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017A -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 Google Patents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017A
KR20230035017A KR1020230027071A KR20230027071A KR20230035017A KR 20230035017 A KR20230035017 A KR 20230035017A KR 1020230027071 A KR1020230027071 A KR 1020230027071A KR 20230027071 A KR20230027071 A KR 20230027071A KR 20230035017 A KR20230035017 A KR 20230035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structure
support
shap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7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49997B1 (en
Inventor
가현실
Original Assignee
가현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현실 filed Critical 가현실
Priority to KR102023002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97B1/en
Publication of KR2023003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Abstract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which provides a reinforcing force to a frame structure including a vertical frame standing on a roadside and a horizontal fram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and supporting a traffic signal light. The support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side of the frame structure, and has a specific shape on a middle part thereof, thereby creating a reinforcing force inside the fram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into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ep of bending a plan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produce a frame of a predetermined length; a step of forming a bent part by inwardly bending both ends of the planar member forming the shape of the frame; a step of vertically inserting the support into the bent part; and a step of fixing the suppor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bent part. The support having the specific shape can resist stresses occurring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the frame, thereby forming a stronger support force than conventional frame structures, and having resistance to the stresses arising in situations such as strong winds or earthquakes.

Description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프레임구조체 시설물 {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A frame structure facility that increases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본 발명은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특정 형상의 지지체를 삽입함으로써, 프레임에 수직으로 발생되는 응력과 동시에, 수평으로 발생되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body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by inserting a support body of a specific shape capable of reinforcing the bearing force in a bent portion formed in the frame, It relates to a support bod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that is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capable of resisting stress generated horizontally as well as stress generated vertically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일반적으로 차량용 신호등은, 지면에서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 프레임인 지주와, 상기 지주와 연결되되, 도로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인 가로보를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로 형성된다.In general, traffic lights for vehicles are formed of a frame structure including a vertical frame fixed vertically on the ground and a crossbeam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horizontal frame extending upward on the road.

여기서, 수평 프레임의 끝부분 혹은 중간에는, 교통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등 및 교통 안내 표지이 구비되어, 차량 운전자가 쉽게 교통신호를 식별할 수 있다.Here, a traffic light and a traffic guide sign for displaying a traffic signal are provided at the end or middle of the horizontal frame, so that a vehicle driver can easily identify the traffic signal.

한편, 수직 프레임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수평 프레임은, 상기 수직 프레임과 결합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수평지지력이 점차 저하됨으로써, 수평 프레임의 자체 하중과, 신호등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휘게될 우려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frame extending from the side of the vertical frame has a fear of bending downward due to the load of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load of the traffic light as the horizontal supporting force gradually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part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

따라서, 종래의 신호등용 프레임 구조체들은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프레임의 상단과 수평 프레임의 연장된 끝단을 연결하는 와이어 로프를 구비하여 수평 프레임이 하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그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4335호 '신호등용 와이어 연결단말'과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다.Therefore, conventional frame structures for traffic lights have a shape that prevents the horizontal frame from bending downward by providing a wire rope connecting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extended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n order to prevent downward bending under load. As an example, technology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34335 'wire connection terminal for traffic lights' has been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와이어 로프는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의 외부에 구비되게 되어, 풍향 등에 영향을 받아 흔들리게 되면서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이 함께 흔들릴 우려가 있고,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와이어 로프가 변성되거나 손상되어 끊어질 경우, 수평 프레임 역시 자체의 하중에 의해 파단되거나 하측으로 휘어질 우려가 있었다However, these wire ropes are provided outsid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as they are shaken under the influence of wind direction, etc.,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may shake together, and the wire rope is degenerated or damaged due to long-term use and breaks In the event of a fall, the horizontal frame also had a risk of breaking or bending downward under its own load.

또한, 수평 프레임이 하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체결 구성을 달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며, 그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1358426호 '교통신호등 지주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horizontal frame from bending downward, a technique for different fastening configurations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has been developed. As an example, Korea Patent No. 10-1358426 'Traffic light holding structure' is disclosed .

