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2473A -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2473A
KR20230032473A KR1020210115362A KR20210115362A KR20230032473A KR 20230032473 A KR20230032473 A KR 20230032473A KR 1020210115362 A KR1020210115362 A KR 1020210115362A KR 20210115362 A KR20210115362 A KR 20210115362A KR 20230032473 A KR20230032473 A KR 20230032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unit
housing
diesel
oxidation cataly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2331B1 (ko
Inventor
이석길
김남일
황인복
Original Assignee
(주)세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움 filed Critical (주)세움
Priority to KR102021011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331B1/ko
Publication of KR20230032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2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5General auxiliary catalysts, e.g. upstream or downstream of the main catalyst
    • F01N3/106Auxiliary oxidation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3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using transversal baffles defining a tortuous path for the gases or successively throttling gas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01N13/10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01N13/1844Mechanical joints
    • F01N13/1855Mechanical joints the connection being realised by using bolts, screws, rivet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 F01N3/02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using means for regenerating the filters, e.g. by burning trapped particles using fuel burner or by adding fuel to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70/00Exhaust treating apparatus eliminating, absorbing or adsorbing specific elements or compounds
    • F01N2570/14Nitrogen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기계 작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입자상물질(PM)에 함유된 탄화수소(HC)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해성 유기물질(SOF) 산화시켜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디젤산화촉매부(100); 디젤산화촉매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믹서부(200); 믹서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자상물질이 포집되었을 때에, 배출가스의 온도를 높여 입자상물질을 연소시키는 디젤필터트랩부(300); 및 디젤필터트랩부의 상측에 적층배치되며, 배기중에 요소수를 주입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고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NOX)을 반응시켜 물과 질소로 변환시키는 선택적환원촉매부(400);를 포함하며, 디젤산화촉매부, 믹서부, 디젤필터트랩부 및 선택적환원촉매부는 각각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측에서 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Vertical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pparatus for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엔진룸 공간 안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후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도록 배기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배기 효율과 유동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기 후처리 시스템은 자동차 및 건설기계, 농기계, 선박원동기 등 디젤엔진 사용 환경조건에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디젤에서 배출되는 CO, HC 및 NOx를 엔진 이후의 촉매와 필터를 통하여 유해물질을 저감시키는 중요 시스템으로서, 디젤산화촉매, 디젤필터트랩장치 및 선택적 환원 촉매 등의 부품이 있다.
디젤산화촉매는 필터에 백금, 팔라듐 등을 코팅하여 이들에 의한 촉매작용으로 배기가스 중 산소를 사용하여 PM에 함유된 탄화수소(HC)를 주성분으로 하는 미연소물질(SOP)를 산화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 바꿔준다.
디젤필터트랩장는 기공 DPF에 SCR 촉매(일반적으로, Cu-zeolite, Fe-zeolite)를 코팅하여 SDPF 전단에서 공급되는 NH3 및 배기가스 중의 NOx를 SCR 촉매 상에서 반응시켜, NOx를 물과 N2로 정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SDPF는 필터의 기능을 하므로 DPF의 기능인 배기가스 중의 SOOT를 포집하여, 엔진에서 후 분사를 통하여 배기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를 통해 SDPF에 포집된 SOOT를 산화/제거시킨다.
선택적 환원 촉매는 요소수를 배기 중에 주입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고 암모니아와 NOx를 반응시켜 물과 질소로 무해화 한다.
한편, 디젤엔진에 있어서 배기가스를 저감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엔진의 연소 특성을 최적화하여 유해물질의 배출을 원칙적으로 저감하는 방법과 엔진 이후 촉매 및 필터를 통해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DOC 및 DFP가 장착된 후처리 시스템의 경우 디젤 배기물에 대하여 백금(Pt), 파라듐(Pd) 등을 활용한 산화촉매 방법으로 1차적인 저감 후 매연 및 입자상 물질을 물리적으로 포집/제거하도록 하는 2차 저감 방식으로 배기가스의 유해물질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점차 엄격해지고 있는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점차 복잡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배기가스 후처리 시스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식의 배기 후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93-0005166호 (1994.10.17)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엔진룸 공간 안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후처리 장치를 장착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도록 배기 장치를 수직방향으로 배치하여 배기 효율과 유동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농기계용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 작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10)는 일단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입자상물질(PM)에 함유된 탄화수소(HC)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해성 유기물질(SOF)를 산화시켜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디젤산화촉매부(100); 디젤산화촉매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믹서부(200); 믹서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자상물질이 포집되었을 때에, 배출가스의 온도를 높여 입자상물질을 연소시키는 디젤필터트랩부(300); 및 디젤필터트랩부의 상측에 적층배치되며, 배기중에 요소수를 주입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고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NOX)을 반응시켜 물과 질소로 변환시키는 선택적환원촉매부(400);를 포함하며, 디젤산화촉매부, 믹서부, 디젤필터트랩부 및 선택적환원촉매부는 각각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측에서 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결합된다.
