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4088A -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 Google Patents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4088A
KR20230034088A KR1020210117246A KR20210117246A KR20230034088A KR 20230034088 A KR20230034088 A KR 20230034088A KR 1020210117246 A KR1020210117246 A KR 1020210117246A KR 20210117246 A KR20210117246 A KR 20210117246A KR 20230034088 A KR20230034088 A KR 20230034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leaner
guide
l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준
장호준
노승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1011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4088A/ko
Priority to PCT/US2022/014845 priority patent/WO2023033864A1/en
Publication of KR20230034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40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8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fixing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5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special means for lubricating and/or cleaning the fixing unit, e.g. applying offset preventing fl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착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인쇄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의 양측 단부 중 상기 가압부와 인접한 일측 단부와 인접하게 놓이는 클리닝 위치 및 상기 클리닝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가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가이드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클리너를 포함하는, 정착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CLEANING STRUCTURE FOR FUSER GUIDE}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기 및 이러한 복수 개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있다.
특히, 화상형성장치 중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프린터는 설정된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 후, 이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감광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로 전사되고, 인쇄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은 정착기를 지나면서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캠이 회전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캠이 제1 위상으로부터 제2 위상으로 회전한 모습을 나타낸 도 5의 B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클리너가 이동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클리너가 초기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한 모습을 나타낸 도 8의 C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 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는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화상형성장치(1)를 프린터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종이 등과 같은 인쇄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는 프레임(10), 공급유닛(20), 인쇄유닛(30), 정착기(40) 및 배출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은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공급유닛(20), 인쇄유닛(30), 정착기(40) 및 배출유닛(5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은 내부에 공급유닛(20), 인쇄유닛(30), 정착기(40) 및 배출유닛(50)을 수용할 수 있다.
공급유닛(20)은 화상이 형성되지 않은 인쇄매체를 인쇄유닛(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유닛(20)은 프레임(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인쇄매체를 보관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유닛(20)은 트레이(21), 픽업롤러(22) 및 레지롤러(2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21)에는 인쇄매체가 적재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1)는 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21)는 인쇄매체의 보충이 필요한 경우 프레임(10)의 외부로 탈거될 수 있다.
픽업롤러(22)는 이러한 픽업롤러(22)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어 트레이(21)에 적재된 인쇄매체의 이송을 위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쇄매체를 레지롤러(23)로 이송할 수 있다.
레지롤러(23)는 인쇄매체의 설정된 위치에 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인쇄매체를 정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레지롤러(23)는 후술할 이송경로(P) 상의 설정된 위치에 놓인 채로 인쇄매체가 이송되도록 인쇄매체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레지롤러(23)는 인쇄매체를 인쇄유닛(30)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인쇄유닛(30)은 공급유닛(20)으로부터 인쇄매체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유닛(30)은 감광드럼(31) 및 형성기(32)를 포함할 수 있다.
감광드럼(31)은 정전잠상 및 화상이 형성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광드럼(31)에는 형성기(32)에 의해 정전잠상 및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형성기(32)는 감광드럼(31)의 표면을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킬 수 있으며, 인쇄할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드럼(31)의 표면 전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형성기(32)는 감광드럼(31)의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면, 토너와 같은 현상제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화상으로 현상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성기(32)는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인쇄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정착기(40)는 인쇄유닛(30)을 통하여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킬 수 있다. 정착기(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배출유닛(50)은 정착기(40)를 통과하여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닛(50)은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를 이송할 수 있는 배지롤러(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착기(4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정착기(40)는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화상을 인쇄매체에 정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정착기(40)는 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기(40)는 바디부(100), 가압부(200), 링크부(300), 가이드(400), 클리너(500), 탄성부재(600) 및 이송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착기(40)는 가이드(400)에 잔류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가압부(200), 링크부(300), 가이드(400), 클리너(500), 탄성부재(600) 및 이송부(7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프레임(1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200)는 인쇄매체에 