그러나, 상기 교통신호등 가로보구조체와 같이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의 형상 자체를 변형시키는 기술은, 일반적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아닌 수평 프레임과 수직 프레임을 생산하는데 있어 필수로 소모되는 자재와, 복잡한 설계 방식으로 인해 생산 단가가 크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the technique of transforming the shape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itself, such as the traffic light crossbeam structure, is a material that is essential for producing a horizontal frame and a vertical frame that does not have a general shape, and a complicated design method. As a result,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cost is greatly increased.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 로프 없이 수평 프레임의 수평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의 형상을 크게 변형하지 않아, 종래 생산되는 신호등 제작 시설로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horizontal fixing force of the horizontal frame without such a wire rope, and increas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by being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that can be easily manufactured with a conventionally produced traffic light manufacturing facility without significantly changing the shape of the vertical fram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technologies for manufacturing methods for supporting bodies and road facility fram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은, 프레임에 형성되는 절곡부에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특정 형상의 지지체를 삽입함으로써, 프레임에 수직으로 발생되는 응력과 동시에, 수평으로 발생되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pport body and a road facility frame for increasing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by being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aring capacity in a bent portion formed in the frame. By inserting a support of a specific shape capable of reinforcing the frame, the support and road facility frame are inserted into the road facility frame capable of resisting the stress genera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the same time as the frame to increas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는, 도로변 상에서 직립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며, 교통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등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에 보강력을 형성하는 지지체로서, 프레임 구조체 둘레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되, 중단의 형상이 특정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프레임 내부에서 보강력을 형성할 수 있다.A suppor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frame structure including a vertical frame standing upright on a roadside, and a horizontal fram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and supporting a traffic light transmitting a traffic signal. As a support for forming a reinforcing force, it is inserted along on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fram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middle is provided in a specific shape, thereby forming a reinforcing force inside the frame.

또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절곡부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의 내면과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지지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to form a fixing force, and a reinforcing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xing portions to prevent twisting of the support body.

또한, 상기 보강부의 전단면은, 직선형, 원형, 다각형, 방사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mbination of any one or more shapes of a straight shape,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radial shap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가 삽입된 프레임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면상의 부재를 밴딩시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형상의 프레임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형상을 이루는 면상의 부재 양단부를 내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곡부에 지지체를 수직하게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체를 프레임의 내면과 절곡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manufacturing a frame having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y bending a plan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a frame into which a supporter is inse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ing a bent portion by inwardly bending both ends of the planar member constituting the shape of the frame; The method may include vertically inserting a supporter into the bent part and fixing the support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bent part.

여기서, 상기 지지체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절곡부에 수직하게 삽입된 지지체의 정면으로, 지지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마련된 보강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rame structure with the support body may further include inserting a reinforcing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body into the front of the support body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는,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직, 수평 응력에 대한 보강력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프레임 구조체 보다 강한 지지력을 형성하고, 강풍 또는 지진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되는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가질 수 있다.The supporter inserted into the road facilit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ncreas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is inserted into the frame to form a reinforcing force against vertical and horizontal stress, thereby forming a stronger bearing capacity than the conventional frame structure, and strong wind Alternatively, it may have resistance to stress generated in situations such as earthquak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는, 프레임 구조체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지지체를 프레임 구조체에 보다 쉽게 용접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protru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utside of the frame structure, the support body can be more easily welded to the fram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가 삽입된 프레임 제조방법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면상의 부재를 밴딩시키되,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체의 일면만을 용접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 결합시 발생되는 용접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frame with a supporter inse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n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s bent, but produced in an inwardly bent shape, and only one side of the supporter inserted into the frame is welded. Since it can be combin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nimize welding deformation generated during welding.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체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프레임 구조체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의 (a) 내지 (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팔각형의 전단면을 가지는 프레임 구조체에 삽입되는 지지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예시도이다.
도 4 의 (a) 및 (b) 는 지지체의 중단에 마련되는 보강부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of a frame structure provided with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upporter inserted into a frame structure.
3 (a) to (d) are plan views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upporter inserted into a frame structure having a regular octagonal front cross-s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and (b) is an exemplary view for showing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portion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support.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transformations may be applied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addition, the content described below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onvers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terms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in meaning per se,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ndicate like elements.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or "have" described below are meant to designate that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should be construed, and understood not to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4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port body and a road facility frame for increasing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by being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4, while looking at specific examples together. .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가 구비된 프레임 구조체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프레임 구조체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 의 (a) 내지 (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팔각형의 전단면을 가지는 프레임 구조체에 삽입되는 지지체의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예시도이고, 도 4 의 (a) 및 (b) 는 지지체의 중단에 마련되는 보강부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of a frame structure having a suppor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view showing a support body inserted into the frame structure, and FIG. 3 (a) to (d) ar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emplary plan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support body inserted into a frame structure having a regular octagonal shear su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S. is an example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100)는, 도로변 상에서 직립되는 수직 프레임(210)과, 상기 수직 프레임(210)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며, 교통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등(T)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220)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삽입 및 고정되어 보강력을 형성할 수 있다.1 to 4, the support bod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vertical frame 210 upright on the roadside and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210, and transmits a traffic signal. A reinforcing force may be formed by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frame structure 200 including the horizontal frame 220 for supporting the traffic light T.

