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530A -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530A
KR20230033530A KR1020210116587A KR20210116587A KR20230033530A KR 20230033530 A KR20230033530 A KR 20230033530A KR 1020210116587 A KR1020210116587 A KR 1020210116587A KR 20210116587 A KR20210116587 A KR 20210116587A KR 20230033530 A KR20230033530 A KR 2023003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ser
camera
uni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석
Original Assignee
김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석 filed Critical 김병석
Priority to KR102021011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530A/ko
Priority to KR1020230028532A priority patent/KR102607164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04N21/2743Video hosting of uploaded data from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3자의 시선으로 촬영된 사진을 다운로드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이미지를 획득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Image acquisi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3자의 시선으로 촬영된 사진을 다운로드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진은 사물의 형상을 감광막 상에 나타낸 영상으로서, 일반적으로 카메라나 휴대폰 등에 의해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진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카메라나 휴대폰 등으로 직접 수동으로 촬영하거나 타인에게 부탁하여 촬영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된다는 것을 인지한 상태로 사진을 촬영하게 되며,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부자연스러운 사진을 얻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34490호(2005.4.1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준인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의 이미지 촬영을 제어하는 서버, 이미지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서버에 전송하며,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승인부와,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여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부, 사용자 확인부에서 확인된 사용자를 추적하는 트래킹부,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사용자에 따른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저장하고, 접속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시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서버에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와,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 접속을 승인받는 로그인부,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 이미지 설정부,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는 이미지 선택부, 및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 받은 이미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준인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서버가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서버가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를 제어하여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미지 설정 정보는,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과, 피사체의 위치, 피사체의 방향, 피사체의 카메라 응시 여부, 피사체 자세, 촬영 딜레이 시간, 배경 조건, 타인 촬영 여부, 타인 촬영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이미지를 획득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에서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의 순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100)와, 카메라(100)를 제어하는 서버(200), 및 서버(200)에 접속하여 촬영 조건을 제어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카메라(100)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내부나 외부에 위치되어 배경을 포함하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100)로 기존의 방범용 CCTV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00)는 피사체를 구분하고 피사체의 특정 동작에 의해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 후술될 서버(200)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설정된 이미지 설정 정보가 저장된다. 본 실시예는 피사체로 사용자를 예시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사체로 사용자를 포함하되 사용자를 중심으로 타인이 함께 촬영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100)는 하나의 카메라에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카메라는 하나의 카메라로 다수의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에서 서버의 블록도이다.
서버(200)는 카메라(10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며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의 서버(200) 접속을 승인하는 접속 승인부(210)와, 카메라(100)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220)와,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부(230), 사용자 확인부(230)에서 확인된 사용자를 추적하는 트래킹부(240), 카메라(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250), 이미지 획득부(25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처리하는 이미지 처리부(260)를 포함한다.
접속 승인부(21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서버(200) 접속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접속 승인부(210)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사용자 정보와 로그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이후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접속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카메라 제어부(220)는 카메라(100)의 촬영 여부를 제어한다. 카메라 제어부(220)는 항상 촬영중인 카메라(100)에서 정지된 이미지, 즉, 사진을 획득하며, 카메라 제어부(220)는 기본적으로 사진 획득을 제어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20)는 작동 시 획득되는 이미지를 사용자 확인부(230)로 전송하며, 사용자 확인부(230)는 수신한 이미지에서 피사체를 구분한 후 사용자를 특정하여 확인한다. 여기서, 카메라 제어부(220)는 사용자가 확인되면,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100)가 이미지, 즉, 사진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사용자 확인부(230)는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한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100) 앵글의 피사체가 사용자인 것을 확인하고, 해당 피사체가 사용자일 경우 이미지를 획득한다. 즉, 본 실시예는 카메라(100) 앵글의 피사체가 사용자로 확인되면, 해당 피사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이미지 설정부(330)에서 설정된 상태의 피사체가 감지되면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피사체의 특정 동작이 감지되면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확인부(230)는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피사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피사체를 사용자 이미지와 비교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 이미지는 사용자 얼굴 이미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이미지를 확보하기 어려울 경우,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 즉,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수개의 공유기와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의 와이파이 신호의 강약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확정하고,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피사체를 사용자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확인부(230)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되 와이파이 신호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도 사용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페나 스키장, 테마파크 등의 입구에 사용자 단말기(300)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장치를 구비시키고, 사용자 단말기(300)가 로그인 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당 인식 장치에 사용자 단말기(300)가 근접(근거리 통신)하거나 태그하여 인식 장치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인식함으로써 사용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때 결제 단말기, 예를 들어, 매장에 구비된 포스기 등과 가장 근접한 피사체를 사용자로 특정할 수도 있다. 