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184A -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184A
KR20230034184A KR1020220111229A KR20220111229A KR20230034184A KR 20230034184 A KR20230034184 A KR 20230034184A KR 1020220111229 A KR1020220111229 A KR 1020220111229A KR 20220111229 A KR20220111229 A KR 20220111229A KR 20230034184 A KR20230034184 A KR 20230034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tem
sub
information
databas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라카쉬 카델
박창현
밍 쟝
박기영
웨일리 리우
웬후아 주
데퀴안 리
칭칭 바이
조병철
얀얀 첸
배지현
이해연
최윤정
이다영
김중곤
김용건
김태훈
카이 쟝
유덕현
안성욱
정웅진
강구
장기웅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184A/ko
Publication of KR2023003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개시의 상품 판매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에서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그룹 정보를 기초로 제2 데이터베이스 에서 상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ITEM GROUP AND DEVICE THEREFOR}
본 개시는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고객은 직접 쇼핑몰이나 시장에 가지 않고도 온라인 스토어에 접속하여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그리고 온라인 스토어는 판매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 상에서, 고객의 아이템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아이템 구매를 유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은 아이템 구매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템 구매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일 예로, 온라인 스토어는 사용자가 복수 아이템들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에 구매자에게 특정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구매하는 아이템들과 관련하여 어떤 혜택이 제공되는지, 해당 혜택들이 중첩되는지 및 어떤 혜택이 사용자에게 가장 큰 이득을 제공하는지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혜택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물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는 이와 같은 복수의 아이템 판매 시 적용될 수 있는 혜택 정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구매 시 적용되는 정확한 혜택 정보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관련하여, KR10-1020628B1 건 등의 선행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품 판매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에서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그룹 정보를 기초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품 판매 서비스와 관련되어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는, 메인 아이템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품 판매 서비스와 관련되어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은, 통신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출력 디바이스; 및 통신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 및 출력 디바이스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고,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서비스와 관련된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로부터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하고, 출력 디바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상품 관련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전자 장치의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아이템에 관련된 서브 아이템들과 적용될 수 있는 혜택 정보들을 번들 단위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아이템들에 대한 서로 다른 혜택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구매하는 아이템들에 대한 최적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아이템과 서브 아이템 간의 관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그룹 정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그룹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된 상품 그룹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고 확인 결과에 기초한 상세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물품은 단일 물품을 의미하거나, 동일 종류의 물품들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전자 장치(10), 사용자 단말(20), 제1 데이터베이스(30), 제2 데이터베이스(40) 및 제3 데이터베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시스템(1)은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과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며,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랜(Wi-Fi),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 그룹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에 포함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는 메인 아이템 별로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관리하도록 서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시스템(1)은 상품 판매 서비스와 관련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베이스(30)에서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grouping)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그룹 정보를 기초로 제2 데이터베이스(40)에서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서브 아이템에 대응되는 아이템 명칭 정보, 서브 아이템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격 정보 및 서브 아이템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페이지의 제1 영역에서 제공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는 페이지의 제2 영역에서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메인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판매자 및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Item ID로서 물품을 나타내는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판매자 및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Vendor Item Id로서, 해당 정보에는 물품과 판매자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은 제1 데이터베이스(30)에서 메인 아이템의 식별 정보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번들(bundle)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번들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각각의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우선 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하여 페이지를 구성하고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우선 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표시되는 순서가 결정되어 페이지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우선 순위 정보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재고 정보 또한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에서 제공될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서브 아이템의 판매량, 서브 아이템에 대한 가격 할인 정보 및 서브 아이템의 재고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량이 높은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공되거나, 할인율이 높은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가 우선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서브 아이템의 재고량에 기초하여, 재고가 부족한 아이템은 제일 하단으로 밀려나거나 페이지 상에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우선 순위 정보는 제1 데이터베이스(30)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재고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50)에 전송하여,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구매하는 경우 적용되는 가격 할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아이템에 대한 혜택 정보는 제2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혜택 정보는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에 대한 가격 할인 정보, 가격 할인 정보의 적용 조건 및 메인 아이템과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는 가격 할인의 임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혜택 정보를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제3 데이터베이스(50)에 요청하여, 메인 