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896A - 에어 포일 베어링 - Google Patents

에어 포일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896A
KR20230035896A KR1020210118465A KR20210118465A KR20230035896A KR 20230035896 A KR20230035896 A KR 20230035896A KR 1020210118465 A KR1020210118465 A KR 1020210118465A KR 20210118465 A KR20210118465 A KR 20210118465A KR 20230035896 A KR20230035896 A KR 20230035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bump
fixing part
bearing
bump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환
이정수
이승빈
임지환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8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896A/ko
Publication of KR2023003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24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flexible leaves to create hydrodynamic wedge, e.g. radial foi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7/00Elastic or yielding bearings or bearing support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27/02Sliding-contac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포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원형으로 말려진 탑 포일(200)과 범프 포일(100)이 베어링 하우징(10)에 결합되기 전에 힌지고정부(220)와 돌기부(120)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미리 조립되는 구성으로, 베어링 하우징(10)과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고,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긁힘 및 찍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 포일 베어링{AIR FOIL BEARING}
본 발명은 에어 포일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이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어서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는 에어 포일 베어링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회전기기의 회전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축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그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계요소이다.
베어링 중 에어 포일 베어링은 로터(회전축)의 고속회전에 따라 로터 또는 베어링 디스크와 접하는 포일사이에 점성을 가지는 유체인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형성함으로써 하중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이러한 에어 포일 베어링 중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수직 방향인 반경방향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베어링이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베어링 하우징의 중공 원주내면을 따라 설치되는 범프 포일과, 범프 포일의 내측에 설치되는 탑 포일을 구비하고 있고, 탑 포일의 내측에는 로터(회전축)가 배치되며, 로터의 외주면과 탑 포일의 내주면이 이격된 상태로 로터가 회전한다.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은 원주방향의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결합부를 형성하고 있고, 범프 포일의 결합부 및 탑 포일의 결합부는 서로 대면한 상태로 베어링 하우징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에 결합되며, 결합부는 로터의 회전시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려나지 않도록 범프 포일과 탑 포일을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결합부가 결합되는 베어링 하우징의 슬롯은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축방향 이탈을 막기 위해 축방향의 전후 양측이 폐쇄된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범프 포일과 탑 포일을 베어링 하우징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을 원주방향으로 말아서 베어링 하우징의 중공에 축 방향으로 삽입한 후,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결합부를 베어링 하우징의 슬롯에 결합하며, 이에 따라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은 로터(회전축)의 회전 중에 축방향 전후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을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을 각각 원형으로 말아서 포갠 후 결합시켜야 하는데, 원형으로 말려진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은 탄성 복원에 의해 풀려지는 특성이 있고, 작업자가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탄성 복원 특성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면 부품간 긁힘 및 찍힘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위치이탈에 따른 조립성이 감소하며, 특히 조립후에도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8970호
본 발명은,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이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게 결합된 에어 포일 베어링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게 일체화된 탑 포일 및 범프 포일을 통해 베어링 하우징과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탑 포일 및 범프 포일의 긁힘 및 찍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어 포일 베어링은, 탄성회전이 가능한 힌지고정부를 구비한 탑 포일; 및 상기 탑 포일의 외측을 둘러싸고 힌지고정부에 걸려져서 고정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범프 포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포일은 탑 포일을 감싸는 이너 범프 포일 및 이너 범프 포일을 감싸는 아우터 범프 포일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아우터 범프 포일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은 힌지고정부와 돌기부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조립된 후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는 탑 포일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탑 포일 결합부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범프 포일의 일단에서 힌지고정부와 일대일 매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는 탑 포일 결합부의 일면과 연결되어서 힌지역할을 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고 범프 포일의 돌기부와 접촉해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포일의 돌기부는 탑 포일 결합부와 힌지고정부사이로 삽입되어서 힌지고정부의 탄성복원에 의한 고정부의 가압으로 지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는 힌지부와 고정부가 U형상, V형상, 일자형상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범프 포일의 돌기부에는 힌지고정부와의 결합력 강화를 위해 힌지고정부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에어 포일 베어링에 의하면, 원형으로 말려진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이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기 전에 힌지고정부와 돌기부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미리 조립되는 구성으로, 원형으로 말려진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이 서로 결합되어서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됨에 따라 탄성 복원에 의한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풀림현상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베어링 하우징과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긁힘 및 찍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후에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베어링 하우징과 에어 포일 베어링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이 힌지고정부와 돌기부에 의해 결합된 에어 포일 베어링의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도 2에서 힌지고정부와 돌기부가 결합된 부위의 확대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고정부 및 돌기부의 형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제어기)는 차량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알고리즘 또는 상기 알고리즘을 재생하는 소프트웨어 명령어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및 해당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하에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개별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는 서로 통합된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베어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0)의 중공(11)의 원주내면을 따라 설치되는 범프 포일(100), 및 범프 포일(1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탑 포일(200)을 포함한다.
