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3488A -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3488A
KR20230033488A KR1020210116512A KR20210116512A KR20230033488A KR 20230033488 A KR20230033488 A KR 20230033488A KR 1020210116512 A KR1020210116512 A KR 1020210116512A KR 20210116512 A KR20210116512 A KR 20210116512A KR 20230033488 A KR20230033488 A KR 20230033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se chestnut
periodontal disease
chestnut extract
preven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영
박병영
조일환
박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지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지오랩
Priority to KR102021011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3488A/ko
Priority to CA3226434A priority patent/CA3226434A1/en
Priority to AU2022340371A priority patent/AU2022340371A1/en
Priority to PCT/KR2022/013018 priority patent/WO2023033535A1/en
Priority to CN202280058957.4A priority patent/CN117881409A/zh
Publication of KR2023003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4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7Sapindaceae (Soapberry family), e.g. lychee or soap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THE HORSE CHESTNUT EXTRACTS}
본 발명은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 질환(Periodontitis)은 구강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대사 산물인 독소에 의하여 치아주변 지지조직에 생기는 염증의 일종이다. 이러한 치주 질환은 초기의 치은염으로부터 발단되는데, 치은염을 방치하면 잇몸이 붓고 출혈과 심한 구취를 동반하는 치주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한,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치주염은 치근막을 지지하는 콜라겐이 파괴되고 치아를 지지하는 치조골이 용해되면서 치주 인대가 분리되어 치주낭이 형성되고, 심한 경우 치아를 손상시키는 진행성 치주 질환으로 발전된다.
치주 질환의 병인은 성별, 인종, 연령에 따라 관련된 병원균이 다르다. 이러한 치주 질환은 수년간 악화되고 소강상태가 되는 것을 반복하며 감염상태가 지속되며, 당뇨, 에이즈, 호중구감소증, 다운증후군 등의 전신성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높은 발병율을 나타내고 있다.
치주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러한 미생물들의 활성을 억제하고, 염증이 발생한 잇몸의 혈류를 원활하게 하는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치주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약제 중 페니실린,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과 같은 항생제는 살균 및 생육 억제에는 효과적이기는 하나 내성균의 출현을 유발하는 등의 부작용이 크고, 클로르헥시딘과 같은 항균제는 충치 형성을 저해하는 효과는 있으나, 독성이 강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보다 적은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치아 임플란트 사용이 늘어나면서 임플란트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 중 임플란트 주위염은 자연 치아가 아닌 임플란트 주변에 생기는 질환으로 임플란트 후 가장 주의가 요구되는 질환이다. 시술된 임플란트의 60% 이상에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특히 임플란트의 경우, 자연 치아와는 상이하게 신경이 분포하지 않아 초기에는 임플란트 주위염의 발병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증상이 심각해진 후 비로서 발병을 인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임플란트 주위염을 초기에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심하면 잇몸뼈까지 녹아내리는 질환으로 꼼꼼한 치료가 필요하며, 임플란트 주위의 심각한 골손실은 임플란트 실패로 인한 재수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주위염은 자연치아에서 발생되는 질환들과 비교하여 진행 속도가 빠르며, 질환의 정도가 더 심각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임플란트 주위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들은 임플란트 주위염을 효과적 또는 근본적으로 치료하지 못하고 단순히 증상을 완화시키는 정도의 약들만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염이 발병하면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하기는 어려우며, 주로 외과적 시술 또는 수술 등의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임플란트 주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6003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 투여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으며 세포 독성이 낮아 안정적이며,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켜 치주 질환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는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이러한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 물질에 대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장기 투여하더라도 부작용이 없으며 독성이 없으면서도, 파골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골 손실을 감소시켜 골 손실로 인해 유도되거나 골 손실을 유발하는 치주 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을 연구하던 중, 칠엽수 추출물이 타타르산염 내성 산성 포스파타제(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이하 'TRAP'이라 합니다.)