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875A -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875A
KR20230035875A KR1020210118423A KR20210118423A KR20230035875A KR 20230035875 A KR20230035875 A KR 20230035875A KR 1020210118423 A KR1020210118423 A KR 1020210118423A KR 20210118423 A KR20210118423 A KR 20210118423A KR 20230035875 A KR20230035875 A KR 2023003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ody
rim
assembly
lens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 (Inno)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 (Inno)
Priority to KR1020210118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875A/ko
Publication of KR2023003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6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rubb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즈 프레임과, 한 쌍의 다리를 통해 노즈 프레임과 다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시력 교정을 도모하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테두리부가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며, 노즈 프레임의 단부에 조립되는 내측 조립단과, 다리와 결합되는 외측 조립단이 형성된 렌즈바디와; 상기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를 따라 환형 요입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형 요입홈; 및 상기 환형 요입홈에 견착되어 렌드바디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환형 견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Rimless lens assembly}
본 발명은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즈 프레임과, 한 쌍의 다리를 통해 노즈 프레임과 다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시력 교정을 도모하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라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안경 프레임과 이에 결합되는 렌즈바디 및 렌즈바디가 결합된 안경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로 크게 구성된다.
일반적인 안경은 렌즈바디를 장착한 프레임의 양측과 중앙에 힌지와 노즈프레임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고, 힌지의 후단부에는 다리의 선단부를 결합하여 다리가 접철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유테안경의 범위를 벗어나 보다 미적인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무테안경이고, 이러한 무테안경은 렌즈의 중앙부와 양측에 노즈 프레임과 다리를 장착한 힌지가 조립된 형태이다.
통상 무테안경은, 렌즈 조립체를 구성하는 렌즈바디에 형성되는 체결공을 통하여 노즈프레임이나 힌지에 구비되는 볼트를 삽입한 후 캡 일체형 너트로 단속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볼트는 렌즈에 대하여 회동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2개 1조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무테안경은 유테안경과 달리 렌즈를 감싸는 림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관계로, 가벼워 착용감이 우수할 뿐 아니라 심플한 디자인에 의해 심플한 미감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무테안경은 렌즈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림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관계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물론,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를 커버하는 림의 삭제에 따른 안경의 경량화에 따른 착용성의 향상은 바람직하지만, 상기 렌즈바디의 테두리부가 착용과정에 항시 노출됨에 따른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렌즈바디는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취성재질로 제작되며 두께가 얇은 곡면체로 제작되는데, 심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야기되고, 특히 높은 위치에서 렌즈바디가 탑재된 무테안경을 떨어뜨릴 경우에 노출된 테두리부에 응력이 집중하여 렌즈바디의 잦은 파손이 야기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충격에 의한 렌즈바디의 파손은, 절삭에 의해 모서리가 형성되어 모서리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는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심화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렌즈바디를 탑재한 무테안경을 잠시 보관하고자 바닥 등에 놓게 되면, 상기 렌즈바디의 테두리가 바닥에 직접 당접하여 마찰하므로, 상기 렌즈바디 테두리부의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고, 또 렌즈바디의 오염이 야기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는 모방 절삭 등의 후가공을 통해 절삭 가공하여 성형된다. 그런데, 무테안경의 착용과정에 절삭 가공에 의해 생성된 테두리부를 통해 난반사된 빛이 착용자의 안구로 유입되어서, 눈부심 등 시야 및 안구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넷째, 상기 렌즈바디는 단순히 절삭 가공을 통해 곡면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 가공하여 성형된 관계로, 디자인이 밋밋하여 렌즈바디 자체를 통한 미감의 향상을 통해 향상된 상품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KR 10-0989707 B1 KR 10-0877762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즈 프레임과, 한 쌍의 다리를 통해 노즈 프레임과 다리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시력 교정을 도모함에 있어, 렌즈 테두리부의 다양한 색상의 장식을 통해 상품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향상된 내충격성과 눈부심의 방지를 통한 안정된 시야의 확보와 내구성, 및 착용 안전성을 갖도록 한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는,