탑 포일(200)의 내측에는 로터(20, 회전축)가 배치되며, 로터(20)의 외주면과 탑 포일(200)의 내주면이 이격된 상태로 로터(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은 원주방향의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범프 포일 결합부(110) 및 탑 포일 결합부(210)를 형성한다.
범프 포일 결합부(110) 및 탑 포일 결합부(210)는 서로 대면한 상태로 베어링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롯(12)에 결합된다.
범프 포일 결합부(110)와 탑 포일 결합부(210)는 로터(20)의 회전시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이 원주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밀려나지 않도록 범프 포일(100)과 탑 포일(200)을 베어링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범프 포일 결합부(110) 및 탑 포일 결합부(210)가 결합되는 베어링 하우징(10)의 슬롯(12)은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축방향 이탈을 막기 위해 축방향의 전후 양측이 폐쇄된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범프 포일(100)과 탑 포일(200)을 베어링 하우징(10)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을 원주방향으로 말아서 베어링 하우징(10)의 중공(11)에 축 방향으로 삽입한 후, 범프 포일 결합부(110) 및 탑 포일 결합부(210)를 베어링 하우징(10)의 슬롯(12)에 결합하며, 이에 따라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은 로터(20)의 회전 중에 축방향 전후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베어링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탑 포일(200)은 일단에 구비된 탑 포일 결합부(21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원형으로 말아서 풀어지지 않게 고정 또는 지지하고, 범프 포일(100)은 일단에 구비된 범프 포일 결합부(110)를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원형으로 말아서 탑 포일(200)의 외측으로 포개어 풀어지지 않게 고정 또는 지지하며, 이때 범프 포일 결합부(110)와 탑 포일 결합부(210)는 서로 대면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 범프 포일(100)과 탑 포일(200)을 베어링 하우징(10)에 결합하기 전에, 범프 포일(100)과 탑 포일(200)을 미리 서로 결합시켜서 범프 포일(100)과 탑 포일(200)이 하나의 일체화된 부품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나의 부품으로 연결되어 일체화 된 범프 포일(100)과 탑 포일(200)을 베어링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베어링 하우징(10)과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긁힘 및 찍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베어링(1)은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회전이 가능한 힌지고정부(220)를 구비한 탑 포일(200), 및 상기 탑 포일(200)의 외측을 둘러싸고 힌지고정부(220)에 걸려져서 고정되는 돌기부(120)를 구비한 범프 포일(100)을 포함한다.
범프 포일(100)은 탑 포일(200)을 감싸는 이너 범프 포일(130) 및 이너 범프 포일(130)을 감싸는 아우터 범프 포일(140)을 포함하며, 돌기부(120)는 아우터 범프 포일(140)의 일단에 형성된 구조가 된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보면, 범프 포일(100)은 좌측단 끝에 범프 포일 결합부(110)가 구비되어서 범프 포일 결합부(110)를 기준으로 반 시계방향으로 원형으로 말려지고, 탑 포일(200)은 우측단 끝에 탑 포일 결합부(210)가 구비되어서 탑 포일 결합부(210)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원형으로 말려지며, 이때 범프 포일 결합부(110)와 탑 포일 결합부(210)는 서로 대면하게 된다.