의 분화를 억제함으로써 치주 질환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은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칠엽수 추출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을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칠엽수」란, 칠엽수과(Hippocastanaceae)에 속하며, 컨커 트리(Conker Tree)라고도 불리고, 프랑스에서는 마로니에(marronier)라고도 불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칠엽수 추출물은 잎 또는 종자(사라자)로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칠엽수 잎이나 봄에서 가을에 걸쳐 수확한 잎을 그늘에 말려 사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건조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이는 칠엽수 종자로부터 제조되며 트리테르펜 글리코시드(triterpene glycosides), 즉 무수 아에신이 10 중량%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칠엽수 잎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는 일본산 칠엽수(Aesculus turbinata BLUME), 중국산 칠엽수 (Aesculus chinensis Bge 및 Aesculus wilculus Rehd) 및 유럽산 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L., 폴란드 Kalisz) 등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유럽산 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L., 폴란드 Kalisz)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이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유효 성분」이란, 내재된 약리작용에 의해 그 조성물의 효능 효과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현한다고 기대되는 물질 또는 물질군 (약리학적 활성성분 등이 밝혀지지 않은 생약 등을 포함한다)으로서 주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주 질환」이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치은과 치주인대 및 치조골 등 치아 주위조직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의 투여로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의 분화를 억제하여 치주 질환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의 투여로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의 분화를 억제하여 치주 질환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에서 활성성분인 아비쿨라린(avicularin)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에서 활성성분인 주글라닌(juglanin)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을 0.1 내지 4.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3 내지 3.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2.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주글라닌을 0.1 내지 3.0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2 내지 2.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1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또 다른 활성성분으로서 퀘르시트린과 아프젤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에서 활성성분인 퀘르시트린(quercitrin)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에서 활성성분인 아프젤린(afzelin)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퀘르시트린을 1.0 내지 7.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1.3 내지 6.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1.5 내지 5.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프젤린을 0.1 내지 3.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2 내지 2.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 0.3 내지 1.0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0.1 내지 4.0 중량%, 퀘르시트린 1.0 내지 7.0 중량%, 주글라닌 0.1 내지 3.0 중량% 및 아프젤린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1) 아비쿨라린 0.3 내지 3.0 중량%, 퀘르시트린 1.3 내지 6.0 중량%, 주글라닌 0.12 내지 2.0 중량% 및 아프젤린 0.2 내지 2.0 중량% 포함 할 수 있고, (2) 아비쿨라린 0.5 내지 2.0 중량%, 퀘르시트린 1.5 내지 5.0 중량%, 주글라닌 0.15 내지 1.0 중량% 및 아프젤린 0.3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을 상술한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칠엽수 추출물 내의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의 함량은 추출물 내에 포함된 상기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의 함량을 정량화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에 포함된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은 정량화되는 과정 중 다른 물질로 변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칠엽수 추출물 내에 포함된 상기 성분을 정확하게 정량하기 위해서는 정량화 과정이 엄격하게 조절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이 상기 아비쿨라린과 주글라닌을 상기 범위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경우,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칠엽수 추출물에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은 종래 칠엽수 추출물에 활성성분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은 신규한 활성성분이며,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은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는 기능성분으로도 볼 수 있다.
다만, 상기 칠엽수 추출물의 아비쿨라린과 주글라닌의 함량은 지역, 연도, 수확 시기에 따라 효과가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의 분화를 억제하여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효과가 있으며, 부작용은 낮으면서 약리 효과가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골 대사 및 골 형성은 새로운 조골세포(osteoblast)의 골 기질 형성과 파골세포(osteoclast) 흡수작용의 균형에 의해 골의 항상성이 유지된다. 파골세포는 골의 표면에 부착하여 산과 분해효소를 분비함으로써 골을 구성하는 골 기질을 제거하여 노화된 골을 용해한다.
파골세포의 분화가 활성화되면 뼈를 분해시키기 위한 다양한 효소를 생성하는데, 뼈를 산화 시켜 분해시키는 산성인산화 효소인 TRAP은 파골세포의 특별한 표지자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TRAP은 파골세포가 골 흡수작용을 할 때 효소의 분비가 증가되고 ATP, 니트로페닐 포스페이트(Nitrophenyl phosphate)가 존재할 때 높은 활성을 가지는 효소로서 파골분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파골세포의 세포 화학적 표지효소(marker enzyme)이다.