물론, 와이파이 신호 강도와 결합하여 인식 장치나 결제 단말기에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트래킹부(240)는 사용자 확인부(230)에서 확인된 사용자, 즉, 피사체를 추적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카메라(100)를 통해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하거나 다수개의 카메라(100)를 통해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한다. 여기서, 다수개의 카메라(100)를 통해 피사체 이미지를 획득할 경우, 트래킹부(240)는 피사체를 추적한다. 이를 위해서 트래킹부(240)는 사용자 단말기(300)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카메라(100)를 통해 피사체를 추적하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최초 인식 시 사용자 단말기(300) 위치 정보를 이용하되 이후 카메라(100)에서 이미지 내의 사용자, 즉, 피사체를 단말기 위치 정보로 특정한 후 추적하며, 다음 카메라(100)로 인계 시 다시 사용자 단말기(300)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트래킹부(240)는 피사체를 추적하기 위해서, 카메라(100)에서 시간차로 획득된 이미지를 차분하는 이미지 차분 모듈(241)과, 차분된 이미지에서 피사체를 검출하는 피사체 검출 모듈(2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래킹부(240)는 사용자로 확인된 피사체에 대해 이미지를 차분하고, 차분된 이미지에서 다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차분에 의한 사용자 확인은 이전 이미지와 다음 이미지에서 서로 유사도가 일정치 이상인 피사체를 검출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딥러닝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확인 및 추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미지 획득부(250)는 카메라(100)를 통해 이미지를 획득한다. 카메라(100)는 사용자 확인부(230)에서 사용자로 확인된 피사체에 대해 이미지 설정부(330)에서 설정된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촬영을 수행한다. 이미지 획득부(250)는 이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이미지 획득부(250)가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카메라(100)를 직접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100) 자체에 이미지 설정 정보가 저장되어 카메라(100)가 자체적으로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획득부(250)로 이미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미지 처리부(260)는 사용자에 따른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저장하고, 접속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300)의 요청 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이미지 처리부(260)는 이미지를 사용자별로 그룹화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서버(200)에 접속하여 이미지 설정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획득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200)에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310)와,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200) 접속을 승인 받는 로그인부(320), 어떤 상황에서 카메라(100)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할지 설정하는 이미지 설정부(330),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340), 이미지 표시부(340)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이미지 선택부(350), 이미지 선택부(350)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사용자 등록부(310)는 사용자를 특정하고 특정된 사용자가 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등록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 등록부(310)는 사용자 정보 입력부(311)와, 로그인 정보 입력부(312), 이미지 촬영 동의부(313)를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입력부(311)는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주소, 사용자 전화번호, 사용자의 단말기 맥주소 등을 사용자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정보 입력부(311)는 생략되거나 사용자 정보로 닉네임 정보만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입력부(311)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 정보는 서버(200)에 저장된다. 물론, 사용자 정보 입력부(311)는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로 사용자 정보를 대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될 로그인 정보 입력부(312)에서 입력 받는 로그인 정보 역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로그인 정보 입력부(312)는 사용자가 로그인 시 필요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 아이디, 사용자 비밀번호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 받은 로그인 정보는 후술될 서버(20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로그인부(320)는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로그인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로그인 정보는 서버(200)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와 비교되며,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로그인 정보와 서버(200)에 저장된 로그인 정보가 일치하면 단말기의 서버(200) 접속을 승인한다.
이미지 설정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다. 여기서, 이미지 설정 정보는 사용자가 피사체로 인식되어 촬영되는 기준으로서,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 피사체의 위치, 카메라(100)에 대한 피사체 방향(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피사체의 카메라 응시 여부, 피사체 자세, 촬영 딜레이 시간, 배경 조건, 타인 촬영 여부, 타인 촬영 비율 등을 포함한다.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은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의 면적이되 사용자의 얼굴 면적이나 사용자의 상체 면적 또는 사용자의 전신 면적 비율일 수 있다. 또한, 피사체의 위치는 이미지에서 피사체가 촬영되는 위치로서, 이미지의 중심이나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피사체가 촬영되는 위치는 범위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설정된 위치에서 소정 범위를 정하여 피사체의 위치가 일정 거리 이탈하는 것을 허용할 수도 있다.
이미지 표시부(340)는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이미지 표시부(340)는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시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미지 선택부(350)는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선택한다. 즉, 이미지 선택부(350)는 이미지 표시부(34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300)의 화면에 표시된 이미지 중 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한다. 여기서, 이미지 선택부(350)는 사용자의 화면 터치 등을 통해 입력을 받아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미지 저장부(360)는 카메라(100)에서 획득된 이미지나 이미지 선택부(350)에서 선택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장치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획득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와,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S2),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는 이미지 설정부가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다. 이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촬영 기준인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설정 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 피사체의 위치, 피사체 방향(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피사체 카메라 응시 여부, 피사체 자세, 촬영 딜레이 시간, 배경 조건, 타인 촬영 여부, 타인 촬영 비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이미지 설정 정보를 서버에 전달하며, 서버의 구성이 카메라에 내장될 경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카메라에 전달한다.