테두리부가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며, 노즈 프레임의 단부에 조립되는 내측 조립단과, 다리와 결합되는 외측 조립단이 형성된 렌즈바디와; 상기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를 따라 환형 요입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형 요입홈; 및 상기 환형 요입홈에 견착되어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환형 견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견착밴드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에 탄성 압입하여 견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형 견착밴드의 직경은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의 설정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제작되어, 상기 환형 요입홈에 견착하여 고정되어서,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환형 견착밴드가 환형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렌즈 조립체를 구성하는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환형 압입홈과 환형 압입밴드로 이루어진 독특한 차광 완충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광 완충구조를 형성하면, 상기 렌즈 테두리부의 다양한 색상의 장식을 통해 상품성의 향상이 도모되고, 환형 압입밴드에 의해 렌즈바디 자체의 내충격성과 파손 발생시 파편의 비산이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 테두리부의 환형 압입밴드에 의해 불균일한 표면을 갖는 테두리부를 통해 빛이 난반사하여 착용시 난반사에 의한 눈부심 발생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시야확보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테안경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테안경에 있어, 렌즈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테안경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테안경에 있어, 렌즈 조립체의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렌즈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즈 프레임(110)과, 한 쌍의 다리(120)를 통해 노즈 프레임(110)과 다리(120) 사이에 좌우 대칭되게 각각 배치되어 무테안경(100)을 형성하는 렌즈바디(1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바디(10)는 노즈 프레임(110)의 양단에 내측단을 각각 고정하고 다리(120)의 선단부에 외측단을 각각 고정하여, 상기 노즈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여 배치된 무테안경(10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렌즈 조립체(1)를 구성하는 렌즈바디(10)는 좌안용과 우안용으로 제작되어 노즈 프레임(110)의 양단에 좌우 대칭하여 고정되어서, 착용시 착용자의 좌안과 우안의 전방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바디(10)의 내측부와 외측부에 한 쌍의 조립공(12a, 13a)이 각각 관통되게 형성된 내측 조립부(12)와 외측 조립부(13)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바디(10)의 내측 조립부(12)에 조립되는 노즈 프레임(110)의 양단과, 렌즈바디(10)의 외측 조립부(13)에 조립되는 다리(120)의 선단부에 형성된 힌지(121)에는 대응하여 조립되는 내측 조립부(12)과 외측 조립부(13)에 형성된 조립공(12a, 13a)을 관통하는 한 쌍의 조립핀(111a, 122a)을 갖는 조립단(111, 122)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렌즈바디(10)는 노즈 프레임(110)의 조립단(111), 그리고 다리(120)의 조립단(122)에 형성된 조립핀(111a, 122a)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대응하는 내측 조립부(12)와 외측 조립부(13)의 조립공(12a, 13a)에 관통되게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후방에서 전방으로 조립공(12a, 13a)에 압입캡 부재(130)를 삽입하여서, 조립공(12a, 13a)을 관통한 조립핀(111a, 122a)을 압입캡 부재(130)를 통해 구속하여서, 렌즈바디(10)의 내측 조립부(12)와 노즈 프레임(110)의 단부 사이, 그리고 렌즈바디(10)의 외측 조립부(13)와 다리(120) 사이의 정형화된 구속 고정을 도모한다.
상기 조립공(12a, 13a)을 관통한 조립핀(111a, 122a)을 압입하여 구속하는 압입캡 부재(130)는, 베이스(131)에 조립핀(111a, 122a)을 압입하여 구속하는 한 쌍의 압입부시(132)가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입부시(132)에 압입되는 조립핀(111a, 122a)의 외벽에 다단의 걸림턱(111b, 122b)을 형성하여서, 압입부시(132)와 압입부시(132) 내에 압입된 조립핀(111a, 122a)의 정형화된 고정을 도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입캡 부재(130), 적어도 조립핀(111a, 122a)이 탄성 압입하여 구속되는 압입부시(132)를 고온 가열에 의해 열수축하는 열수축성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여, 압입부시(132) 내에 탄성 압입하여 1차 구속된 각 조립단의 조립핀(111a, 122a)은 가열에 의해 열수축되는 압입부시(132)에 의해 정형화되게 고착되어서, 조립핀(111a, 122a)과 압입부시(132)의 보다 안정된 구속이 도모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립구조를 통해 렌즈 조립체(1)를 노즈 프레임(110)과, 다리(120)에 조립한 무테안경(100)은, 반복적인 착용에 의해 렌즈 조립체(1)와 노즈 프레임(110) 사이, 그리고 렌즈 조립체(1)와 다리(120) 사이의 