여기서, 상기 수직 프레임(210)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220)과, 수평 프레임(220)에 부착되는 신호등(T)의 하중을 한꺼번에 지지할 수 있도록 지면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vertical frame 210, as shown in FIG. 1, can support the load of the horizontal frame 220 and the traffic light T attached to the horizontal frame 220 at once A state firmly fixed to the ground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with.

한편, 상기 수직 프레임(210)은, 강철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높은 강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가로등 및 전신주의 수직 프레임(210)에 사용되는 소재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vertical frame 210 may be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including steel or carbon fiber, and materials typically used for vertical frames 210 of street lights and utility poles may be used.

여기서, 도 1 에는 수직 프레임(210)이 지면과 고정되는 방식이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 프레임(210)을 지면에 박아 고정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인 작업자로 하여 널리 이용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 although the method in which the vertical frame 210 is fixed to the ground is not shown in detail in FIG. 1, the method of fixing the vertical frame 210 by driving it into the ground can be provided in a widely used manner by ordinary workers. ,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상기 수평 프레임(220)은, 수직 프레임(210)에서 횡의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프레임(210)과 마찬가지로 강철 또는 탄소 섬유의 소재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높은 강도를 가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frame 2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frame 210, and, like the vertical frame 210, is formed by including a material of steel or carbon fiber, It can be formed from a material with strength.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는, 전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의 형상 또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structure 20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shape of the front end surface has a poly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여기서, 상기 수평 프레임(220)은, 신호등(T)이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220)의 종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협하광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horizontal frame 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upper and lower beams whose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20 where the traffic light T is provided.

이는, 수평 프레임(220)이 수직 프레임(210)과 결합되는 단부의 직경과, 신호등(T)이 구비되는 수평 프레임(220)의 단부의 직경과 동일할 경우, 수평 프레임(220)의 종단으로 갈수록 중력에 의해 발생되는 수직 프레임(210)과 수평 프레임(220)의 결합부에 발생되는 부하로 인해 수평 프레임(220)이 하방으로 쳐지거나, 수평 프레임(220)과 수직 프레임(210)의 결합면이 분단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20, when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20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210 is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20 in which the traffic light T is provided. Due to the load generated at the coupling part of the vertical frame 210 and the horizontal frame 220, which is gradually generated by gravity, the horizontal frame 220 is drooped downward, or the combination of the horizontal frame 220 and the vertical frame 210 This is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surface may be divided.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공간, 즉, 중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속이 빈 공간을 가진 프레임 구조체(200)는, 속이 가득 차있는 프레임 구조체에 대비하여 가벼운 무게를 가짐으로써, 프레임 구조체(200) 자체의 하중에 의해 프레임 구조체(200)가 하방으로 쳐지거나, 단부로 갈수록 하중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를 보다 용이하게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a hollow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and the frame structure 200 having a hollow space is a frame structure filled with a hollow space. In contrast, by having a light weight, the frame structure 200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re easily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frame structure 200 is lowered due to the load of the frame structure 200 itself or deformation occurs due to the load toward the end. have

또한, 상기와 같이,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것은, 프레임 구조체(200)에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체(100)가 삽입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에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20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조체(200)의 형상을 제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레임 구조체(200)의 원단을 이루는 면체의 사방을 가압하는 프레스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is to insert the support 100 for reinforcing the bearing capacity into the frame structure 200. To this end, the frame structure 200 In the frame structure 200, a bent portion 201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structure 20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structure 200, and as a means for manufacturing the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200, the frame structure ( 200), a press device that presses the four sides of the facet forming the fabric may be us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uppo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지지체(100)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에 형성되는 절곡부(20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지지체(100)의 길이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일단에서, 프레임 구조체(200)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support body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201 formed in the frame structure 200.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support body 100 is, at one end of the frame structure 200, the frame I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s the structure 200 .