아이템과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함께 구매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는 할인된 가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되는 페이지는 제3 데이터베이스(50)로부터 수신한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 정보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번들 정보는 제1 서브 아이템 세트를 포함하고, 제1 서브 아이템 세트는 아이템의 종류가 서로 동일하고 속성의 일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번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판매량을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판매량이 가장 높은 서브 아이템이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서브 아이템의 세부 정보가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대표 아이템으로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페이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페이지를 통해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을 전자 장치(10)로 전송하여, 전자 장치(10)로부터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수신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재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아이템들은 재고가 많은 순으로 상단에 위치하도록 상세 페이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베이스(30)는 메인 아이템 및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에 관한 저장소이고, 제2 데이터베이스(40)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소이고, 제3 데이터베이스(50)는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구매하는 경우 적용되는 가격 할인 정보를 포함하는 저장소이다. 도 1에서는 제1 데이터베이스(30), 제2 데이터베이스(40) 및 제3 데이터베이스(50)가 전자 장치(10)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 데이터베이스들은 전자 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10)는,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및 제2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장치(10)는 제3 데이터베이스(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10)는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제3 데이터베이스(140), 그 외 외부 장치 중 적어도 일부 간의 정보 송수신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와 구별되는 별도의 장치로서 존재하거나, 전자 장치(10)와 구별되는 별도의 장치에 포함됨으로써, 전자 장치(10)에 포함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간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하여 수행되는 일련의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방법은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가 전자 장치(10)에 포함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되, 이하의 설명은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가 전자 장치(10)에 포함되지 않는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준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의 제어부(110)는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는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는 분리된 서버로 언급되나 이는 논리적으로 나누어진 구조일 수 있으며, 하나의 서버에서 분리된 기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는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과,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또는 맥OS(Mac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다양한 정보를 웹 페이지로 구성하여 제공하는 장치이다. 전자 장치(10)는 사용자에게 아이템 판매 정보 및 서비스 제공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으나, 전자 장치(10)의 역할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서비스는 아이템으로 언급될 수 있고, 서비스의 제공은 아이템의 제공 또는 아이템의 판매로 언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자 장치(1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자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 단위이다. 제어부(110)는 명령어들을 읽고 해석하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시퀀스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1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메인 아이템 및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관련된 세부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부(110)는 그룹 정보 및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한다.
제어부(110)가 페이지를 제공한다는 것의 의미는, 사용자로 하여금 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동작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가 페이지를 제공하는 동작은, 제어부(110)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출력 장치를 직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화면 등에 페이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의 트랜시버에서 사용자 단말(20) 등의 외부 장치에 페이지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부(110)가 트랜시버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어부(110)는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구매하는 경우 적용되는 가격 할인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140)에 더 요청하고, 요청에 대한 응답 정보에 더 기초하여 페이지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110) 또는 사용자 등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기초하여 제어부(110) 등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데이터베이스(120)는 메인 아이템 및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송하고, 제2 데이터베이스(130)는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송한다. 또한, 제3 데이터베이스(140)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혜택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혜택 정보를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데이터베이스(120), 제2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3 데이터베이스(140) 중 적어도 일부는 데이터의 송수신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가공, 처리 및 데이터에 기반한 계산 등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3 데이터베이스(140)는 제어부(110)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아이템에 대한 혜택 정보를 메인 아이템 및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를 계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일련의 정보 처리 방법과 관련된 동작들은, 단일의 물리적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는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에 의해 구현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는, 제어부(11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물리적 장치는, 제1 데이터베이스(120)의 일부 또는 제2 데이터베이스(130)의 일부 또는 제3 데이터베이스(140)의 일부 또는 기타 외부 장치의 일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1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각각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되고, 분산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아이템의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10)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아이템과 서브 아이템 간의 관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아이템(111)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222 내지 999)이 있을 수 있다. 서브 아이템은 메인 아이템의 이용 시 함께 사용되거나 메인 아이템에 장착될 수 있는 보조적인 아이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아이템이 컴퓨터 모니터인 경우, 서브 아이템은 키보드, 케이블 및 모니터암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연관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을 묶어서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템의 종류가 서로 동일하고 속성의 일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아이템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로 묶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 아이템(555, 566, 577)이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로 묶일 수 있다. 일 예로 색상이 서로 다른 유선 키보드에 대하여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로 묶을 수 있다.
