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500A -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500A
KR20230034500A KR1020210117308A KR20210117308A KR20230034500A KR 20230034500 A KR20230034500 A KR 20230034500A KR 1020210117308 A KR1020210117308 A KR 1020210117308A KR 20210117308 A KR20210117308 A KR 20210117308A KR 20230034500 A KR20230034500 A KR 20230034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patient
face
unit
ray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381B1 (ko
Inventor
천성태
Original Assignee
(주)해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우기술 filed Critical (주)해우기술
Priority to KR102021011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3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4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07Supports, e.g. tables or beds, for the body or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3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image data transmission via 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61B6/56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involving communication between diagnos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1Remote tes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설정된 양의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환자를 촬영하는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및 과전류 발생하는 경우, 전로를 차단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보호부,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의료종사자의 음성 송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 동작 및 평판 디텍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환자에게 조사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을 검출하는 엑스레이 검출부, 상기 촬영제어부에서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로 전송하는 촬영 여부 신호를 송수신 처리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데이터를 기설정된 의료종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신호처리부 및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기저장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의 픽셀 비율을 매칭하여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결함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NON-SURFACE X-RAY IMA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엑스레이(X-Ray)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와의 비대면 방식으로 엑스레이를 촬영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호흡기 감염성 질병인 코로나19 바이러스 및 변이 바이러스에 많은 사람들이 감염되어 증상이 가벼운 경우 격리부터 시작하여 사망에 이르기까지 하는 질병이 유행하고 있다.
또한, 호흡기 질환의 성격을 띄고 있어서, 호흡을 담당하는 장기인 폐에도 염증을 발생시키거나 기능을 저하 시키는 증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코로나19에 감염된 대다수의 사람들 또는 감염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필수적으로 흉부 엑스레이를 촬영하여 폐에 염증 여부와 호흡 정상 유무를 진단받는다.
여기서, 일반적인 엑스레이 촬영 방식은 의료종사자가 환자를 엑스레이 촬영 장비에 자세를 잡아주는 등 행동요령을 전해주고 촬영하는 대면방식의 촬영방식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엑스레이 촬영 시 환자의 자세를 잡아주는 많은 의료종사자들이 호흡기 감염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환자를 직접 대면하지 않고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촬영 부위에 따른 위치와 자세를 원격으로 알려주고 엑스레이 촬영을 하되,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네트워크 망을 이용하여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14-0009915호
본 발명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 촬영 시 비대면으로 촬영함으로써, 환자와 의료종사자 간의 감염성 질환의 감염을 방지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평판 디텍터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환자의 자세 또는 위치에 따라 평판 디텍터를 이동시켜 보다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의 기울기 및 양 팔의 높이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영상 촬영 시 몸이 불편한 환자의 2차 사고의 방지와 환자의 목표 부위에 대한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통해 엑스레이 영상을 병원 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 연동함으로써, 의료종사자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 및 판독 과정에서 편의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에 촬영한 환자의 체형에 따라 엑스레이 촬영 영상 내 빈 공간의 픽셀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촬영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매칭함으로써,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결함 유무를 판단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기설정된 양의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환자를 촬영하는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및 과전류 발생하는 경우, 전로를 차단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보호부,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의료종사자의 음성 송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 동작 및 평판 디텍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환자에게 조사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을 검출하는 엑스레이 검출부, 상기 촬영제어부에서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로 전송하는 촬영 여부 신호를 송수신 처리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데이터를 기설정된 의료종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신호처리부 및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기저장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의 픽셀 비율을 매칭하여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결함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의료종사자가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촬영 자세 유도, 주의사항 및 긴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음성송출부, 상기 환자가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에서 엑스레이 촬영하는 경우,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의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된 기울기 및 높이 조절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올바른 엑스레이 촬영 자세를 유도하는 테이블제어부 및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평판 