여기서, 상기 지지체(100)는, 지지체(100)의 일측이 프레임 구조체(200)에 형성된 절곡부(20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support body 100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100 has a height capable of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201 formed on the frame structure 200 .

이처럼 지지체(100)의 일측이 절곡부(20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경우, 작업자가 쉽게 프레임 구조체(200)에 지지체(100)를 삽입하여 용접시킬 수 있으므로, 프레임 구조체(200)를 제작함에 있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this way, when one side of the support 100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bent portion 201, the operator can easily insert and weld the support 100 into the frame structure 200, thereby manufacturing the frame structure 2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manufactured in a more firmly coupled state.

또한, 상기 지지체(100) 역시, 강철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는 높은 강도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100 may also be formed of a high-strength material including steel or carbon fiber.

또한, 상기 지지체(100)는, 상기 절곡부(201)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 일면 또는 내부 모서리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200)에 보강력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100 is fixed to the bent portion 201 and to one inner surface or inner edge of the frame structure 20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reby forming a reinforcing force in the frame structure 200 .

이때, 상기 지지체(100)를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접 방식의 접합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지지체(100)를 프레임 구조체(200)에 효과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모두 포함하여 고정될 수도 있으며, 작업자의 요구에 따라, 지지체(100)와 프레임 구조체(200)가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공정을 통해서도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a welding method may be used as a method for fixing the support body 100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but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e support body 100 is effectively attached to the frame structure 200. It may be fixed by including all fixable means, o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process in which the support body 100 and the frame structure 200 are integrally injected according to a worker's request.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개시된 지지체(100)가 프레임 구조체(200)에 결합되는 결합관계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는, 정팔각형 또는 정구각형의 전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o explain in detail the coupling relationship in which the support body 100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frame structure 200, the frame structure 200 may be formed to have a regular octagonal or regular spherical shear surface. there is.

여기서, 상기 절곡부(201)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가 정팔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8 개의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bent portion 201 may be formed on any one plane among eight planes of the frame structure 200 provided by forming the frame structure 200 in a regular octagonal shape.

이를 통해, 상기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지지체(100)가, 상기 절곡부(201)가 형성된 평면의 반대편 평면과 수직하도록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upport 100 inserted into the bent part 201 can be fixed in an inserted stat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pposite to the plane on which the bent part 201 is formed.

또한, 상기 절곡부(201)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가 정팔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8 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201 may be formed at any one corner among eight corners of the frame structure 200 provided by forming the frame structure 200 in a regular octagonal shape.

이를 통해, 상기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지지체(100)가, 상기 절곡부(201)가 형성된 평면의 반대편 모서리에 고정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support 100 inserted into the bent part 201 can be fixed to the corner opposite to the plane on which the bent part 201 is formed.

또한, 상기 절곡부(201)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가 정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9 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201 may be formed at any one corner among nine corners of the frame structure 200 provided by forming the frame structure 200 in a regular spherical shape.

즉, 상기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지지체(100)가, 상기 절곡부(201)가 형성된 모서리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평면과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100 inserted into the bent part 201 may be fixed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perpendicularly to a plan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rner where the bent part 201 is formed.

또한, 상기 절곡부(201)는,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가 정구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마련되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9 개의 평면 중, 어느 하나의 평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Also, the bent portion 201 may be formed on any one plane among nine planes of the frame structure 200 provided by forming the frame structure 200 in a regular spherical shape.

즉, 상기 절곡부(201)에 삽입되는 지지체(100)가, 상기 절곡부(201)가 형성된 평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모서리와 맞닿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That is, the support 100 inserted into the bent part 201 may be fixed in a state of contact with a corn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lane on which the bent part 201 is formed.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100)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측에 삽입되되, 프레임 구조체(200)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수직하게 구비됨으로써, 보의 쳐짐과 휨에 대한 응력에 보다 강하게 저항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체(200)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support bod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rame structure 200 and provided perpendicularly to cross the center of the frame structure 200, thereby reducing the sagging and bending of the beam.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ovide the frame structure 200 that can more strongly resist stress.