조립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해소되므로 안정된 내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렌즈바디(10)는 투명, 반투명, 또는 변색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빛의 굴절을 통한 시력의 교정기능, 안구에 진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기능을 동시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렌즈바디(10)는 통상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되며 시력 교정을 위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체로 구성되며, 모방절삭 등의 후가공을 통해 사각형,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다리꼴형 등 요하는 형상으로 절삭 가공하여서, 노즈 프레임(110)과 다리(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렌즈바디(10)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테안경(100)은 그 특성상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를 커버하는 림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관계로, 렌즈바디(10)는 절삭 가공된 테두리부(11)가 노출된 상태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를 커버하는 림의 삭제에 따른 안경의 경량화에 따른 착용성의 향상은 바람직하지만, 상기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가 착용과정에 항시 노출된 상태를 형성하는 관계로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첫째, 상기 렌즈바디(10)는 외부 충격에 쉽게 파손되는 취성재질로 제작되며 두께가 얇은 곡면체로 제작되는데, 심한 외부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야기되고, 특히 높은 위치에서 렌즈바디(10)가 탑재된 무테안경(100)을 떨어뜨릴 경우에 노출된 테두리부(11)에 응력이 집중하여 렌즈바디(10)의 잦은 파손이 야기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충격에 의한 렌즈바디(10)의 파손은, 절삭에 의해 모서리가 형성되어 모서리에 의해 응력이 집중되는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심화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렌즈바디(10)를 탑재한 무테안경(100)을 잠시 보관하고자 바닥 등에 놓게 되면, 상기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가 바닥에 직접 당접하여 마찰하므로, 상기 렌즈바디 테두리부(11)의 마찰에 의한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고, 또 렌즈바디(10)의 오염이 야기될 수도 있다.
셋째, 상기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는 모방 절삭 등의 후가공을 통해 절삭 가공하여 성형된다.
그런데, 무테안경(100)의 착용과정에 절삭 가공에 의해 생성된 테두리부(11)를 통해 난반사된 빛이 착용자의 안구로 유입되어서, 눈부심 등 시야 및 안구에 악영향을 초래한다.
넷째, 상기 렌즈바디(10)는 단순히 절삭 가공을 통해 곡면체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삭 가공하여 성형된 관계로, 디자인이 밋밋하여 렌즈바디(10) 자체를 통한 미감의 향상을 통해 향상된 상품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 렌즈 조립체(1)를 구성하는 렌즈바디(10)에 독특한 차광 완충구조를 형성하여, 종래 렌즈바디를 포함하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의 한계성을 극복하면서 구매자의 요구에 의해 다양한 미감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차광 완충구조는, 도 1과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절삭 가공된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를 따라 환형 요입하여 형성되는 환형 요입홈(20)과, 상기 환형 요입홈(20)에 견착하여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설정높이로 외경면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환형 견착밴드(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20)에 환형 견착밴드(30)를 견착하면, 상기 렌즈바디(10)는 테두리부(11)를 감싼 환형 견착밴드(30)에 의해 강도가 보강되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파손되더라도 렌즈바디(10)의 파편들은 환형 견착밴드(30)에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여 비산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또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돌출된 환형 견착밴드(30)에 의해 테두리부(11)의 완충이 도모되어 렌즈바디(10)의 파손이 억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는 환형 견착밴드(30)에 의해 전체적으로 감싸진 관계로, 불균일한 테두리부(11)를 통해 진입된 빛이 난반사되어 착용자의 눈부심을 야기하여 시야를 흐트리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형 요입홈(20)은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을 설정깊이와 설정폭으로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고, 상기 환형 견착밴드(30)는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 우레탄 등의 탄성재질, 또는 열수축을 통해 환형 수축하는 열수축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이 가능하며, 성형시 투입되는 염료나 안료에 의해 다양한 색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열수축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환형 견착밴드(30)는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20)에 덧씌워진 상태에서 가열에 의해 수축하여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를 강하게 환형 압박하여 지지하므로 렌즈바디(10) 자체의 내구성을 증대할 뿐 아니라, 다양한 규격의 렌즈바디에 공용된 설치가 가능하다.