따라서,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평가하는 방법은 TRAP의 활성을 분석하여 평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TRAP의 활성이 억제됨으로써 뼈의 파괴를 막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 100 g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0.5 내지 2.0 g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 100 g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퀘르시트린 1.5 내지 5.0 g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 100 g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주글라닌 0.15 내지 1.0 g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 100 g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프젤린 0.3 내지 1.0 g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엽을 10%~50%(v/v)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알코올」은, 히드록실기가 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기의 탄소 원자에 결합된 화합물을 의미하고, 용어 「알킬」은, 선형 (linear)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분지형 (branched) 포화탄화수소기를 의미하며, 용어 「치환된 알킬기」는, 알킬기의 탄소와 결합된 치환기가 히드록시, 시아노, 할로 등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수용액이 20~30% (v/v)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수용액은 20~30%(v/v) 에탄올 수용액, 메탄올 수용액 등을 포함한 C1-C4 알코올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수용액 또는 메탄올 수용액, 보다 바람직하게는 25(v/v)%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C1-C4」은, 탄소수가 1개 이상 4개 이하를 갖는 작용기 또는 주사슬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열풍 건조 방법, 동결 건조 방법, 또는 스프레이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열풍 건조하거나, 추출물을 얼린 후 기압을 낮춰 동결 건조하거나, 또는 추출물을 분무하며 열풍을 쐬어 스프레이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의 제조시에는 건조시킨 칠엽수엽 또는 건조시키지 않은 칠엽수엽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효과적인 추출을 위해 칠엽수엽은 잘게 부수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추출물은 하기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S1) 칠엽수엽을 10%~50%(v/v) 알코올 수용액으로 75 내지 85℃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는 추출단계;
(S2) 25 내지 35 ℃의 온도 조건, 및 -755 내지 -650 mmHg의 압력 조건에서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하여 농축된 추출물을 얻는 농축단계 및
(S3) 농축된 추출물을 20~40% Brix 농도가 되도록 정제수를 투입한 후 용해하고 나서 동결건조하여 칠엽수엽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1)에서의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칠엽수엽의 5 내지 15배 (v/w)의 10~50%(v/v)의 알코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20~30%(v/v)의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S1) 단계를 1회, 2회 또는 3회 반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회 또는 3회 반복할 경우 각 단계별 알코올 추출물을 얻은 후 이를 분리하고나서 최종적으로 이를 혼합하여 알코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90 중량% 함량의 칠엽수 추출물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을 15 중량%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칠엽수 추출물을 40 중량% 내지 6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45 중량% 내지 5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치주 질환은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itis), 치조농루증(alveolar pyorrhea) 및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은염(gingivitis)」이란, 치은, 다른말로 잇몸의 염증을 의미한다. 단순성 치은염, 궤양성 치은염, 괴저성 치은염, 비대성 치은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주염(Periodontitis)」이란, 치주위염이라고도 하며, 치주 조직에 영향을 주는 염증 질환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치조농루증(alveolar pyorrhea)」이란, 만성 변연성 치주염을 의미하며, 화농성치근막염의 한 증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이란, 임플란트 기둥 주변의 잇몸뼈 조직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 등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전형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의 액체 또는 비액체 기초를 포함한다. 만약 약학적 조성물이 액체 형태로 제공된다면, 담체는 전형적으로 피로겐 없는 물; 등장성 식염수 또는 버퍼 (수용성) 용액, 예를 들어 인산염, 구연산 등 버퍼 용액이다. 주사 버퍼는 특정한 기준 매질 (Reference media)에 고장성, 등장성 또는 저장성 기준일 수 있어, 즉 버퍼는 특정한 기준 매질에 높은, 같은 또는 낮은 염 함량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투압 또는 다른 농도 효과에 의한 세포 손상을 유도하지 않는, 앞서 언급된 염의 상기 이러한 농도가 사용될 수 있다. 기준 매질은 혈액, 림프, 세포질 액상, 또는 다른 체액, 또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버퍼 또는 액체로써 "생체 외" 방법에 기준 매질로 사용될 수 있는 체액과 같은, 예를 들어 "생체 내" 방법에서 발생하는 액체이다. 이러한 일반적 버퍼 또는 액체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액상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예를 들어, 도포 또는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주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경구 투여」란, 병리학적 증상(치주 질환)을 호전하기 위한 약제를 입으로 주입하는 방법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비경구투여」란, 입으로 투여하는 것을 제외한 피하, 근육내, 정맥, 튜브를 이용한 복강내로 투여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질캡슐제, 환제 등이 포함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상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멸균된 수용액, 액상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에멀젼, 점안제, 안연고제, 시럽, 좌제, 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및 멸균 주사제제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안연고제, 점안제, 파스제 또는 카타플 라스마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국소 투여의 조성물은 임상적 처방에 따라 무수형 또는 