한편,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100)는, 고정부(101) 및 보강부(102)의 구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2 , the support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art 101 and the reinforcing part 102.

먼저, 상기 고정부(101)는, 상기 절곡부(201)와,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 일면 또는 내부 모서리와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용접 접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First, the fixing part 101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bent part 201 and an inner surface or an inner edge of the frame structure 200 to form a fixing force. As a method for forming the fixing force, as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a welding joint method may be used.

또한, 보강부(102)는, 지지체(100)의 양단에 마련되는 고정부(101)의 사이에 형성되어, 지지체(100)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힘살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art 102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s 10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100 to prevent twisting of the support 100 and serve as a force.

여기서, 상기 보강부(102)는, 고정부(101)에 대비하였을 때, 고정부(101) 보다 강한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part 10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stronger rigidity than the fixing part 101 when compared to the fixing part 101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부(102)는, 상기 지지체(100)의 중단 높이에서 지지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 원형, 다각형, 방사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inforcing part 102 may be formed in a combination of any one or more shapes of a linear shape,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radi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100 at the height of the middle of the support 100.

이하,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100)에 마련된 보강부(102)의 형태와, 이들의 형상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 shape and shape of the reinforcing portion 102 provided on the suppo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3 의 (a) 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102)는, 길이방향의 중단에서 일측으로 소정 각도 꺾여있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보강부(102) 전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형의 형태(102a)로 마련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a) of FIG. 3, the reinforcing part 102 is provided in a form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one side from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102 is in the form of a triangle (102a) may be provided.

또한, 도 3 의 (b)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100)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두개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대칭하게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3 , the support body 100 may be provided in two configurations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symmetrically contact each other.

즉, 도 3 의 (b) 에 도시된 삼각형 형태의 보강부(102a)가 두개의 구성을 가지며 서로 대칭하게 구비될 경우,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102a, 102a')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마름모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triangular reinforcing part 102a shown in FIG. 3 (b) has two configurations and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the reinforcing parts 102a and 102a' provid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The overall shape they form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rhombus.

또한, 도 3 의 (c) 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102)는, 지지체(100)의 소정 높이에서 상측과 하측이 일방향으로 소정 경사를 가지는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보강부(102) 전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의 형태(102b)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c) of FIG. 3, the reinforcing part 102 is provided in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in o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upport body 100,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102 The overall shape of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olygon (102b).

또한, 도 3 의 (d)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100)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두개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대칭하게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d) of FIG. 3 , the support body 100 may be provided in two configurations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and may be provided so as to symmetrically contact each other.

즉, 도 3 의 (d) 에 도시된 다각형 형태의 보강부(102b)가 두개의 구성으로 서로 대칭하게 구비될 경우,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102b, 102b')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다각 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polygonal reinforcing parts 102b shown in (d) of FIG. 3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wo configurations, the reinforcing parts 102b and 102b' provid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The overall shape formed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polygon, and by being formed to have a length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it may have a shape of a polygonal column.

또한, 도 4 의 (a) 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체(100)의 보강부(102)는, 보강부(102)의 중단 높이에서, 보강부(102)의 양측방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상(102c)으로 마련됨으로써, 지지체(100)에 발생되는 휨 응력과 쳐짐 응력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a), the reinforcement part 102 of the support body 100 has a shape protruding vertically to both sides of the reinforcement part 102 at the middle height of the reinforcement part 102 ( 102c), it is possible to resist bending stress and sagging stress generated in the support 100.

또한, 도 4 의 (b) 를 참조하면, 상기 보강부(102)는, 소정 높이에서 지지체(100)의 일측과 타측으로 지그재그로 절곡되는 형태(102d)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강부(102)의 형상이 이와 같은 지그재그 형상(102d)으로 마련될 경우, 프레임 구조체(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체(100)의 중단에 형성되는 보강부(102)로 하여, 프레임 구조체(200)가 비틀리거나 휘게 되는 경우에도, 보강구조를 갖는 지지체(100)가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변형되지 않아, 프레임 구조체(200)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referring to (b) of FIG. 4 , the reinforcing part 102 may be provided in a form 102d bent in a zigzag manner from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100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reinforcing part 102 When the shape of ) is provided in such a zigzag shape 102d, the frame structure 200 has Even when twisted or bent, the support 100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is not deform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so the frame structure 200 has an advantage of maintaining a constant strength.