설정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200)는 인쇄매체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 인쇄매체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200)는 인쇄매체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00)는 인쇄매체가 가압부(200)와 이송부(70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설정된 압력을 인쇄매체에 가할 수 있으며, 인쇄매체가 통과하면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210), 캠(220), 및 레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재(210)는 이송부(700)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이송부(700)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10)는 가압부재(210)와 이송부(70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매체에 설정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210)가 인쇄매체에 가하는 압력은 레버(23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210)는 벨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벨트는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가압부재(210)는 벨트 형태뿐만 아니라 롤러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가압부재(210)는 이송부(700)와 함께 이송경로(P)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송경로(P)는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경로를 의미하며, 가이드(400)로부터 가압부재(210)와 이송부(700) 사이로 연장되는 경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210)에는 열원(211)이 제공될 수 있으며, 열원(211)은 가압부재(210)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열원(21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압부재(210)는 인쇄매체에 열을 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캠(220)은 레버(23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캠(22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회전할 수 있으며, 편심 회전에 의해 레버(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캠(220)은 360°회전할 수 있으며, 제1 위상 및 제2 위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캠(220)의 제1 위상 및 제2 위상은 서로 180°차이날 수 있다. 이러한 캠(220)은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레버(230)는 캠(2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링크부(3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레버(230)는 일측이 캠(220)과 접촉되며, 타측이 링크부(30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레버(230)는 가압부재(210)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가압부재(210)에 설정된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230)는 가압부재(210)에 가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가압부재(210)에 가하는 압력은 레버(230)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230)는 제1 레버위치 및 제2 레버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레버위치는 캠(220)이 제1 위상을 가질 때 레버(230)의 위치이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제1 레버위치에 놓인 레버(230)는 가압부재(210)에 설정된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가압부재(210) 및 이송부(700)에 가해지는 압력은 최대일 수 있다. 또한, 제2 레버위치는 캠(220)이 제2 위상을 가질 때 레버(230)의 위치이다(도 5 참조). 예를 들어, 제2 레버위치에 놓인 레버(230)는 가압부재(21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레버위치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낮아지도록 제1 레버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레버(230)가 제2 레버위치에 놓일 때, 가압부재(210) 및 이송부(700)에 가해지는 압력은 최소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레버(230)가 제1 레버위치로부터 제2 레버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압부재(210)에 가해지는 압력은 작아지고, 인쇄매체에 가해지는 압력도 작아지게 된다.
링크부(300)는 가압부(200)의 구동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클리너(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링크부(300)는 레버(23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클리너(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링크부(300)는 일측이 레버(230)와 접촉하며, 타측이 클리너(500)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부(300)는 제1 링크위치 및 제2 링크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링크위치는 레버(230)가 제1 레버위치에 놓였을 때 링크부(300)의 위치이다(도 4 참조). 또한, 제1 링크위치는 가압부(200)가 이송부(700)에 설정된 압력을 가할 때 링크부(300)의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링크위치에 놓인 링크부(300)는 클리너(500)와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위치는 레버(230)가 제2 레버위치에 놓였을 때, 링크부(300)의 위치이다(도 5 참조). 또한, 제2 링크위치는 이송부(7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제1 링크위치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낮아지도록 제1 링크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링크위치에 놓인 링크부(300)는 클리너(5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크부(300)가 제1 링크위치로부터 제2 링크위치로 이동하면, 클리너(500)는 링크부(300)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링크부(300)에는 후술할 맞물림구(511)가 걸릴 수 있는 걸림구(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310)는 일 예로, 링크부(300)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걸림구(310)는 돌기 형태로 제공되고 맞물림구(511)가 홀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400)는 인쇄유닛(30)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이송경로(P)를 따라 이동하도록 인쇄매체를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400)는 인쇄유닛(30)을 통과한 인쇄매체를 가압부(200)를 향하여 안내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400)에는 정착기(40)가 반복하여 작동되는 경우 가압부재(210)와 인접한 가이드(400)의 일측 단부에 이물질이 축적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이 가이드(400)의 단부에 축적되면, 인쇄매체가 가이드(400)를 통과할 때, 이물질이 인쇄매체에 잔류할 수 있으며 인쇄매체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클리너(500)는 링크부(300)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가이드(400)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너(500)는 링크부(300)의 이동에 대응하여 가이드(400)를 향하여 진퇴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500)는 일측이 링크부(300)와 선택적으로 간섭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너(500)는 클리닝 위치 및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클리닝 위치는 클리너(500)의 적어도 일부가 가이드(400)의 양측 단부 중 가압부재(210)와 인접한 일측 단부와 접하거나 일측 단부 상에 놓이는 위치일 수 있다(도 7 참조). 또한, 클리닝 위치는 클리너(500)의 적어도 일부가 이송경로(P) 상에 놓이는 위치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리너(500)는 가이드(400)의 일측 단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위치는 클리너(500)가 클리닝 위치로부터 가압부(200) 및 가이드(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도 8 참조).