디텍터를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부위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디텍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제어부는, 상체 기울기 조절, 하체 기울기 조절, 좌측팔 상승 하강 조절 및 우측팔 상승 하강 조절이 가능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을 마련하되, 상기 환자의 외상 또는 질병에 따른 거동 상태에 대응하여 상체 기울기, 하체 기울기, 양 팔의 높이 상승 및 상기 양 팔의 높이 하강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자세를 변경 또는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텍터 제어부는, 상기 환자의 자세와 엑스레이 촬영 목표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평판 디텍터의 X축, Y축 및 Z축을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함판단부는, 기저장된 엑스레이 촬영 대상의 기설정된 정보가 포함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을 상기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과 매칭하여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 촬영 시 비대면으로 촬영함으로써, 환자와 의료종사자 간의 감염성 질환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판 디텍터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환자의 자세 또는 위치에 따라 평판 디텍터를 이동시켜 보다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의 기울기 및 양 팔의 높이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영상 촬영 시 몸이 불편한 환자의 2차 사고의 방지와 환자의 목표 부위에 대한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엑스레이 영상을 병원 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의료종사자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 및 판독 과정에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촬영한 환자의 체형에 따라 엑스레이 촬영 영상 내 빈 공간의 픽셀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촬영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매칭함으로써,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결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촬영제어부의 중간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촬영 및 영상수신 과정을 그림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례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촬영제어부의 중간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촬영 및 영상수신 과정을 그림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 보호부(120), 촬영제어부(130), 엑스레이 검출부(140), 무선신호처리부(150) 및 결함판단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는, 기설정된 양의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환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저감시키되, 기존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동일한 화질로 상기 환자를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기존의 일반 엑스레이 촬영 시 발생하는 0.1mSv의 피폭량에 비해 최대 0.003mSv의 엑스레이(X선)을 발생시켜 상기 환자에게 노출되는 엑스레이 조사량을 감소시키되 기존의 일반 엑스레이 촬영과 동일한 수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120)는,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전로를 차단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에서 발생하는 전압값 및 전류값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전압값 또는 기설정된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내부 회로에 전압 및 전류가 통하는 전로를 차단하여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전압값 또는 기설정된 전류값은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를 포함하는 엑스레이 촬영장치 제조 시, 제조사에서 정상으로 판단하는 최대 전압값 및 전류값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의 촬영 시 발생하는 전압값 및 전류값을 측정하는 측정기를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 내측에 마련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촬영제어부(130)는,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의료종사자의 음성 송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 동작 및 평판 디텍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제어부(130)는 상기 도 2를 참고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촬영제어부(130)는, 음성송출부(131), 테이블제어부(132) 및 디텍터 제어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송출부(131)는, 상기 의료종사자가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촬영 자세 유도, 주의사항 및 긴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의료종사자가 상기 환자에게 전달하는 말 뿐만 아니라, 상기 환자로부터 발생하는 목소리를 엑스레이실 내부의 마이크를 통해 상기 의료종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여 비대면으로 상호간 음성을 이용한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송출부(131)는, 돌발 또는 긴급 상황 발생에 대응하여 엑스레이 촬영공간에 사이렌을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발 상황은, 상기 보호부(120)에서 과전압 또는 과전류로 인하여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의 전원을 차단한 경우, 엑스레이 촬영을 준비하던 상기 환자의 산소포화도, 심장박동 및 혈압 등의 건강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는 경우 및 상기 엑스레이 촬영 공간의 건물 내 지진감지 또는 화재감지로 인한 경보가 울리는 경우에 상기 사이렌을 송출하여 환자와 의료종사자 모두에게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진감지 또는 화재감지로 인한 경보가 울리는 경우, 상기 건물 내 경보기가 꺼져야 상기 사이렌의 송출을 정지시킬 수 있고, 상기 상황을 제외한 경우에는 상기 의료종사자가 임의로 상기 사이렌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제어부(132)는, 상기 환자가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에서 엑스레이 촬영하는 경우,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의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된 기울기 및 높이 조절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올바른 엑스레이 촬영 자세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은 환자가 누워있을 때를 기준으로 머리측에서부터 전체 길이의45%가 되는 길이의 기울기를 -90도에서 90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상체 기울기 조절, 발측에서 머리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체 길이의 45%되는 길이의 기울기를 -90도에서 90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하체 기울기 조절 및 상기 테이블의 중심선으로부터 60mm이상 떨어져 일반 표중체형을 가진 사람의 하박이 위치하는 위치의 가로230mm 세로 450mm의 직사각형태의 대칭으로 마련되어 최대 300mm 높이의 상승 또는 하강 조절하는 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테이블제어부(132)는, 상체 기울기 조절, 하체 기울기 조절, 좌측팔 상승 하강 조절 및 우측팔 상승 하강 조절이 가능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의 외상 또는 질병에 따른 거동 상태에 대응하여 상체 기울기, 하체 기울기, 양 팔의 높이 상승 및 상기 양 팔의 높이 하강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자세를 변경 또는 고정시켜 엑스레이 촬영할 수 있다.