또한, 상기 보강부(102)는, 중단이 일측으로 돌출되는 호의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보강부(102) 전단면의 전체적인 형상이 반원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art 102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arc in which the middle part protrudes to one side, the overall shap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inforcing part 102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emicircle.

또한, 상기 지지체(100)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두개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서로 대칭하게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즉, 반원 형태의 보강부가 두개의 구성으로 서로 대칭하게 구비될 경우,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100 may be provided in two configurations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so as to symmetrically contact each other, that is, when the semicircular reinforcing parts are provided in two configurations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 The overall shape formed by the reinforcing parts provid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may be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즉, 지지체(100)가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두개의 보강부가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upport 1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the two reinforcing parts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지지체(100)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서 두 개 이상의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v'의 형태로 소정 각도를 이루는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200)의 중심으로부터 프레임 구조체(200)의 외곽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사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10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two or more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and is provided in a shape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form of 'v', so that the center of the frame structure 200 It may be provided in a radial shape exten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frame structure 200 .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100)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 구조체(200)의 절곡부(201)에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삽입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200)에 수직으로 발생되는 응력과 동시에, 수평으로 발생되는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support bod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 a form having a specific shape into the bent portion 201 of the frame structure 2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rame structure 200 is perpendicularly genera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ist the stress generated horizontally at the same time as the stres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가 구비된 도로시설물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면상의 부재를 밴딩시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프레임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의 형상을 이루는 면상의 부재 양단부를 프레임의 내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절곡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곡부에 지지체를 수직하게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체를 프레임의 내면과 절곡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having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bending a plan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o form a fram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ming the shape of the frame Forming a bent portion by bending both ends of the planar member toward the inside of the frame, inserting a support body vertically into the bent portion, and fixing the support body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and the bent portion.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체가 삽입된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은, 소정 면적을 가지는 면상의 부재를 밴딩시키되,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지지체의 일면만을 용접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 결합시 발생되는 용접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with a supporter inser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supporter inserted into the frame is formed by bending a plan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bending it inwardly. Since it can be combined by welding only,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welding deformation generated during welding.

또한, 상기 지지체가 구비된 도로시설물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절곡부에 수직하게 삽입된 지지체의 정면으로, 지지체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마련된 보강체를 삽입하는 단계와, 삽입된 보강체를 용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road facility frame provided with the support includes the steps of inserting a reinforcing body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upport into the front of the support vertically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and welding the inserted reinforcing body. Further steps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보강체는, 상기 프레임에 삽입된 지지체를 내측으로 수용하며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수용부가 마련된 보강체일 수 있으며, 보강 구조체를 지지체에 끼워 맞춤으로써, 일체형의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body may be a reinforcing body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provided in a shape capable of receiving and fitting the support body inserted into the frame, and may be combined into an integral shape by fitting the reinforcing structure into the support body. there is.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되는 도로시설물 프레임은, 보강체가 삽입된 지지체로 하여 보다 강한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road facility fram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to have stronger strength as a support body into which a reinforcing member is inserted.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시설물 프레임에 삽입되어 수평 수직 저항력을 상승시키는 지지체 및 도로시설물 프레임 제조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support and a road facility frame for increasing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by being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are not restrictive.

100 : 지지체
101 : 고정부
102 : 보강부
200 : 프레임 구조체
201 : 절곡부
210 : 수직 프레임
220 : 수평 프레임
T : 신호등
100: support
101: fixing part
102: reinforcement part
200: frame structure
201: bending part
210: vertical frame
220: horizontal frame
T: traffic lights

Claims (1)