예를 들어, 클리너(500)는 형성기(32)가 작동될 때, 초기 위치에 놓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클리너(500)는 형성기(32)의 작동이 중단되고, 인쇄매체가 정착기(40)를 통과하면 초기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리너(500)는 클리닝 위치로 이동한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클리너(500)는 지지체(510) 및 클리닝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체(510)는 가이드(400)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며, 클리닝부재(5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체(510)는 일측이 탄성부재(6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체(510)에는 걸림구(310)에 선택적으로 걸릴 수 있는 맞물림구(511)가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구(511)는 클리너(500)가 초기 위치에 놓일 때, 걸림구(310)와 갭을 가지도록 걸림구(3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구(511)는 걸림구(310)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맞물림구(511)는 클리너(500)가 초기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할 때, 걸림구(310)와 접촉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부(300)가 제1 링크위치로부터 제2 링크위치로 이동하면, 맞물림구(511)는 걸림구(310)에 걸린 채로 링크부(300)에 대응하여 초기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링크부(300)가 제2 링크위치로부터 제1 링크위치로 이동하면, 지지체(510)는 탄성부재(600)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맞물림구(511)는 링크부(300)가 제1 링크위치로 이동하는 속도에 따라 걸림구(310)에 지지된 채로 초기 위치로 이동하거나, 걸림구(310)와 이격된 채로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520)는 가이드(400)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닝부재(520)는 클리너(500)가 초기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이드(400)의 일측 단부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클리닝부재(520)는 가이드(400)와 접촉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400)와 인접한 지지체(510)의 일측 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부재(520)는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시트(sheet)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탄성부재(600)는 초기 위치로부터 이탈된 클리너(500)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클리너(5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00)는 일측이 지지체(510)와 연결되고 타측이 바디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00)는 레버(230)가 제1 레버위치에 놓일 때보다 제2 레버위치에 놓일 때 더 큰 복원력을 클리너(500)에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600)가 클리너(500)에 가하는 복원력은 레버(230)가 제1 레버위치에 놓일 때 최소가 된다. 즉, 탄성부재(600)가 가하는 복원력은 클리너(500)가 초기 위치에 놓일 때 최소가 된다. 또한, 탄성부재(600)가 클리너(500)에 가하는 복원력은 레버(230)가 제2 레버위치에 놓일 때 최대가 된다. 즉, 탄성부재(600)가 가하는 복원력은 클리너(500)가 클리닝 위치에 놓일 때 최대가 된다. 이러한 탄성부재(600)는 스프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송부(700)는 가압부재(210)와 함께 이송경로(P)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인쇄매체를 이송경로(P)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700)는 일 예로 롤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부(700)는 가압부재(210)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트레이(21)에 적재된 인쇄매체는 인쇄유닛(30)을 통과하면서 화상이 형성되며, 정착기(40)를 통하여 화상이 정착된다.
정착기(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쇄 요청이 완료되기까지 가압부재(210)를 가압 또는 감압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인쇄 요청이 입력되면 캠(220)은 제2 위상으로부터 제1 위상이 되도록 회전하며, 레버(230)는 제2 레버위치로부터 제1 레버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압부재(210)는 이송부(700) 및 인쇄매체를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300)는 제2 링크위치로부터 제1 링크위치로 이동하고, 클리너(500)는 초기 위치에 놓이게 된다.
다른 예시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인쇄 요청에 따른 인쇄가 완료되면 캠(220)은 제1 위상으로부터 제2 위상이 되도록 회전하며, 레버(230)는 제1 레버위치로부터 제2 레버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링크부(300)는 제1 링크위치로부터 제2 링크위치로 이동하고, 클리너(500)는 초기 위치로부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클리너(500)는 가이드(400)에 축적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정착기(40)는 클리너(500)가 가이드(400)에 축적된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400)에 축적된 이물질이 인쇄매체에 잔류하여 인쇄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착기(40)는 클리너(500)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모터 및 모듈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캠(220), 레버(230) 및 링크부(300) 간의 작동에 의해 클리너(5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정착기(40)의 부피가 증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Claims (15)

  1. 인쇄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의 양측 단부 중 상기 가압부와 인접한 일측 단부와 인접하게 놓이는 클리닝 위치 및 상기 클리닝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가이드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가이드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클리너를 포함하는,
    정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압부의 구동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클리너를 상기 클리닝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링크부를 더 포함하는,
    정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에는 돌기 형상의 맞물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에는 상기 맞물림구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홀 형상의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구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초기 위치에 놓일 때, 상기 걸림구와 갭을 가지도록 상기 걸림구 내에 수용되며, 상기 클리너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걸림구와 접촉한 채로 이동하는,
    정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링크부에 선택적으로 걸리며, 상기 가이드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체; 및
    상기 가이드와 인접한 상기 지지체의 일측 단부에 지지되며, 플렉시블(flexible)하게 제공되는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는,
    정착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인쇄매체를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재; 및
    상기 가압부재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가압부재에 설정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레버에 대응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레버와 연결되는,
    정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가압부재에 설정된 압력을 가하는 제1 레버위치 및 상기 가압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제1 레버위치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제1 레버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 레버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클리너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레버위치에 놓일 때 상기 초기 위치에 놓이고,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레버위치에 놓일 때 상기 클리닝 위치에 놓이는,
    정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위치에 놓인 클리너가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클리너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레버가 상기 제1 레버위치에 놓일 때보다 상기 레버가 상기 제2 레버위치에 놓일 때 더 큰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레버와 연결되며, 가상의 회전축에 대하여 편심 회전하는 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레버위치와 상기 제2 레버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정착기.