여기서, 디젤산화촉매부, 믹서부, 디젤필터트랩부 및 선택적환원촉매부는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외경이 확폭되도록 플랜지 쉘이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맞닿는 플랜지 쉘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디젤산화촉매부, 믹서부, 디젤필터트랩부 및 선택적환원촉매부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배치시키는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디젤산화촉매부(100)는 제1 하우징(110); 제1 하우징의 내측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촉매(120); 제1 촉매의 하측에 배치되어 촉매를 따라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로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베플(baffle) 플레이트(130); 제1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재(140); 및 단열재를 감싸 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제1 외측커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믹서부(200)는 제2 하우징(210);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파이프(220); 띠 형상으로 형상되며, 파이프를 중심으로 하측에서 상측을 따라 배치되는 헬리컬 플레이트(230); 및 파이프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러그(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디젤필터트랩부(300)는 제3 하우징(310); 및 제3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촉매(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선택적환원촉매부는 제4 하우징(410); 제4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촉매(420); 및 제4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유출구(431)를 연결하는 콘연결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기존 엔진룸에 장착되던 방식을 벗어나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됨으로써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기계 및 소형선박에 활용이 가능하여, 현재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용차 시장을 대체할 신시장 개척에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을 통하여 국내 농기계, 건설기계에서 발생하는 PM에 대하여 90% 이상 필터링이 가능하여, 국내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젤산화촉매부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부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젤필터트랩부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환원촉매부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가 농기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가 농기계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10)는 농기계(A)에 장착되어 농기계의 작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디젤산화촉매부(DOC, 100), 믹서부(200), 디젤필터트랩부(SDPF, 300) 및 선택적환원촉매부(SCR, 400)를 포함한다.
디젤산화촉매부(DOC, 100)는 일단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입자상물질(PM)에 함유된 탄화수소(HC)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해성 유기물질(SOF)를 산화시켜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킨다.
믹서부(200)는 디젤산화촉매부의 상측에 배치된다.
디젤필터트랩부(SDPF, 300)는 믹서부(2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입자상물질이 포집되었을 때에, 배출가스의 온도를 높여 입자상물질을 연소시킨다.
선택적환원촉매부(SCR, 400)는 디젤필터트랩부(300)의 상측에 적층배치되며, 배기중에 요소수를 주입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고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NOX)을 반응시켜 물과 질소로 변환시킨다.
이때, 디젤산화촉매부(100), 믹서부(200), 디젤필터트랩부(300) 및 선택적환원촉매부(400)는 하측에서 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디젤산화촉매부(100), 믹서부(200), 디젤필터트랩부(300) 및 선택적환원촉매부(400)는 각각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고,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외경이 확폭되도록 플랜지 쉘이 각각 결합된다. 서로 맞닿은 플랜지 쉘은 클램프(500)를 통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적층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이 모듈로 형성되고 탈착 및 결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교체가 필요한 모듈만 간단하게 교체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장치의 유지관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농기계의 배기가스의 배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설명한 디젤산화촉매부(DOC, 100), 믹서부(200), 디젤필터트랩부(SDPF, 300) 및 선택적환원촉매부(SCR, 40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젤산화촉매부의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디젤산화촉매부(100)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며 제1 하우징(110), 제1 촉매(120), 플레이트(130), 단열재(140) 및 제1 외측커버(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에 유입구(111)가 형성된다.
제1 촉매(120)는 제1 하우징(110)의 내측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L형 링(112)을 통해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L형 링(112)과 맞닿는 제1 하우징(110)의 내측은 L형 링(112)에 대응되는 단차홈이 형성되어 L형 링(112)의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L형 링(112)을 통하여 배기가스가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플(baffle)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홀(131)이 형성되며, 제1 촉매(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제1 촉매(120)를 따라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로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단열재(140)는 제1 하우징(1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외측커버(150)는 단열재(140)를 감싸 단열재(140)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플랜지 쉘(160)은 제1 하우징(110)의 상단에 압입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쉘(160)은 클램프(500)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믹서부의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믹서부(200)는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며 디젤산화촉매부(100)와 연통되도록 디젤산화촉매부(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제2 하우징(210), 파이프(220), 헬리컬 플레이트(230), 플러그(240), 콘(250), 플랜지 쉘(260), 도징 플랜지(270) 및 단열재(280)를 포함한다.
제2 하우징(21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하우징(210)의 내측방향으로 내측 제2 하우징(211)이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헬리컬 플레이트(230)는 내측 제2 하우징(211)와 파이프(220)을 통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파이프(220)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제2 하우징(210)의 내측에 배치된다.