도로변 상에서 직립되는 팔각형 형상의 수직 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며 팔각형 형상이고, 교통신호를 전달하는 신호등을 지지하는 수평 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체 및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보강력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 구조체 둘레의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되, 중단의 형상이 특정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 내부에서 보강력을 형성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체는,
절곡부에 삽입됨으로써 프레임 구조체의 내면과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지지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102b)가 두개의 구성으로 서로 대칭하게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체(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보강부(102b, 102b')들이 이루는 전체적인 형상이 육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보강부의 전단면은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들(102b,102b')는 속이 비어있는 육각형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체에 의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는 세개의 중공부(1000a,1000b,1000c)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의 중심선(a-a')을 중심으로 중공부의 형태가 좌우대칭이고,
상기 중심선의 왼쪽에 있는 상기 중심선에 의해서 나뉘어진 중공부(1000c)의 왼쪽부분의 넓이와 중공부(1000a)의 넓이의 합이 중심선의 오른쪽에 있는 상기 중심선에 의해서 나뉘어진 중공부(1000c)의 오른쪽부분의 넓이와 중공부(1000b)의 넓이의 합이 동일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은,
강철 또는 탄소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곡부와,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 일면 또는 내부 모서리와 맞닿아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접을 하며,
상기 수평 프레임은,
수평 프레임의 종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상협하광의 형태이며,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내부에 상기 프레임 구조체에 지지력을 보강하는 지지체를 삽입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는, 프레임 구조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프레임 구조체의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프레임 구조체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프레임 구조체의 원단을 이루는 면체의 사방을 가압하는 프레스 장치를 사용하며,
소정 면적을 가지는 면상의 부재를 밴딩시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형상의 프레임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구조체 시설물.
A frame structure including an octagonal vertical frame standing upright on the roadside, and a horizontal frame couple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vertical frame and having an octagonal shape and supporting a traffic light transmitting a traffic signal, and
Forming a reinforcing force in the frame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that is inserted along one longitudinal direction around the frame structure and forms a reinforcing force inside the frame structure by providing a shape of a middle portion in a specific shape;
The support is
A fixing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to form a fixing force; and
A reinforcing part formed between the fixing parts to prevent twisting of the support,
The reinforcing parts 102b ar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in two configurations, so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reinforcing parts 102b and 102b' provided inside the frame structure 200 is provided in a hexagonal shape, The shear surface of the part is formed in a hexagonal shape,
The reinforcing parts 102b and 102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hexagonal column,
By the support, the inside of the frame structure is formed with three hollow parts (1000a, 1000b, 1000c),
The shape of the hollow part is symmetrical about the center line (a-a') of the support,
The sum of the area of the left part of the hollow part 1000c divided by the center line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line and the area of the hollow part 1000a is the number of the hollow part 1000c divided by the center line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line. The sum of the area of the right part and the area of the hollow part 1000b is the same,
The vertical frame,
containing steel or carbon fiber;
The fixing part may form a fixing force by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ent part and an inner surface or an inner corner of the frame structure, and welding is performed to form the fixing force,
The horizontal frame,
It is a form of upper and lower beams with a smaller diameter toward th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nserting a supporter for reinforcing a bearing force in the frame structure into the frame structure;
The frame structure has a bent portion that is bent inwardly of the frame structu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structure, and to form the shape of the frame structure, a press device that presses four sides of facets constituting the original fabric of the frame structure is used. ,
A frame structure facility characterized in that a frame having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planar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KR1020230027071A 2021-04-07 2023-02-28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KR1025499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7071A KR102549997B1 (en) 2021-04-07 2023-02-28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020A KR20220138980A (en) 2021-04-07 2021-04-07 A support body that is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KR1020230027071A KR102549997B1 (en) 2021-04-07 2023-02-28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20A Division KR20220138980A (en) 2021-04-07 2021-04-07 A support body that is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017A true KR20230035017A (en) 2023-03-10
KR102549997B1 KR102549997B1 (en) 2023-06-29