이미지 설정 정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피사체로 인식되어 촬영되는 기준, 즉, 카메라가 사용자를 촬영하는 기준이다. 이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 피사체의 위치, 카메라에 대한 피사체 방향(정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피사체의 카메라 응시 여부, 피사체 자세, 촬영 딜레이 시간, 배경 조건, 타인 촬영 여부, 타인 촬영 비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S1)는 전술된 이미지 설정 정보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는 전송된 이미지 설정 정보를 사용자 별로 저장한다.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S2)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한다. 이는 사용자 확인부가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며, 사용자 단말기와 매칭되는 사용자를 특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3)는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S2)에서 확인된 사용자에 대해 해당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이미지를 획득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카메라 200: 서버
210: 접속 승인부 220: 카메라 제어부
230: 사용자 확인부 240: 트래킹부
241: 이미지 차분 모듈 242: 피사체 검출 모듈
250: 이미지 획득부 260: 이미지 처리부
300: 사용자 단말기 310: 사용자 등록부
311: 사용자 정보 입력부 312: 로그인 정보 입력부
313: 이미지 촬영 동의부 320: 로그인부
330: 이미지 설정부 340: 이미지 표시부
350: 이미지 선택부 360: 이미지 저장부

Claims (7)

  1.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준인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이미지 촬영을 제어하는 서버,
    상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아 상기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서버 접속 여부를 결정하는 접속 승인부와,
    상기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여부를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
    상기 카메라에서 획득된 이미지에서 사용자를 확인하는 사용자 확인부,
    상기 사용자 확인부에서 확인된 사용자를 추적하는 트래킹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 및
    상기 사용자에 따른 이미지를 그룹화하여 저장하고, 접속이 승인된 사용자 단말기의 요청 시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 등록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로그인 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서버 접속을 승인받는 로그인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는 이미지 설정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표시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미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 받는 이미지 선택부, 및
    상기 이미지 선택부에서 선택 받은 이미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저장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 정보는,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과, 피사체의 위치, 피사체의 방향, 피사체의 카메라 응시 여부, 피사체 자세, 촬영 딜레이 시간, 배경 조건, 타인 촬영 여부, 타인 촬영 비율을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다수의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다수개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6.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카메라가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준인 이미지 설정 정보를 입력 받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이미지에서 상기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이미지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설정 정보는, 이미지 전체 면적에서 피사체가 차지하는 비율과, 피사체의 위치, 피사체의 방향, 피사체의 카메라 응시 여부, 피사체 자세, 촬영 딜레이 시간, 배경 조건, 타인 촬영 여부, 타인 촬영 비율을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 방법.
KR1020210116587A 2021-09-01 2021-09-01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33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87A KR20230033530A (ko) 2021-09-01 2021-09-01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30028532A KR102607164B1 (ko) 2021-09-01 2023-03-03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87A KR20230033530A (ko) 2021-09-01 2021-09-01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532A Division KR102607164B1 (ko) 2021-09-01 2023-03-03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30A true KR20230033530A (ko) 2023-03-08

Family

ID=855027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87A KR20230033530A (ko) 2021-09-01 2021-09-01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30028532A KR102607164B1 (ko) 2021-09-01 2023-03-03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532A KR102607164B1 (ko) 2021-09-01 2023-03-03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3003353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490A (ko)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인물 촬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5583B2 (en) * 2009-01-05 2016-11-15 Apple Inc. Organizing images by correlating faces
KR20150097274A (ko) * 2014-02-18 2015-08-2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주식 공간이동 카메라를 이용한 피사체 추종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638922B1 (ko) * 2014-06-17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9717B1 (ko) * 2019-10-23 2021-01-29 조영일 셀프 촬영 장치 및 셀프 촬영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096795A (ko) * 2020-01-29 2021-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의 자동 촬영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미지의 자동 촬영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미지의 자동 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4490A (ko) 2003-10-09 2005-04-1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인물 촬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164B1 (ko) 2023-11-29
KR20230036089A (ko) 202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5808B2 (en) Combined face and iris recognition system
CN109389719B (zh) 一种小区单元门门禁系统及开门方法
JP5150067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JP2004356683A (ja) 画像管理システム
US11006864B2 (en) Face detection device, face detection system, and face detection method
CN104798103B (zh) 面部识别装置、识别方法及其程序和信息设备
US864461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8523650A (ja) 生体情報読取機付無線画像撮影装置
KR101762769B1 (ko) 촬영 장치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08018423A1 (fr) Dispositif de vérification d'objets et procédé de vérification d'objets
JP2020505705A (ja) 特徴画像を習得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ならびにユーザー認証方法
WO2020065852A1 (ja) 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記憶媒体
JP2023057090A (ja) 撮影制御システム
JP2021179890A (ja) 画像認識装置、認証システム、画像認識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00130B1 (ko) 얼굴인식 가능한 단말기 및 그의 얼굴인식 방법
JP2013219666A (ja) 情報共有システム、照合装置、端末装置、情報共有方法及び情報共有プログラム
JP2009104325A (ja) 入退場者管理システム
JP2011009898A (ja) 画像配布システム、撮像装置、受信装置、サーバ
KR20230036089A (ko) 이미지 획득 장치 및 그 방법
JP2015015570A (ja)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装置および画像管理プログラム
JP2009205203A (ja) 虹彩認証装置
JP2008271309A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画像関連情報取得システム、画像関連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JP2019175421A (ja) マルチアングル顔認証システム及びその学習方法と認証方法
JP2004274735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6471924B2 (ja) 顔認証装置及び顔認証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