수성형일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99.9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0.1~5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TRAP의 분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치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 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5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로서, 칠엽수 추출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을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0.6 내지 1.5 중량% 및 주글라닌 0.2 내지 0.4 중량%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칠엽수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앞서 살핀 바와 같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치주 질환을 개선 또는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개선」이란, 치주 질환의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을 식품 조성물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로부터의 추출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방 또는 치료방법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칠엽수 추출물을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게 투여하여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는, 인간을 위시한 포유동물을 의미하고,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 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서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치료상 유효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것임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kg 내지 50 ㎎/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약제의 제조를 위한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허용되는 담체 등을 혼합할 수 있으며, 다른 작용제들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타 생활제품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치약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치약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기능성 식품 또는 기능성 성분과 혼합 또는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약에 통상 사용되는 첨가제인 불소 화합물, 습윤제, 발포제, 점결제, 감미제, 연마제, 향미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종류는 통상 치약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글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가글액은 구강을 가글링(Gargling)할 수 있는 조성물 기타, 구강 내 세정 및 향균 활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불소 화합물, 습윤제, 발포제, 점결제, 감미제, 연마제, 향미제, 보존제 제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종류는 통상 가글액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체적인 제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는 구성 및 혼합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구강 스프레이는 조성물 기타, 구강 내 세정 및 향균 활성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제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체적인 제형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는 구성 및 혼합범위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치료 방법, 용도, 기타 생활제품에서 언급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낮아 안정적이고,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부작용이 현저히 낮고, 치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칠엽수 추출물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이하 'HPLC'라 합니다.)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아비쿨라린의 HPLC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퀘르시트린의 HPLC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주글라닌의 HPLC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아프젤린의 HPLC 결과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칠엽수 추출물의 세포독성실험(Cytotoxicity Assay)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아비쿨라린의 세포독성실험(Cytotoxicity Assay)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퀘르시트린의 세포독성실험(Cytotoxicity Assay)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주글라닌의 세포독성실험(Cytotoxicity Assay)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아프젤린의 세포독성실험(Cytotoxicity Assay)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칠엽수 추출물의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아비쿨라린의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퀘르시트린의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주글라닌의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아프젤린의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제조예를 제시한다. 하기의 실시예, 제조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제조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칠엽수 추출물의 제조
폴란드 Kalisz에서 생산된 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m L.)의 잎을 상온,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에 분쇄하였다. 분쇄된 잎 80 kg을 25%(v/v) 에탄올 수용액 800 L로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25 ㎛의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하여 450 L의 제1추출물을 얻었다.
칠엽수엽 잔유물을 25%(v/v) 에탄올 수용액 800 L로 8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고 25 ㎛의 카트리지 필터로 여과하여 830 L의 제2추출물을 얻었다.
제1차 및 제2차 추출물을 혼합한 후 (총 1280 L의 추출물), 75~85 ℃의 온도, -755 내지 -650 mmHg 조건에서 농축하여 20 L의 농축된 추출물을 얻었다.
이후, 농축된 추출물에 50 L의 정제수를 넣고 20~30 ℃에서 감압농축 하여 에탄올 용매를 제거하고, 60 L의 정제수를 넣고 25~35% Brix(%) 농도가 되도록 용해한 후 동결건조기에 넣어 동결건조 한 다음, 분쇄기에서 0.5 mm 분쇄망에 1,200 rpm으로 분쇄하여 칠엽수 추출물의 동결건조 분말 18 kg을 얻었다.