서브 아이템 세트의 세부 정보는 대표 서브 아이템을 기준으로 페이지 상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도 2에서 대표 서브 아이템은 서브 아이템(555)이다. 이에 따라 서브 아이템(566, 577)의 세부 정보는 페이지에서 제공되지 않고, 서브 아이템(555)의 세부 정보가 대표적으로 제공될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입력이 있을 수 있고,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페이지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 경우 서브 아이템(566, 577)의 세부 정보가 서브 아이템(555)의 세부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그룹 정보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 정보(400)는 메인 아이템 식별 정보(410), 매핑 타입 정보(420) 및 번들 정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아이템 식별 정보(410)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판매자 및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아이템이 'iPhone'인 경우에, 메인 아이템 식별 정보(410)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메인 아이템 식별자인 111이 포함된다. 그리고, 메인 아이템 식별 정보(410)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판매자 및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VENDOR_ITEM이 포함된다.
한편, 메인 아이템에 관련된 서브 아이템들은 메인 아이템에 적용될 수 있는 혜택 정보에 따라 번들링(bundling)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에, 서브 아이템에 대하여 프로모션 할인이 적용되는 경우, 메인 아이템에 대하여 일정 금액을 지원 받을 수 있는 경우, 메인 아이템에 관련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 받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매핑 타입 정보(420)는 메인 아이템의 식별 정보(410)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이 어떠한 혜택 정보를 기초로 번들링 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혜택 정보는 물품의 판매자가 설정하거나, 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업체가 해당 물품에 대하여 사전에 등록한 정보일 수 있다.
번들 정보(430)는 번들링 된 서브 아이템들의 정보를 포함하며, 각각의 번들 정보(430)는 매핑 타입 정보(420)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번들 정보(430)는 서브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브 아이템에 대응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서브 아이템에 대응하는 판매자 및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 정보(400)는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시스템의 어느 디바이스에서 매핑 정보 또는 프로모션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requester_service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아이템의 종류가 서로 동일하고 속성의 일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아이템은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로 묶을 수 있으며,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에 속한 복수의 서브 아이템들은 서로 다른 번들에 속할 수 없다. 즉, 세트로 묶인 서브 아이템들은 하나의 아이템으로 취급될 수 있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첫번째 번들은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에 서브 아이템에 대하여 프로모션 할인이 적용되는 번들로서, 매핑 타입 정보(420)는 BUNDLE_PROMOTION을 나타내며, 해당 번들에는 서브 아이템(555)와 그의 서브 아이템 세트인 서브 아이템(566) 및 서브 아이템(577)이 포함된다. 두번째 번들은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에 메인 아이템에 대하여 일정 금액을 지원 받을 수 있는 번들로서, 매핑 타입 정보(420)는 SUBSIDY_PROMOTION을 나타내며, 해당 번들에는 서브 아이템(444)가 포함된다. 세번째 번들은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에 메인 아이템에 관련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 받을 수 있는 번들로서, 매핑 타입 정보(420)는 CE_INSURANCE를 나타내며, 해당 번들에는 서브 아이템(222) 및 서브 아이템(333)이 포함된다. 네번째 번들은 첫번째 번들처럼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에 서브 아이템에 대하여 프로모션 할인이 적용되는 번들로서, 해당 번들에는 서브 아이템(666)이 포함된다. 다섯번째 번들 또한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에 서브 아이템에 대하여 프로모션 할인이 적용되는 번들로서, 해당 번들에는 서브 아이템(888) 및 서브 아이템(999)이 포함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핑은 하나의 메인 아이템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들을 묶어서 하나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하며, 번들링은 그룹핑된 서브 아이템들 중에 메인 아이템에 할당된 혜택 정보 중 동일한 혜택 정보가 적용될 수 있는 서브 아이템들을 하나의 번들로 묶는 것을 말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 그룹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장치(10)는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메인 아이템에 대한 그룹 정보를 확인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이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 혜택이 적용되는 