즉, 다양한 크기나, 테두리부가 굴곡진 형태나 각진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렌즈바디 테두리부에 정형화된 설치가 공용된 설치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환형 견착밴드(30)에는 광변색 안료, 감온변색(시온)안료를 혼입하여 실내 또는 실외와 같은 장소에 전혀 구애 받지 않고 변색되도록 구성하여서, 온도나 주위 조도에 따라 렌즈 조립체(1)를 구성하는 렌즈바디(10) 테두리부(11)의 다양한 색감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환형 견착밴드의 표면에 반사층을 형성하여, 상기 반사층을 통해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로 빛이 유입되는 현상을 보다 안정되게 차단하여 환형 견착밴드를 투과하여 테두리부를 통해 난반사되는 현상을 억제한다.
그리고, 상기 환형 견착밴드(30)의 직경은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20)의 설정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제작되어, 상기 환형 요입홈(20)에 견착하여 고정되어서,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환형 견착밴드(30)가 환형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환형 견착밴드(30)는 정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이 가능하며, 이때 환형 견착밴드(30)의 단면 높이는 환형 요입홈(20)의 요입깊이 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제작되어, 상기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덧씌워진 환형 견착밴드(30)의 외경면은 렌즈바디(10)의 테두리부(11)에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10. 렌즈바디 11. 테두리부
12. 내측 조립부 12a. 조립공
13. 외측 조립부 13a. 조립공
20. 환형 요입홈 30. 환형 견착밴드
100. 무테안경 110. 노즈 프레임
111. 조립단 111a. 조립핀
111b. 걸림턱
120. 다리 121. 힌지
122. 조립단 122a. 조립핀
122b. 걸림턱
130. 압입캡 부재 131. 베이스
132. 압입부시

Claims (3)

  1. 테두리부가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며, 노즈 프레임의 단부에 조립되는 내측 조립단과, 다리와 결합되는 외측 조립단이 형성된 렌즈바디와;
    상기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를 따라 환형 요입하여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환형 요입홈; 및
    상기 환형 요입홈에 견착되어 렌즈바디의 테두리부를 감싸는 환형 견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견착밴드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에 탄성 압입하여 견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견착밴드의 직경은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환형 요입홈의 설정폭 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제작되어, 상기 환형 요입홈에 견착하여 고정되어서, 렌즈바디의 테두리부에 환형 견착밴드가 환형 돌출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KR1020210118423A 2021-09-06 2021-09-06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KR20230035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23A KR20230035875A (ko) 2021-09-06 2021-09-06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423A KR20230035875A (ko) 2021-09-06 2021-09-06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875A true KR20230035875A (ko) 2023-03-14

Family

ID=8550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423A KR20230035875A (ko) 2021-09-06 2021-09-06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58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62B1 (ko) 2007-10-15 2009-01-08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KR100989707B1 (ko) 2009-02-03 2010-10-26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762B1 (ko) 2007-10-15 2009-01-08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KR100989707B1 (ko) 2009-02-03 2010-10-26 황보원일 무테안경용 렌즈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5719A1 (en) Spectacle Lens
US5371555A (en) Prescription goggles
KR20070007147A (ko) 안경
US20160041404A1 (en) Eyewear with interchangeable temples and brow bar
US20040090593A1 (en) Eyeglass with auxiliary lenses
JPH0490508A (ja) 被せサングラス眼鏡
KR101093870B1 (ko) 시력 보정용 고글
KR20230035875A (ko) 무테안경용 렌즈 조립체
KR101512593B1 (ko) 경량화된 투톤 안경테
KR102346852B1 (ko) 선글라스 탈착 취부형 안경
KR860001986B1 (ko) 안경테
US6984036B1 (en) Safety shield for eyewear assembly
KR200489414Y1 (ko) 안경렌즈 장착 구조체
JP2006184296A (ja) 度付眼鏡及びその製造方法
US6776481B2 (en) Clip on visor
CN212255907U (zh) 一种异形边框眼镜
KR102357980B1 (ko) 안경다리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패션 안경
JP3224837U (ja) モジュール式眼鏡
JPH08504516A (ja) 半縁なし眼鏡フレームアセンブリー
KR101077882B1 (ko) 안경테의 렌즈 설치구조
TW202018378A (zh) 擬單片式鏡片的太陽眼鏡組件(二)
US20140002786A1 (en) Decorative eyeglasses
KR102569250B1 (ko)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US20220308367A1 (en) Eyewear having an anti reflective portion
CN214669897U (zh) 一种轻量化金属镜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