탑 포일 결합부(210)의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힌지고정부(220)가 이격되게 구비된다.
범프 포일(100)은 탑 포일(200)의 반경방향으로 이너 범프 포일(130) 및 아우터 범프 포일(1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범프 포일(100)은 우측단 끝에 돌기부(120)가 구비된다.
돌기부(120)는 범프 포일(100)의 우측단 끝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힌지고정부(220)와 일대일 매칭을 이루도록 동일 개수로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에어 포일 베어링(1)은 탑 포일(200)과 범프 포일(100)이 힌지고정부(220)와 돌기부(120)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조립된 후 베어링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원형으로 말려지고 서로 분리된 범프 포일과 탑 포일은 탄성 복원에 의해 원형이 풀려지려는 특성이 있어서, 작업자가 범프 포일 및 탑 포일의 탄성 복원 특성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게 되면, 베어링 하우징에 에어 포일 베어링의 조립시 부품간 긁힘 및 찍힘 등의 손상이 발생하고, 위치이탈에 따른 조립성이 감소하며, 특히 조립후에도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원형으로 말려진 탑 포일(200)과 범프 포일(100)이 힌지고정부(220)와 돌기부(120)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조립되고, 탑 포일(200)과 범프 포일(100)이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된 에어 포일 베어링(1)을 베어링 하우징(10)에 결합하는 구성으로, 원형으로 말려진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이 서로 결합되어서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됨에 따라 탄성 복원에 의한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풀림현상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베어링 하우징(10)과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긁힘 및 찍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후에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힌지고정부(220)는 탑 포일(200)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탑 포일 결합부(210)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돌기부(120)는 범프 포일(100)의 일단에서 힌지고정부(220)와 일대일 매칭을 이루도록 동일 개수로 형성된다.
힌지고정부(220)는 탑 포일 결합부(210)의 일면과 연결되어서 힌지역할을 하는 힌지부(221), 및 상기 힌지부(221)와 연결되고 범프 포일(100)의 돌기부(120)와 접촉해서 돌기부(12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22)를 포함한다.
범프 포일(100)의 돌기부(120)는 범프 포일(100)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후 일자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범프 포일(100)의 돌기부(120)는 탑 포일 결합부(210)와 힌지고정부(220)사이로 삽입되어서 힌지고정부(220)의 탄성복원에 의한 고정부(222)의 가압으로 지지 고정되는 구조가 된다.
특히, 도 8과 같이 범프 포일(100)의 돌기부(120)에는 힌지고정부(220)와의 결합력 강화를 위해 힌지고정부(220)의 고정부(222)가 삽입되는 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탑 포일(200)의 힌지고정부(220)는 힌지부(221)와 고정부(222)가 도 5의 U형상, 도 6의 V형상, 도 7의 일자형상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구조이며. 힌지고정부(220)가 범프 포일(100)의 돌기부(120)를 지지 고정하는 구조이면 힌지고정부(22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힌지고정부(220)는 힌지부(221)와 고정부(222)가 ㄷ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이고, ㄷ형상은 도 5의 U형상과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8은 힌지고정부(220)가 U형상이고, 범프 포일(100)의 돌기부(120)가 일자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포일 베어링은, 원형으로 말려진 탑 포일(200)과 범프 포일(100)이 베어링 하우징(10)에 결합되기 전에 힌지고정부(220)와 돌기부(120)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미리 조립되는 구성으로, 원형으로 말려진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이 서로 결합되어서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화됨에 따라 탄성 복원에 의한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풀림현상 없앨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베어링 하우징(10)과의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특히 범프 포일(100) 및 탑 포일(200)의 긁힘 및 찍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후에도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에어 포일 베어링
10 - 베어링 하우징
11 - 중공
12 - 슬롯
20 - 로터
100 - 범프 포일
110 - 범프 포일 결합부
120 - 돌기부
121 - 결합홈
130 - 이너 범프 포일
140 - 아우터 범프 포일
200 - 탑 포일
210 - 탑 포일 결합부
220 - 힌지고정부

Claims (8)

  1. 탄성회전이 가능한 힌지고정부를 구비한 탑 포일; 및