번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혜택이 적용되는 번들을 확인함에 따라, 메인 아이템 구매 시 적용될 수 있는 혜택 정보를 페이지(500) 상에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 서브 아이템에 대하여 프로모션 할인이 적용되는 번들이 있는 경우, 페이지(500)는 해당 번들에 속하는 제품들의 상세 정보 상단에 "세트로 구매하면 할인되는 상품"과 같은 문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지(500)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1)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2, 5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1)는 메인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2, 503)는 서브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는 혜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에서 표시되는 혜택 정보는 혜택이 적용된 경우의 아이템 가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묶음 구매 시 할인되는 번들에 대해, 서브 아이템 유선 키보드에 대한 세부 정보(502)는 "30,000원 세트할인 자동 적용됨"과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브 아이템 모니터 케이블에 대한 세부 정보(503)는 "4,000원 세트할인 자동 적용됨"과 같은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혜택 정보가 반드시 서브 아이템 정보와 함께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별개의 문구나 이미지 등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혜택 적용이 서브 아이템에 부가되어 제공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서브 아이템을 함께 구매하는 등의 혜택 적용 조건 만족 시 메인 아이템에 대하여 혜택이 적용될 수도 있다.
페이지(500)는 구매 조건 정보가 모두 적용된 최종 주문 금액 정보(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는 최종 주문 금액 정보(504)를 통해 자신이 묶음 구매를 함으로써 얼마만큼의 혜택을 적용 받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메인 아이템인 모니터를 구매하면서, 그에 대한 서브 아이템인 유선 키보드와 모니터 케이블을 함께 구매 하고자 하므로, 전자 장치(10)는 세가지 아이템을 한꺼번에 구매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할인 금액의 총 합을 "34,000원 세트 할인 자동 적용됨"과 같은 문구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지(500)는 메인 아이템과 관련된 서브 아이템들을 더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500)는 "더보기" 버튼(505)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더보기" 버튼(505)을 선택한 경우, 메인 아이템에 관련된 더 많은 서브 아이템의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확장된 상품 그룹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지(600)는 페이지(5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505)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에, 보다 많은 서브 아이템을 제공하기 위해 확장된 상품 그룹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이다. 예를 들어, 페이지(500)에서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2, 503)만이 제공되고 있었다면, 도 6을 참조하면, 확장된 페이지(600)는 추가적인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601, 602)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추가적인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601, 602)는 세부 정보(502, 503)와 같이 서브 아이템의 이미지 정보, 명칭 정보 및 가격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인 아이템과 함께 구매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는 혜택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확장된 페이지(600)에서 보다 많은 서브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혜택을 적용 받을 수도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502, 503)는 해당 서브 아이템이 속하는 번들 정보에 따라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500)에서 제공되는 서브 아이템의 세부 정보가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세부 정보일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506)에 대한 입력을 통해 서브 아이템 세트에 속하면서 속성의 일부가 다른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페이지(710)는 도 5의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된 페이지(500)에 대응될 수 있다. 페이지(710)에서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세부 정보(701)에 대하여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6)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서브 아이템 세트에 속하면서 속성의 일부가 다른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720)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지(710)에서 제공되는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세부 정보(701)는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판매량을 기준으로 선택된 서브 아이템에 기초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아이템 세트 중 판매량이 가장 높은 서브 아이템을 대표 아이템으로 지정하여, 대표 아이템의 세부 정보를 서브 아이템 세트의 세부 정보로서 표시할 수 있다.