Family

ID=835997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20A KR20220138980A (en) 2021-04-07 2021-04-07 A support body that is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KR1020230027071A KR102549997B1 (en) 2021-04-07 2023-02-28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020A KR20220138980A (en) 2021-04-07 2021-04-07 A support body that is inserted into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oad facility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138980A (en)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157U (en) * 1996-05-06 1997-12-11 권태윤 Pipe structure
KR19990012554U (en) * 1997-09-10 1999-04-06 오건부 Rigidity pipe
KR200175483Y1 (en) * 1999-10-18 2000-03-15 주식회사케이.알 Strengthened pipe for guard rail
KR200216228Y1 (en) * 2000-03-21 2001-03-15 오세룡 Member of double pip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JP2002022065A (en) * 2000-07-04 2002-01-23 Nippon Koki Kk Reinforcing device for metallic pipe
KR20020068636A (en) * 2001-02-21 2002-08-28 허형만 Beam Pipe With Reinforcement
KR101012050B1 (en) * 2010-09-08 2011-01-31 박인규 Traffic facility holding device
KR101050388B1 (en) * 2010-11-19 2011-07-19 주식회사 오옴사 Manufacturing method of street lamp post and the same thereby
KR101106074B1 (en) * 2011-05-27 2012-01-18 김선미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KR101173593B1 (en)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penetrating rib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1216104B1 (en) * 2011-11-15 2012-12-27 김선미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load facility
KR101216951B1 (en) * 2012-05-08 2013-01-02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Holding the device with a light boile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42950B1 (en) * 2014-08-12 2015-08-13 황민선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676775B1 (en) * 2015-05-19 2016-11-16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install support of traffic light and road observation camera
KR101897919B1 (en) * 2017-08-25 2018-09-12 윤정욱 Strengthened high-strength metal pipe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3157U (en) * 1996-05-06 1997-12-11 권태윤 Pipe structure
KR19990012554U (en) * 1997-09-10 1999-04-06 오건부 Rigidity pipe
KR200175483Y1 (en) * 1999-10-18 2000-03-15 주식회사케이.알 Strengthened pipe for guard rail
KR200216228Y1 (en) * 2000-03-21 2001-03-15 오세룡 Member of double pipe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JP2002022065A (en) * 2000-07-04 2002-01-23 Nippon Koki Kk Reinforcing device for metallic pipe
KR20020068636A (en) * 2001-02-21 2002-08-28 허형만 Beam Pipe With Reinforcement
KR101012050B1 (en) * 2010-09-08 2011-01-31 박인규 Traffic facility holding device
KR101050388B1 (en) * 2010-11-19 2011-07-19 주식회사 오옴사 Manufacturing method of street lamp post and the same thereby
KR101106074B1 (en) * 2011-05-27 2012-01-18 김선미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traffic facility
KR101216104B1 (en) * 2011-11-15 2012-12-27 김선미 Mount and support device for establishing load facility
KR101173593B1 (en) * 2011-11-30 2012-08-13 김선미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penetrating rib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KR101216951B1 (en) * 2012-05-08 2013-01-02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Holding the device with a light boiler body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542950B1 (en) * 2014-08-12 2015-08-13 황민선 Cross beam reinforcement structure
KR101676775B1 (en) * 2015-05-19 2016-11-16 이덕관 Connecting rod for install support of traffic light and road observation camera
KR101897919B1 (en) * 2017-08-25 2018-09-12 윤정욱 Strengthened high-strength metal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997B1 (en) 2023-06-29
KR20220138980A (en)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9092B2 (en) Light alloy extrusion frame
US9004535B2 (en) Chassis for an electric vehicle
EP1061394B1 (en) Thick-walled cable jacket with non-circular cavity cross section
KR101364922B1 (en) Buckling-Restrained Braces
KR102043675B1 (en) Steel pipe structure for truss bridge and truss bridge using the same
JP4648203B2 (en) Load-bearing frame
KR102500844B1 (en) Traffic lights and street light structures
KR102549997B1 (en) A road facility frame to increase horizontal and vertical resistance
KR102479106B1 (en) Road facility frame with improved yield strength
KR100912584B1 (en) Method for preventing lateral buckling of prestressed concrete beam in prestressing and apparatus thereof
KR102550003B1 (en) Fram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JPH11158819A (en) Cable reinforcing construction of structure
JP3018967B2 (en) Reinforcement method fo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CN214786052U (en) Truss operation platform
US20130336711A1 (en) High tensile strength joint for connecting rods and fittings
JPH11255048A (en) Structural member having reinforcing structure
CN214831933U (en) Cable tower
JP5417152B2 (en) Guard post
CN217121598U (en) Structure end reinforcing steel bar system and structure
JP2022036882A (en) Joint structure of combined bundle of column in column
CN206521999U (en) Tent support framework and the tent with the skeleton
KR102423261B1 (en) Cantilever For Traffic Lights
KR102504725B1 (en) Assembly type wireless traffic light pole
JPH06330653A (en) Elastoplastic energy absorbing frame body
CN216305002U (en) Buckling restrained brac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