    상기 탑 포일의 외측을 둘러싸고 힌지고정부에 걸려져서 고정되는 돌기부를 구비한 범프 포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프 포일은 탑 포일을 감싸는 이너 범프 포일 및 이너 범프 포일을 감싸는 아우터 범프 포일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아우터 범프 포일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 포일과 범프 포일은 힌지고정부와 돌기부의 결합에 의해 일체화된 하나의 부품으로 조립된 후 베어링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는 탑 포일의 일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탑 포일 결합부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범프 포일의 일단에서 힌지고정부와 일대일 매칭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는 탑 포일 결합부의 일면과 연결되어서 힌지역할을 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와 연결되고 범프 포일의 돌기부와 접촉해서 돌기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범프 포일의 돌기부는 탑 포일 결합부와 힌지고정부사이로 삽입되어서 힌지고정부의 탄성복원에 의한 고정부의 가압으로 지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는 힌지부와 고정부가 U형상, V형상, 일자형상 중 어느 하나의 모양으로 연결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범프 포일의 돌기부에는 힌지고정부와의 결합력 강화를 위해 힌지고정부의 고정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0210118465A 2021-09-06 2021-09-06 에어 포일 베어링 KR20230035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65A KR20230035896A (ko) 2021-09-06 2021-09-06 에어 포일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65A KR20230035896A (ko) 2021-09-06 2021-09-06 에어 포일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896A true KR20230035896A (ko) 2023-03-14

Family

ID=85502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65A KR20230035896A (ko) 2021-09-06 2021-09-06 에어 포일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58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3185A (zh) * 2023-08-22 2023-09-15 江苏海拓宾未来工业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空气悬浮离心鼓风机及其制造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970A (ko) 2017-12-11 2019-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8970A (ko) 2017-12-11 2019-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 포일 베어링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53185A (zh) * 2023-08-22 2023-09-15 江苏海拓宾未来工业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空气悬浮离心鼓风机及其制造工艺
CN116753185B (zh) * 2023-08-22 2023-11-21 江苏海拓宾未来工业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空气悬浮离心鼓风机及其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35896A (ko)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573213B1 (ko) 에어포일 베어링
JP2012031995A (ja) ジャーナル空気軸受およびジャーナル空気軸受の設置方法
KR102463189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조립체
KR102474357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조립체
RU2005105414A (ru) Внутренняя обойма роликоподшипника турбомашины, роликоподшипник турбомашины и цапфа вала, установленная в данном роликоподшипнике
JPH068648B2 (ja) 回転軸又は回転軸用軸受のためのダンパ型支持構造体
JP6908481B2 (ja) ランディング軸受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ようなアセンブリが備わった回転機械
JP2010520965A (ja) カムシャフトを支承するための軸受け装置の改良された構成を有する、燃料を圧送するための高圧ポンプ
JP2012189180A (ja) 転がり軸受、転がり軸受装置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装置
US20080213086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Rotating Shaft
KR102498528B1 (ko) 에어포일 저널베어링
WO2019111430A1 (ja) 電動機及び電動送風機
JP2019082233A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軸受
JP2017025821A (ja) 遠心圧縮機
KR102485659B1 (ko) 에어 포일 베어링
KR102631070B1 (ko) 회전 롤러, 회전 롤러용 베어링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
JP2022075371A (ja)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式ジャーナル軸受およびそれを備える回転機械
KR100233012B1 (ko) 유체 베어링의 축 중심 보정장치
KR200346901Y1 (ko) 현상필름 입출 로울러 지지용 이중 탄성편
KR20230060954A (ko) 조립성이 개선된 에어 포일 베어링 조립체
KR102371286B1 (ko)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
KR20040089337A (ko) 브러시리스 모터용 회전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69698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20230064914A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에어 포일 저널 베어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