페이지(720)는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페이지이다. 페이지(720)는 동일한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되면서, 아이템의 종류가 서로 동일하고 속성의 일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색상이 서로 다른 유선 키보드에 대하여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로 묶을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아이템을 판매량을 기준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나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페이지(710)에서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6)에 대해 입력을 하고, 페이지(720)에서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한다는 것은,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템의 속성 일부를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 대표 아이템과 종류가 같은 서브 아이템들 중 대표 아이템과 속성이 다른 아이템을 선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아이템 유선 키보드의 대표 아이템은 그레이블루색 유선 키보드이며, 사용자는 페이지(720)에서 라이트핑크색 유선 키보드에 대한 세부 정보(702)를 선택함으로써, 유선 키보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페이지(720)에 나열된 어느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702)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세부 정보(703)는 선택된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로 변경되어 페이지(730)에서 나타날 수 있다. 페이지(730)는 페이지(720)에서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세부 정보가 변경된 것에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페이지(730)에서 속성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506)를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다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는 페이지(720)를 표시하기 위해,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일부 서브 아이템은 재고가 부족할 수 있으며 그 경우 페이지(720)는 재고가 부족한 서브 아이템 정보는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재고 확인 결과에 기초한 상세 페이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는 서브 아이템 세트에 속한 서브 아이템의 속성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506)에 대한 입력이 있는 경우,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확인하여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는 재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페이지(800)를 제공할 수 있다. 재고 확인 결과 서브 아이템의 재고가 부족한 경우, 해당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흐림 처리(dimmed)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서브 아이템 세트에 속하는 복수의 서브 아이템(801, 802, 803)에 대하여 재고 확인 결과 서브 아이템(803)의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그 경우 서브 아이템(803)의 세부 정보는 선택이 불가능하도록 흐림 처리되어 페이지(800) 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아이템(803)의 세부 정보는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 데이터베이스, 제2 데이터베이스 및 제3 데이터베이스는 아이템의 판매가 이루어짐에 따라 실시간으로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으므로, 아이템의 판매에 따라 재고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서브 아이템에 대한 상세 정보가 표시되는 순서 또한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흐름도를 통해 상품 판매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에서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 장치는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시스템(1)의 전자 장치(10)일 수 있으며 단말은 아이템 그룹 정보 제공 시스템(1)의 사용자 단말(20)일 수 있다.
단계 S901에서 전자 장치는 상품 판매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전자 장치는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메인 아이템의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응하는 판매자 및 물품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룹 정보는 메인 아이템의 식별 정보에 매핑되어 메인 아이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번들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각각의 우선 순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의 페이지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우선 순위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지에 포함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재고 정보를 더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재고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그룹 정보는 메인 아이템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번들 정보를 포함하고, 번들 정보는 제1 서브 아이템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아이템 세트는 아이템의 종류가 서로 동일하고 속성의 일부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번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판매량을 기준으로 선택되어 페이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아이템 중 판매량이 가장 높은 서브 아이템이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세부 정보로서 페이지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단계 S903에서 전자 장치는 그룹 정보를 기초로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서브 아이템에 대응되는 아이템 명칭 정보, 서브 아이템에 대응되는 아이템 가격 정보 및 서브 아이템에 대응되는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3 데이터베이스에 전송하여, 제3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메인 아이템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구매하는 경우 적용되는 가격 할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904에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페이지의 제1 영역에서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관한 정보는 페이지의 제2 영역에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페이지를 통해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전자 장치는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페이지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의 재고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재고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 아이템 각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세 페이지를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템 그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 도 10의 사용자 단말(20)은 도 1에서의 사용자 단말(20)에 대응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용자 단말(20)은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communication device)(22),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24),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26) 및 프로세서(processor)(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22)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는 단말 또는 서버가 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22)가 이용하는 통신 기술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5G,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디바이스(22)는 메인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상품 판매 서비스와 관련된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전자 