실시예 2. 칠엽수 추출물의 성분
(1) 분석방법
칠엽수 추출물에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 특히 활성성분으로 알려지지 않은 아비쿨라린과 주글라닌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칠엽수 추출물 100 mg을 튜브에 넣고 100 mL의 100% 메탄올에 충분히 용해시킨 후 0.22 μm 필터로 여과한 후 HPLC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또한,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 각각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HPLC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각각 도 2 내지 도 5와 같다.
HPLC 수행 조건은 다음과 같다.
i) 컬럼: CAPCELL PAK C18 UG120 (SHISEIDO, 4.6x250mm, 5 μm)
ii) 검출기: UV 254 nm
iii) 유량: 1.0 mL/min
iv) 이동상
이동상 A: 0.1% (w/v) phosporic acid, 이동상 B: Acetonitrile
[표 1]
Figure pat00005
(2) 결과
상기 분석방법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라 수득된 칠엽수 추출물은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특히 칠엽수 추출물의 활성성분으로 알려지지 않은 아비쿨라린과 주글라닌이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함량은 하기와 같았다.
아비쿨라린: 0.7 중량%
퀘르시트린: 2.2 중량%
주글라닌: 0.2 중량%
아프젤린: 0.4 중량%
재료의 준비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그리고 아프젤린은 Sigma-Aldrich Korea 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기타 시약 또한 Sigma-Aldrich와 Sigma-Aldrich Korea 및 덕산종합과학 등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실험예 1. 세포독성시험 (Cytotoxicity assay)
(1) 실험 방법
Murin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세포를 96-well plate (Corning, USA)에 세포수가 1 X 103 cells/well이 되게 분주하고, 본 발명의 칠엽수엽 추출물을 1.25, 2.5, 5, 10 ㎍/ml 농도별로 각각 처리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칠엽수엽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그리고 아프젤린을 각각 2.5, 5, 10, 25 μM 농도로 처리하여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각 well에 들어있는 배양액 100 ㎕를 모두 제거 하고 1 X PBS (phosphate buffered saline) 로 각 well을 washing 후 새로운 배지 100 ㎕를 첨가 하고 well 당 XTT 시약을 50 ul 처리하여 4시간 반응 시킨 후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 (Molecular Devices, USA)로 490 nm와 650 nm(reference wavelength)에서 흡광도 변화를 측정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2) 결과
도 6의 결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은 25, 50, 75, 100 ug/mL의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및 아프젤린 각각에 대해서도 2.5, 5, 10, 25 μM 농도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7 내지 도 10 참조).
실험예 2. 칠엽수 추출물 및 주요 성분의 TRAP 억제 활성 확인
(1) 실험방법
칠엽수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대식세포주(이하 'Raw 264.7 세포'라 합니다.)에 핵 인자-카파B 리간드의 수용체 활성자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이하 'RANKL'라 합니다.)를 처리하여 파골세포 분화를 유도하고, 실시예 1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과, 칠엽수엽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그리고 아프젤린 을 각각 처리한 후, 파골세포 특이 유전자인 TRAP 활성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3 X 103 세포/well의 농도로 접종하여 RANKL을 최종 100 n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칠엽수 추출물을 1.25, 2.5, 5, 10 μg/ml 농도로 각각 처리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또한 칠엽수엽 추출물의 주요 성분인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그리고 아프젤린에 대해서도 각각 2.5, 5, 10, 25 μM 농도로 처리하여 동일하게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추출용액(extraction solution)을 각 well 당 50 ㎕씩 첨가하여 5분 반응 후 피펫팅(pipetting) 해주었다. 기질용액(Substrate solution, 3,3',5,5'- Tetrametylbenzidine)을 각 well 당 50㎕씩 첨가하여 37℃에서 60분간 반응한 후 정지용액(Stop solution, 0.5N NaOH)을 각 well 당 50 ㎕씩 첨가한 후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2) 결과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은 1.25 ㎍/ml 농도에서부터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1.25 ㎍/ml에서는 약 73%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고, 2.5 ㎍/ml에서는 91%의 억제 활성을, 그리고 5 ㎍/ml에서는 98% 이상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처리한 칠엽수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TRAP 억제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 참조).