상기 디텍터 제어부(133)는,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140)의 평판 디텍터를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부위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텍터 제어부(133)는, 지면과 닿는 하부에 고정되나, 상기 하부로부터 연결된 암(Arm)구조 사이에 다수 개의 회전가능한 관절구조와 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환자의 자세와 엑스레이 촬영 목표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평판 디텍터의 X축, Y축 및 Z축을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테이블제어부(132)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부위에 따른 자세를 1차적으로 설정하고, 상기 디텍터 제어부(133)의 X축, Y축 및 Z축 조절을 통해 엑스레이 촬영 부위와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X축의 가동범위는 좌우로 최소0mm에서 최대 620mm로 조절될 수 있고, Y축의 가동범위는 130mm에서 642mm사이로 상기 환자측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고, Z축의 가동범위는 지면을 기준으로 320mm에서 최대 1780mm까지 높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판 디텍터가 위치한 부분에 스위블을 마련하여 상기 평판 디텍터를 0도에서 360도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140)는, 상기 환자에게 조사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처리부(150)는, 상기 촬영제어부(130)에서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로 전송하는 촬영 여부 신호를 송수신 처리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데이터를 기설정된 의료종사자의 단말기로 전송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신호처리부(150)는, 병원 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및 원격제어 의료 소프트웨어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을 병원 내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로 연결된 통신기기에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기기는, 병원 시설 내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 연결된 PC 및 의료종사자의 소유로 인증받은 스마트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결함판단부(160)는,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기저장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의 픽셀 비율을 매칭하여 결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저장된 엑스레이 촬영 대상의 기설정된 정보가 포함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기저장된 엑스레이 촬영 대상의 키, 몸무게, 성별 등의 정보를 포함하여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셀비율은 엑스레이 촬영 영상 내 전체 픽셀개수에 대한 신체가 포함되지 않은 픽셀의 색상코드가 포함된 픽셀의 개수를 픽셀비율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을 상기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과 매칭하여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결함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기저장된 키 175cm, 몸무게 78kg의 성인 남성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 총 픽셀수가 1,327,104개이고 여기서 상기 신체가 포함되지 않은 픽셀의 색상코드가 #00000이고 상기 #000000의 색상코드를 가지는 픽셀수가 398,131개로 판단되는 경우 신체가 포함되지 않은 픽셀비율은 약 30%로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일한 키, 몸무게 및 성별의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가 포함되지 않은 픽셀비율을 평균을 산출하여 기준치로 매칭할 수 있다.
한편, 동일한 키와 몸무게를 가진 성인 남성의 현재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 색상코드가 #000000인 픽셀이 없고, #404040의 색상코드를 가지는 픽셀이 약 30%정도 표현되는 경우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110)의 엑스레이 조사량 결함, 평판 디텍터의 불량 또는 엑스레이 검출부(140)의 검출 결함을 의심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조건으로 현재 엑스레이 촬영 영상을 획득했으나, 색상코드가 #000000인 픽셀이 약 60%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촬영부의 포커스 불량으로 결함판단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함이 판단되는 경우, 상기 의료종사자의 기설정된 단말을 통해 결함의 종류와 확인여부를 알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저선량으로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하되, 비대면으로 환자의 촬영 안내와 촬영 자세를 유도하기 위하여 음성송출, 테이블 동작 및 디텍터 위치 제어를 이용하여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환자 엑스레이 영상을 의료종사자의 단말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내부의 과전압 및 과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고,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의 색상코드에 따른 픽셀비율을 산출하여 동일한 조건의 다른 엑스레이 영상과의 픽셀비율을 매칭하여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결함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은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에 있어서 비대면 원격제어를 통해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부위에 따라 침대형상 구조물과 평판 디텍터의 위치를 원격제어를 기반으로 위치시켜 엑스레이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엑스레이 영상을 무선신호처리부를 이용하여 의료종사자의 단말기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 촬영 시 비대면으로 촬영함으로써, 환자와 의료종사자 간의 감염성 질환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평판 디텍터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환자의 자세 또는 위치에 따라 평판 디텍터를 이동시켜 보다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의 기울기 및 양 팔의 높이를 원격 제어함으로써, 영상 촬영 시 몸이 불편한 환자의 2차 사고의 방지와 환자의 목표 부위에 대한 정확한 엑스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해 엑스레이 영상을 병원 내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과 연동함으로써, 의료종사자가 환자의 엑스레이 영상을 확인 및 판독 과정에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촬영한 환자의 체형에 따라 엑스레이 촬영 영상 내 빈 공간의 픽셀비율을 산출하여 현재 촬영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매칭함으로써, 엑스레이 촬영장치의 결함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110 :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120 : 보호부
130 : 촬영제어부
131 : 음성송출부
132 : 테이블제어부
133 : 디텍터 제어부
140 : 엑스레이 검출부
150 : 무선신호처리부
160 : 결함판단부

Claims (5)

  1. 기설정된 양의 엑스레이를 조사하여 상기 환자를 촬영하는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및 과전류 발생하는 경우, 전로를 차단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하는 보호부;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 의료종사자의 음성 송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 동작 및 평판 디텍터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촬영제어부;