장치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메인 아이템과 그룹핑 될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24)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24)는 단말기 내 정보,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디바이스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마이크로폰(microphon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입력 디바이스(24)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로부터 메인 아이템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 디바이스(24)는 메인 아이템과 관련된 서브 아이템들을 더 제공받기 위한 입력 및 서브 아이템 세트에 대한 속성 변경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26)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음향 출력부, 햅팁 모듈, 광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출력 디바이스(26)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관련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26)는 메인 아이템과 관련된 서브 아이템들을 더 제공하기 위한 확장된 페이지 및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8)는 사용자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및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8)는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22), 입력 디바이스(24) 및 출력 디바이스(2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8)는 전자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기초로 출력되는 페이지를 구성하거나, 서브 아이템 세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를 기초로 속성 변경을 위한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 및 메인 아이템에 대한 세부 정보는, 전자 장치의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아이템을 포함하는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된 정보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정보를 송수신 하기 위한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들은 일 예시일 뿐 후술하는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

  1. 상품 판매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에서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220111229A 2021-09-02 2022-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30034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229A KR20230034184A (ko) 2021-09-02 2022-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012A KR102441293B1 (ko) 2021-09-02 2021-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20111229A KR20230034184A (ko) 2021-09-02 2022-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012A Division KR102441293B1 (ko) 2021-09-02 2021-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184A true KR20230034184A (ko) 2023-03-09

Family

ID=832796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012A KR102441293B1 (ko) 2021-09-02 2021-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20111229A KR20230034184A (ko) 2021-09-02 2022-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012A KR102441293B1 (ko) 2021-09-02 2021-09-02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41293B1 (ko)
TW (1) TW202319993A (ko)
WO (1) WO202303322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121A (ko) * 2008-11-05 2010-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온라인 쇼핑몰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방법, 쇼핑몰 서버 및 쇼핑몰 시스템
KR20160001171A (ko) * 2014-06-26 2016-01-0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20654A (ko) * 2014-08-13 2016-02-24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구매 정보를 이용하는 상품 추천 시스템,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2127562B1 (ko) * 2018-05-28 2020-06-29 주식회사 로코식스 의류 쇼핑몰을 위한 코디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96927A (ko) * 2020-01-29 2021-08-06 주식회사 가벗 판매 대상 상품의 연관 상품 구성 분석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220A1 (ko) 2023-03-09
TW202319993A (zh) 2023-05-16
KR102441293B1 (ko) 2022-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7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user computing device and a point of sale device
KR102204924B1 (ko) 쇼핑 트립 플래너
US11087381B2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one-step filling a virtual shopping cart with many items from one or multiple resources; all items of any type or characteristics from potential resources which have been embodied into a customized list which has been simultaneously generated and sourced in one-step then presented visually to user to select items; culminating and resulting acquisition to be simultaneosly placed in a single virtual shpping cart and all are acquired simultaneously from many source
US9817846B1 (en) Content selection algorithms
US117561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ercial functionality from a product data sheet
CN111626804A (zh) 商品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TW202324250A (zh) 提供物品資訊之電子設備及其方法
US20220083974A1 (en) Interactive parts drawings with a real-time bill of materials
CN111861598A (zh) 对象展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KR101983822B1 (ko) 성능 고시를 통한 상품을 중개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422638B1 (ko) 할인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393362B1 (ko) 상품 판매 서비스에서 카트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102441293B1 (ko) 아이템 그룹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230186375A1 (en) Dynamic virtual reality shopping shelf interface
KR102194107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연관 상품 판매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36914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데이터 관리 방법
KR102441999B1 (ko) 전자 장치의 아이템 정보 제공 방법
JP7370292B2 (ja) 提案装置
KR102364264B1 (ko) 아이템의 그룹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85522A1 (en)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entry at electronic user devices
JP6774974B2 (ja) 表示プログラム、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060113030A (ko) 견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4437A (ko) 숙박 업소를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094438A (ko) 숙박 업소를 제어하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제공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210129891A (ko) Gps와 주소정보를 이용한 초근거리 유저간 마이크로 커머스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