헬리컬 플레이트(230)는 띠 형상으로 형상되며, 파이프(220)의 외주면을 따라 하측에서 상측을 따라 나선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헬리컬 플레이트(230)의 상단에 복수의 홀(231)이 형성된다. 복수의 홀(231)은 헬리컬 플레이트(230)를 따라 순차적으로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헬리컬 플레이트(230)는 유동 단면적을 축소하여 유속을 증대시켜 배기가스의 정화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플러그(240)는 파이프(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홀(241)이 형성되어 유동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콘(250)은 내측 제2 하우징(211)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측 방향을 따라 관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콘(250)은 믹서부(200)의 상단에 위치하는 디젤필터트랩부(300)의 외곽에 집중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기가스와 우레아의 믹싱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콘(2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25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251)을 통하여 헬리컬 플레이트(230)의 입구측에서 바운싱된 유동 흐름 위치 이동을 유도할 수 있으며, 헬리컬 플레이트(230)의 하단으로 분포된 액적의 상방향 확산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플랜지 쉘(260)은 제2 하우징(210)의 상단 및 하단에 압입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 쉘(260)은 클램프(500)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징 플랜지(270)는 제2 하우징(21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내측 제2 하우징(211)의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징 플랜지(270)의 내측 각도는 대략 75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징 플랜지(270)를 통하여 우레아가 분무될 수 있다. 도징 플랜지(270)의 내측 각도가 75도로 형성될 경우, 분사 거리 축소로 내측 정체된 유속 및 온도강하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우레아 수용액(NH2CO)능 분사하게 되면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NOX를 질소, 수증기로 환원시킬 수 있다.
단열재(280)는 제2 하우징(2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젤필터트랩부의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디젤필터트랩부(300)는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3 하우징(310), 제2 촉매(320), 플랜지 쉘(330) 및 단열재(340)를 구비한다.
제3 하우징(31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2 촉매(320)는 제3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3 하우징(3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2 촉매(320)는 L형 링(311)을 통해 제3 하우징(31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L형 링(311)과 맞닿는 제3 하우징(310)의 내측은 L형 링(311)에 대응되는 단차홈이 형성되어 L형 링(311)의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플랜지 쉘(330) 및 단열재(3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그 구조 및 특징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환원촉매부의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에 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선택적환원촉매부(400)는 제4 하우징(410), 제3 촉매(420), 콘연결부(430), 플랜지 쉘(440), 단열재(450) 및 차압센서(4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4 하우징(410)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4 하우징(410)의 타측에는 콘연결부(430)가 형성되고, 콘연결부(430)에 유출구(411)를 연결되어 정화된 배기가스가 토출되게 된다.
제3 촉매(420)는 제4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 쉘(440) 및 단열재(4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그 구조 및 특징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압센서(460)는 제4 하우징(41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차압센서(460)는 단열재(45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센서고정구(461)를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는 기존 엔진룸에 장착되던 방식을 벗어나 측면에 수직으로 장착됨으로써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설기계 및 소형선박에 활용이 가능하여, 현재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상용차 시장을 대체할 신 시장 개척에 중요한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을 통하여 국내 농기계, 건설기계에서 발생하는 PM에 대하여 90% 이상 필터링이 가능하여, 국내 미세먼지 문제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디젤산화촉매부 110 : 제1 하우징
120 : 제1 촉매 130 : 플레이트
140 : 단열재 150 : 제1 외측커버
200 : 믹서부 210 : 제2 하우징
220 : 파이프 230 : 헬리컬 플레이트
240 : 플러그 250 : 콘
260 : 플랜지 쉘 270 : 도징 플랜지
280 : 단열재 300 : 디젤필터트랩부
310 : 제3 하우징 320 : 제2 촉매
330 : 플랜지 쉘 340 : 단열재
400 : 선택적환원촉매부 410 : 제4 하우징
420 : 제3 촉매 430 : 콘연결부
440 : 플랜지 쉘 450 : 단열재
460 : 차압센서 500 : 클램프

Claims (6)

  1. 농기계 작동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할 수 있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10)에 있어서,
    일단에서 유입되는 배기가스에 함유된 입자상물질(PM)에 함유된 탄화수소(HC)를 주성분으로 하는 용해성 유기물질(SOF)를 산화시켜 물과 이산화탄소로 변환시키는 디젤산화촉매부(100);
    상기 디젤산화촉매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믹서부(200);
    상기 믹서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자상물질이 포집되었을 때에, 배출가스의 온도를 높여 상기 입자상물질을 연소시키는 디젤필터트랩부(300); 및
