 또는 컨테이너하우스의 장점을 두루두루 만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주택에 있는 마당 공간은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에 마당을 조성하고, 이곳 인공대지에 상기 컨테 이너하우스를 옮겨놓게 되면 수직 고층화된 개인 주택으로 만들 수 있다.
즉, 제3도와 같이 거주자의 침실 또는 사무실과 같은 거주공간과 그 생활용품이 컨테이너하우스에 담겨있다면,이 컨테이너하우스를 트럭에 싣고 용이하게 거주자가 원하는 곳으로 수시로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4도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하우스를 수개 층으로 구성된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는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와 같은 승강설비를 이용하여 이동 시킬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상기 컨테이너하우스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트럭이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 근접할 수 있도록 장애물이 없는 차량의 접근로가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5도와 제6도와 같이 트럭에 실린 컨테이너하우스가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로 옮겨지기 쉽도록 트럭의 적재함 바닥높이와 상기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의 바닥 높이를 동일하게 하면 컨테 이너하우스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제7도와 같이 컨테이너하우스가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 적재되면 제8도과 같이 컨테이너하우스 를 각 층으로 이동시키고, 제9도와 같이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가 목적층에 도착하면 안전셔터 (103)를 올린 후 컨테이너하우스를 빼내어 컨테이너하우스를 각 층, 각 주호로 들어가도록 이동시킨다.
평면상으로 보면 제2도와 같이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를 통해 목적층으로 운반된 컨테이너하우스 를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서 꺼내 각 층, 각 주호로 옮긴다.
이때 컨테이너하우스가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 설비’(102)의 출입문에 접한 각 주호 안에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컨테이너하우스가(101)가 무난하게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를 빠져나오려면 직선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 출입구의 직선방향으로 ‘컨테이너하우스 설치 공간’(104)이 확보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하우스가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서 완전히 빠져나오면 안전셔터(103)를 내려 컨 테이너하우스(101) 이동을 마친다.
그리고 각 주호에는 컨테이너하우스에 설치하기 힘든 화장실과 주방을 상기 인공대지에 별도로 설치하여 생활의 편리성을 높이도록 하고, 그 외의 공간은 개인 주택의 마당과 같이 활용하여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수영장을 두 거나 또는 정원을 두거나 등 다양한 컨셉으로 변형되어 꾸며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고층화된 인공대지는 충분한 채광과 환기 그리고 함께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될 수 있도록 가능한 많은 부분의 외벽이 유리창으로 시공되도록 하면 좋다.
그 외에도 사람이 각 층, 각 주호로 접근하기 위한 사람용 승강설비와 계단 그리고 출입을 관리할 수 있는 현관 과 같은 출입시설을 두어 거주의 편의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상으로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의 평면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범위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
101. 컨테이너하우스
102.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
103. 안전셔터
104. ‘컨테이너하우스 설치 공간’
105. 화장실
106. 주방
107. 사람용 승강설비
108. 계단
109. 외벽

Claims (4)

  1. 컨테이너하우스(101)가 수직 고층화된 각 층, 각 주호의 인공대지에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컨테이 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하우스(101)가 상기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서 빠져나와 상기 각 층, 각 주 호의 인공대지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하우스 설치 공간’(104);
    그리고 상기 인공대지에 컨테이너하우스에 두기 힘들었던 화장실(105)과 주방(106); 그리고 상기 인공대지가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 외벽(109);
    그리고 상기 인공대지의 각 층, 각 주호로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한 사람용 승강설비(107)와 계단(108) 그 리고 출입시설;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
  2. 컨테이너하우스(101)가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 의해 건축물의 각층에 운반되어 주거시설의 일부 로 사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
  3. 청구항 1항에서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 적재된 컨테이너하우스를 인공대지위에 형성된 각 주호 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도록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 인접하여 ‘컨테이너하우스 설치 공간’ (104)을 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
  4. 청구항 1항에서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는 트럭에 실려 온 컨테이너하우스가 ‘컨테이너하우스용 승강설비’(102)에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의 외벽면에 근접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100)
KR1020210118713A 2021-09-07 2021-09-07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KR202300361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13A KR20230036174A (ko) 2021-09-07 2021-09-07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713A KR20230036174A (ko) 2021-09-07 2021-09-07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6174A true KR20230036174A (ko) 2023-03-14

Family

ID=8550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713A KR20230036174A (ko) 2021-09-07 2021-09-07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61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2848B2 (ja) 家屋建物構造
US4345407A (en) Multi-unit dwellings
KR20230036174A (ko)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구조물
CN207048444U (zh) 一种空中街巷式停车建筑结构
JP7258969B2 (ja) 住宅
US10529038B2 (en) Dynamic interstitial hotels and related technology
KR100948000B1 (ko) 컨테이너하우스가 수시로 교체될 수 있는 건축물
JP2008063886A (ja) 展示収納部付き建物
JP2019073954A (ja) 建物
JP2008057252A (ja) 軒桁上収納庫付き建物
JPH08209954A (ja) 収納室を持つ建物
JP7369108B2 (ja) 建物
JPH10292646A (ja) 土間空間付住宅
WO2021082673A1 (zh) 一种具有多个住宅单位的多层民用住宅
JP4131472B2 (ja) 自走式駐車場付き複合施設
JP2023008535A (ja) 建物
Smith Issue No. Date: Prepared by: Checked/Approved by
Heyns Tall buildings (350+ dph)
Reno et al. Evaluation of Buildings 23-531,-532,-535, and-536 in Block 17, Mercury, Area 23, Nevada National Security Site, Nye County, Nevada
RU22797U1 (ru)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JP2005016242A (ja) 建物
Phillips et al. Issues and summary
Chapman et al. Houses and flats
JP2005200914A (ja) 集合住宅
US20160042361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the design of a composite building structure where an additional real estate use component shields a visually undesirable real estate use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