  9. 인쇄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상기 인쇄매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설정된 량 이상의 오염물이 생성될 때, 상기 가이드의 단부에 생성된 오염물을 상기 가이드 단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의 단부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클리너를 포함하는,
    정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 이송부; 및 상기 가압부와 연결되는 링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가이드의 단부와 인접하게 놓이는 클리닝 위치 및 상기 클리닝 위치로부터 상기 이송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가압부의 구동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상기 클리너를 상기 클리닝 위치 및 상기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정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이송부에 설정된 압력을 가하는 제1 링크위치 및 상기 이송부에 가해지는 압력이 상기 제1 링크위치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낮아지도록 상기 제1 링크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제2 링크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하나의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클리너는,
    상기 링크부가 상기 제1 링크위치에 놓일 때 상기 초기 위치에 놓이고, 상기 링크부가 상기 제2 링크위치에 놓일 때 상기 클리닝 위치에 놓이는,
    정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에는 맞물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에는 상기 맞물림구가 선택적으로 걸리는 걸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맞물림구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어느 일부가 상기 걸림구에 접촉한 채로 이동하는,
    정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구는 상기 제1 링크위치에 놓인 링크부의 걸림구와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정착기.
  14.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
    상기 정전 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인쇄매체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형성기; 및
    상기 토너 화상을 상기 인쇄매체에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정착기는,
    인쇄매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상기 인쇄매체를 상기 가압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이드의 양측 단부 중 상기 가압부와 인접한 일측 단부와 인접하게 놓이는 클리닝 위치 및 상기 클리닝 위치로부터 상기 가압부 및 상기 가이드와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초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가이드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 클리너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너는 상기 형성기가 작동될 때, 상기 초기 위치에 놓이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형성기의 작동이 중단되고 상기 인쇄매체가 상기 정착기를 통과하면, 상기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클리닝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KR1020210117246A 2021-09-02 2021-09-02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KR202300340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246A KR20230034088A (ko) 2021-09-02 2021-09-02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PCT/US2022/014845 WO2023033864A1 (en) 2021-09-02 2022-02-02 Cleaning structure for fuser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7246A KR20230034088A (ko) 2021-09-02 2021-09-02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088A true KR20230034088A (ko) 2023-03-09

Family

ID=8541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7246A KR20230034088A (ko) 2021-09-02 2021-09-02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34088A (ko)
WO (1) WO20230338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2388B2 (ja) * 2004-08-11 2010-09-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060045581A1 (en) * 2004-08-27 2006-03-02 Eck Edward M Print fuser and process with a reverse cleaning blade
JP4988880B2 (ja) * 2010-02-04 2012-08-01 シャープ株式会社 定着装置と、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と定着装置の制御方法
US11022928B2 (en) * 2019-05-30 2021-06-0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Clea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33864A1 (en) 2023-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574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245867B2 (en) Waste toner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610679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306457B2 (en)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424257B2 (en) Paper guid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7649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waste storage container
JP476113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20048327A (ko) 화상형성장치
KR101502116B1 (ko) 화상형성장치
KR100565095B1 (ko) 칼라 레지스트레이션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전자사진방식 칼라화상형성장치
KR20230034088A (ko) 정착기 가이드의 클리닝 구조
US20150117917A1 (en) Print medium support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3131479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8016616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y printing medium
EP3908883B1 (en) Developing cartridge having a heat transfer blocking member
JP2009015060A (ja) 画像形成装置
US9568858B2 (en)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7208589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168624B2 (ja) 画像形成装置
US8482821B2 (en) Sensor device and image-forming apparatus
CN107402504B (zh) 定影装置及具备该定影装置的图像形成装置
KR20060022034A (ko) 감광매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7304762B2 (ja) 転写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4340474B2 (ja) 転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01347B1 (en) Intermediate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endless belt, a first cleaning unit and a second cleaning un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