    상기 디젤필터트랩부의 상측에 적층배치되며, 배기중에 요소수를 주입하여 암모니아를 생성시키고 상기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NOX)을 반응시켜 물과 질소로 변환시키는 선택적환원촉매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디젤산화촉매부(100), 믹서부(200), 디젤필터트랩부(300) 및 선택적환원촉매부(400)는 각각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측에서 부터 상측으로 차례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산화촉매부, 믹서부, 디젤필터트랩부 및 선택적환원촉매부는 상기 캔 형상의 모듈로 형성되어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외경이 확폭되도록 플랜지 쉘이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맞닿는 상기 플랜지 쉘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켜, 상기 디젤산화촉매부, 믹서부, 디젤필터트랩부 및 선택적환원촉매부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배치시키는 클램프(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산화촉매부(100)는,
    제1 하우징(110);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1 촉매(120);
    상기 제1 촉매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촉매를 따라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로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베플(baffle) 플레이트(130);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재(140); 및
    상기 단열재를 감싸 상기 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제1 외측커버(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부(200)는,
    제2 하우징(210);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중공의 파이프(220);
    띠 형상으로 형상되며, 상기 파이프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헬리컬 플레이트(230); 및
    상기 파이프의 상측에 배치되는 플러그(2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젤필터트랩부(300)는,
    제3 하우징(310);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촉매(3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환원촉매부는,
    제4 하우징(410);
    상기 제4 하우징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3 촉매(420); 및
    상기 제4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되어 유출구(431)를 연결하는 콘연결부(4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1020210115362A 2021-08-31 2021-08-31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102542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62A KR102542331B1 (ko) 2021-08-31 2021-08-31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362A KR102542331B1 (ko) 2021-08-31 2021-08-31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2473A true KR20230032473A (ko) 2023-03-07
KR102542331B1 KR102542331B1 (ko) 2023-06-13

Family

ID=85512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362A KR102542331B1 (ko) 2021-08-31 2021-08-31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33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166A (ko) 1991-08-14 1993-03-23 문정환 Ic마킹기의 빈슬리이브 드롭장치
KR20120081371A (ko) * 2011-01-11 2012-07-19 대동공업주식회사 디젤엔진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20170013972A (ko) * 2014-06-05 2017-02-07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혼합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 커버
JP2021042742A (ja) * 2019-09-13 2021-03-18 株式会社三五 排気浄化装置
KR102268479B1 (ko) * 2020-01-22 2021-06-24 세종공업 주식회사 환원제 고형화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환원제 믹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166A (ko) 1991-08-14 1993-03-23 문정환 Ic마킹기의 빈슬리이브 드롭장치
KR20120081371A (ko) * 2011-01-11 2012-07-19 대동공업주식회사 디젤엔진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20170013972A (ko) * 2014-06-05 2017-02-07 포레시아 이미션스 컨트롤 테크놀로지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혼합기 조립체를 위한 절연 커버
JP2021042742A (ja) * 2019-09-13 2021-03-18 株式会社三五 排気浄化装置
KR102268479B1 (ko) * 2020-01-22 2021-06-24 세종공업 주식회사 환원제 고형화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환원제 믹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2331B1 (ko) 202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2824C2 (ru) Система снижения токсичности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 дизельных двигателей
US9810126B2 (en) Flow device for exhaust treatment system
US9371764B2 (en) After-treatment component
KR101631149B1 (ko) 암모니아 분해 모듈을 가지는 디젤엔진 배기가스 배출장치
EP2458172B1 (en) Mixing pipe for SCR mufflers.
CN111691960A (zh) 内燃机的排气系统
WO2011090190A1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及び排気浄化方法
JP2011149400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及び排気浄化方法
GB2512896A (en) A mixer module and an emissions cleaning module
KR20140062899A (ko) 차량의 배기 가스 정화장치
WO2019055922A1 (en) EXHAUST GAS POST-TREATMENT APPARATUS
KR20170035683A (ko) 상용차량의 배기가스 저감용 후처리장치
CN210217875U (zh) 一种尾气后处理装置及汽车
KR102542331B1 (ko) 농기계용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102317359B1 (ko)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KR102316701B1 (ko)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
KR101022018B1 (ko) 엔진의 배기 가스 정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엔진
KR200438616Y1 (ko) 선별적탈질촉매가 구비된 디젤차량용 머플러
KR102557412B1 (ko) 개선된 믹서부를 구비하는 수직형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CN208918632U (zh) 一种后置式尾气后处理系统及收获机
CN210134989U (zh) 进气混合装置及柴油机的后处理装置
CN108019258B (zh) 箱体式尾气后处理装置
KR200440062Y1 (ko) 선별적탈질촉매가 구비된 디젤차량용 매연저감머플러
KR102421531B1 (ko)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콤바인
KR102617319B1 (ko) 분사 모듈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