    상기 환자에게 조사한 엑스레이 촬영 영상을 검출하는 엑스레이 검출부;
    상기 촬영제어부에서 상기 저선량 엑스레이 발생부로 전송하는 촬영 여부 신호를 송수신 처리하고,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데이터를 기설정된 의료종사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신호처리부; 및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과 기저장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의 픽셀 비율을 매칭하여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결함판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제어부는,
    상기 의료종사자가 엑스레이 촬영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게 촬영 자세 유도, 주의사항 및 긴급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음성송출부;
    상기 환자가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에서 엑스레이 촬영하는 경우, 상기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의 기설정된 위치에 마련된 기울기 및 높이 조절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올바른 엑스레이 촬영 자세를 유도하는 테이블제어부; 및
    상기 엑스레이 검출부의 평판 디텍터를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부위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디텍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제어부는,
    상체 기울기 조절, 하체 기울기 조절, 좌측팔 상승 하강 조절 및 우측팔 상승 하강 조절이 가능한 엑스레이 촬영용 테이블을 마련하되,
    상기 환자의 외상 또는 질병에 따른 거동 상태에 대응하여 상체 기울기, 하체 기울기, 양 팔의 높이 상승 및 상기 양 팔의 높이 하강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자세를 변경 또는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텍터 제어부는,
    상기 환자의 자세와 엑스레이 촬영 목표 부위에 대응하여 상기 평판 디텍터의 X축, Y축 및 Z축을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판단부는,
    기저장된 엑스레이 촬영 대상의 기설정된 정보가 포함된 다수 개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환자의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을 상기 엑스레이 촬영 영상에서의 신체를 제외한 공간의 픽셀비율과 매칭하여 기설정된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결함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KR1020210117308A 2021-09-03 2021-09-03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57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308A KR102578381B1 (ko) 2021-09-03 2021-09-03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308A KR102578381B1 (ko) 2021-09-03 2021-09-03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500A true KR20230034500A (ko) 2023-03-10
KR102578381B1 KR102578381B1 (ko) 2023-09-14

Family

ID=8551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308A KR102578381B1 (ko) 2021-09-03 2021-09-03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83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564A (ja) *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05551U (ko) * 2008-11-21 2010-05-31 (주)바텍이우홀딩스 치과용 엑스선 촬영기의 원격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조정시스템
KR20100122269A (ko) * 2009-05-12 2010-11-22 (주)세현 엑스레이 검출장치 및 이를 갖는 엑스레이 검출시스템
KR20140009915A (ko)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엑스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JP2014161553A (ja) * 2013-02-26 2014-09-08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2564A (ja) * 2007-03-30 2008-10-16 Fujifilm Corp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05551U (ko) * 2008-11-21 2010-05-31 (주)바텍이우홀딩스 치과용 엑스선 촬영기의 원격조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조정시스템
KR20100122269A (ko) * 2009-05-12 2010-11-22 (주)세현 엑스레이 검출장치 및 이를 갖는 엑스레이 검출시스템
KR20140009915A (ko) 2012-07-12 201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촬영 장치, 원격 제어 장치 및 엑스선 촬영 장치 제어 방법
JP2014161553A (ja) * 2013-02-26 2014-09-08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381B1 (ko)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230B (zh) 防止跌落裝置與其操作方法
JP5954734B2 (ja) 動体追跡装置および放射線治療システム
JP7482778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6890676B2 (ja) 移動式x線装置を備える移動式x線システム
JP7006505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及び撮影ガイドパターン選択装置
JP7143692B2 (ja) 体動検出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KR20180086709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133251A1 (en) Radiation tracking for portable fluoroscopy x-ray imaging system
JP7416299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4497962B2 (ja) 被曝線量監視システム及びその監視方法
KR20230034500A (ko) 비대면 엑스레이 촬영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2357A (ko)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제어방법
JP2012010772A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
JP2017086628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WO2020071375A1 (ja) 状態監視装置
CN112043295A (zh) 动作指示装置以及具备该动作指示装置的x射线摄影装置
US20230293124A1 (en) Imaging support apparatus, operation method of imaging support apparatus, and operation program of imaging support apparatus
KR102619330B1 (ko) 방사선 치료시 환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숨참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7384712B2 (ja) 放射線強度推定装置、放射線強度推定装置の作動方法、放射線強度推定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
US20050143622A1 (en) Medical examination device having patient positioning means movable under safety control
WO2023166844A1 (ja) 撮影支援装置、撮影支援装置の作動方法、および撮影支援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CN215384149U (zh) 一种口腔拍片系统
US11684263B2 (en) Radiodiagnostic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radiodiagnostic apparatus
JP2013215518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その駆動制御方法
US20230051642A1 (en) Radiography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