또한 아비쿨라린, 퀘르시트린, 주글라닌, 그리고 아프젤린 각각에 대해서도 2.5 μM에서부터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단일 성분 대비 실시예 1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에서 훨씬 우수한 TRAP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2 내지 도 1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칠엽수 추출물은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적용하여 치주 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부작용이 현저히 낮고, 치주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할 수 있고,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3)

  1.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칠엽수 추출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을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0.1 내지 4.0 중량% 및 주글라닌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활성성분으로서 퀘르시트린과 아프젤린을 더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퀘르시트린 1.0 내지 7.0 중량% 및 아프젤린 0.1 내지 3.0 중량%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파골세포 분화 마커인 TRAP(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옆을 10%~50%(v/v)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의 함량은 10 중량% 내지 90 중량% 인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 질환은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itis), 치조농루증(alveolar pyorrhea) 및 임플란트 주위염(peri-implantitis)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칠엽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로서,
    칠엽수 추출물은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및 주글라닌을 포함하는 것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칠엽수 추출물은 칠엽수 추출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으로서 아비쿨라린 0.1 내지 4.0 중량% 및 주글라닌 0.1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11. 제1항에 따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12. 제1항에 따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글액.
  13. 제1항에 따른 치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 스프레이.
KR1020210116512A 2021-09-01 2021-09-01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3003348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12A KR20230033488A (ko) 2021-09-01 2021-09-01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A3226434A CA3226434A1 (en) 2021-09-01 2022-08-31 Composition comprising horse chestnut extract
AU2022340371A AU2022340371A1 (en) 2021-09-01 2022-08-31 Composition comprising horse chestnut extract
PCT/KR2022/013018 WO2023033535A1 (en) 2021-09-01 2022-08-31 Composition comprising horse chestnut extract
CN202280058957.4A CN117881409A (zh) 2021-09-01 2022-08-31 包含七叶树提取物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12A KR20230033488A (ko) 2021-09-01 2021-09-01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488A true KR20230033488A (ko) 2023-03-08

Family

ID=8541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12A KR20230033488A (ko) 2021-09-01 2021-09-01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20230033488A (ko)
CN (1) CN117881409A (ko)
AU (1) AU2022340371A1 (ko)
CA (1) CA3226434A1 (ko)
WO (1) WO202303353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37B1 (ko) 2019-10-21 2021-06-02 한국화학연구원 참꽃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562A (ja) * 2005-03-31 2006-10-19 Kobayashi Pharmaceut Co Ltd セイヨウトチノキの抽出成分を配合した歯周病用剤
EP2976061B1 (en) * 2013-03-18 2019-10-16 Dentalmed Pharm Holding Ltd. Combinations of n-acetyl cysteine derivatives and cranberry polyphenols 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and peri-implatitis
KR20200091925A (ko) * 2017-12-22 2020-07-31 주식회사 안지오랩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37B1 (ko) 2019-10-21 2021-06-02 한국화학연구원 참꽃마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340371A1 (en) 2024-04-11
WO2023033535A1 (en) 2023-03-09
CA3226434A1 (en) 2023-03-09
CN117881409A (zh)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613B1 (ko) 망고스틴 추출물 또는 알파, 감마 망고스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10603332B2 (en) Anti-obesity composition
EP2251024A1 (en) Plant-origin drug for preventing or improving hyperuricemia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230033488A (ko) 칠엽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759468B1 (ko) 자색 고구마로부터 분리된 자색 색소를 함유하는 통풍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58760A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29147B1 (ko) 콜라비론의 제조방법
KR101681980B1 (ko) Colona auricaulata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92729B1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332074B1 (ko) 에스큘레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 손실 억제용 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5611A (ko) 서덜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78801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1280A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33677A1 (ko) 홍삼 추출물의 감식초 반응 혼합물을 함유한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24321A1 (en) Compositions for use in the treatment of mucositis and/or stomatitis
KR20240056425A (ko) 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근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1393B1 (ko) 리놀레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손실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40056426A (ko) 고려엉겅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근 손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39580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rse chestnut extract
KR20230092190A (ko) 담쟁이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력 약화 관련 질환 또는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